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함대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함대 (미국)는 1947년 1월 1일 제5함대에서 제1임무함대로 개명된 후, 1950년 2월 11일 제1함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베트남 전쟁 이후인 1974년 2월 1일에는 태평양 대잠수함전부대를 병합하여 제3함대로 개명되었으며, 2020년에는 인도양을 담당하는 함대로 재창설하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제1함대는 여러 차례 개편과 재편성을 거쳤으며, 1945년 5월에는 체스터 니미츠 제독이 사령관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함대 - 제3함대 (미국)
제3함대는 미국 해군 함대 중 하나로, 서태평양 지역 작전 수행 및 한반도 유사시 제7함대 지원 역할을 하며, 하와이주 포드 섬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항공모함 타격단과 임무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미국의 함대 - 제5함대 (미국)
제5함대는 미국 해군의 서수 함대 중 하나로, 2차 세계 대전 중 창설 및 해체 후 1995년 재창설되어 현재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해상 이익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본부는 바레인 마나마에 위치하고 항공모함 타격단, 상륙 준비단 등으로 구성되어 전략적 해역을 감시한다. - 1973년 폐지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1973년 폐지 - 부천군
부천군은 1914년 여러 지역을 합쳐 경기도에 신설되었으나, 잦은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 서울, 부천, 인천 등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었고, 1973년 소사읍의 부천시 승격 후 나머지 지역은 인근 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 1947년 설립 - 인도 자치령
인도 자치령은 1947년 영국령 인도 분할로 수립되어 자와할랄 네루 총리와 조지 6세 국왕 체제 하에 존속하다 1950년 인도 공화국으로 전환되는 동안 종교 갈등, 난민 문제, 번왕국 통합, 카슈미르 전쟁, 헌법 제정 등 격동적인 시기를 겪었다. - 1947년 설립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제1함대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창설일 | 1947년 1월 1일 |
해체일 | 1973년 2월 1일 |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해군 |
상위 부대 | 미국 태평양 함대 |
역할 | 함대 |
닉네임 | 1F |
지휘부 | |
주요 지휘관 | 역대 사령관들은 다음 목록을 참고: 주요 지휘관 |
주요 참전 | |
전투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함선 | |
목록 | USS 솔트레이크시티 (CA-25) USS 솔즈베리 사운드 (AV-13) USS 커티스 (AV-4) USS 헬레나 (CA-75) USS 프로비던스 (CL-82) USS 시카고 (CA-136) |
역사 | |
창설 | 1947년 1월 1일 |
해체 | 1973년 2월 1일 |
배경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해군의 재편 과정에서 창설됨. |
역할 |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해군력 유지 및 억제. 유사시 신속한 전력 투사. |
특징 | 냉전 시대 소련의 태평양 함대에 대한 견제 역할 수행.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분쟁에 참여. |
해체 이유 | 미국 해군의 전략 변화 및 예산 감축으로 인해 해체됨. |
주요 지휘관 | |
역대 사령관 | 해당 정보 없음 |
논란 | |
제1함대 재창설 논의 | 2020년 11월, 미국 해군성 장관이 인도양-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 제1함대 재창설을 검토한다고 발표함. 위치는 인도양 근처가 될 것으로 예상됨. 재창설에 대한 찬반 논란이 존재함. |
2. 역사
1947년 1월 1일, 제5함대가 제1임무함대로 개명되었다. 1950년 2월 11일, 명칭에서 "임무"가 빠지고 제1함대로 간략해졌다.[9]
1948년 5월, USS 솔트레이크 시티(CA-25)는 비키니 섬 핵실험의 일환인 크로스로드 작전을 위한 수상시험용 표적함 중 하나로 지정되어 비키니 환초 근처 해상에서 에이블 시험체(Test Able|테스트 에이블영어)에 의해 심각한 피해를 받고 침몰하였다.
베트남 전쟁이 끝남과 함께 미국군 전체가 재편성되었다. 1974년 2월 1일, 제1함대는 태평양 대잠수함전부대 (ASW Forces Pacific|ASW 포스 퍼시픽영어)를 병합하고, 제3함대로 개명되었다.[10]
2020년 11월 17일, 해군장관 케네스 브라이스와이트는 인도해를 담당할 함대로 제1함대를 계획하였다고 공표하였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7년 1월 1일, 제5함대가 제1임무함대로 개명되었다. 1950년 2월 11일, 명칭에서 "임무"가 빠지고 제1함대로 간략해졌다.[9]1948년 5월, USS 솔트레이크 시티(CA-25)는 비키니 섬 핵실험의 일환인 크로스로드 작전을 위한 수상시험용 표적함 중 하나로 지정되어 비키니 환초 근처 해상에서 에이블 시험체(Test Able|테스트 에이블영어)에 의해 심각한 피해를 받고 침몰하였다.
베트남 전쟁이 끝남과 함께 미국군 전체가 재편성되었다. 1974년 2월 1일, 제1함대는 태평양 대잠수함전부대 (ASW Forces Pacific|ASW 포스 퍼시픽영어)를 병합하고, 제3함대로 개명되었다.[10]
2020년 11월 17일, 해군장관 케네스 브라이스와이트는 인도해를 담당할 함대로 제1함대를 계획하였다고 공표하였다.
2. 2. 베트남 전쟁 이후
베트남 전쟁이 끝난 후, 미국군 전체가 재편성되었다. 1974년 2월 1일, 제1함대는 태평양 대잠수함전부대 (ASW Forces Pacific영어)를 병합하고, 제3함대로 이름이 바뀌었다.[10]2. 3. 재창설 논의
2020년 11월 17일, 케네스 브레이스웨이트 해군 장관은 해군 관련 단체의 행사에서 중국의 해양 진출 확대에 대응하여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해역을 관할하는 제1함대 창설 구상을 밝혔다. 이듬해인 2021년 12월 2일 상원 공청회에서 제1함대 편성 계획을 공식적으로 언급했다.[1]3. 구조 (1945년 5월 1일 기준)
1945년 5월 1일 기준, 제1함대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제1함대 사령관: 함대 제독 체스터 니미츠
- 제1전함전대 사령관: 부제독 제시 B. 올덴도프
- 제2전함전대 사령관: 부제독 윌리스 A. 리 주니어
- 순양함 사령관 (태평양 함대): 소장 월든 L. 에인스워스
- 태평양 함대 항공대 사령관: 부제독 조지 D. 머레이
- 태평양 함대 구축함대 사령관: 소장 월든 L. 에인스워스
- 태평양 함대 잠수함대 사령관: 부제독 찰스 A. 록우드
- 태평양 함대 상륙전대 사령관: 부제독 리치먼드 K. 터너
- 태평양 함대 어뢰정전대 사령관: 대령 리차드 W. 베이츠
- 태평양 함대 기뢰전대 사령관: 소장 알렉산더 샤프 주니어
- 태평양 함대 지원전대 사령관: 부제독 윌리엄 W. 스미스
- 태평양 함대 작전 훈련 사령관: 소장 프란시스 C. 데네브링크
- 남태평양전대 및 남태평양 지역 사령관: 부제독 윌리엄 L. 칼훈
- 참모장: R. P. 클래스 준장
- 남태평양전대 지원전대 사령관: 소장 폴 헨드렌
- 참모장: F. 클로즈 대령
위에 언급된 10개 전대 및 사령관은 당시 활동 중이던 미국 해군 유형 사령부의 태평양 함대 소속이었다.
3. 1. 태스크 포스 (1945년 5월)
- TF-11, 남태평양 지역대/남태평양 부대 (South Pacific Force and South Pacific Area영어)
- 남태평양 부대 근무전대 (Service Squadron, South Pacific Force영어)
- TF-13, 태평양 함대 상륙부대(Amphibious Forces, Pacific Fleet영어)
- TF-14, 태평양 운용훈련사령부 (Fleet Operational Training Command, Pacific영어)
- TF-15
- 태평양 함대, 순양함부대 (Cruisers, Pacific Fleet영어)
- 태평양 함대 구축함부대(Destroyers, Pacific Fleet영어)
- TF-16, 태평양 근무부대(Service Force, Pacific Fleet영어)
- TF-17, 태평양 잠수함부대(Submarine Force, Pacific Fleet영어)
- TF-18, 태평양 함대, 기뢰정부대 (Minecraft, Pacific Fleet영어)
- TF-19, 태평양 해군 항공대(Air Force, Pacific Fleet영어)
- 제1함대 사령관, 함대 제독 체스터 니미츠
- 제1전함전대 사령관 부제독 제시 B. 올덴도프
- 제2전함전대 사령관 부제독 윌리스 A. 리 주니어
- 순양함 사령관, 태평양 함대 소장 월든 L. 에인스워스
- 태평양 함대 항공대 사령관 부제독 조지 D. 머레이
- 태평양 함대 구축함대 사령관 소장 월든 L. 에인스워스
- 태평양 함대 잠수함대 사령관 부제독 찰스 A. 록우드
- 태평양 함대 상륙전대 사령관 부제독 리치먼드 K. 터너
- 태평양 함대 어뢰정전대 사령관 대령 리차드 W. 베이츠
- 태평양 함대 기뢰전대 사령관 소장 알렉산더 샤프 주니어
- 태평양 함대 지원전대 사령관 부제독 윌리엄 W. 스미스
- 태평양 함대 작전 훈련 사령관 소장 프란시스 C. 데네브링크
- 남태평양전대 및 남태평양 지역 사령관 부제독 윌리엄 L. 칼훈
- 참모장 R. P. 클래스 준장
- 남태평양전대 지원전대 사령관 소장 폴 헨드렌
- 참모장 F. 클로즈 대령
상기 10개 전대 및 사령관은 당시 활동 중이던 미국 해군 유형 사령부의 태평양 함대 소속이다.
3. 2. 부대 (1945년 5월)
부대 | 사령관 |
---|---|
제1전함전대 | 부제독 제시 B. 올덴도프 |
제2전함전대 | 부제독 윌리스 A. 리 주니어 |
태평양 함대 전동어뢰정전대 | 대령 리차드 W. 베이츠 |
태평양 함대 순양함 사령관 | 소장 월든 L. 에인스워스 |
태평양 함대 항공대 | 부제독 조지 D. 머레이 |
태평양 함대 구축함대 | 소장 월든 L. 에인스워스 |
태평양 함대 잠수함대 | 부제독 찰스 A. 록우드 |
태평양 함대 상륙전대 | 부제독 리치먼드 K. 터너 |
태평양 함대 기뢰전대 | 소장 알렉산더 샤프 주니어 |
태평양 함대 지원전대 | 부제독 윌리엄 W. 스미스 |
태평양 함대 작전 훈련 사령관 | 소장 프란시스 C. 데네브링크 |
남태평양전대 및 남태평양 지역 | 부제독 윌리엄 L. 칼훈 |
남태평양전대 지원전대 | 소장 폴 헨드렌 |
4. 역대 지휘관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 제독

(존 H. 타워스) 제독

(프레데릭 C. 셔먼) 제독

(알프레드 E. 몽고메리) 제독

(조지 D. 머레이) 제독
(로렌스 T. 듀보스) 중장

(제럴드 F. 보건) 중장

(토머스 L. 스프라그) 중장

(캘빈 T. 더긴) 중장
(해럴드 M. 마틴) 중장

(아서 D. 스트루블) 중장

(조지프 J. 클라크) 중장
(인골프 N. 킬란드) 중장

(랄프 A. 오프스티) 중장

(해럴드 M. 마틴) 중장
(윌리엄 K. 필립스) 중장
(허버트 G. 홉우드) 중장

(로버트 L. 데니슨) 중장
(루스벤 F. 리비) 중장

(U. S. 그랜트 샤프 Jr.) 중장

(찰스 L. 멜슨) 중장
(프랭크 비덴) 중장
(로버트 T. 키스) 중장

(폴 D. 스트루프) 중장

(에프라임 P. 홈스) 중장

(로슨 P. 라메지) 중장

(버나드 F. 로더) 중장

(아이작 C. 키드 Jr.) 중장

(레이먼드 E. 피트) 중장
(넬스 B. 존슨) 중장

(제임스 F. 캘버트) 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