맨위로가기

제프리 지울리아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프리 지울리아노는 대중음악, 특히 비틀즈에 관한 책을 주로 저술한 작가이다. 1999년까지 20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비틀즈 멤버들과 관련된 그의 발언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는 또한 배우로 활동하며, 영화 《스콜피온 킹 3》, 《반도》,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등에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전기 작가 - 조지 W. 부시
    조지 W. 부시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텍사스 주지사를 거쳐 제43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감세 정책과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응으로 논란을 겪었다.
  • 미국의 전기 작가 - 워싱턴 어빙
    워싱턴 어빙은 19세기 초 미국의 작가, 수필가, 전기 작가, 역사가이자 외교관으로, 《스케치북》에 수록된 《립 밴 윙클》과 《슬리피 할로우의 전설》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역사와 허구를 결합한 낭만주의 역사 장르를 개척하고 미국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1953년 출생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1953년 출생 - 박덕흠
    박덕흠은 충청북도 지역구를 대표하는 국민의힘 소속 4선 국회의원으로, 건설업계와 학계 경력을 바탕으로 국토교통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정보위원장직을 역임했으나 보수 성향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 - 달머스 라수라라
    달머스 라수라라는 흑인 착취 영화와 TV 미니시리즈 《뿌리》에서 활약한 미국의 배우로, 브로드웨이 뮤지컬에도 출연했으나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 - 존 허드
    존 허드는 연극 배우로 시작하여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활약하며 《나 홀로 집에》 시리즈의 아버지 역으로 유명해졌고, 《소프라노스》로 에미상 후보에 오른 미국의 배우이다.
제프리 지울리아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 저술 활동

지울리아노는 비틀즈를 비롯한 대중음악에 관한 책을 다수 집필했다. 다음은 그가 저술한 주요 도서 목록이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다크 호스: 조지 해리슨의 사생활》1990조지 해리슨 전기
《블랙버드: 폴 매카트니의 삶과 시대》1991폴 매카트니 전기
《잃어버린 비틀즈 인터뷰》1994비틀즈 인터뷰 모음집
《페인트 잇 블랙: 브라이언 존스의 살인》1994롤링 스톤스브라이언 존스 사망 관련 의혹 제기
《블루 아이즈 뒤에: 피트 타운센드의 삶》1996[9]더 후의 피트 타운센드 전기
《미국에서의 레논: 1971–1980, 잃어버린 레논 일기에 부분적으로 기반함》2000존 레논 전기, 레논의 일기 내용 진위 논란[5]


2. 1. 비틀즈 관련 전기

지울리아노는 대중음악, 특히 비틀즈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1999년까지 《어둠의 말: 조지 해리슨의 사생활》(1990)과 《검은 새: 폴 매카트니의 삶과 시대》(1991)를 포함한 20권의 책을 저술했다.[2]

1992년 9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지울리아노는 비틀즈를 "실제 생활에서 진짜 개자식들"이라고 칭하고 폴 매카트니를 "그저 피상적이고 공허하다"고 폄하하여 조지 해리슨의 부인 올리비아 해리슨의 심기를 건드렸다.[2] 그 해 10월 5일, ''가디언''은 올리비아 해리슨의 편지를 게재했는데, 그녀는 "굶주린 개처럼 그[지울리아노]는 자신의 영웅들을 뒤져 뼈와 힘줄 조각을 줍는다"고 썼다.[3] 그녀는 또한 《어둠의 말》 표지에 해리슨의 인용구를 사용한 지울리아노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며 "제 남편은 '저 사람은 내가 내 삶에 대해 나보다 더 많이 안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지울리아노는 그 농담을 놓치고 자신의 책을 홍보하는 데 사용했습니다."라고 말했다. 1992년 12월 14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인터뷰를 가진 해리슨은 지울리아노에 대해 "네, 그를 잠깐 만났습니다. 정확히 몇 년도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네요. '레그스' 래리 스미스의 집에서 30분 정도 만났던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4]

지울리아노의 존 레논 전기인 《미국의 레논: 1971–1980》(쿠퍼 스퀘어 프레스, 2000)은 논란을 일으켰다. 지울리아노는 이 책이 고 해리 닐슨이 자신에게 건넨 레논의 일기 초고와 레논이 녹음한 오디오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토대로 했다고 말했다. 닐슨과 가까운 여러 사람들은 그가 그 초고를 소지한 적이 없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일기 및 테이프를 잘 아는 다른 사람들은 지울리아노의 해석의 정확성에 이의를 제기했다.[5] ''워싱턴 포스트''에 기고한 데이비드 시걸은 지울리아노의 글을 "매우 비판적이고 섬뜩할 정도로 상세한 설명"이라고 묘사했으며, 닐슨이 자신에게 일기를 건넸다는 주장을 입증해달라는 요청에 대한 지울리아노의 답변을 인용했다. "제가 윤리적인 방식으로 일을 처리할 것은 분명합니다." 1980년대 초 절도 소송에서 일기를 읽었던 전 뉴욕 지방 검사보 스티븐 구스타인은 그것들이 "일상 생활의 사소한 세부 사항과 결합된 많은 철학적 사색"을 담고 있었다고 회상했다.[6] ''라이브러리 저널''의 콜린 칼슨은 《미국의 레논》에 대해 "팬이 아닌 사람들은 레논을 바람둥이, 마약 중독자, 편집증 환자의 이미지로 묘사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낄 것입니다. 이 종종 선정적인 설명은 관음증 환자와 해체적인 경향이 있는 팬들을 위한 것이며 이 주제에 관해 이용 가능한 최고의, 가장 상세한 책 중 하나입니다."라고 말했다.[7] 덜 감명받은 ''퍼블리셔스 위클리''의 평론가는 "지울리아노의 이중 화법만으로는 이 작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레논의 성적인 만남에 대한 그의 끝없는 관음증적 묘사가 그렇다"고 언급했다.[8]

2. 2. 기타 저서

지울리아노는 대중음악, 특히 비틀즈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1999년까지 《어둠의 말: 조지 해리슨의 사생활》(1990)과 《검은 새: 폴 매카트니의 삶과 시대》(1991)를 포함한 20권의 책을 저술했다.[2]

1992년 9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지울리아노는 비틀즈를 "실제 생활에서 진짜 개자식들"이라고 칭하고 폴 매카트니를 "그저 피상적이고 공허하다"고 폄하하여 조지 해리슨의 부인 올리비아 해리슨의 심기를 건드렸다.[2] 그 해 10월 5일, ''가디언''은 올리비아 해리슨의 편지를 게재했는데, 그녀는 "굶주린 개처럼 그[지울리아노]는 자신의 영웅들을 뒤져 뼈와 힘줄 조각을 줍는다"고 썼다.[3] 그녀는 또한 《어둠의 말》 표지에 해리슨의 인용구를 사용한 지울리아노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며 "제 남편은 '저 사람은 내가 내 삶에 대해 나보다 더 많이 안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지울리아노는 그 농담을 놓치고 자신의 책을 홍보하는 데 사용했습니다."라고 말했다.[3] 1992년 12월 14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인터뷰를 가진 해리슨은 지울리아노에 대해 "네, 그를 잠깐 만났습니다. 정확히 몇 년도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네요. '레그스' 래리 스미스의 집에서 30분 정도 만났던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4]

지울리아노의 존 레논 전기인 《미국의 레논: 1971–1980》(쿠퍼 스퀘어 프레스, 2000)은 논란을 일으켰다. 지울리아노는 이 책이 고 해리 닐슨이 자신에게 건넨 레논의 일기 초고와 레논이 녹음한 오디오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토대로 했다고 말했다. 닐슨과 가까운 여러 사람들은 그가 그 초고를 소지한 적이 없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일기 및 테이프를 잘 아는 다른 사람들은 지울리아노의 해석의 정확성에 이의를 제기했다.[5] ''워싱턴 포스트''에 기고한 데이비드 시걸은 지울리아노의 글을 "매우 비판적이고 섬뜩할 정도로 상세한 설명"이라고 묘사했으며, 닐슨이 자신에게 일기를 건넸다는 주장을 입증해달라는 요청에 대한 지울리아노의 답변을 인용했다. "제가 윤리적인 방식으로 일을 처리할 것은 분명합니다." 1980년대 초 절도 소송에서 일기를 읽었던 전 뉴욕 지방 검사보 스티븐 구스타인은 그것들이 "일상 생활의 사소한 세부 사항과 결합된 많은 철학적 사색"을 담고 있었다고 회상했다.[6] ''라이브러리 저널''의 콜린 칼슨은 《미국의 레논》에 대해 "팬이 아닌 사람들은 레논을 바람둥이, 마약 중독자, 편집증 환자의 이미지로 묘사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낄 것입니다. 이 종종 선정적인 설명은 관음증 환자와 해체적인 경향이 있는 팬들을 위한 것이며 이 주제에 관해 이용 가능한 최고의, 가장 상세한 책 중 하나입니다."라고 말했다.[7] 덜 감명받은 ''퍼블리셔스 위클리''의 평론가는 "지울리아노의 이중 화법만으로는 이 작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레논의 성적인 만남에 대한 그의 끝없는 관음증적 묘사가 그렇다"고 언급했다.[8]

  • 《다크 호스: 조지 해리슨의 사생활》(1990)
  • 《블랙버드: 폴 매카트니의 삶과 시대》(1991)
  • 《잃어버린 비틀즈 인터뷰》(1994)
  • 《페인트 잇 블랙: 브라이언 존스의 살인》(1994)
  • 《블루 아이즈 뒤에: 피트 타운센드의 삶》(1996)[9]
  • 《미국에서의 레논: 1971–1980, 잃어버린 레논 일기에 부분적으로 기반함》(2000)

2. 3. 논란

지울리아노는 대중음악, 특히 비틀즈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1999년까지 《어둠의 말: 조지 해리슨의 사생활》(1990)과 《검은 새: 폴 매카트니의 삶과 시대》(1991)를 포함한 20권의 책을 저술했다.[2]

1992년 9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지울리아노는 비틀즈를 "실제 생활에서 진짜 개자식들"이라고 칭하고 폴 매카트니를 "그저 피상적이고 공허하다"고 폄하하여 조지 해리슨의 부인 올리비아 해리슨의 심기를 건드렸다.[2] 그 해 10월 5일, ''가디언''은 올리비아 해리슨의 편지를 게재했는데, 그녀는 "굶주린 개처럼 그[지울리아노]는 자신의 영웅들을 뒤져 뼈와 힘줄 조각을 줍는다"고 썼다.[3] 그녀는 또한 《어둠의 말》 표지에 해리슨의 인용구를 사용한 지울리아노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며 "제 남편은 '저 사람은 내가 내 삶에 대해 나보다 더 많이 안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지울리아노는 그 농담을 놓치고 자신의 책을 홍보하는 데 사용했습니다."라고 말했다. 1992년 12월 14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인터뷰를 가진 해리슨은 지울리아노에 대해 "네, 그를 잠깐 만났습니다. 정확히 몇 년도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네요. '레그스' 래리 스미스의 집에서 30분 정도 만났던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4]

지울리아노의 존 레논 전기인 《미국의 레논: 1971–1980》(쿠퍼 스퀘어 프레스, 2000)은 논란을 일으켰다. 지울리아노는 이 책이 고 해리 닐슨이 자신에게 건넨 레논의 일기 초고와 레논이 녹음한 오디오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토대로 했다고 말했다. 닐슨과 가까운 여러 사람들은 그가 그 초고를 소지한 적이 없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일기 및 테이프를 잘 아는 다른 사람들은 지울리아노의 해석의 정확성에 이의를 제기했다.[5] ''워싱턴 포스트''에 기고한 데이비드 시걸은 지울리아노의 글을 "매우 비판적이고 섬뜩할 정도로 상세한 설명"이라고 묘사했으며, 닐슨이 자신에게 일기를 건넸다는 주장을 입증해달라는 요청에 대한 지울리아노의 답변을 인용했다. "제가 윤리적인 방식으로 일을 처리할 것은 분명합니다." 1980년대 초 절도 소송에서 일기를 읽었던 전 뉴욕 지방 검사보 스티븐 구스타인은 그것들이 "일상 생활의 사소한 세부 사항과 결합된 많은 철학적 사색"을 담고 있었다고 회상했다.[6] ''라이브러리 저널''의 콜린 칼슨은 《미국의 레논》에 대해 "팬이 아닌 사람들은 레논을 바람둥이, 마약 중독자, 편집증 환자의 이미지로 묘사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낄 것입니다. 이 종종 선정적인 설명은 관음증 환자와 해체적인 경향이 있는 팬들을 위한 것이며 이 주제에 관해 이용 가능한 최고의, 가장 상세한 책 중 하나입니다."라고 말했다.[7] 덜 감명받은 ''퍼블리셔스 위클리''의 평론가는 "지울리아노의 이중 화법만으로는 이 작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레논의 성적인 만남에 대한 그의 끝없는 관음증적 묘사가 그렇다"고 언급했다.[8]

3. 배우 활동

제프리 지울리아노는 영화 ''스콜피온 킹 3''와 ''바이킹덤''에 출연했으며, 2021년에는 오징어 게임에서 "VIP #4" 역할을 맡았다.

3. 1. 주요 출연작

3. 2. 기타 출연작



2005년 영화 ''Stoned: The Wild & Wicked World of Brian Jones''는 지울리아노의 책 ''Paint It Black: The Murder of Brian Jones''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Tell Me What You See - Biography - A Brief Life Sketch of Geoffrey Giuliano/Jagannatha Dasa https://web.archive.[...] 2011-05-13
[2] 서적 The Beatles Diary Volume 2: After the Break-Up 1970–2001 Omnibus Press
[3] 뉴스 'Mrs George' Shares Husband's Interests https://www.theguard[...] 1999-12-31
[4] 서적 Glass Onion: The Beatles in Their Own Words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5] 뉴스 Lennon, Imagined http://213.87.37.135[...] 2000-05-28
[6] 뉴스 Lennon's Disputed Days in the Life; Yoko Ono Spokesman Rejects as 'Fiction' Bio Allegedly Based on Ex-Beatle's Lost Diaries https://www.proquest[...] 2000-04-18
[7] 간행물 Book Review, Lennon in America Library Journal 2000-05-01
[8] 간행물 Book Review, Lennon in America Publishers Weekly 2000-05-01
[9] 웹사이트 Audio Book Review: GEORGE HARRISON: A Tribute by Geoffrey Giuliano, Author, Geoffrey Giuliano, Narrated by, Various, Read by , read by the author. Random $18 (0p) ISBN 978-0-553-52589-2 http://www.publisher[...]
[10] 웹사이트 Stoned (movie review) http://www.salon.com[...] 2006-03-24
[11] 웹사이트 Stephen Wooley on Stoned http://www.channel4.[...]
[12] 웹사이트 Tell Me What You See - Biography - A Brief Life Sketch of Geoffrey Giuliano/Jagannatha Dasa https://web.archive.[...] 2011-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