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의회 선거는 천안시의회 의원 20명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다. 6개의 지역구에서 17명의 시의원을,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3명의 시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이 지역구 14석과 비례대표 2석을 얻어 압승을 거두었고, 열린우리당은 지역구 4석과 비례대표 1석을 얻었다. 국민중심당과 민주노동당은 비례대표 선거에서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천안시의회 지역구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천안시 가선거구 목천읍, 풍세면, 광덕면, 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동면 3 천안시 나선거구 원성1동, 원성2동, 청룡동 2 천안시 다선거구 중앙동, 문성동, 봉명동, 신용동, 신안동 4 천안시 라선거구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부성동 4 천안시 마선거구 성정1동, 성정2동, 쌍용1동 2 천안시 바선거구 쌍용2동, 쌍용3동, 백석동 3
3. 지역구 선거 결과
선거구 유권자 당선자 정당 천안시 가선거구 46,212 김종성, 전종한, 유제국 천안시 나선거구 35,903 신용일, 이명근 천안시 다선거구 86,184 김동욱, 이정원, 전종배, 인치견 천안시 라선거구 97,059 송건섭, 이충재, 유영오, 김영수 천안시 마선거구 43,477 도병국, 유평위 천안시 바선거구 63,360 안상국, 박중현, 장기수
각 선거구별 자세한 투표 결과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천안시 가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 가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김종성, 유제국 후보와 열린우리당 전종한 후보가 당선되었다.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한나라당 김종성 3,459 15.55% 열린우리당 전종한 2,504 11.26% 한나라당 유제국 2,122 9.54% 한나라당 박중일 2,070 9.31% 무소속 이창길 1,987 8.93% 국민중심당 유진창 1,873 8.42% 국민중심당 김태백 1,788 8.04% 열린우리당 지승진 1,513 6.80% 민주당2000 이재곤 1,485 6.67% 민주노동당 노선균 1,010 4.54% 무소속 김태능 904 4.06% 국민중심당 한광석 762 3.42% 무소속 이걸재 512 2.30% 무소속 이재호 245 1.10% 총합 22,234 100%
3. 2. 천안시 나선거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용일 | 한나라당 | 5,310 | 32.04 |
이명근 | 한나라당 | 2,876 | 17.35 |
임상덕 | 열린우리당 | 2,365 | 14.27 |
유영근 | 무소속 | 1,464 | 8.83 |
안근성 | 국민중심당 | 1,432 | 8.64 |
주은아 | 민주노동당 | 1,291 | 7.79 |
김진상 | 무소속 | 917 | 5.53 |
고광호 | 무소속 | 914 | 5.51 |
합계 | 16,569 | 100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 나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신용일 후보가 32.0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한나라당 이명근 후보가 17.35%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3. 3. 천안시 다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 다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김동욱 후보가 19.5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여 당선되었고, 같은 당 이정원 후보(14.02%), 전종배 후보(11.69%)가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에서는 인치견 후보가 9.29%로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김동욱 | 6,593 | 19.56% |
한나라당 | 이정원 | 4,725 | 14.02% |
한나라당 | 전종배 | 3,942 | 11.69% |
열린우리당 | 인치견 | 3,132 | 9.29% |
민주노동당 | 김관석 | 2,690 | 7.98% |
국민중심당 | 김동근 | 2,686 | 7.97% |
무소속 | 정세진 | 2,301 | 6.82% |
열린우리당 | 조범희 | 1,897 | 5.63% |
한나라당 | 이창덕 | 1,791 | 5.31% |
국민중심당 | 유흥선 | 1,805 | 5.35% |
열린우리당 | 최건식 | 927 | 2.75% |
무소속 | 유용규 | 903 | 2.68% |
무소속 | 김형국 | 302 | 0.89% |
총합 | 33,694 | 100% |
3. 4. 천안시 라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 라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송건섭, 이충재, 유영오 후보, 열린우리당 김영수 후보가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송건섭 | 6,117 | 15.47% |
한나라당 | 이충재 | 5,696 | 14.40% |
한나라당 | 유영오 | 5,143 | 13.01% |
열린우리당 | 김영수 | 4,050 | 10.24% |
민주노동당 | 이영우 | 3,536 | 8.94% |
열린우리당 | 박태서 | 2,377 | 6.01% |
국민중심당 | 권처원 | 2,346 | 5.93% |
국민중심당 | 김홍경 | 1,820 | 4.60% |
한나라당 | 임필재 | 1,814 | 4.58% |
무소속 | 강형철 | 1,650 | 4.17% |
민주당 | 장덕용 | 1,437 | 3.63% |
국민중심당 | 김남빈 | 1,104 | 2.79% |
국민중심당 | 안무길 | 987 | 2.49% |
무소속 | 유제상 | 747 | 1.88% |
무소속 | 이홍기 | 706 | 1.78% |
합계 | 39,530 |
3. 5. 천안시 마선거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도병국 | 한나라당 | 4,624 | 26.81% |
유평위 | 한나라당 | 3,373 | 19.55% |
이광복 | 열린우리당 | 2,747 | 15.92% |
서용석 | 국민중심당 | 2,585 | 14.98% |
선춘자 | 민주노동당 | 1,519 | 8.80% |
최윤구 | 무소속 | 1,140 | 6.60% |
이상헌 | 국민중심당 | 708 | 4.10% |
김현욱 | 무소속 | 551 | 3.19% |
합계 | 17,247 | 100%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한나라당 도병국, 유평위 후보가 당선되었다.
3. 6. 천안시 바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 바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안상국 후보, 박중현 후보, 열린우리당 장기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세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안상국 | 한나라당 | 5,962 | 21.41 |
박중현 | 한나라당 | 5,251 | 18.86 |
장기수 | 열린우리당 | 4,258 | 15.29 |
정도희 | 한나라당 | 3,293 | 11.82 |
이윤상 | 민주노동당 | 2,916 | 10.47 |
정승택 | 국민중심당 | 2,314 | 8.31 |
조종리 | 열린우리당 | 2,285 | 8.20 |
김진관 | 무소속 | 863 | 3.09 |
최한규 | 무소속 | 697 | 2.50 |
합계 | | 27,839 | 100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비례대표 투표에서 한나라당은 51.82%의 득표율로 2명의 당선자를 냈고, 열린우리당은 20.25%의 득표율로 1명의 당선자를 냈다. 국민중심당과 민주노동당은 각각 15.41%, 12.51%를 득표했지만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4. 1. 정당 투표 결과
4. 2. 비례대표 당선자
정당 | 후보 |
---|---|
한나라당 | 서경원 |
한나라당 | 윤세철 |
열린우리당 | 한희자 |
5. 전체 결과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한나라당 | 14 | 2 | 16 |
열린우리당 | 4 | 1 | 5 |
6. 평가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천안시의회 선거는 한나라당이 압승을 거둔 선거로 평가된다. 지역구에서 한나라당은 14석을 차지하여 열린우리당(4석)을 크게 앞섰는데, 이는 노무현 정부에 대한 부정적 여론과 한나라당에 대한 지지세가 결합한 결과로 해석된다.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51.82%의 득표율로 2석, 열린우리당이 20.25%로 1석을 차지하였다. 국민중심당은 15.41%, 민주노동당은 12.51%를 득표했지만 의석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이는 국민중심당이 지역 정당으로서 한계를 보였고, 당시 진보 정당의 약세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한나라당 | 14 | 2 | 16 |
열린우리당 | 4 | 1 | 5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