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차 국공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국공 내전은 1946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간에 벌어진 내전으로, 중일 전쟁 이후 중국 대륙의 지배권을 두고 발생했다. 중화민국 국민혁명군은 초기에 우세했으나, 국민당 정부의 부패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전황이 공산당에 유리하게 바뀌었고, 린뱌오가 이끄는 동북 인민해방군의 승리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했으며, 장제스는 타이완으로 이동하여 중화민국 정부를 존속시켰다. 이 내전의 결과로 양안 관계가 형성되었고, 한국 전쟁 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국공 내전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제1차 대만 해협 위기는 1954년부터 1955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대륙 통일을 목표로 금문도와 마쭈 열도에 포격을 가하면서 중화민국과 충돌한 군사적, 정치적 긴장 상황으로, 미국의 개입과 중국의 협상으로 이어졌으며 양안 관계와 중국의 핵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제2차 국공 내전 - 인간의 조건 (앙드레 말로)
    앙드레 말로의 소설 《인간의 조건》은 1920년대 상하이 봉기를 배경으로 혁명 속 인물들의 삶과 죽음, 실존적 고뇌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1933년 공쿠르 상을 수상하고 실존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1946년 분쟁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1946년 분쟁 - 후크발라합 반란
    후크발라합 반란은 일본군 점령기 중앙루손 지방의 저항군이 필리핀 정부의 탄압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 투쟁이다.
  • 1947년 분쟁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1947년 분쟁 - 후크발라합 반란
    후크발라합 반란은 일본군 점령기 중앙루손 지방의 저항군이 필리핀 정부의 탄압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 투쟁이다.
제2차 국공 내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국공 내전, 냉전
전체국공 내전, 냉전
중국 인민해방군이 1949년에 총통부를 점령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 총통부를 점령하고 기를 계양하는 중국 인민해방군
날짜1946년 3월 31일 - 1950년 5월 1일
장소중국 대륙과 부속도서
결과중국공산당의 승리
결과 세부 사항
교전국
교전국 1중국공산당
교전국 1 추가팔로군 (-1947)
신사군 (-1947)
중국 인민해방군 (1949-)
(1949.10.1-)
교전국 2 추가국민정부 (-1949)
타이페이 정부 (1949-)
중국국민당
국민혁명군 (-1947)
중화민국 국군 (1947-)
지휘관
지휘관 1마오쩌둥
지휘관 1 추가주더
펑더화이
덩샤오핑
저우언라이
린뱌오
류보청
뤄룽환
쉬샹첸
녜룽전
예젠잉
허룽
천이
지휘관 2장제스
지휘관 2 추가바이충시
쉬에위에
천청
리쭝런
옌시산
허잉친
두위밍
쑨리런
마윈샹
해리 S. 트루먼
앨버트 웨더마이어
토마스 C. 킨카이드
새뮤얼 L. 하워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전역
관련 전역호국 전쟁
직환 전쟁
제1차 월계 전쟁
제2차 월계 전쟁
제1차 직봉 전쟁
제2차 직봉 전쟁
베이징 정변
제1차 국공 합작
운계 전쟁
5·30 사건
중산함 사건
반봉 전쟁
북벌
4·12 사건
제1차 국공 내전
장계 전쟁
중원 대전
만주 사변
제2차 국공 합작
제2차 국공 내전

2. 역사적 배경

중국의 20세기 혁명은 중국 공산당의 역사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1] 중국 공산당은 19세기 이후 국가가 몰락하는 상황에서, 국가 부활의 해법을 마르크스주의에서 찾으려 했다.[1] 1921년 중국 공산당 창립 이후, 느린 성장 기간을 거쳐 1927년 장제스의 국민당으로부터 탄압을 받았다.[1] 중일 전쟁 기간 동안 국공 합작을 통해 일본 제국에 맞서 싸웠으나, 종전 이후 다시 주도권 다툼을 벌였다.

2. 1. 중일 전쟁과 국공 합작

1945년 충칭에서 태평양 전쟁 종전을 기념하는 마오쩌둥장제스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국공 합작을 통해 일본 제국에 맞서 싸웠다.[1] 그러나 양당은 동맹을 유지하면서도 이념적 차이와 주도권 경쟁으로 인해 끊임없이 갈등했다.[1] 1945년 9월 중일 전쟁이 종결된 후, 미국은 국공 연계 정부 구성을 시도했으나, 양당은 다시 중국 대륙의 주도권을 두고 대립했다.[1]

2. 2. 미국의 중재 노력과 실패



1945년 9월 중일 전쟁 종결 이후, 미국은 국공 합작을 통해 국민당과 공산당이 연계된 정부 구성을 중재하려 했으나, 양당은 다시 중국 대륙에 대한 주도권을 두고 싸움을 시작했다.[1]

3. 전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일본이 패망하자,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은 일본군의 무장 해제와 점령지 정리 등 전후 처리를 놓고 갈등을 빚었다. 마오쩌둥장제스는 내전을 피하고자 1945년 8월부터 충칭에서 회담을 가졌고, 10월에는 내전을 피하고 정치적 민주화를 추진하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이 합의에도 불구하고 양측의 갈등은 심화되었고, 미국의 마샬 장군이 중재하여 1946년 1월부터 공동 정부 구성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결국 실패하였다.

1946년 6월, 국민혁명군(1947년 12월 중화민국 국군으로 개칭)이 공산당 지구를 침공하면서 전면적인 내전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국민혁명군이 병력, 장비, 보급에서 우위를 점하며 승리하였다. 1947년 3월에는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수도였던 옌안을 점령하기도 했다. 그러나 국민혁명군은 이 과정에서 병력을 지나치게 분산시켜 패배의 원인을 제공했다.

국민당 정부가 심각한 부패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난을 겪으면서, 1948년 가을부터 전황은 공산당에게 유리하게 돌아갔다. 이후 린뱌오가 지휘하는 동북 인민해방군이 만주에서 중화민국군을 격파하면서 전쟁의 흐름이 바뀌었다.

1946년 쓰핑 방어전의 공산군


1949년 10월, 인민해방군은 진먼 섬을 공격하여 고령두 전투를 벌였으나 중화민국군에게 패배하였다. 1950년 하이난섬 상륙 전역완산 군도 전역을 거치면서 양안 간의 경계가 형성되었다.[2]

3. 1. 주요 전역

1948~1949년 제2차 국공 내전의 3개 전역 (랴오선, 화이하이핑진)


1948년 가을부터 전황은 공산당 측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1948년 11월 랴오선 전역에서 린뱌오가 지휘한 동북 인민해방군이 만주에서 중화민국군을 격파하면서 제2차 국공 내전의 전세가 역전되었다. 인민해방군은 1949년 1월 31일 베이징에 입성하였고, 장강을 도하하여 4월 23일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을 함락했으며, 5월 27일에 상하이를 점령했다.[2]

3. 2.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국부천대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베이징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하였다.[2] 그해 11월 30일, 충칭이 함락되면서 중화민국 정부는 임시 수도를 잃었다. 12월 10일, 장제스는 청두에서 타이완으로 탈출하여(국부천대) 중화민국 정부를 존속시켰고,[2] 12월 27일 중국 인민해방군이 청두에 입성하면서 중국 대륙에서 중화민국군은 축출되었다.

4. 결과

중국 인민해방군의 공식 기록에 따르면, 1945년부터 1949년까지 벌어진 제2차 국공 내전에서 공산군은 총 130만 명(사망 26만 명, 실종 19만 명, 부상 85만 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이 수치에는 비정규군이 포함되지 않았다. 국민당군의 피해는 정규군 545만 2,700명, 비정규군 225만 8,800명으로 집계되었다.[3] 장제스와 60만 명의 국민당군, 200만 명의 국민당 지지자들은 타이완섬으로 건너가 중화민국 정부를 세웠다. 마오쩌둥은 중국의 정치와 문화를 바꾸고, 중국의 옛 힘과 권위를 복구하려 했다.[1]

4. 1. 양안 관계 형성

1949년 장제스타이베이중화민국의 임시 수도로 선포하고 중국 대륙에 대한 지배권은 여전히 자신들에게 있음을 주장했다. 중국 공산당 정부는 모든 중국의 통일을 주장하며 타이완 정복을 시도하기도 했다. 1949년 진먼 포격전과 같이 국민당이 점령한 도서 지역을 탈환하려는 공산당의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한 이후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은 중화민국에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타이완 해협에 제7함대를 파견했다.[4]

4. 2. 한국에 미친 영향

중국 인민해방군의 공식 기록에 따르면, 1945년부터 1949년까지 벌어진 제2차 국공 내전에서 공산군은 총 130만 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이 수치에는 비정규군이 포함되지 않았다. 국민당군의 피해는 정규군 545만 2,700명, 비정규군 225만 8,800명으로 집계되었다.[3]

장제스와 60만 명의 국민당군, 그리고 200만 명의 국민당 지지자들은 타이완섬으로 건너가 중화민국 정부를 세웠다. 1949년 12월, 장제스는 타이베이를 중화민국의 임시 수도로 선포하고 중국 대륙에 대한 영유권을 계속 주장했다. 중국 공산당 정부는 중국 전체의 통일을 내세우며 타이완 점령을 시도하기도 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 직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중화민국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판단, 타이완 해협에 제7함대를 배치했다.[4]

참조

[1]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1945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2] 뉴스 아시아의 고아 이야기 ― ‘이역고사관’ https://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22-10-19
[3] 서적 The History of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People's Liberation Army Press
[4] 웹인용 Army Department Teletype conference, ca. June 1950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Defense 2015-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