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은 1934년 독일 국방군 창설과 함께 Infanterieführer IV를 모체로 창설되었다. 1937년 차량화 보병사단으로, 이후 기갑사단으로 확대 개편되어 폴란드, 서유럽, 동부 전선에 참전했다. 바르바로사 작전과 코카서스 진격에 참여했으나, 1943년 큰 피해를 입고 후퇴하여 1944년 남부 지구에서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부다페스트 전투에서 궤멸된 후 펠트헤른할레 2 기갑사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전쟁 후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352보병사단
제352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1943년 11월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오마하 해변을 방어하다 큰 피해를 입고 해체된 후, 1944년 9월 제352국민척탄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5년 4월 다름슈타트에서 전멸하며 해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10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제10보병사단은 1938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투에 참전한 독일 국방군 소속 보병사단으로, 이후 차량화보병사단과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키에프 전투에서 전멸 후 재편성을 거쳐 종전 시 소련군에 항복했고, 폴란드 침공 당시 민간인 학살에 가담했다는 논란이 있다. - 1935년 설립 - 캠프 데이비드
캠프 데이비드는 메릴랜드주 캐탁틴 산맥에 위치한 미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1938년 휴양 시설로 개장 후 1942년 대통령 별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주요 국제 회담 및 외교 협상 장소로 활용되어 왔다. - 1935년 설립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은 기쿠치 칸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기려 제정한 일본의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 신인 및 중견 작가의 단편 및 중편 소설을 대상으로 매년 두 차례 시상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회중시계가 수여되고 문예춘추에 수상작이 게재되지만, 저널리즘적 성격과 심사 과정, 심사위원 구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1945년 설립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여운형이 건국동맹을 모체로 일본 패망 직후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과 행정권을 이양받아 발족한 단체로, 일제 타도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전국적인 치안 유지와 행정 공백 해소에 기여했으나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해체되었다. - 1945년 설립 -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은 194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이후 전력을 구축하고 율곡 계획과 군 현대화 정책을 통해 현대화되었으며, 국제 사회에 기여하고 대양해군 건설을 목표로 함정 및 항공기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며 해군본부, 해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등을 운영하고 약 7만 명의 병력과 170여 척의 함정, 60여 대의 항공기를 운용하는 대한민국의 해상 및 상륙 작전을 담당하는 군대이다.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 |
---|---|
개요 | |
![]() | |
존속 기간 | 1934년 ~ 1945년 4월 |
국가 | 나치 독일 |
군대 | 국방군 |
종류 | 기갑 사단 |
규모 | 사단 |
별칭 | 13. Panzer-Division, 13. Infanterie-Division (mot) |
지휘부 | |
사령관 | 발터 폰 비에르나츠키 프리드리히-빌헬름 폰 로트키르히 운트 판투스 막스 바르엠포 빌리 랑케이 헬무트 한 요한 미클 에두아르트 하우저 |
전투 | |
주요 전투 |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 청색 작전 쿠르스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비스와-오데르 공세 부다페스트 공방전 |
식별 | |
Panzer-Division Feldherrnhalle 2 | 13.Infanterie-Division (mot) 13.Panzer-Division 13.Panzer-Division Feldherrnhalle Panzer-Division Feldherrnhalle 2 |
독일 국방군 제13보병사단 정보 | |
존속 기간 | 1934년 10월 1일 ~ 1942년 10월 |
국가 | 나치 독일 |
군대 | 독일 국방군 |
종류 | 보병 사단 |
역할 | 기계화보병 (1937년부터) |
해체 | 1942년 10월, 제13기갑사단으로 재편성 |
별칭 | 13. Infanterie-Division (mot.) |
지휘관 | |
사령관 | 에른스트 파이퍼 파울 오토 프리드리히-빌헬름 폰 초벨티츠 막스 바르엠포 |
참전 | |
주요 전투 |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 모스크바 전투 |
2. 부대 역사
독일 국방군 창설과 함께 '''Infanterieführer IV'''를 모태로 13 보병사단이 창설되었다. 1937년 13 차량화 보병사단으로 확대되었고, 1939년 폴란드 전역 및 1940년 서유럽 전역에 참전했다. 프랑스 점령 후 히틀러의 기갑사단 증설 계획에 따라 '''13 기갑사단'''으로 개편되었다.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과 1942년 코카서스 진격에 참가했으나, 1943년 큰 손실을 입고 후퇴하여 1944년 남부 지구에서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헝가리에서 부분적으로 보충을 받았지만, 1944년~1945년 겨울 부다페스트 전투에서 궤멸되었다. 이후 잔존 병력은 기갑군단 펠트헤른할레 소속 '''펠트헤른할레2 기갑사단(Panzer-Division ''Feldherrnhalle 2''de)'''으로 재편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
2. 1. 창설과 초기 편성 (1934년 ~ 1939년)
독일 국방군 창설이 발표되었을 때, '''Infanterieführer IV'''를 모태로 13 보병사단이 창설되었다. 1937년 13 차량화 보병사단으로 확대되었고, 1939년 폴란드 전역 및 1940년 서유럽 전역에 참전했다.2. 2. 기갑사단으로의 재편과 동부 전선 (1940년 ~ 1943년)
1939년 폴란드 전역 및 1940년 서유럽 전역에 참전했던 13 차량화 보병사단은 프랑스 정복이 일단락된 후 히틀러의 기갑사단 증설 계획에 따라 '''13 기갑사단'''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이후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및 1942년 코카서스 진격에 참가했으나, 1943년에 큰 손실을 입고 후퇴하여 1944년 내내 남부 지구에서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2. 3. 헝가리에서의 격전과 궤멸 (1944년 ~ 1945년)
1944년 헝가리에서 부분적으로 보충을 받았으나, 1944년~1945년 겨울 부다페스트에서 벌어진 격렬한 전투 끝에 사단은 궤멸되었다. 그해 봄, 잔존 인원은 기갑군단 펠트헤른할레 소속 '''펠트헤른할레2 기갑사단(Panzer-Division ''Feldherrnhalle 2''de)'''으로 재편성되었고, 전쟁 후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2. 4. 펠트헤른할레 2 기갑사단으로의 재편과 종전
1944년 봄, 헝가리에서 부분적으로 보충을 받았지만 부다페스트에서 벌어진 격렬한 전투 끝에 궤멸된 13 기갑사단의 잔존 인원으로 기갑군단 펠트헤른할레 소속 '''펠트헤른할레 2 기갑사단(Panzer-Division ''Feldherrnhalle 2''de)'''으로 재편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3. 역대 지휘관
4. 부대 편제
(기갑사단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