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64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64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보병 사단으로, 1939년 11월에 창설되었다. 프랑스 침공과 그리스 침공에 참여했으며, 1942년 크레타 섬으로 이동하여 크레타 요새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이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어 제164경 아프리카 사단으로 변경되었고, 엘 알라메인 전투와 튀니지 전역에서 활약하다가 1943년 튀니지에서 연합군에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352보병사단
    제352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1943년 11월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오마하 해변을 방어하다 큰 피해를 입고 해체된 후, 1944년 9월 제352국민척탄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5년 4월 다름슈타트에서 전멸하며 해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은 1934년 창설되어 폴란드, 서유럽, 동부 전선에 참전했으며, 부다페스트 전투에서 궤멸된 후 재편성되어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
  • 1939년 설립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39년 설립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164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64 보병사단 로고
사단 휘장
창설일1939년 11월
해체일1943년 5월
국가나치 독일
군대육군
병과보병
역할사막전
규모사단
별칭경 아프리카 사단 (Leichte Afrika Division)
지휘관
1940년 1월제4군관구
편성
1940년 1월제382 보병 연대
제433 보병 연대
제440 보병 연대
제220 포병 연대
제220 전차 구축 대대
제220 정찰 대대
제220 통신 대대
제220 공병 대대

2. 편성

1942년 크레타 요새 사단으로 재편성된 제164보병사단은 3개의 보병 연대로 구성되었다. 이후 북아프리카 전역에 참전하면서 제164경 아프리카 사단으로 변경되었고, 각 연대는 2개의 대대로 축소되었다.

3. 작전 경과

1939년 11월 27일, 제164보병사단은 ''오버스트''|group=Note}} 콘라트 하세의 지휘 하에 창설되었다. 1940년 1월까지 드레스덴 제4군관구에 주둔했으며, 3개의 보병 연대를 포함했다. 하세는 1940년 1월 1일에 ''제너럴마요어''|group=Note}}로 진급했다. 프랑스 공방전 동안 예비대로 배치되었으며, 1941년 4월 그리스 침공에 참여했다. 작전 종료 후, 살로니카에 주둔하며 점령 임무를 수행했다. 이 기간 동안, 사단의 보병 연대 중 하나가 로도스 섬에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1942년 초, 사단은 크레타 섬으로 이동하여 크레타 요새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숙련된 제125보병연대로 증강된 후, 1942년 중반까지 이곳에 주둔했으며, 이후 ''아프리카 기갑군''과 함께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복무하기 위해 이동했다. 사단은 제164경 아프리카 사단으로 지정되었으며, 각 연대는 2개의 대대만 보유했다. 사단은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싸웠으며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전투 동안 사단 연대 중 하나는 진격하는 연합군 보병에 의해 ''아프리카 기갑군'' 사령부가 점령되는 것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머지 추축군과 함께, 사단은 점차적으로 튀니지로 후퇴했다. 사단은 제1이탈리아군의 일원으로서, 튀니지에서 자유 프랑스군과 전투를 벌이며 캠페인의 마지막 단계를 보냈다. 사단의 마지막 사단장인 리벤슈타인은 제2뉴질랜드 사단 사령관 버나드 프레이버그 중장에게 항복했다.

4. 주요 지휘관


  • 콘라트 하세 ''야전사령관'', 1939년 12월 1일 – 1940년 1월 9일
  • 요제프 폴트만 ''중장'', 1940년 1월 10일 – 1942년 8월 9일
  • 카를-한스 룽거스하우젠 ''야전사령관'', 1942년 8월 10일 – 11월 30일; 1942년 12월 30일 – 1943년 1월 14일
  • 지크프리트 베스트팔 ''대령'', 1942년 12월 1일 – 29일
  • 쿠르트 프라이헤어 폰 리벤슈타인 ''야전사령관'', 1943년 1월 15일 – 16일; 1943년 3월 13일 – 5월 12일

쿠르트 폰 리벤슈타인(오른쪽)과 제2뉴질랜드 사단 사령관 버나드 프레이버그 중장(왼쪽) 및 브리가디어가 튀니지에서 추축군 항복 이후 찍은 사진

  • 베커 ''대령'', 1943년 1월 16일 – 2월 16일
  • 프리츠 크라우스 ''야전사령관'', 1943년 2월 17일 – 3월 12일

5. 둘러보기


  • 서부 사막 전역(Western Desert Campaign), 북아프리카 전역(North African Campaign)
  • 사단 (군사), 군사 조직
  • 독일 육군 (2차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사단 목록
  • Wendel, Marcus (2004). "[http://www.axishistory.com/index.php?id=2388 164. Infanterie-Division]". Retrieved April 4, 2005.
  • "[http://www.lexikon-der-wehrmacht.de/Gliederungen/Infanteriedivisionen/164ID-R.htm 164. Infanterie-Division]". German language article at www.lexikon-der-wehrmacht.de. Retrieved April 4, 2005.

  • ---

{{둘러보기 상자

|이름 = 독일 국방군의 사단

|제목 =
x20px
독일 국방군 육군의 사단

|내용속성 = hlist

|그림 =
|120px|center|link=|alt=]]'''사단 목록'''

|제목모양 = background: #b0c4de;

|묶음모양 = background: #dcdcdc;

|전체속성 = hlist

|묶음1 = 기갑척탄병사단

|내용1 =

  • 3
  • 10
  • 15
  • 16
  • 18
  • 20
  • 25
  • 29
  • 90
  • 브란덴부르크
  • 쿠르마르크
  • 그로스도이칠란트


|묶음2 = 산악사단

|내용2 =

  • 1
  • 1 스키
  • 2
  • 3
  • 4
  • 5
  • 6
  • 7
  • 8
  • 9
  • 157
  • 188 예비


|묶음3 = 척탄병사단

|내용3 =

  • 19
  • 31
  • 36
  • 45
  • 78
  • 541
  • 542
  • 543
  • 544
  • 545
  • 546
  • 547
  • 548
  • 549
  • 550
  • 551
  • 552
  • 553
  • 558
  • 559
  • 560
  • 561
  • 562
  • 563
  • 564


|묶음4 = 엽병사단

|내용4 =

  • 5
  • 8
  • 28
  • 42
  • 97
  • 100
  • 101
  • 104
  • 114
  • 117
  • 118
  • 200


|묶음5 = 차량화사단

|내용5 =

  • 2
  • 3
  • 10
  • 13
  • 14
  • 16
  • 18
  • 20
  • 25
  • 29
  • 36
  • 60
  • 제345
  • 386


|묶음6 = 경사단

|내용6 =

  • 3
  • 5 경보병
  • 8 경보병
  • 28 경보병
  • 90 아프리카
  • 97 경보병
  • 99 경보병
  • 100 경보병
  • 101 경보병
  • 164 아프리카
  • 999 아프리카


|묶음7 = 보병사단

|내용7 =

  • 1
  • 2
  • 4
  • 6
  • 7
  • 9
  • 11
  • 12
  • 14
  • 15
  • 17
  • 19
  • 21
  • 22
  • 23
  • 24
  • 26
  • 27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8
  • 39
  • 41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2
  • 56
  • 57
  • 58
  • 59
  • 61
  • 62
  • 63
  • 64
  • 65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1
  • 92
  • 93
  • 94
  • 95
  • 96
  • 98
  • 102
  • 106
  • 110
  • 111
  • 112
  • 113
  • 121
  • 122
  • 123
  • 125
  • 126
  • 129
  • 131
  • 132
  • 134
  • 137
  • 148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2 (튀르크)
  • 163
  • 164
  • 166
  • 167
  • 168
  • 169
  • 170
  • 174
  • 176
  • 180
  • 181
  • 182
  • 183
  • 189
  • 190
  • 196
  • 197
  • 198
  • 199
  • 203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1
  • 223
  • 225
  • 227
  • 228
  • 230
  • 231
  • 232
  • 237
  • 239
  • 240
  • 242
  • 243 정지
  • 244
  • 245
  • 246 국민척탄병
  • 249
  • 250
  • 251
  • 252
  • 253
  • 254
  • 255
  • 256
  • 257
  • 258
  • 260
  • 262
  • 263
  • 264
  • 265
  • 266
  • 267
  • 268
  • 269
  • 270
  • 271
  • 272
  • 273
  • 274
  • 275
  • 276 국민척탄병
  • 277
  • 278
  • 279
  • 280
  • 281
  • 282
  • 286
  • 290
  • 291
  • 292
  • 293
  • 294
  • 295
  • 296
  • 297
  • 298
  • 299
  • 301
  • 302
  • 303
  • 304
  • 305
  • 306
  • 309
  • 311
  • 319 정지
  • 320
  • 321
  • 323
  • 324
  • 325
  • 326
  • 327
  • 328
  • 329
  • 330
  • 331
  • 332
  • 333
  • 334
  • 335
  • 336
  • 337
  • 338
  • 339
  • 340
  • 342
  • 343
  • 344
  • 346
  • 347
  • 348
  • 349
  • 351
  • 352
  • 353
  • 355
  • 356
  • 357
  • 358
  • 359
  • 361
  • 362
  • 363
  • 364
  • 365
  • 367
  • 369 크로아티아인
  • 370
  • 371
  • 372
  • 373 크로아티아인
  • 376
  • 377
  • 379
  • 383
  • 384
  • 385
  • 387
  • 389
  • 392 크로아티아인
  • 393
  • 395
  • 399
  • 416
  • 430
  • 462
  • 521
  • 526
  • 555
  • 556
  • 557
  • 600
  • 606
  • 650
  • 702
  • 703
  • 704
  • 707
  • 708
  • 709 정지
  • 710
  • 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