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는 기원전 221년 진나라의 령남 정복으로 시작되어, 이후 남월의 건국과 한나라의 지배로 이어졌다. 한나라는 남월을 정복한 후 교지를 설치하고 아홉 개의 군으로 나누어 통치했으며, 중국화 정책을 통해 베트남 문화를 변화시키려 했다. 그러나 쯩 자매의 봉기와 같은 저항도 있었으며, 베트남 역사학계에서는 이 시기를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고대사 - 남월
남월은 기원전 203년부터 기원전 111년까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존재했던 조타가 건국한 고대 국가로, 한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한무제의 공격으로 멸망하고 한족과 월족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 베트남의 고대사 - 박선 문화
박선 문화는 오늘날 베트남 북부 지역의 신석기 시대 문화로, 동굴이나 암반에서 거주하며 사냥, 채집, 초기 농업을 했고, 정교한 석기와 도자기, 다양한 재료의 장신구를 사용했다. - 베트남의 역사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제1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 |
---|---|
개요 | |
공식 명칭 | 제1차 북속 시대 |
원어 명칭 | Bắc thuộc lần thứ nhất (베트남어) |
원어 명칭 (한자) | 北屬吝次一 |
지위 | 한나라의 군 |
존속 기간 | 기원전 111년 – 40년 |
역사 | |
사건 시작 | 교지 성 설치 |
사건 종료 | 쯩 자매의 반란 |
이전 | 한-남비엣 전쟁 |
이후 | 제2차 북속 시대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수도 | 롱비엔 |
주요 지도자 | 한 무제 (초대) 한 소제 후한 광무제 (마지막) |
언어 및 화폐 | |
통용 언어 | 베트남어 중국어 |
화폐 | 엽전 |
지도 | |
![]() | |
현재 | |
현재 국가 | 베트남 중국 |
2. 역사적 배경
한나라가 베트남 북부 지역을 직접 지배하기 이전, 이 지역은 복잡한 역사를 거쳤다. 고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는 다양한 부족들이 거주했으며, 중국 측에서는 이들을 통칭하여 '백월(百越)'이라 불렀다. 이들은 단일한 민족 집단이 아니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가진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원전 221년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은 남쪽으로 영토 확장을 시도하여 백월 지역에 대한 군사 원정을 단행했다.[1] 진나라는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2][3] 기원전 214년경 현재의 광동성, 광서장족자치구 및 베트남 북부 일부를 정복하고 진나라 영토로 편입했다. 그러나 진나라의 지배는 오래가지 못했고, 진나라가 멸망하면서 이 지역은 다시 자치적인 상태로 돌아갔다.
진나라 멸망 후의 혼란기를 틈타, 진나라의 관리였던 조타(趙佗)는 기원전 204년경 남쪽 지역에서 독립하여 남월(南越) 왕국을 세웠다. 남월은 현재의 광저우(廣州) 지역인 판여(番禺)를 수도로 삼았으며, 그 영토는 현재의 베트남 북부 지역까지 포함했다. 기원전 179년, 조타(趙佗)는 베트남 북부에 있던 오락(甌雒) 왕국을 정복하여 남월의 영토를 더욱 확장했다. 비록 조타는 북방 한족 출신이었으나, 현지 백월 문화에 동화되려는 노력을 보였으며, 이후 한나라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고자 했다. 남월은 한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기도 했지만, 대체로 자치적인 왕국으로 존속했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베트남 북부 지역은 한나라에 의해 정복되기 전까지 남월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2. 1. 백월(百越) 정체성
한나라 역사가들은 월족의 개인적,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정확하고 상세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알려진 정보의 대부분은 무역과 식민화를 통해 접촉하게 된 한나라 황실의 정치적, 정부적 역할과 관련이 있다.'월'이라고 불린 사람들이 스스로 그 정체성 표지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낮다. 이는 외부 세력, 즉 중국 측에서 그들과 그들의 문화를 지칭하기 위해 부여한 용어였다. 하나의 통일된 '월' 문화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 용어는 오늘날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걸쳐 살았던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여러 집단을 포괄하는 개념이었다. 중국 중부와 북부 지역 사람들은 자신들의 남쪽에 살던 여러 원주민 부족 문화를 통칭하여 '백월'이라고 불렀다.
2. 2. 진나라의 월족 정벌
기원전 223년 진시황이 초나라를 정복한 후, 진나라는 기원전 221년 남중국과 베트남 북부 지역을 정복하기 위해 령남의 백월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1] 진시황은 5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군대를 남쪽으로 보내 월족의 영토를 정복하고 진나라의 영토로 편입하도록 명령했다.[2][3] 기원전 214년 무렵에는 광동성, 광서장족자치구, 그리고 베트남 북부 일부 지역이 정복되어 진나라에 편입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의 지배는 오래가지 못했고, 진나라가 멸망하면서 월족들은 다시 독립을 되찾았다.2. 3. 남월(南越)의 건국
진나라가 멸망한 후 혼란한 시기를 틈타, 진나라 장수였던 조타(趙佗)는 기원전 204년경 남쪽 지역에서 자신의 왕국인 남월(南越)을 세웠다. 남월의 수도는 판여(番禺, 현재의 광저우(廣州))였으며, 그 영토는 현재의 베트남 북부에서 후난(湖南) 지역에 이르렀다.기원전 179년, 조타(趙佗)는 베트남 북부의 오락(甌雒)을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조타는 북방 한족 출신이었지만, 월(越) 문화에 적극적으로 동화되어 스스로를 남월의 군주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월족 여성과 혼인하고 현지 주민들을 군대에 받아들였으며, 이후 한나라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막아내며 왕국의 독립성을 지키려 노력했다. 이러한 행보 때문에 일부 역사가는 조타를 단순한 외국 정복자가 아니라 한나라의 팽창에 맞서 베트남 지역을 방어한 인물로 평가하기도 한다. 베트남 역사학계에서는 조(Trieu) 왕조의 정통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조타는 홍하 삼각주 지역으로 영토를 더욱 확장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조타는 월족과의 융화를 꾀했지만, 한족 문화의 영향력 역시 남월 사회에 점차 스며들었다. 조타 자신이 한나라 문화를 남월에 도입하면서 음악, 수공예품 등에서 한나라 양식과 월족 양식이 혼합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특히 조무(趙昧)(조타의 손자이자 남월의 2대 군주)의 무덤에서 발굴된 유물들은 이러한 문화 혼합을 잘 보여주며, 동시에 한나라의 권위를 인정하는 모습도 나타난다. 조타 외에도 남쪽으로 이주한 한나라 관리들과 지배층 엘리트들이 월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남월은 한나라 황제의 직접적인 통제에서는 벗어나 자치적으로 운영되었지만, 조공 관계를 통해 한나라의 종주권 아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두 세력 간의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졌다. 남월의 지배층은 남쪽으로 이주한 북방 한족과 기존 월족 엘리트들이 섞이면서 형성되었고, 이들은 한족과 월족 문화의 융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남월의 사회 엘리트들은 문화적으로 혼합되었고, 훗날 한나라가 남월을 정복할 때 이들은 두 문화를 이해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한족과 월족 사이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하기도 했다.
월족 문화와 중국 문화가 긴밀하게 섞이게 된 배경에는 두 지역 사이에 명확한 지리적 경계가 없었다는 점도 작용했다. 중국 북방보다 온화한 기후와 농사에 유리한 지형을 찾아 중국 농민들이 점차 남쪽으로 이동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월족과 접촉하고 문화 교류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불분명한 경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 문화의 상호작용을 심화시켰고, 결과적으로 이후 중국 왕조들이 월족 지역을 정복하고 영토를 확장하려는 군사적 움직임의 한 요인이 되기도 했다.
3. 한나라의 남월 정복과 지배
기원전 196년 한 고조가 조타를 남월의 왕으로 인정하며 양국 관계가 시작되었으나, 이후 긴장 관계가 이어졌다. 조타는 한때 황제를 칭하며 한나라와 대립하기도 했으나, 외교적 노력으로 명목상 복속 관계를 유지했다.
기원전 135년 민월의 침공을 계기로 남월은 한나라에 군사적 도움을 요청했고, 이후 한나라의 영향력이 점차 커졌다. 기원전 113년, 남월 내부에서 한나라로의 편입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다. 한족 출신 구씨 왕태후는 한나라 제후국 편입을 추진했으나, 승상 여가를 중심으로 한 반대 세력이 반란을 일으켜 왕태후와 조흥 왕을 살해했다.
이 반란은 한 무제에게 남월을 정복할 명분을 주었다. 기원전 112년, 한나라는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남월을 공격했다. 여박덕과 양복이 이끄는 한나라 군대는 기원전 111년 남월의 수도 번우(현재의 광저우)를 함락시켰고, 남월은 멸망하여 한나라에 병합되었다. 이로써 현재의 베트남 북부 지역은 한나라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으며, 이는 제1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시기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한나라의 지배는 현지 민중의 저항에 부딪히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서기 40년에 일어난 쯩 자매의 봉기이다.
3. 1. 한나라의 남월 정복
기원전 196년, 한 고조는 육가를 남월에 사신으로 보내 조타를 남월의 왕으로 공식 인정했다. 그러나 한나라와 남월의 관계는 종종 긴장 상태에 있었다. 조타는 여후가 남월로 금속 제품과 가축 수출을 금지한 것에 불만을 품었다. 기원전 183년, 그는 스스로를 '남월무제'(南越武帝)라 칭하며 한나라 황제와 동등한 지위를 주장했다. 2년 뒤인 기원전 181년에는 한나라의 속국인 창사국을 공격하기도 했다. 기원전 180년, 육가가 다시 남월로 파견되어 조타를 설득했고, 조타는 황제 칭호를 버리고 명목상 한나라의 속국으로서 조공을 바치기로 했다.기원전 135년, 남월의 조모 왕(재위: 기원전 137년 ~ 기원전 122년)은 민월의 침공에 맞서기 위해 한나라 조정에 도움을 요청했다. 한나라 조정이 신속하게 군대를 파견하자, 조모는 이에 대한 화답으로 아들 조영기를 장안의 궁궐로 보내 숙위(宿衛)하게 했다.
기원전 113년, 조영기의 뒤를 이어 즉위한 조흥의 어머니이자 한족 출신인 구씨(樛氏) 왕태후는 남월을 한나라의 제후국으로 편입하여 다른 한나라 제후왕들과 동등한 지위를 갖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그녀는 조영기와 혼인한 사이였다. 그러나 남월의 많은 신하들은 이 제안에 반대했는데, 특히 승상 여가가 반대 세력을 이끌었다. 기원전 112년, 반대파는 반란을 일으켜 왕태후와 조흥을 살해하고 여가의 형인 조건덕을 새로운 왕으로 세웠다. 이는 한나라가 대규모 군대를 남월로 파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나라 군대는 해로를 통해 남쪽으로 직접 진격하거나, 사천에서 출발하여 서강을 따라 이동하는 등 여섯 갈래로 나뉘어 남월로 향했다. 기원전 111년, 여박덕 장군과 양복 장군이 이끄는 한나라 군대가 남월의 수도 번우(현재의 광저우)를 함락시켰다. 결국 남월은 한나라에 항복했고, 그 해 말 한나라 제국에 병합되었다.
3. 2. 쯩 자매의 봉기 (정씨 자매의 난)
서기 40년 3월, 쯩짝(徵側, Trưng Trắcvi)과 쯩니(徵貳, Trưng Nhịvi) 자매가 이끄는 락월(雒越, Lạc Việtvi) 민중이 교지(交趾)에서 한(漢)의 지배에 맞서 봉기를 일으켰다. 이 사건은 정씨 자매의 난으로 알려져 있다. 봉기는 홍하 삼각주에서 시작되었으나, 곧 해안을 따라 북쪽과 남쪽의 다른 월(越)족 부족들에게까지 빠르게 확산되었다. 약 65개의 마을과 정착지가 봉기를 지지하며 힘을 보탰다. 봉기의 지도자 쯩짝은 여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시골 지역을 장악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견고하게 방어된 도시들을 함락시키지는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이에 한나라는 서기 42년부터 43년까지 장군 마원(馬援)이 이끈 군대를 파견하여 대대적인 진압 작전을 펼쳤다. 결국 한나라는 이 지역을 다시 점령했고, 저항을 이끌던 쯩 자매는 사로잡혀 참수당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베트남 북부에 대한 중국의 두 번째 지배 시기인 제2차 북속기가 시작되었다.
4. 중국화(Sinicization)
수백 년에 걸친 중국의 베트남 지배 기간 동안, 한나라는 군사력과 한족 이주민 유입 등을 통해 정복지인 남월 지역에 대한 중국화(Sinicization)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베트남 지역의 풍부한 자원과 무역 잠재력을 활용하려는 목적과 함께, 한족 관리들이 토착 귀족의 땅을 몰수하여 이주민에게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도 했다. 한나라의 행정 체계 도입은 베트남 사회에 새로운 영향을 미쳤으며, 베트남은 제국의 일부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간접적인 통치가 이루어졌으나, 점차 세금 인상, 사회 제도 개혁 등을 통해 동화 정책이 강화되었다. 한나라는 "문명화된 사명"을 내세우며 유교 윤리, 중국 문자, 교육, 예술 등 중국 문화를 베트남 사회에 이식하려 시도했다. 이러한 중국화 시도는 일부 베트남인들에게 수용되기도 했지만, 외부 지배에 대한 반감과 독립 유지 열망으로 인해 강한 저항에 부딪히기도 했다. 이는 베트남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지키려는 노력과 함께 중국의 제국주의적 지배에 대한 반발을 보여준다.
4. 1. 중국화 과정
수백 년에 걸친 중국 지배 동안, 새로 정복된 남월(南越)의 중국화(Sinicization)는 한(漢) 제국의 군사력, 정착민 유입, 그리고 한족 난민, 관리, 주둔군, 상인, 학자, 관료, 도망자, 포로들의 유입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졌다. 동시에 중국 관리들은 베트남 지역의 천연자원과 무역 잠재력을 활용하는 데에도 관심을 보였다. 한족 관리들은 베트남 귀족들로부터 정복한 비옥한 땅을 강제로 빼앗아 새로 정착한 한족 이민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한나라의 지배와 행정은 토착 베트남인들에게 새로운 영향을 미쳤으며, 베트남은 한 제국의 한 주(州)로서 제국의 최전방 기지 역할을 했다.한나라는 비옥한 홍강 삼각주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자 했는데, 이곳의 지리적 위치가 남부 및 동남아시아 여러 왕국, 그리고 로마 제국과의 해상 무역에 종사하는 한나라 배들에게 편리한 보급 및 무역 기지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한나라는 청동 및 도자기 향로, 상아, 코뿔소 뿔과 같은 독특한 상품을 생산하는 남월과의 무역에 크게 의존했으며, 이 상품들을 이용하여 광동(嶺南)에서 운남(雲南)을 거쳐 버마와 인도까지 이어지는 해상 무역망에 활용했다.

중국 지배 초기 약 1세기 동안 베트남은 비교적 관대한 간접 통치를 받았고, 토착 정책에는 즉각적인 변화가 없었다. 처음에는 토착 락월(Lac Viet) 사람들이 지방 차원에서 통치했지만, 점차 토착 베트남 지방 관리들이 새로 정착한 한족 관리들로 대체되었다. 한나라 관료들은 일반적으로 토착 월족과의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 했고, 행정 역할을 지방청과 주둔지에 집중하며 무역을 위한 안전한 강 수로를 확보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기원후 1세기가 되자 한나라는 세금을 인상하고, 베트남 사회를 중국식 가부장제에 더 순응하도록 만들기 위해 결혼 및 토지 상속 제도를 개혁하는 등 새로운 영토를 동화시키려는 노력을 강화했다. 토착 로(Luo) 족장들은 지방 행정과 군대를 유지하기 위해 한나라 관리들에게 무거운 공물과 세금을 바쳐야 했다.
중국은 강제 동화 또는 압도적인 정치적 지배를 통해 베트남인을 동화시키려고 강력하게 시도했다. 한나라 정부는 통일되고 응집력 있는 제국을 유지하기 위해 이른바 "문명화 사명"을 내세우며 베트남인을 동화시키려 했다. 한나라 관료들은 관료적 법가 사상과 유교 윤리, 교육, 예술, 문학, 언어를 포함한 중국 문화를 토착 베트남인들에게 강요하려 했다. 정복당한 베트남인들은 중국 문자, 유교, 중국 황제 숭배를 받아들여야 했으며, 이는 베트남 고유의 언어, 문화, 민족성, 국가 정체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낳았다.
일부 베트남인들은 중국 문화를 더 문명화되고 발전된 것으로 여겨 동화될 기회를 환영하기도 했다. 베트남인들은 자신들에게 유익하다고 생각되는 선진 기술 요소들을 받아들였지만, 외부 세력에 의한 지배에 대한 불만, 정치적 자치 유지에 대한 열망, 그리고 베트남의 독립을 회복하려는 의지는 중국의 침략과 정치적 지배, 제국주의에 대한 베트남인들의 저항과 적대감을 분명히 보여준다.
4. 2. 한계와 저항
수백 년간 이어진 중국의 지배 아래, 한나라는 군사력, 한족 정착민과 난민, 관리, 군인, 상인, 학자 등의 유입을 통해 새로 정복한 남월 지역의 중국화(Sinicization)를 추진했다. 한나라 관리들은 베트남 지역의 풍부한 천연자원과 무역 잠재력을 활용하는 데 큰 관심을 보였으며, 베트남 귀족들로부터 비옥한 땅을 강제로 빼앗아 새로 정착한 한족 이주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한나라의 지배와 행정 체계는 토착 베트남인들에게 새로운 영향을 미쳤고, 베트남은 한 제국의 일부로서 최전방 기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특히 한나라는 비옥한 홍하 삼각주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자 했는데, 이곳이 남부 및 동남아시아 여러 왕국, 그리고 로마 제국과의 해상 무역에 있어 중요한 보급 및 무역 기지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한나라는 남월에서 생산되는 청동 및 도자기 향로, 상아, 코뿔소 뿔과 같은 특산품 무역에 크게 의존했으며, 이를 통해 광둥에서 윈난을 거쳐 버마와 인도까지 이어지는 해상 무역망을 활용했다.
지배 초기 약 1세기 동안 한나라는 비교적 관대한 간접 통치를 시행하여 토착 사회 구조에 급격한 변화를 주지 않았다. 초기에는 토착 락월(Lac Viet)인들이 지방 행정을 담당했지만, 점차 한족 관리들로 대체되었다. 한나라 관리들은 대체로 토착 월족과의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며, 행정 업무는 지방 관청과 주둔지에 집중하고 무역을 위한 강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기원후 1세기에 이르러 한나라는 세금을 인상하고, 베트남 사회를 중국 중심의 가부장적 질서에 더 순응하도록 만들기 위해 결혼 및 토지 상속 제도를 개혁하는 등 동화 정책을 강화했다.
토착 지도자들은 지방 행정과 군대를 유지하기 위해 한나라 관리들에게 무거운 공물과 세금을 바쳐야 했다. 중국은 강제적인 동화 정책 또는 압도적인 정치적 지배를 통해 베트남인을 자신들의 체제에 편입시키려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한나라 정부는 제국의 통일성을 유지한다는 명목 아래, 이른바 "문명화된 사명"을 내세워 베트남인들을 동화시키려 했다.
일부 베트남인들은 중국 문화를 더 발전되고 우월한 것으로 여겨 동화될 기회를 환영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베트남인들은 외부 세력의 지배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었으며, 정치적 자치를 유지하고 독립을 되찾으려는 강한 열망을 가지고 있었다. 베트남인들은 자신들에게 유익하다고 판단되는 중국의 선진 기술은 받아들였지만, 중국의 침략, 정치적 지배, 제국주의적 동화 시도에 대해서는 저항과 적대감을 드러냈다. 한나라 관리들은 관료적 법가 사상과 유교 윤리, 교육, 예술, 문학, 언어 등 중국 문화를 토착 베트남인들에게 강요하려 했다. 정복당한 베트남인들은 중국 문자, 유교, 중국 황제 숭배 등을 받아들여야 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베트남 고유의 언어, 문화, 민족성, 국가 정체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낳았다.
5. 역사 해석 논쟁
제1차 중국 지배 시기 베트남 역사 해석을 둘러싸고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특히 베트남 내부에서 주류를 이루는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시각이 주요 논쟁을 형성한다.
베트남의 민족주의 역사관은 이 시기를 외세의 압제에 맞선 끊임없는 저항의 역사로 강조하며, 홍하 평원을 중심으로 한 고유한 베트남 민족 정체성이 오래전부터 존재했다고 주장한다.[4] 이러한 관점은 베트남이 중국의 문화적, 정치적 영향력에 맞서 독자성을 지켜왔다는 서사를 강조한다.
반면, 일부 연구자들은 이러한 민족주의적 해석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다. 이들은 민족주의 사관이 후대의 민족 개념이나 국가 의식을 과거 시대에 시대착오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베트남'이라는 통일된 정체성이나 중국에 대한 일관된 저항 의식을 뒷받침할 역사적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또한, 당시의 복잡한 지역 정세와 다양한 집단의 이해관계를 단순화하여 현대 국가 중심의 서사를 구성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한다.[4]
5. 1. 베트남 민족주의 역사관
베트남 국내 역사학계는 제1차 중국 지배 시기를 "투쟁적이고, 민족주의적이며, 매우 현대적인 비전"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베트남 역사를 바라보는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그 기원은 대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기도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작은 나라가 중국의 문화적 힘을 끊임없이 물리쳤다는 비유는 최근의, 식민지 이후, 20세기 중반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4] 후대의 연구들 역시 과거 시대(한나라-당나라 시대)에 후대의 증거를 바탕으로 베트남 집단 의식을 소급 적용하며 민족주의적 관점을 반복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베트남 역사의 민족주의적 관점은 1980년대 이후 크게 변하지 않고 국가적 정설로 자리 잡았다.이 관점의 핵심 주장은 본질적이고 독특한 베트남 정체성이 홍하 평원에 항상 존재했으며, 이들이 민족적 투쟁을 통해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웠다는 것이다. 즉, 중국 지배하의 베트남 역사를 "외세 지배에 대한 무장 봉기로 특징지어지는 확고한 저항"의 역사로 규정한다. 그러나 처치먼(Churchman)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베트남 민족 서사는 통일된 베트남 민족 의식을 증명하기 위해 시대착오적인 요소들을 사용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예를 들어, 'Việt/Yue'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한나라-당나라 시대에는 중국과 베트남을 구분하는 명확한 이분법적 용어가 없었으며, 주강과 홍하 사이에 거주하는 집단을 하나로 묶어 부르는 용어도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중국 지배하에 있던 현대 베트남 지역의 원주민들은 특정 이름 없이, 당나라 시대에는 '야만인'(야생 오랑캐), 'Li', 또는 안남인(Annan people) 등으로 불렸다.
또한, 민족주의 역사관은 현대 국경에 국한된 좁은 시각으로 역사를 해석하여 베트남의 예외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홍하 평원의 정치적 상황이 북쪽 광저우보다 불안정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해당 지역만의 특수한 상황은 아니었다. 베트남 민족 서사는 모든 지역 반란이나 지역 세력의 자치 움직임을 국가 독립을 추구하려는 동기로 소급하여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10세기에 나타난 초기 자치 노력 역시, 남조 제국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막아주었던 다른 세력들의 활동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온건한 수준이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5. 2. 비판적 관점
베트남 국내 역사학계는 이 시기를 "투쟁적이고, 민족주의적이며, 매우 현대적인 비전"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베트남 역사의 민족주의적 관점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관점은 대월 시대에서 기원을 찾기도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작은 나라가 중국의 문화적 힘을 끊임없이 물리쳤다는 비유는 최근의, 식민지 이후, 20세기 중반의 산물"이라고 주장하며 그 형성 시기를 다르게 본다.[4] 후대의 연구들 역시 과거 시대(한나라-당나라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던 베트남 민족 의식을 소급 적용하며 민족주의적 관점을 반복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관점은 1980년대 이후 베트남에서 사실상 변하지 않고 국가적인 정설로 자리 잡았다.민족주의적 관점은 홍하 평원에 항상 존재해 온 본질적인 베트남 "문화적 중심"이 있었고, 이들이 민족적 투쟁을 통해 외세의 침략에 저항했다는 주장을 펼친다. 즉, 중국 지배하의 베트남 역사를 "외세 지배에 대한 무장 봉기로 특징지어지는 확고한 저항"의 역사로 규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베트남 민족 서사는 통일된 베트남 민족 의식을 증명하기 위해 시대착오적인 요소들을 도입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예를 들어, 'Việt/Yue'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것처럼 사용된다. 한나라-당나라 시대에는 중국과 베트남을 명확히 구분하는 용어가 없었으며, 주강과 홍하 사이에 거주하는 집단을 하나로 묶어 부르는 용어도 없었다. 당시 중국 지배하에 있던 현재의 베트남 지역 원주민들은 특정한 이름 없이 당나라 시대에는 '야만인'(야생 오랑캐), 'Li' 또는 안남인(Annan people) 등으로 불렸다.
또한, 민족주의적 역사 서술은 현대 베트남의 국경에 국한된 좁은 시각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베트남 역사의 예외성을 강조하는 결론으로 이어지기 쉽다. 홍하 평원의 정치적 상황이 북쪽 광저우보다 불안정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해당 지역만의 특수한 상황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베트남 민족 서사는 모든 지역 반란, 지역 세력의 등장, 그리고 이들의 자치 노력을 국가 독립을 추구하려는 동기로 소급하여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10세기에 나타난 초기 자치 노력 역시, 남조 제국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막아주었던 다른 세력들의 활동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온건한 수준이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6. 행정
기원전 111년, 한나라는 남월을 병합하고 이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교지(Giao Chỉ)를 설치하였다. 옛 남월 왕국 영토는 9개의 군으로 나뉘어 관리되었으며, 이들 군은 현대 하노이 근처의 롱비엔에서 총괄적으로 통치를 받았다.[5] 각 군에는 한나라에서 파견된 관리가 있었으나, 기존의 토착 하급 지배자인 락후(Lac Hau)와 락투엉(Lac Tuong) 제도는 유지되었다.
6. 1. 행정 구역
기원전 111년, 한나라는 조타의 후계자들을 물리치고 남월과 옛 오월 지역을 병합하여 한 제국의 영토로 편입시켰다. 병합 이후 이 지역은 교지(Giao Chỉ)로 불렸으며, 옛 남월 왕국은 아래의 아홉 개 군으로 나뉘었다.[5]군 이름 (한자) | 베트남어 명칭 | 위치 |
---|---|---|
남해 (南海) | Nam Hải | 링난(嶺南), 현재 중부 광둥성 |
합포 (合浦) | Hợp Phố | 링난(嶺南), 현재 광시성 남부 해안 |
창오 (蒼梧) | Thương Ngô | 링난(嶺南), 현재 광시성 동부 |
욱림 (郁林/鬱林) | Uất Lâm | 링난(嶺南), 현재 광시성 |
주야 (珠崖) | Châu Nhai | 하이난 |
담이 (儋耳) | Đạm Nhĩ | 하이난 |
교지 (交趾) | Giao Chỉ | 베트남 북부와 광시성 남부 일부 |
구진 (九真) | Cửu Chân | 베트남 중부 |
일남 (日南) | Nhật Nam | 베트남 중부 |
이 아홉 개의 군은 모두 현대 하노이 근처의 롱비엔에서 통치를 받았다. 각 군은 한나라에서 파견된 관리가 다스렸으나, 기존의 토착 하급 지배자인 락후(Lac Hau)와 락투엉(Lac Tuong) 제도는 유지되었다.
6. 2. 통치 방식
기원전 111년, 한나라는 남월의 조타 계승자들을 물리치고 남월과 옛 오월 지역을 제국에 병합했다. 병합 이후 이 지역은 교지(交趾)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옛 왕국의 영토는 아래의 아홉 개 군으로 나뉘었다. 이 중 마지막 세 군(교지, 구진, 일남)이 현대 베트남 역사서에서 주로 언급된다.[5]군 이름 (한자) | 베트남어 발음 | 위치 (현재 지명 기준) |
---|---|---|
남해(南海) | Nam Hảivie | 링난(嶺南), 중부 광둥성 |
합포(合浦) | Hợp Phốvie | 링난(嶺南), 광시 남부 해안 |
창오(蒼梧) | Thương Ngôvie | 링난(嶺南), 광시 동부 |
욱림(郁林/鬱林) | Uất Lâmvie | 링난(嶺南), 광시 |
주야(珠崖) | Châu Nhaivie | 하이난 |
담이(儋耳) | Đạm Nhĩvie | 하이난 |
교지(交趾) | Giao Chỉvie | 베트남 북부와 광시 남부 일부 |
구진(九真) | Cửu Chânvie | 베트남 중부 |
일남(日南) | Nhật Namvie | 베트남 중부 |
이 아홉 개의 군은 모두 현대 하노이 근처의 롱비엔에서 총괄적으로 통치되었다. 각 군에는 중국에서 파견된 관리(태수)가 배치되어 다스렸으나, 기존의 토착 지배 세력이었던 락후(Lạc hầuvie)와 락투엉(Lạc tướngvie) 제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는 중앙의 직접 통치를 강화하면서도 현지 세력을 활용하여 통치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7. 인구
서기 2년 당시 오늘날 베트남 북부의 인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8. 통치자
한나라가 설치한 군(郡)을 다스린 통치자는 태수(太守)였으며, 이들은 감찰관인 자사(刺史)의 감독 아래 있었다. 기록에 따르면 최초의 태수들은 과거 남월의 지휘관 출신들이었다.[1] 알려진 자사와 태수는 다음과 같다.
이름 (한자) | 시기 / 임명자 | 직책 | 주요 내용 |
---|---|---|---|
석대 (石戴) | 기원전 111년 ~ ? | 태수 | 기록상 초기 태수 중 한 명[1] |
주장 (周章) | ? | ? | 한조제가 임명[1] |
익거상 (益居詷)[2] | ? ~ 기원전 54년 | ? | [1] |
당양 (鄧讓) | 왕망의 신나라 시기 | ? | 왕망의 찬탈 기간 동안 독자적으로 통치함[1] |
적광 (錫光) | ? | 교지 태수 | 한평제가 임명. 교지 지역에서 한나라의 통치를 공고히 함[1] |
임연 (壬延) | ? | 구진 태수 | 한광무제가 임명[1] |
소정 (蘇定) | 30년 ~ 40년 | 교지 태수[3] | 잔혹한 통치로 인해 정자매의 난이 일어나는 원인이 됨[1] |
참조
[1]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221 B.C. - A.D. 907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서적
Becoming Chinese American: A History of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AltaMira Press
[3]
서적
A History of Vietnam, 211 BC to 2000 AD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Anti-Chinese Sentiment in Contemporary Vietnam: Constructing Nationalism, New Democracy, and the Use of “the Other”
https://digitalcommo[...]
[5]
웹사이트
Giáo án môn Lịch sử lớp 6 - Chương III: Thời kì Bắc thuộc và đấu tranh giành độc lập - Trường THCS Phả Lại
http://thuviengiao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