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차 고이즈미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5년 9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재임 기간에 걸쳐 두 차례에 걸쳐 구성되었다. 2005년 중의원 선거 압승 이후, 고이즈미는 우정 민영화 법안 통과에 집중하기 위해 기존 각료를 유임시켰다. 이후 개각을 통해 아베 신조를 관방장관, 아소 다로를 외무상에 임명하는 등 차기 총리 후보군을 전진 배치했다. 고이즈미는 두 번의 임기 제한에 따라 2006년 9월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라크 자위대 파병 결정과 연금 개혁 추진, 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 사임, 우정 민영화 법안 부결 등의 사건이 있었고,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조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사회적 논란과 비판도 있었다.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제1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개조)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단행된 제1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개조)는 '젊은 인물'과 '인기'를 중시하며 세대교체와 당 쇄신을 표방했으나, 개혁 중시 기조에도 불구하고 관료 주도 및 개혁 방해 비판과 더불어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로 한일 관계 악화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2005년 일본 - 다케시마의 날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한국의 강력한 반발과 한일 관계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 2005년 일본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개조)
    2006년 10월 31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개혁 의욕이 풍부한 인물들을 기준으로 개각한 제3차 고이즈미 내각 (개조)는 '포스트 고이즈미' 시대를 염두에 둔 인사로 구성되어 지지율 상승을 겪었으나, 총리의 자민당 총재 임기 만료로 총사퇴하며 헤이세이 시대 최장 수상 재임 기록을 세웠고, 우정민영화와 구조개혁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현재 일본 정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내각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라크 자위대 파병 결정과 연금 개혁 추진, 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 사임, 우정 민영화 법안 부결 등의 사건이 있었고,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조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사회적 논란과 비판도 있었다.
  • 내각 - 제2차 기시다 내각
    제2차 기시다 내각은 2021년 총선에서 자민당 압승 후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재선으로 출범하여 아베 신조 암살 사건과 통일교 유착 논란으로 개각을 거쳤으며, 군사 예산 증액과 통일교 문제 관련 지지율 하락 및 대응이 주요 특징이다.
제3차 고이즈미 내각
기본 정보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앞줄 가운데)와 2005년 9월 21일 재선된 내각 각료들
내각 이름제3차 고이즈미 내각
내각 번호89대
관할 국가일본
수반고이즈미 준이치로
국가 원수아키히토 천황
정치 정당자유민주당-공명당 연립
입법부 지위중의원: 자민당-공명당 연립 과반수
참의원: 자민당-공명당 연립 과반수
야당민주당
야당 대표마에하라 세이지 (2006년 4월 7일까지)
오자와 이치로 (2006년 4월 7일부터)
선거2005년 총선거
이전 내각제2차 고이즈미 내각
다음 내각제1차 아베 내각
출범일2005년 9월 21일
해산일2006년 9월 26일
명단내각 명단

2. 내각 성립 배경 및 정치 상황

2005년 9월 11일 중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재선되었다.[2][3][4] 고이즈미 총리는 우정 민영화 법안 통과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위해 내각을 개편하지 않고 기존 각료들을 유임시켰다.

2005년 10월 31일, 우정 민영화 법안이 통과된 후 고이즈미 총리는 마지막 개각을 단행했다.[5][6][7] 이 개각에서는 아베 신조를 내각관방장관에, 아소 다로를 외무상에, 다니가키 사다카즈를 재무상에 임명하는 등 차기 총리 후보군을 전진 배치했다. 또한, 경제 개혁을 주도해 온 다케나카 헤이조를 총무대신 겸 우정민영화 담당상으로 임명하여 개혁 작업을 마무리하도록 했다.[8]

1980년 이후 자유민주당은 당수의 연속 임기를 두 번으로 제한해 왔기 때문에, 고이즈미는 2006년 9월 두 번째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총리직에서 물러날 예정이었다.[9] 고이즈미 총리는 재임 중 추진했던 개혁 중 일부는 임기 내에 달성되지 못할 것이라고 시인했다.[10] 자민당과 공명당 일부 의원들의 당규 개정 및 연임 허용 요구에도 불구하고,[12][13] 고이즈미는 임기 제한을 준수하여 2006년 9월 26일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3. 주요 정책

제3차 고이즈미 내각은 일본우정공사 민영화 외에도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각 부처별 대신정무관은 다음과 같다.

부처대신정무관
내각부가토 사토노리, 기무라 쓰토무, 니시메 준시로
방위청기타무라 세이고, 아이치 지로
총무대신마스하라 요시타카, 마쓰모토 준, 야마모토 다모쓰
법무대신미쓰바야시 다카시
외무대신오노데라 이쓰노리, 가와이 가쓰유키, 후쿠시마 케이시로
재무대신구라타 마사토시, 단모토 유키오
문부과학대신시모무라 하루후미, 고이즈미 아키오
후생노동대신니시카와 게이코, 후지이 모토유키
농림수산대신오구치 요시노리, 가지야 요시토
경제산업대신히라타 고이치, 야마모토 아키히코
국토교통대신이시다 마토시, 나카노 마사시, 이다테 주이치
환경대신다케시타 와타루


3. 1. 우정 민영화

우정 민영화(郵政民営化일본어)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의 핵심 정책으로, 일본우정공사를 민영화하여 경쟁을 촉진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05년 10월 14일, 우정 민영화 관련 6개 법안이 참의원을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1]

더불어민주당은 우정 민영화가 공공 서비스를 약화시키고 지역 간 격차를 확대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4. 각료 명단

자유민주당재임[2],
자유민주당 총재총무대신--아소 다로중의원
자유민주당
(고노 그룹)국민 스포츠 담당,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3위 | 재임[2]법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청소년 육성 및 저출산 대책)--미나미노 치에코참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재임[2]외무대신--무라카미 노부타카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재임[2]재무대신

타니가키 사다카즈중의원
자유민주당
(타니가키파)재임[2]문부과학대신--나카야마 나리아키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국립국회도서관 연락조정위원회 위원 | 재임[2]후생노동대신--오츠지 히데히사참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재임[2]농림수산대신--이와나가 미네이치중의원
자유민주당
(구 호리우치파)재임[2]경제산업대신--나카가와 쇼이치중의원
자유민주당
(이부키파)국제박람회 담당,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 재임[2]국토교통대신
키타가와 카즈오중의원
공명당수도기능이전 담당,
관광립국 담당 | 재임[2]환경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고이케 유리코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지구환경문제 담당 | 재임[2]내각관방장관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남녀공동참가)--호소다 히로유키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재임[2]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방재)--무라타 요시타카중의원
자유민주당
(구 호리우치파)유사법제 담당 | 재임[2]방위청 장관--오노 요시노리중의원
자유민주당
(야마자키파)재임[2]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금융)--이토 다쓰야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재임[2]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타케나카 헤이조참의원
자유민주당
(무파벌)우정민영화 담당 | 재임[2]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규제개혁)
(산업재생기구)--무라카미 세이이치로중의원
자유민주당
(다카무라파)행정개혁 담당,
구조개혁 특구·지역재생 담당 | 재임[2]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과학기술정책)
(식품안전)
(식육)--타나하시 야스후미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정보통신기술(IT) 담당 | 재임[2]



9월 22일 임명된 정무차관은 다음과 같다.

직책성명
내각부대신정무관가토 사토노리, 키무라 츠토무, 니시메 준시로
방위청장관정무관키타무라 세이고, 아이치 지로
총무대신정무관마스하라 요시타카, 마츠모토 준, 야마모토 타모쓰
법무대신정무관밋쓰바야시 타카시
외무대신정무관오노데라 이쓰노리, 카와이 가쓰유키, 후쿠시마 케이시로
재무대신정무관쿠라타 마사토시, 단모토 유키오
문부과학대신정무관시모무라 하루후미, 고이즈미 아키오
후생노동대신정무관니시카와 케이코, 후지이 모토유키
농림수산대신정무관오구치 요시노리, 카지야 요시토
경제산업대신정무관히라타 코이치, 야마모토 아키히코
국토교통대신정무관이시다 마토시, 나카노 마사시, 이다테 주이치
환경대신정무관타케시타 와타루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 예정 순위는 제1순위 호소다 히로유키, 제2순위 다니가키 사다카즈, 제3순위 아소 다로, 제4순위 나카가와 쇼이치, 제5순위 무라카미 노부타카였다.

4. 1. 제3차 고이즈미 내각 (2005년 9월 21일 ~ 2005년 10월 31일)

第3次小泉内閣일본어은 2005년 9월 21일에 고이즈미 준이치로내각총리대신으로 재선되면서 구성되었으며, 2005년 10월 31일까지 지속되었다. 고이즈미 총리는 중의원에서 재선된 후, 일본우편 민영화 법안의 재상정 및 통과에 집중하기 위해 기존 내각 구성을 유지하였다.[2][3][4]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에 대해서는 그 담당을 괄호 내에 기술하였다. 내각부 이외의 다른 성청(내각관방 포함)의 특명사항을 담당하는 국무대신의 직무는 꺾은 괄호(〈〉) 내에 기술하였다.

제3차 고이즈미 내각 (2005년 9월 21일 ~ 2005년 10월 31일)
직책장관임기
내각총리대신고이즈미 준이치로2001년 4월 26일 - 2006년 9월 26일
총무대신아소 다로2003년 9월 22일 - 2005년 10월 31일
법무대신
청소년대책 및 저출산대책 담당
노노 치에코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외무대신마치무라 노부타카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재무대신타니가키 사다카즈2003년 9월 22일 - 2006년 9월 26일
문부과학대신나카야마 나리아키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후생노동대신오츠지 히데히사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농림수산대신이와나가 미네이치2005년 8월 11일 - 2005년 10월 31일
경제산업대신나카가와 쇼이치2003년 9월 22일 - 2005년 10월 31일
국토교통대신키타가와 카즈오2004년 9월 27일 - 2006년 9월 26일
환경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영토 담당
고이케 유리코2003년 9월 22일 - 2006년 9월 26일
관방장관
여성부 담당
호소다 히로유키2004년 5월 7일 - 2005년 10월 31일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재해대책 담당
긴급사태 관련 법률 담당
무라타 요시타카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방위청 장관오노 요시노리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금융 담당이토 타쓰야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경제재정 담당
우정민영화 담당
다케나카 헤이조2001년 4월 26일 - 2005년 10월 31일
규제개혁 담당
산업혁신기구 담당
행정개혁 담당
구조개혁 특별지구 담당
지역활성화 담당
무라카미 세이이치로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과학기술정책 담당
식품안전 담당
정보기술 담당
타나하시 야스후미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차관
관방부장관 보좌관 (정무-중의원)스기우라 세이켄2004년 5월 7일 - 2005년 10월 31일
관방부장관 보좌관 (정무-참의원)야마자키 마사아키2003년 9월 22일 - 2005년 10월 31일
관방부장관 보좌관 (관료)후타하시 마사히로2003년 9월 22일 - 2006년 9월 26일



직책성명소속특명 사항 등비고
내각총리대신--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중의원
자유민주당
재임
자유민주당 총재
총무대신--아소 다로(麻生太郎)중의원
자유민주당
(고노 그룹)
국민 스포츠 담당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3위
재임
법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청소년 육성 및 저출산 대책)
--미나미노 치에코(南野知惠子)참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재임
외무대신--무라카미 노부타카(町村信孝)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5위재임
재무대신타니가키 사다카즈(谷垣禎一)중의원
자유민주당
(타니가키파)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2위재임
문부과학대신--나카야마 나리아키(中山成彬)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국립국회도서관 연락조정위원회 위원재임
후생노동대신--오츠지 히데히사(尾辻秀久)참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
재임
농림수산대신--이와나가 미네이치(岩永峯一)중의원
자유민주당
(구 호리우치파)
재임
경제산업대신--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중의원
자유민주당
(이부키파)
국제박람회 담당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재임
국토교통대신키타가와 카즈오(北側一雄)중의원
공명당
수도기능이전 담당
관광립국 담당
재임
환경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지구환경문제 담당재임
내각관방장관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남녀공동참가)
--호소다 히로유키(細田博之)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1위재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방재)
--무라타 요시타카(村田吉隆)중의원
자유민주당
(구 호리우치파)
유사법제 담당재임
방위청 장관--오노 요시노리(大野功統)중의원
자유민주당
(야마자키파)
재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금융)
--이토 다쓰야(伊藤達也)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
재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
--타케나카 헤이조(竹中平蔵)참의원
자유민주당
(무파벌)
우정민영화 담당재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규제개혁)
(산업재생기구)
--무라카미 세이이치로(村上誠一郎)중의원
자유민주당
(다카무라파)
행정개혁 담당
구조개혁 특구·지역재생 담당
재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과학기술정책)
(식품안전)
(식육)
--타나하시 야스후미(棚橋泰文)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
정보통신기술(IT) 담당재임



9월 22일 임명된 정무차관은 다음과 같다.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 예정 순위는 다음과 같다.[5]

# 호소다 히로유키

# 다니가키 사다카즈

# 아소 다로

# 나카가와 쇼이치

# 마치무라 노부타카

4. 2. 제3차 고이즈미 내각 (개각, 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第3次小泉改造内閣|다이산지 고이즈미 가이조나이카쿠|제3차 고이즈미 개조내각일본어은 2005년 10월 31일부터 2006년 9월 26일까지 존속한 일본의 내각이다.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중의원에서 재선된 후, 일본우편 민영화 법안의 재상정 및 통과에 집중하기 위해 기존 내각을 유지했다.[2][3][4] 이 법안이 통과된 후, 2005년 10월 31일 마지막 개각을 단행했다. 이 개각에서 다니가키 사다카즈를 재무대신으로, 아소 다로를 외무대신으로, 아베 신조를 자민당 간사장에서 내각관방장관으로 승진시키는 등 여러 차기 총리 후보들을 발탁했다.[5][6][7] 또한 고이즈미는 오랫동안 경제 개혁을 담당했던 다케나카 헤이조를 내각부총리 겸 총무대신으로 승진시켜 우정 및 행정 개혁의 이행을 감독하게 했다.[8]

고이즈미 총리는 2006년 9월 두 번째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총리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9] 고이즈미 총리 재임 하의 마지막 국회 회기에서 행정 및 의료 개혁을 포함한 91개 정부 법안 중 82개가 통과되었지만, 교육, 헌법, 형법 개혁은 시행되지 않았다.[11] 자민당공명당 일부 의원들의 당규 개정 및 연임 허용 요구에도 불구하고, 고이즈미는 임기 제한을 준수하여 2006년 9월 26일 은퇴했다.[12][13]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에 대해서는 그 담당을 괄호 내에 기술하였다. 내각부 이외의 다른 성청(내각관방 포함)의 특명사항을 담당하는 국무대신의 직무는 꺾은 괄호(〈〉) 내에 기술하였다.

第3次小泉改造内閣|다이산지 고이즈미 가이조나이카쿠|제3차 고이즈미 개조내각일본어 (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직책장관임기
내각총리대신고이즈미 준이치로2001년 4월 26일 - 2006년 9월 26일
총무대신
우정민영화 담당 국무상
다케나카 헤이조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법무대신스기우라 세이켄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외무대신아소 다로2005년 10월 31일 - 2007년 8월 27일
재무대신다니가키 사다카즈2003년 9월 22일 - 2006년 9월 26일
문부과학대신코사카 켄지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후생노동대신카와사키 지로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농림수산대신나카가와 쇼이치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경제산업대신니카이 도시히로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국토교통대신키타가와 카즈오2004년 9월 27일 - 2006년 9월 26일
환경대신
오키나와북방 영토 담당 국무상
세계 환경 문제 담당 장관
고이케 유리코2003년 9월 22일 - 2006년 9월 26일
내각관방장관아베 신조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재해 담당 장관
국가긴급법제 담당 국무상
쿠츠카케 테쓰오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방위청 장관누카가 후쿠시로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경제재정 담당 국무상
금융 담당 국무상
요사노 가오루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행정개혁 담당 국무상
규제개혁 담당 국무상
구조개혁 특별지대 담당 국무상
지역 활성화 담당 국무상
추마 코우키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과학기술정책 담당 국무상
식품보호 담당 국무상
정보기술 담당 국무상
마츠다 이와오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여성평등 및 사회담당 국무상이노구치 쿠니코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차관
내각관방부장관 (정무 - 중의원)나가세 지넨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내각관방부장관 (정무 - 참의원)스즈키 세이지2005년 10월 31일 - 2007년 8월 27일
내각관방부장관 (관료)후타하시 마사히로2003년 9월 22일 - 2006년 9월 26일



직책성명소속특명 사항 등비고
내각총리대신--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중의원
자유민주당
재임
자유민주당 총재
총무대신--아소 다로(麻生太郎)중의원
자유민주당
(고노 그룹)
국민 스포츠 담당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3위
재임
법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청소년 육성 및 저출산 대책)
--미나미노 치에코(南野知惠子)참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재임
외무대신--무라카미 노부타카(町村信孝)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5위재임
재무대신타니가키 사다카즈(谷垣禎一)중의원
자유민주당
(타니가키파)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2위재임
문부과학대신--나카야마 나리아키(中山成彬)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국립국회도서관 연락조정위원회 위원재임
후생노동대신--오츠지 히데히사(尾辻秀久)참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
재임
농림수산대신--이와나가 미네이치(岩永峯一)중의원
자유민주당
(구 호리우치파)
재임
경제산업대신--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중의원
자유민주당
(이부키파)
국제박람회 담당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재임
국토교통대신키타가와 카즈오(北側一雄)중의원
공명당
수도기능이전 담당
관광입국 담당
재임
환경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지구환경문제 담당재임
내각관방장관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남녀공동참가)
--호소다 히로유키(細田博之)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
내각총리대신 대리 취임 순위 제1위재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방재)
--무라타 요시타카(村田吉隆)중의원
자유민주당
(구 호리우치파)
유사법제 담당재임
방위청 장관--오노 요시노리(大野功統)중의원
자유민주당
(야마자키파)
재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금융)
--이토 다쓰야(伊藤達也)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
재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
--타케나카 헤이조(竹中平蔵)참의원
자유민주당
(무파벌)
우정민영화 담당재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규제개혁)
(산업재생기구)
--무라카미 세이이치로(村上誠一郎)중의원
자유민주당
(다카무라파)
행정개혁 담당
구조개혁 특구·지역재생 담당
재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과학기술정책)
(식품안전)
(식육)
--타나하시 야스후미(棚橋泰文)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
정보통신기술(IT) 담당재임



9월 22일 임명.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 예정 순위 - 제1순위 호소다 히로유키, 제2순위 다니가키 사다카즈, 제3순위 아소 다로, 제4순위 나카가와 쇼이치, 제5순위 무라카미 노부타카

4. 3. 내각관방 부장관 및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직책이름
내각관방 부장관스기우라 세이켄
내각관방 부장관야마자키 마사아키
내각관방 부장관후타하시 마사히로
내각위기관리감노다 다케시
내각법제국 장관사카다 마사히로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도시재생 담당)마키노 도오루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우정민영화 담당)와타나베 요시아키


5. 평가 및 영향

고이즈미 내각은 장기 집권과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일본 정치 안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우정 민영화, 행정 개혁 등 과감한 개혁 정책을 추진하여 일본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8] 그러나 고이즈미 내각의 신자유주의적 경제 정책은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역사 인식 문제는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를 악화시켰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고이즈미는 2005년 9월 자위대에 완전한 군사 지위를 부여하는 헌법 개정과 같이 일부 개혁은 임기 내에 달성되지 못할 것이라고 시인했다.[10] 마지막 국회 회기에서 행정 및 의료 개혁을 포함한 91개 정부 법안 중 82개가 통과되었지만, 교육, 헌법, 형법 개혁은 시행되지 않았다.[11]

자유민주당공명당 일부 의원들의 당규 개정 및 연임 허용 요구에도 불구하고,[12] 고이즈미는 임기 제한을 준수하여 2006년 9월 26일 은퇴했다.[13]

참조

[1] 뉴스 Japan's Koizumi Wins in a Landslide https://www.latimes.[...] 2016-12-13
[2] 뉴스 Koizumi re-elected Premier http://www.thehindu.[...] 2005-09-22
[3] 뉴스 Koizumi sets key reform deadline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9-26
[4] 뉴스 Japan Approves Postal Privatization http://www.washingto[...] 2005-10-15
[5] 뉴스 Koizumi Reshuffles Cabinet, Drawing Lines for Succession Battle http://www.washingto[...] 2005-11-01
[6] 뉴스 Koizumi to reshuffle Cabinet, successor may emerge http://www.hurriyetd[...] Hurriyet Daily News 2005-10-31
[7] 뉴스 Koizumi selects a hardline Cabinet in major reshuffle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5-11-01
[8] 뉴스 Japan reshuffle points to success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1-01
[9] 뉴스 The LDP's presidential term limit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6-09-23
[10] 뉴스 Japan's Koizumi Wins in a Landslide http://articles.lati[...] 2005-09-12
[11] 뉴스 Diet closes for summer, puts lid on Koizumi legacy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6-06-17
[12] 뉴스 Japan's Koizumi Wins in a Landslide https://www.latimes.[...] 2005-09-12
[13] 뉴스 Japanese PM Koizumi steps down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