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노동당은 2000년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2011년 통합진보당과의 합당으로 소멸했다. 1997년 국민승리21을 전신으로 하여,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의석 확보에 실패했으나 재창당 이후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10석을 얻으며 원내 진출에 성공했다. 이후 2008년 진보신당 분당, 내부 갈등을 겪었으며, 2011년 통합진보당 창당을 통해 해산되었다. 민주노동당은 부유세 도입, 무상 의료, 무상 교육 등 서민 정책을 주장했으며, 좌익 민족주의 및 민주사회주의 이념을 표방했다. 당내에서는 자주파와 평등파의 갈등이 있었으며, 친북 종북 성향 논란, 전공노, 전교조 관련 수사 논란, 해산 청원 등 여러 사건과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좌익 정치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은 2011년 여러 정당의 통합으로 결성되어 2012년 총선에서 제3당으로 도약했으나, 부정, 분열, 내란음모 혐의 등의 논란 끝에 2014년 헌법재판소의 해산 결정으로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해산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의 좌익 정치 -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로동당은 1946년 결성된 남한의 좌익 정당으로, 이승만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테러와 게릴라전을 전개하다가 대한민국에서 소멸했다.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건설국민승리21
건설국민승리21은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 후보 낙선을 목표로 노동운동계를 기반으로 결성된 정당으로, 권영길 후보를 추대하여 대선에 참여했으나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한 후 민주노동당 창당을 위해 해산했다.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민중연합당
민중연합당은 노동자, 농민, 청년 등 99% 민중의 연합을 표방하며 자주와 평화를 강조하는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다양한 내부 정당들이 각 계층의 목소리를 대변했으나 20대 총선에서 원내 진입에 실패하고 새민중정당과 합당하여 민중당으로 재편되었다.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은 2011년 여러 정당의 통합으로 결성되어 2012년 총선에서 제3당으로 도약했으나, 부정, 분열, 내란음모 혐의 등의 논란 끝에 2014년 헌법재판소의 해산 결정으로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해산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 원내정당 -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은 2017년 당명 변경 이후 2020년 미래통합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한 대한민국의 보수 정당으로, 자유무역과 미국, 일본과의 협력을 중시하며, 4대강 사업 추진 등의 행보를 보였다.
민주노동당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이름 | 민주노동당 |
한자 이름 | 民主勞動黨 |
로마자 표기 | Minjunodongdang |
약칭 | KDLP |
창당일 | 2000년 1월 30일 |
해산일 | 2011년 12월 5일 |
후계 정당 | 통합진보당 |
본부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 2가 25-1, 종도빌딩 |
상징색 | 주황색 |
표어 | 일하는 사람들의 희망 |
마스코트 | 캐치 |
![]() | |
지도부 | |
대표 | 이정희 |
원내대표 | 강기갑 |
이념 및 정치 성향 | |
정치 성향 | 좌익 |
이념 | 진보주의 민주사회주의 (PD) 한국 민족주의 (NL) |
파벌 | 자주파 평등파 |
관련 활동 | |
기관지 | 진보정치 |
정책 연구소 | 진보정치연구소 |
기타 | |
웹사이트 | 민주노동당 (폐쇄) |
2. 역사
민주노동당의 기원은 1987년 한국 민주화 운동에서 활동했던 민족해방(NL)과 민중민주(PD)라는 두 개의 주요 그룹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NL은 대한민국 사회를 미국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본 반면, PD는 고도로 발전된 자본주의 체제로 규정했다. 그 결과 NL은 북한과의 연대를 통한 민족 해방을, PD는 노동 계급 투쟁을 통한 사회주의를 지지했다.[7]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기존의 학생 운동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PD 그룹 내에서는 노회찬 등 일부 지도자들이 마르크스-레닌주의적 전위 정당 모델보다 사회민주적 대중 정당의 개념을 받아들였다. 결과적으로 PD의 상당 부분은 마르크스주의에서 벗어나 북유럽식 사회시장경제의 개념을 채택했다.
NL의 경우, 1994년 김일성 사망으로 자주 혁신파와 자주 단결파로 분열되었다.[8] 단결파는 기존의 주체 사상을 고수한 반면, 혁신파는 주체 사상에서 벗어난 대중적 민족주의 운동을 지지했다. 2000년 군자산(군자산의 약속)에서 격렬한 논쟁 끝에 혁신파 지도자들은 대중 정당을 결성하고 중앙 정치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민주노동당은 1997년 권영길을 대통령 선거 후보로 지명했던 21세기쟁취인민연합을 전신으로, 2000년 총선 직전에 재편되어 여러 선거구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2002년 지방 선거에서 평균 8%의 득표율을 얻으며 주요 정치 세력으로 자리매김했다. 봉준호 감독[9] 등 저명한 문화계 인사들의 지지를 얻었고, 기존 양대 정당인 민주당과 보수당인 한나라당 정치에 실망한 젊은 세대와 노동계층으로부터 상당한 지지를 받았다. 2004년 총선에서 10석을 얻어 국회 제3당이 되었다.
2004년 총선 승리 이후 민주노동당은 사회민주주의 성향의 “평등파”와 친북 성향의 “자주파” 간의 내부 갈등을 겪었다. 평등파는 “무상복지”, “무상의료”와 같은 사회복지 정책을 추진한 반면, 자주파는 반미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 통일 의제에 집중했다.[10] 평등파는 대중적 지지를 얻기 쉬운 복지 정책을 내세웠지만, 개인주의적 조직 스타일과 엘리트주의적 편향으로 당내 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자주파는 대중적 지지는 낮았지만, 공동체적 문화 덕분에 당내에서 상당한 지지를 확보했다.
2006년 당 대표 선거에서 평등파는 조승수 전 의원을, 자주파는 노동 운동가 문성현을 후보로 지명했다. 선거는 접전 끝에 문성현이 53.6%의 득표율로 승리하며 자주파가 당의 주도권을 잡았다. 자주파 대표이자 정책위원장이었던 이용대는 평등파가 북한의 핵실험을 비판하는 결의안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북한의 핵무기가 미국 제국주의에 대한 방어 수단이라고 주장하여 언론의 비난을 받았다.[11] 2007년 대선에서 자주파는 “코리아 연방”(코리아 연방|코리아 연방한국어)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웠으나, 이는 당의 참패(득표율 3%)로 이어졌다.[12]
대선 패배 이후 평등파는 심상정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가 다룬 주요 문제 중 하나는 2006년 일심회 사건이었다. 평등파는 관련자들의 즉각적인 제명을 주장했지만, 자주파는 당이 반공주의적 압력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고 맞섰다. 결국 자주파의 주장이 근소한 표 차이로 승리했고, 평등파는 자주파의 친북 성향과의 불화를 이유로 2008년 2월 민주노동당을 탈당하여 진보신당을 창당했다. 당의 분열은 양측 모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2008년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은 5석을 얻는 데 그쳤고, 진보신당은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2008년 총선 참패 이후, 민주노동당은 이명박 정부의 친미적인 정책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커지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 반대 시위를 주도하며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다. 한미 FTA 주요 합의에 대한 논란은 자주파의 반미적 입장에 대한 지지도를 높였다. 민주노동당은 한국노총과 연대하여 이명박 정부의 반노동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를 조직함으로써 세력을 더욱 강화했다. 동시에 ‘무상급식’ 주장과 같이, 이전에 평등파가 주장했던 일부 정책을 채택했다.[13] 이정희와 같은 당의 유명 인사들은 국회에서 보수적인 한나라당에 맞서 목소리를 높이며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2010년 지방 선거에서 민주노동당은 총 150석을 획득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한국 좌파 정당의 역대 최고 성적이었다. 이러한 승리의 많은 부분은 진보적인 민주당과의 “야권연대” 결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으로 나뉜 좌파 진영 내 분열은 선거 과정에서 어려움을 야기했다.
이러한 분열에 대응하여 민주노동당은 2011년 진보신당과의 통합을 추진했다. 같은 시기에, 전 보건복지부 장관 류시민이 창당한 참여당도 민주노동당의 좌파 재편 노력에 동참했다. 2011년 12월, 세 정당은 합당에 합의하여 통합진보당을 창당했다.
년도 | 월일 | 주요 사건 |
---|---|---|
2000년 | 1월 30일 | 민주노동당 창당대회 개최. 정식으로 발족 |
4월 13일 | 제16대 총선. 후보를 출마시켰으나 의석을 획득하지 못했고, 득표율 2% 미만으로 정당 등록이 취소됨 | |
5월 24일 | 재창당 (대표자: 권영길) | |
2002년 | 6월 13일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단체장 2명, 광역자치단체 의원 지역구 및 비례대표에서 11명 당선. |
12월 19일 | 대통령 선거.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 3.9% 득표 (3위) | |
2004년 | 4월 15일 | 제17대 총선. 10명 (지역구 2명/비례대표 8명) 당선, 원내 진출 |
2006년 | 5월 31일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 의원 15명 (지역구 5명/비례대표 10명), 기초의회 의원 66명 (지역구 52명/비례대표 14명) 당선. 광역·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 없음 |
2007년 | 12월 19일 | 대통령 선거. 권영길 후보 3.0% 득표 (4위) |
2008년 | 4월 9일 | 제18대 총선. 5명 (지역구 2명/비례대표 3명) 당선, 전회보다 당선자 수 감소 |
6월 4일 | 지방의회 재보궐선거. 광역의회 의원 1명 당선[49] | |
7월 25일 | 당 대표 선거에서 강기갑 68.3% 득표율로 당선, 대표 취임.[50] | |
10월 29일 | 지방의회 재보궐선거, 기초의회 의원 1명 당선[51] | |
2009년 | 4월 30일 | 국회의원 및 지방의회 재보궐선거. 광역의원과 기초의원 각 1명씩 당선. |
2010년 | 6월 2일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3명, 광역의회 15명, 기초의회 51명 당선. |
7월 15일 | 당 지도부 선거에서 이정희 의원 당선, 7월 26일부터 당 대표 (임기 2년) 취임. | |
2011년 | 1월 20일 | “진보대통합과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연석회의) 제1차 대표자 회의 |
4월 27일 | 국회의원 및 자치단체장 등 재보궐선거. 전라남도 순천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선 외, 울산광역시 동구청장 당선 등 총 4명 당선 | |
5월 6일 | 연석회의 3차 회의, 1차 합의문 발표 | |
6월 1일 | 연석회의 6차 회의에서 9월에 새로운 진보정당 결성에 최종 합의. | |
8월 28일 |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9월 25일에 통합 진보정당 창당대회 개최 합의. | |
11월 27일 | 대의원 대회에서 참여당과의 통합 최종 승인 | |
12월 15일 | “통합진보당”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정당 등록. 민주노동당은 신설 합당으로 소멸. | |
2. 1. 창당과 원내 진출 (1997년 ~ 2004년)
민주노동당은 1997년 10월에 결성된 국민승리21을 전신으로 한다. 국민승리21은 199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권영길 후보를 내세웠으나 1.1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19] 이후, 민주노총과 노회찬 대표의 '민중정치연합' 등 진보 세력을 중심으로 2000년 1월 30일 민주노동당이 창당되었으며, 권영길이 대표로 선출되었다.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의석 확보에 실패했지만, 평균 13.1%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기초단체장 2명, 광역의원 11명(비례대표 9명 포함)을 당선시키고, 정당 득표에서 8.13%를 얻어 약진했다.[19] 같은 해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권영길 후보는 3.98%를 득표했다.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비례대표 투표 제도 도입에 힘입어 10석을 확보, 원내 제3당으로 도약하는 성과를 거두었다.[20]
년도 | 월일 | 주요 사건 |
---|---|---|
2000년 1월 30일 | 민주노동당 창당대회 개최. 정식으로 발족 | |
2000년 4월 13일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를 출마시켰으나 의석을 획득하지 못했고, 득표율 2% 미만으로 정당 등록이 취소됨 | |
2000년 5월 24일 | 재창당 (대표자: 권영길) | |
2002년 6월 13일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단체장 2명, 광역자치단체 의원 지역구 및 비례대표에서 11명 당선. | |
2002년 12월 19일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 3.9% 득표 (3위) | |
2004년 4월 15일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10명 (지역구 2명/비례대표 8명) 당선, 원내 진출 |
2. 2. 원내 활동과 내부 갈등 (2004년 ~ 2008년)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노동당은 10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하며 제도권 정당으로 진입했다. 권영길(창원시 을) 의원과 조승수(울산 북구) 의원이 지역구에서 당선되었고, 정당 투표에서 13.03%를 득표하여 8명의 비례대표를 당선시키는 큰 성과를 얻었다. 이는 '44년 만의 진보 정당 원내 진출'로 묘사되었다.[54] 총선 직후 치러진 제2기 지도부 선거에서는 김혜경 후보가 대표로 선출되었다.그러나 2005년 9월, 조승수 의원이 의원직 상실에 해당하는 대법원 판결을 받았다. 이는 17대 총선 당시 울산 북구의 음식물 자원화 시설 관련 간담회에서의 발언이 문제가 된 결과였다. 이후 10월 26일 재선거에서 민주노동당 정갑득 후보가 한나라당 윤두환 후보에게 패배하면서, 민주노동당의 의석 수는 총 9석으로 줄었다. 민주노동당은 조승수 의원의 의원직 박탈이 뇌물수수 등의 범죄사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탄압이라고 비판했다.
2005년 8월 24일, 김혜경 대표는 방북 중 평양 신미리 애국열사릉을 참배하며 방명록에 "당신들의 ‘애국의 마음’을 길이길이 새기겠다"는 내용의 서명을 남겨 논란이 되었다.[54] 같은 해 10월, 울산 북구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김혜경 대표를 비롯한 전 지도부가 총사퇴했고, 권영길 임시대표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되었다.
2006년 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새로운 지도부 선출을 위한 당직선거가 치러졌다. 주대환, 문성현, 조승수 세 후보가 대표 후보로 도전했고, 2차 투표 끝에 자주파의 지지를 받은 문성현 후보가 2006년 2월 10일 새 대표로 당선되었다. 이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역의원 15명(비례 10명 포함), 기초의원 66명이 당선되었으며, 정당득표에서 12.1%를 득표했다.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자주파의 지지를 받은 권영길 의원이 평등파의 지지를 받은 심상정, 노회찬 두 후보를 누르고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17대 대선에서 권영길 후보는 3.0%의 득표율(712,121표)을 기록하며, 2004년 총선의 13.03%는 물론, 2002년 대선의 3.9%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은 곳은 울산광역시(8.4%)였다.
대선 이후 민주노동당은 진보신당과의 분당 과정을 겪게 되는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지도부 책임론: 대선 패배 이후 자주파의 지지를 받던 문성현 대표가 퇴진하고, 평등파 심상정 의원이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심상정 위원장은 혁신안을 통해 자주파의 대북정책을 비판하고 진보정당으로서의 혁신을 추구했으나, 이는 당내 논쟁을 야기했다. 혁신안의 핵심은 일심회 사건 관련 당원 제명, 자주파 간부 2선 후퇴, 정파등록제 도입 등이었다.
- 당직선거 문제: 인터넷 투표를 악용한 대리투표와 오프라인 투표에서의 "몰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대선 이후 부산 지역위원회 위원장 투표에서 평등파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왔음에도 자주파가 의도적으로 낙선시키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부산에서 상당한 탈당으로 이어졌다.
- 북핵 문제와 종북주의 논란: 2005년 북한의 핵보유 선언과 2006년 북한 핵실험에 대한 입장 차이로 자주파와 평등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평등파는 북한 핵실험 규탄을 주장한 반면, 자주파는 북핵이 미국의 위협에 대한 자위적 측면이 있으므로 일방적으로 규탄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 조승수 전 의원은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신당 창당의 목적을 자주파의 친북 종북주의 문제로 규정할 정도로 논란이 지속되었다.[54]
결국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당내 혁신에 한계를 느낀 당원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진보정당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2008년 1월 11일 부산 해운대 평당원 52명의 탈당을 시작으로 분당 과정이 시작되었고, 탈당한 당원들과 평등파 일부는 '새로운 진보정당 운동'을 발족했다. 이들은 2월 3일 민주노동당 임시당대회(분당대회) 이후 진보신당 창당에 주력했다.
자주파 대의원들은 국가보안법 피의자 이중처벌 등을 이유로 혁신안을 반대했다. 자주파와 평등파에 속하지 않는 제3세력 중 일부는 자주파의 패권주의적 당 운영을 비판하면서도, 평등파가 자주파를 대체하여 당내 권력을 쥐려 하고 정파등록제를 통해 다른 계파를 통제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2008년 2월 8일, 민주노동당 임시당대회에서 자주파 성향 대의원들의 반대로 혁신안의 핵심 내용은 부결되었고, 자주파의 수정안대로 통과되었다. 혁신안 부결 이후 심상정 위원장을 비롯한 비대위원 전원이 사퇴했고, 김혜경, 주대환, 김종철, 심재옥, 홍승하, 김기수 등 민주노동당 제1, 2기 지도부 인사들과 심상정, 노회찬, 조승수, 단병호 의원이 탈당했다. 2008년 4월까지 16,904명의 당원이 탈당했고, 당원 수는 9만 4천여 명으로 줄었다. 탈당한 사람들 중 일부는 2008년 2월 21일 '진보신당연대회의' 준비위원회를 결성했고, 3월 진보신당 창당이 공식 선언되면서 민주노동당은 분당되었다.[54]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보다 득표가 감소하면서 자주파의 종북 문제와 당직선거 부정 문제 등이 불거졌다. 2007년 12월 29일, 문성현 최고위는 심상정 전 원내수석부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천한 뒤 총사퇴했다.[54] 2008년 1월 12일, 중앙위원회는 심상정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인준했다.
2008년 2월 3일, 민주노동당 당대회에서는 대선 패배 평가와 일심회 사건 관련 당원 제명안 등 비대위의 혁신안이 모두 부결되었다. 이에 심상정 비상대책위원장을 포함한 비대위원들과 평등파 당원들이 탈당하여 진보신당을 창당했다.[54] 2008년 2월 19일, 민주노동당 중앙위원회는 천영세 대표대행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인준했다.
2004년 총선 이후 민주노동당은 사회민주주의 성향의 “평등파”와 친북 성향의 “자주파” 간의 내부 갈등을 겪었다. 평등파는 “무상복지”, “무상의료”와 같은 사회복지 정책을 추진한 반면, 자주파는 반미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 통일 의제에 집중했다.[10]
평등파는 대중적 지지를 얻기 쉬운 복지 정책을 내세웠지만, 개인주의적 조직 스타일과 엘리트주의적 편향으로 당내 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자주파는 대중적 지지는 낮았지만, 공동체적 문화 덕분에 당내에서 상당한 지지를 확보했다.
2006년 당 대표 선거에서 평등파는 조승수 전 의원을, 자주파는 노동 운동가 문성현을 후보로 지명했다. 선거는 접전 끝에 문성현이 53.6%의 득표율로 승리하며 자주파가 당의 주도권을 잡았다.
자주파 대표이자 정책위원장이었던 이용대는 평등파가 북한의 핵실험을 비판하는 결의안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북한의 핵무기가 미국 제국주의에 대한 방어 수단이라고 주장하여 언론의 비난을 받았다.[11] 2007년 대선에서 자주파는 “코리아 연방”(코리아 연방|코리아 연방한국어)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웠으나, 이는 당의 참패(득표율 3%)로 이어졌다.[12]
대선 패배 이후 평등파는 심상정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가 다룬 주요 문제 중 하나는 2006년 일심회 사건이었다. 평등파는 관련자들의 즉각적인 제명을 주장했지만, 자주파는 당이 반공주의적 압력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고 맞섰다.
결국 자주파의 주장이 근소한 표 차이로 승리했고, 평등파는 자주파의 친북 성향과의 불화를 이유로 2008년 2월 민주노동당을 탈당하여 진보신당을 창당했다. 당의 분열은 양측 모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2008년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은 5석을 얻는 데 그쳤고, 진보신당은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54]
2006년 10월, 386세대 출신의 전 학생운동가들이 연루된 일심회 사건과 관련하여 여러 간부들이 국가정보원과 검찰에 체포되었고, 이후 유죄가 확정되었다. 2007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권영길 후보는 3.0%의 득표율로 5위에 그쳤다. 이 패배를 계기로 자주파의 친북 노선을 노회찬 등 평등파가 강하게 비판하며 당내는 분열 위기에 놓였다. 2008년 1월에는 비상대책위원회가 설치되고, 평등파를 중심으로 일심회 사건에 대한 총괄 및 친북 노선 전환 움직임이 나타났으나, 일심회 관계자 제명을 골자로 한 개혁안이 2월 3일 임시 당대회에서 부결[21]되자, 민주노총 산하 노조 및 지역 당직자·당원들의 집단 탈당이 잇따랐다.[22][23][24]
민주노동당에서 탈당한 신당파는 2008년 1월 26일 “새로운 진보운동(새로운 진보정당)” 출범식을 열고 진보신당 창당에 나섰다. 발족 선언문에서 (1) 실질적인 적녹 연대 실천으로 지구 온난화 문제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 (2) 자본주의 극복의 원칙과 실현 방식의 다원성 인정, (3) 비정규직과 중소기업, 여성 노동자를 대변하는 새로운 노동을 형성, (4) 생활 영역에서 진보적인 지방 정치의 독자적 전망 구축을 명시했다.[25] 북한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남북을 ‘민족적 특수 관계’ 이전에 주권 국가로서 국가 대 국가의 관계로 인식한다”고 밝혔다. 3월 2일 민주노동당에서 탈당한 심상정과 노회찬 의원을 중심으로 결성된 “진보신당”의 창당 준비회 발족식이 열리고, 진보신당이 사실상 출범하면서 민주노동당은 분열되었다.[26]
2. 3. 분당 이후와 재도약 (2008년 ~ 2011년)
2008년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은 창원시 을 선거구에서 권영길 후보, 사천시 선거구에서 강기갑 후보가 각각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비례대표는 곽정숙, 홍희덕, 이정희 세 명의 후보가 당선되어 지난 2004년보다 5석 줄어든 5명의 국회의원이 당선되었다.[54] 권영길 의원은 진보정당 국회의원으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지역구에서 재선에 성공하였고, 강기갑 의원은 한나라당의 사무총장이자 이명박 대통령의 대표적인 측근인 이방호보다 182표를 더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노동당의 정당 지지율은 2004년 총선의 13.1%에 못 미치는 5.7%를 기록했으며, 진보신당의 2.9%를 합쳐도 9%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2007년 대선에서 권영길 후보가 얻은 3.0%의 득표율보다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총선이 끝난 5월 초부터 한미 쇠고기 협상 논란이 불거져 나오자, 민주노동당은 강기갑 의원을 중심으로 졸속협상 비판, 이명박 정부를 상대로 한 투쟁에 돌입했다. 당 지도부가 일주일 동안 단식농성을 치렀으며, 이후에는 협상 내용을 비판하는 촛불 집회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활동에 힘입어 5월 말에는 정당 지지율이 10.3%에 이르기도 했다.[55] 이후 강기갑이 당 대표에 선출되고, 이정희 의원이 정책위의장이 되는 등, 국회의원단과 긴밀한 연관성이 있는 구조로 체제를 개편하였다.
2009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의 텃밭으로 알려진 호남 지역에서 1명의 광역의원, 1명의 기초의원을 당선시켰다. 울산 북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는 김창현 후보가 출마하였다가 진보신당 조승수와의 여론조사 단일화를 이루며 사퇴하였고, 조승수가 울산 북구에 당선되었다. 이에 대해 민주노동당에서는 "진보진영 단일후보 조승수 후보의 승리에 박수를 보낸다."는 논평을 냈다.[56]
2010년 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 국민참여당, 창조한국당과 함께 야권 후보 단일화에 합의해 인천광역시에서 기초단체장 2명을 배출했고, 36명의 광역의원을 당선시켰다.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야권 후보 단일화로 전남 순천에서 최초로 호남 출신 국회의원인 김선동 후보를 당선시켰다.
2010년에는 경향신문과 민주노동당 간의 마찰이 있었다. 경향신문은 '삼대세습을 비판 하는 것이 진보정당이 할 일'이라며 민주노동당을 비판했고, 이에 대해 민주노동당은 이것은 색깔론과 같은 것이라며 경향신문을 비판하며 일부에서는 절독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11월 23일 연평도 포격에 대해서 민주노동당이 왜 비판하지 않느냐는 여론이 있었는데, 민주노동당은 6.15 남북 공동선언을 기초하여 이들 여론에 대해서 입장을 밝혔다.
2009년 6월 21일, 민주노동당 대회는 이명박 정부를 독재정권으로 규정하고 이에 맞서기 위해 민주당, 국민참여당 들과 연대할 것을 결의하였다.
2008년 총선에서 참패한 후, 민주노동당은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다. 이명박 정부의 극우적이고 친미적인 정책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커지면서, 민주노동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반대 시위를 주도하며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했다. 한미 FTA 주요 합의에 대한 논란은 자주파의 반미적 입장에 대한 지지도를 높였다.
민주노동당은 한국노총과 연대하여 이명박 정부의 반노동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를 조직함으로써 세력을 더욱 강화했다. 동시에 ‘무상급식’ 주장과 같이, 이전에 평등파가 주장했던 일부 정책을 채택했다.[13] 이정희와 같은 당의 유명 인사들은 국회에서 보수적인 한나라당에 맞서 목소리를 높이며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2010년 지방 선거에서 민주노동당은 총 150석을 획득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한국 좌파 정당의 역대 최고 성적이었다. 이러한 승리의 많은 부분은 진보적인 민주당과의 “야권연대” 결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으로 나뉜 좌파 진영 내 분열은 선거 과정에서 어려움을 야기했다.
이러한 분열에 대응하여 민주노동당은 2011년 진보신당과의 통합을 추진했다. 같은 시기에, 전 보건복지부 장관 류시민이 창당한 참여당도 민주노동당의 좌파 재편 노력에 동참했다. 2011년 12월, 세 정당은 합당에 합의하여 통합진보당을 창당했다.
년도 | 월일 | 주요 사건 |
---|---|---|
2008년 | 4월 9일 | 제18대 총선. 5명 (지역구 2명/비례대표 3명) 당선, 전회보다 당선자 수 감소 |
6월 4일 | 지방의회 재보궐선거. 광역의회 의원 1명 당선[49] | |
7월 25일 | 당 대표 선거에서 강기갑 68.3% 득표율로 당선, 대표 취임.[50] | |
10월 29일 | 지방의회 재보궐선거, 기초의회 의원 1명 당선[51] | |
2009년 | 4월 30일 | 국회의원 및 지방의회 재보궐선거. 광역의원과 기초의원 각 1명씩 당선. |
2010년 | 6월 2일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3명, 광역의회 15명, 기초의회 51명 당선. |
7월 15일 | 당 지도부 선거에서 이정희 의원 당선, 7월 26일부터 당 대표 (임기 2년) 취임. | |
2011년 | 1월 20일 | “진보대통합과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연석회의) 제1차 대표자 회의 |
4월 27일 | 국회의원 및 자치단체장 등 재보궐선거. 전남 순천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선 외, 울산광역시 동구청장 당선 등 총 4명 당선 | |
5월 6일 | 연석회의 3차 회의, 1차 합의문 발표 | |
6월 1일 | 연석회의 6차 회의에서 9월에 새로운 진보정당 결성에 최종 합의. | |
8월 28일 |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9월 25일에 통합 진보정당 창당대회 개최 합의. | |
11월 27일 | 대의원 대회에서 참여당과의 통합 최종 승인 |
2. 4. 통합진보당 창당과 해산 (2011년)
2011년 1월부터 2012년 총선과 대통령 선거 승리를 목표로 진보신당을 포함한 통합 신당 추진을 위한 협의가 진행되어, 6월 1일 새벽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35] 9월에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등이 통합하여 새로운 진보 정당을 창당할 예정이었지만,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내부에서는 성급한 통합에 대한 반발이 거셌고, 진보신당 부대표 3명이 최종 합의안에 반대를 표명하는 등 9월 신당 결성까지는 여러 어려움이 예상되었다.[36]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통합이 진행되는 한편,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통합 문제도 제기되었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가까운 소위 "친노" 그룹이 결성한 국민참여당과의 통합을 통해 진보주의 정치 세력 확대를 꾀하고,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논의를 심화시켜 진보신당 내 통합파의 합류를 기대하는 민주노동당 주류파의 의도가 배경이었다. 이러한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문제에 대해 진보신당은 "자유주의 세력과의 야합이다"라며 강하게 반발했다.[37] 조승수 진보신당 대표는 국민참여당 문제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9월 25일에 창당대회를 개최한다는 제안을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에게 제안했고, 이 대표가 이를 수용하면서 일단락되었다.[38] 그러나 9월 4일 진보신당 당대회에서 민주노동당과의 합당안에 대한 찬성표가 필요한 3분의 2에 미치지 못해 부결됨으로써, 진보신당과의 합당 논의는 종결되었다.[39]
9월 25일 당대회를 앞둔 21일, 민주노동당 전 대표인 권영길, 강기갑, 천영세는 통합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 반면, 이정희 대표는 대의원들에게 보낸 서한을 매스컴에 공개하여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추진을 호소하며 맞섰다.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문제를 둘러싸고 전 대표와 현 대표가 상반된 입장을 보이면서 당내 분열은 더욱 명확해졌다.[40]
당내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25일 당대회에서 국민참여당과의 통합안에 대한 찬반 투표가 실시되었으나, 필요한 3분의 2에 미치지 못해 통합안은 부결되었다. 이로써 작년 말부터 이어져 온 진보 세력 통합을 위한 움직임은 아무런 성과 없이 표류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진보 정치 세력은 국민참여당과의 통합에 찬성한 민주노동당 주류파와 반대한 비주류파, 민주노동당과의 통합에 찬성한 진보신당 주류파와 반대한 비주류파, 그리고 국민참여당으로 5개의 세력으로 분열되었다.[41] 당의 국회의원 6명 중 4명이 통합안에 반대표를 던졌다.
결국 통합은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을 탈당한 심상정, 노회찬 등이 참여하는 통합연대, 국민참여당이 참여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11월 10일 실무 협의에서 통합 방식에 합의에 이르렀다.[42] 11월 20일,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및 통합연대 3당은 진보 통합 정당 건설 추진을 선언했다.[43] 11월 27일 대의원 대회에서 재적 대의원 627명 중 565명의 찬성으로 통합안이 승인되었다.[44] 12월 5일,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및 통합연대는 당의 합병을 선언하고, 통합진보당이 사실상 출범하게 되었다.[45] 12월 15일, "통합진보당"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신설 합당 방식으로 정당 등록됨에 따라 민주노동당은 역사의 막을 내렸다.[46][47]
년도 | 월일 | 주요 사건 |
---|---|---|
2011년 | 1월 20일 | “진보대통합과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연석회의) 제1차 대표자 회의 |
5월 6일 | 연석회의 3차 회의, 1차 합의문 발표 | |
6월 1일 | 연석회의 6차 회의에서 9월에 새로운 진보정당 결성에 최종 합의. | |
8월 28일 |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9월 25일에 통합 진보정당 창당대회 개최 합의. | |
9월 4일 | 진보신당 당대회에서 민주노동당과의 통합안 부결 | |
9월 25일 | 당대회에서 국민참여당과의 통합안에 대한 대의원 투표에서 통합안 부결 | |
11월 27일 | 대의원 대회에서 통합 최종 승인 | |
12월 15일 | “통합진보당”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정당 등록. 민주노동당은 신설 합당으로 소멸. | |
민주노동당은 민중의 정치세력화를 위해 노력하며, 과거 진보정당 운동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 의지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했다. 또한, 민주와 평등, 해방의 길을 추구하며, 전 세계 노동자 계급 및 억압받는 민중과의 국제 연대를 통해 정의와 평화가 넘치는 인류 공동체를 건설하고자 했다.
3. 이념 및 정책
민주노동당은 부유세 신설을 통한 빈부 격차 해소와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했다.[57] 2002년 대선과 2007년 대선에서는 무상의료, 무상교육 정책을 제시했으며, 이 중 무상 급식은 2010년 ~ 2011년에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정국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 외에도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이자제한법,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같은 서민 정책도 민주노동당이 처음으로 제안했다. 민주노동당이 처음 주장한 부유세는 참여정부에서 종합부동산세로 실현되기도 했다.[57]
민주노동당 내부에는 크게 자주파(자주파|Autonomy faction한국어)와 평등파(평등파|Equality faction한국어)라는 두 개의 주요 파벌이 존재했다.[16] 자주파는 좌익 민족주의를 주장하며, 경기동부연합 등 지역 활동을 기반으로 한 하위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들은 2004년 이후 당의 주류가 되었다. 반면 평등파는 민주사회주의를 주장하며, 사회민주주의를 주장한 연대(자율과 연대|Autonomy and Solidarity한국어) 등 여러 의원 모임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3. 1. 초기 이념과 변화
민주노동당은 1987년 한국 민주화 운동에서 활동했던 민족해방(NL) 계열과 민중민주(PD) 계열 학생 운동 그룹에 뿌리를 두고 있다. 민족해방 계열은 대한민국을 미국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보았고, 민중민주 계열은 고도로 발전된 자본주의 체제로 규정했다.[7]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민중민주(PD) 그룹의 일부는 마르크스주의에서 벗어나 북유럽식 사회시장경제를 지향하게 되었다.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민족해방(NL) 계열은 주체 사상을 고수하는 자주 단결파와 대중적 민족주의 운동을 지지하는 자주 혁신파로 분열되었다. 2000년 군자산(군자산의 약속)에서 자주 혁신파 지도자들은 대중 정당을 결성하기로 결정했다.[8]
민주노동당은 초기에는 좌익 민족주의 이념을 일부 포함한 민주사회주의 정당으로 출발했다. 2000년 1월 30일 창당 당시 강령은 국가보안법 위반을 피하기 위해 이념적 표현을 명확히 하지 않았지만, 실질적으로는 사회주의에 가까운 목표를 제시했다. 여기에는 “노동자와 민중 주체의 자주적 민주 정부 건설”,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사유재산권을 제한하고, 생산수단을 사회화” 등이 포함되었다.
미국에 대해서는 “한반도를 분할하고 동족이 서로 다투는 비극을 가져왔으며, 남북에 군비 경쟁의 소모전을 유도하여 민중의 삶을 황폐화시켰다”고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정치적으로는 국가보안법, 국가정보원, 국군기무사령부 폐지를, 경제적으로는 부유세 신설, 재벌 해체, 토지 국유·공유화 등 사회주의적 정책을 주장했다. 외교·군사적으로는 주한미군 철수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를 요구했다.
2008년 북한에 대한 이념적 분쟁으로 사회주의 성향의 민중민주파(PD)가 탈당하여 진보신당을 창당하면서, 민주노동당은 민족주의 성향의 민족해방파(NL)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민주노동당은 주요 진보 정당인 민주당과의 연대를 강화했고, 2011년 6월에는 당헌에서 "사회주의"를 삭제하고 "진보적 민주주의"로 대체했다.[14][15]
3. 2. 주요 정책
민주노동당은 부유세 신설을 통해 빈부 격차 해소를 주장하고,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했다.[57] 2002년 대선과 2007년 대선에서는 무상의료, 무상교육 정책을 제시했으며, 특히 무상 급식은 2010년 ~ 2011년에 큰 관심을 받으며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57] 이 외에도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이자제한법,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같은 서민 정책도 처음으로 제안했다.[57] 민주노동당이 주장한 부유세는 참여정부에서 종합부동산세로 실현되기도 했다.[57]
대한민국 제17대 국회 기간 동안 민주노동당이 추진한 대표적인 정책들은 다음과 같다.
정치적으로는 국가보안법, 국가정보원, 국군기무사령부를 폐지하고, 군, 경찰, 행정 관료 기구를 민주적으로 개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적으로는 부유세 신설, 재벌 총수 일가의 지분을 강제적으로 유상 환수하는 방법을 통한 재벌 해체, 일정 규모 이상의 토지의 국유·공유화 등 사회주의적 정책을 주장했다. 외교·군사적으로는 주한미군 철수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등을 제시한다.
3. 3. 외교 및 대북 정책
주한미군 철수와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제시했다.[57]
4. 조직
민주노동당은 1997년 대통령 선거에 권영길이 입후보하면서 결성한 국민승리21을 전신으로, 2000년 1월 30일에 창당되었다. 창당 당시 권영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초대 위원장이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민주노동당은 국가보안법에 저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강령에서 이데올로기 정당과 애매한 표현을 사용했지만, 당의 목표를 “노동자와 민중 주체의 자주적 민주 정부 건설”,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사유재산권을 제한하고, 생산수단을 사회화”로 규정하여 실질적으로는 사회주의에 가까운 노선을 추구했다.
정치적으로는 국가보안법, 국가정보원, 국군기무사령부 폐지와 군, 경찰, 행정 관료 기구의 민주적 개조를 주장했다. 경제적으로는 부유세 신설, 재벌 총수 일가의 지분을 강제 유상 환수하는 방법을 통한 재벌 해체, 일정 규모 이상의 토지 국유·공유화 등 사회주의적 정책을 제시했다. 외교·군사적으로는 주한미군 철수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등을 주장했다.
민주노동당은 창당 초기에는 단순한 반체제 단체로 여겨졌으나,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투표 제도 개정으로 의석 확보에 성공하며 제3당으로 도약했다. 이는 제1공화국의 진보당 소멸 이후 정책을 기반으로 한 정당으로서, 기존 한국의 파벌 정당과는 다른 성격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2005년 민주노동당 인사들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문 시 애국열사릉 방명록에 “여러분의 애국심을 영원히 마음속에 새길 것”이라고 적은 것이나, 북한 행사에 참석하여 박수 치는 등의 행동은 북한의 주장에 동조하는 것으로 비판받았다.[19] 2006년에는 문성현 대표를 비롯한 북한 방문단이 방북하여 김일성의 생가인 만경대를 방문했는데, 이에 대해 민주노동당은 “평화”의 메신저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지만, 국내에서는 북한의 “꼭두각시”가 되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민주노동당은 자주파(NL)와 평등파(PD)라는 두 개의 파벌로 나뉘었다. 2008년 일심회 사건을 계기로 평등파는 자주파의 친북 성향을 비판하며 탈당하여 진보신당을 창당했다. (자세한 내용은 '당내 파벌' 하위 섹션 참조)
4. 1. 당내 파벌
민주노동당은 크게 자주파(NL)와 평등파(PD)라는 두 개의 파벌로 나뉘었다.[16]자주파는 민족 해방(NL) 계열로, 대한민국 사회를 미국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보고 북한과의 연대를 통해 민족 해방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7] 이들은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주체사상을 유지하려는 자주 단결파와 주체사상에서 벗어나 대중적 민족주의 운동을 지지하는 자주 혁신파로 나뉘었다.[8] 2000년 군자산에서 혁신파 지도자들은 대중 정당을 결성하고 중앙 정치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자주파는 공동체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당내에서 상당한 지지를 확보했으며, 한국 통일과 반미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의제에 집중했다.[10] 이정희, 김선동, 이용대 등이 대표적인 자주파 정치인이다.
평등파는 민중 민주(PD) 계열로, 대한민국 사회를 고도로 발전된 자본주의 체제로 보고 노동 계급 투쟁을 통한 사회주의를 지지했다.[7]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벗어나 북유럽식 사회시장경제를 지향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등파는 "무상복지", "무상의료"와 같은 사회복지 정책을 주로 추진하며 대중적 지지를 얻었지만,[10] 개인주의적 조직 스타일과 엘리트주의적 편향으로 당내 지지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평등파는 여러 의원 모임으로 분열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생태사회주의를 주장한 전진, 북유럽식 사회민주주의를 주장한 연대, 유로공산주의와 신마르크스주의를 주장한 해방연대 등이 있었다.[16]
2006년 당 대표 선거에서 자주파 문성현 후보가 평등파 조승수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면서 자주파가 당권을 장악했다.[10] 그러나 2006년 북한 핵실험에 대한 입장 차이와[11] 2007년 대선에서 자주파의 "코리아 연방" 슬로건 실패로[12] 당내 갈등이 심화되었다. 2008년 일심회 사건을 계기로 평등파는 자주파의 친북 성향을 비판하며 탈당하여 진보신당을 창당했다.[21]
4. 2. 역대 지도부
대수 | 역대 대표 | 직함 | 임기 | 비고 |
---|---|---|---|---|
1 | 권영길 | 대표 | 2000년 1월 30일 ~ 2002년 3월 16일 | |
2 | 권영길 | 대표 | 2002년 3월 16일 ~ 2004년 6월 6일 | |
3 | 김혜경 | 대표최고위원 | 2004년 6월 6일 ~ 2005년 10월 31일 | 10.26 재보선 패배로 사퇴 |
(임시) | 천영세 | 대표직무대행 | 2005년 11월 1일 ~ 2006년 2월 10일 | 지도부 총사퇴로 직무대행 |
(임시) | 권영길 | 비상대책위원장 | 2005년 12월 5일 ~ 2006년 2월 10일 | 10.26 재보선 패배로 비대위 구성 |
4 | 문성현 | 대표최고위원 | 2006년 2월 10일 ~ 2007년 12월 29일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패배로 사퇴 |
(임시) | 심상정 | 비상대책위원장 | 2008년 1월 12일 ~ 2008년 2월 4일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패배로 비대위 구성, 혁신안 부결되자 사퇴 |
(임시) | 천영세 | 대표직무대행 | 2007년 12월 30일 ~ 2008년 2월 19일 | 비대위 총사퇴로 직무대행 |
(임시) | 천영세 | 혁신비상대책위원장 | 2008년 12월 19일 ~ 2008년 7월 25일 | 진보신당 창당으로 분당되자 혁신비대위 구성 |
5 | 강기갑 | 대표최고위원 | 2008년 7월 25일 ~ 2010년 7월 16일 | |
6 | 이정희 | 대표최고위원 | 2010년 7월 16일 ~ 2011년 12월 5일 | 통합진보당으로 신설합당 |
2000년 1월 30일, 민주노동당 창당대회는 권영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초대 위원장을 당 대표로 선출했다.
2002년 3월 16일, 당 대회에서 경선을 통해 권영길 대표를 재선출했다.
득표순위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김혜경 | 10,702 | 64.4% | 대표최고위원 |
2 | 정윤광 | 4,116 | 24.8% | |
3 | 김용환 | 1,469 | 8.8% | |
총투표수 | 16,287 |
2004년 6월 6일, 당 대회에서 대한민국 제17대 총선 원내진입 이후 대거 유입된 자주파의 지원을 받은 김혜경 부대표를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하였다.
2005년 10월 31일, 김혜경 최고위가 10.26 재보선 패배에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자[54] 12월 5일, 중앙집행위는 권영길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인준했다.
결선투표
2006년 2월 26일, 당 대회에서 진성당원 총투표를 통해 문성현 경남도당 대표를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했다.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보다 득표가 감소하면서 일심회 사건을 비롯한 자주파의 종북 문제와 당직선거 부정 문제 등이 불거지자,[54] 2007년 12월 29일, 문성현 최고위는 심상정 전 원내수석부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천한 뒤 총사퇴했다.
이후 2008년 1월 12일, 중앙위원회는 심상정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인준했다.
2008년 2월 3일, 당 대회는 '민주노총에 의존'하고 '친북 논란에 적극적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고 표현하는 대선패배평가와 종북논란을 일으킨 일심회 사건 관련 당원들을 제명하는 등 비대위가 제안한 혁신안을 모두 부결시켰다.[54] 이에 따라 심상정 비상대책위원장을 포함한 비대위원들과 평등파 당원들이 탈당해 진보신당을 창당한다.
2008년 2월 19일, 중앙위는 총사퇴 후 탈당해 진보신당을 창당한 혁신위를 대신해 천영세 대표대행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인준했다.
순위 | 기호 | 이름 | 온라인 | 오프라인 | 총 득표 | 비고 |
---|---|---|---|---|---|---|
득표율 | 득표율 | 득표율 | ||||
1 | 2 | 강기갑 | 7,134 | 73 | 7,207 | 최고위원 |
41.7 | 39.9 | 41.7 | ||||
2 | 5 | 이수호 | 3,261 | 37 | 3,298 | 최고위원 |
19.1 | 20.2 | 19.1 | ||||
3 | 4 | 오병윤 | 1,844 | 2 | 1,846 | 최고위원 |
10.8 | 1.1 | 10.7 | ||||
4 | 5 | 박승흡 | 1,532 | 26 | 1,558 | 최고위원 |
9 | 14.2 | 9 | ||||
5 | 1 | 유덕상 | 1,078 | 7 | 1,085 | rowspan=2 | |
6.3 | 3.8 | 6.3 | ||||
6 | 9 | 최순영 | 753 | 6 | 759 | 여성 몫 최고위원 |
4.4 | 3.3 | 4.4 | ||||
7 | 7 | 이영순 | 678 | 25 | 703 | 여성 몫 최고위원 |
4 | 13.7 | 4.1 | ||||
8 | 6 | 이상현 | 654 | 6 | 660 | rowspan=2 | |
3.8 | 3.3 | 3.8 | ||||
9 | 8 | 우위영 | 168 | 1 | 169 | 여성 몫 최고위원 |
1 | 0.5 | 1 | ||||
합계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 |
2008년 7월 17일, 당 대회는 최고위원 경선을 통해 강기갑 전농 전 부의장, 이수호 전 민주노총 위원장, 오병윤 전 광주시당 위원장, 박승흡 대변인, 최순영 전 부대표, 이영순 전 의원, 우위영 전 문예위원장과 민주노총 몫의 이영희 민주노총 정치위원장과 전농 몫의 최형권 전농 정치위원장을 각각 최고위원으로 선출했으나, 과반 득표자가 없어 대표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1, 2위간 결선투표에 들어갔다.
득표순위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강기갑 | 12,691 | 68.3% | 대표최고위원 |
2 | 이수호 | 5,889 | 31.7% | 최고위원 |
총투표수 | 36,231 |
7월 23일부터 7월 24일까지 진행된 온오프라인 결선투표 결과, 강기갑 전 부의장이 이수호 전 위원장을 꺾고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득표순위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이정희 | 5,082 | 37.3% | 최고위원 |
2 | 장원섭 | 2,600 | 19.1% | 최고위원 |
3 | 김성진 | 2,083 | 15.3% | 최고위원 |
4 | 정성희 | 1,812 | 13.3% | 최고위원 |
5 | 김승교 | 1,508 | 2.1% | |
6 | 김혜영 | 530 | 2.1% | |
총투표수 | 13,615 |
2010년 민주노동당은 7월 3일부터 7월 7일까지 진성당원 총투표로 치러진 당직자선거를 통해 이정희 의원, 장원섭 전 광주시당 위원장, 김성진 전 최고위원, 정성희 전 사무부총장을 일반명부 최고위원으로 선출했다.
대표최고위원은 최고위원 선거 1, 2위를 차지한 이정희 최고위원과 장원섭 최고위원 간의 결선투표를 통해 선출될 예정이었으나, 장원섭 후보의 사퇴로 이정희 후보가 찬반투표를 통해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5. 주요 선거 결과
민주노동당은 창당 직후인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는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으나, 2002년 지방선거에서 기초자치단체장 2명, 광역자치단체의원(지역구 2명, 비례대표 9명)을 당선시키며 성장했다.[19] 특히 비례대표에서는 자유민주연합을 웃도는 8.1%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는 비례대표 투표 제도 도입[20]에 힘입어 10석(지역구 2석, 비례대표 8석)을 확보하며 제3당으로 도약했다. 이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진보당 소멸 이후, 정책 기반 정당으로서 이룬 성과였다.
그러나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는 5석(지역구 2석, 비례대표 3석)으로 의석이 줄었다.
민주노동당의 주요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5. 1. 대통령 선거
선거 | 후보 | 득표수 | % | 결과 |
---|---|---|---|---|
2002년 | 권영길 | 957,148 | 3.9 | 낙선 |
2007년 | 712,121 | 3.0 |
2002년 대선과 2007년 대선에 권영길 후보가 출마하였으나 모두 낙선하였다. 2007년 대선에서는 권영길 후보가 심상정, 노회찬 후보를 누르고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3.0%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5위에 그쳤다.[21]
5. 2. 국회의원 선거
선거 | 대표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 수 | 순위 | 상태 | |||||||
---|---|---|---|---|---|---|---|---|---|---|---|---|---|
득표수 | % | 의석 수 | 증감 | 득표수 | % | 의석 수 | 증감 | 총계 | 증감 | ||||
2000년 | 권영길 | 223,261 | 1.18 | 0 | 신규 | colspan="2" | | 0 | 신규 | 0 | 신규 | 5위 | 원내 진출 실패 | |
2004년 | 920,229 | 4.31 | 2 | 2 | 2,774,061 | 13.03 | 8 | 8 | 10 | 10 | 3위 | 야당 | |
2008년 | 천영세 | 583,665 | 3.39 | 2 | 동일 | 973,445 | 5.68 | 3 | 5 | 5 | 5 | 5위 | 야당 |
2000년 총선 직전 민주노동당으로 재편되면서, 여러 선거구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19] 2004년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은 10석을 얻어 국회 제3당이 되었다.[20]
5. 3. 지방선거
2002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은 평균 8%의 득표율을 얻으며 주요 정치 세력으로 자리매김했다.[9] 2010년 지방 선거에서는 총 150석을 획득하며 한국 좌파 정당의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이러한 승리의 많은 부분은 진보적인 민주당과의 “야권연대” 결성에 기인한다.[13]
6. 사건 및 논란
민주노동당은 당의 활동과 관련하여 여러 사건 및 논란에 휩싸였다.
2010년 2월 6일, 경찰은 전교조와 전공노의 정치활동 혐의를 밝히기 위해 민주노동당 서버를 압수수색하려 했으나, 민주노동당 관계자들이 하드디스크를 빼돌려 논란이 되었다.[58][59][60] 이 과정에서 강기갑 대표 등 당직자 계좌로 흘러들어 간 10억 원의 출처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61]
민주노동당은 친북, 종북 성향 논란에도 휩싸였다.[62] 2006년 북한 핵실험에 대한 입장 차이로 당내 갈등이 있었으며, 2005년 김혜경 당시 대표의 애국열사릉 참배 및 방명록 서명도 논란이 되었다. 2011년에는 이정희 당시 대표가 진보신당의 “북한 3대 세습 반대” 요구를 “분단의 이분법”이라며 비판하여 논란을 일으켰다.[62] 일심회 사건은 민주노동당 내 친북 논란을 더욱 심화시켰다.[21]
민주노동당의 강령은 사회주의에 가까운 내용을 담고 있어, “노동자와 민중 주체의 자주적 민주 정부 건설”,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사유재산권을 제한하고, 생산수단을 사회화” 등을 목표로 규정했다.[10]
2011년 8월 26일, 국민행동본부와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는 민주노동당의 목적 및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된다며 법무부에 해산청원서를 제출했다.[63]
6. 1. 전공노, 전교조 정치활동 수사 관련 논란
2010년 2월 6일, 경찰은 전교조와 전공노의 정치활동 혐의를 밝히기 위해 민주노동당 홈페이지 서버 하드디스크를 압수수색하려 했다. 그러나 민주노동당 관계자들이 하드디스크를 빼돌려 제출하지 않아 논란이 되었다.[58][59][60]경찰은 전교조와 전공노 조합원들의 민주노동당 당원 가입, 당비 납부, 투표 기록 등을 확인하기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KT 인터넷데이터센터(IDC)에 있는 민주노동당 서버를 압수수색했다. 하지만 관련 기록이 저장된 하드디스크 2개가 사라져 압수수색에 실패했다. 이 하드디스크는 서버관리업체 직원이 민주노동당의 요구로 빼내 전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민주노동당은 압수수색이 끝난 줄 알고 당의 재산을 보관한 것이라며 법적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검찰은 "민주노동당 측 주장은 범죄를 정당화하려는 시도"라며 영장 집행 중 증거인멸죄에 해당한다고 반박했다.[58][59][60]
한편, 압수수색 과정에서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되지 않은 민주노동당 계좌에서 10억 원이 강기갑 대표 등 당직자 계좌로 흘러들어 간 사실이 드러났다. 민주노동당이 공식 계좌로 입금되었다거나 노조 조합비라고 밝혔던 돈이 소속 국회의원에게 넘어간 것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었다.[61]
6. 2. 친북 종북 성향 의혹 관련 비판
민주노동당은 당의 행보가 친북, 종북 성향을 보인다는 비판을 받아왔다.[62] 특히 2006년 북한 핵실험에 대한 입장 차이로 당내 자주파와 평등파 사이에 상당한 갈등이 있었다. 평등파는 북한 핵실험을 규탄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자주파는 북핵이 미국에 맞서기 위한 자위적 측면이 있으므로 일방적으로 규탄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11] 이러한 논란은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조승수 전 의원이 신당 창당의 목적을 자주파의 친북 종북주의 문제로 규정할 정도로 심각했다.2005년 8월 24일에는 김혜경 당시 대표가 평양 신미리 애국열사릉을 참배하고 방명록에 "당신들의 ‘애국의 마음’을 길이길이 새기겠다"는 내용의 서명을 남겨 논란이 되기도 했다.[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2011년 5월 30일, 통합진보정당 정책 합의 과정 중 진보신당이 “북한의 3대 세습 반대 입장을 채택하자”고 요구했으나, 이정희 당시 민주노동당 대표는 “분단의 이분법”이라며 비판하여 논란을 일으켰다.[62]
일심회 사건은 민주노동당 내 친북 논란을 더욱 심화시킨 사건이다.[21] 2006년, 386세대 출신의 전 학생운동가들이 연루된 스파이 단체인 일심회 사건과 관련하여 여러 간부들이 체포되었고, 이후 유죄가 확정되었다. 평등파는 관련자들의 즉각적인 제명을 주장했지만, 자주파는 반공주의적 압력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고 맞섰다. 결국 자주파의 주장이 근소한 표 차이로 승리했고, 이에 실망한 평등파는 2008년 2월 민주노동당을 탈당하여 진보신당을 창당했다.[54]
민주노동당의 강령은 사회주의에 가까운 내용을 담고 있었다. 당의 목표를 “노동자와 민중 주체의 자주적 민주 정부 건설”,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사유재산권을 제한하고, 생산수단을 사회화”로 규정하고, “인류사에 면면히 이어지는 사회주의를 계승한 새로운 해방 공동체”를 이상으로 명시했다. 미국에 대해서는 “한반도를 분할하고 동족이 서로 다투는 비극을 가져왔으며, 남북에 군비 경쟁의 소모전을 유도하여 민중의 삶을 황폐화시켰다”고 주장했다.[10]
6. 3. 해산 청원
2011년 8월 26일 국민행동본부(본부장 서정갑)와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위원장 고영주)는 민주노동당의 목적 및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된다며 법무부에 '해산청원서'를 제출하고, 헌법재판소에 민주노동당 해산심판청구를 할 것을 요청했다.[63] 이에 앞서 2011년 8월 12일에는 헌법학자인 김철수 서울대 법대 명예교수가 한 일간지에 기고한 칼럼에서 민주노동당은 헌법적으로 해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3]7. 평가
민주노동당은 한국 사회의 양극화 해소와 복지 확대, 노동 인권 신장 등에 기여했으나, 당내 분열과 갈등, 친북 성향 논란 등으로 인해 국민적 신뢰를 얻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는다.[1]
7. 1. 긍정적 평가
민주노동당은 한국 사회의 양극화 해소, 복지 확대, 노동 인권 신장 등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특히, 무상 급식 정책 도입과 같이 한국 사회의 보편적 복지 담론 형성에 기여한 점이 높이 평가된다. 진보 정치 세력의 대표 주자로서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하고 정치 다양성에 기여한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1]7. 2. 부정적 평가
민주노동당은 당내 분열과 갈등으로 인해 비효율성과 국민적 신뢰 저하 문제를 겪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자주파의 친북 성향 논란은 당의 대중적 지지 기반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 있다.[1] 이러한 문제는 통합진보당 창당 과정에서의 갈등과 분열, 그리고 이후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들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평가를 받는다.[1]참조
[1]
서적
Civil society and democratization in Kore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
서적
Left and right in South Korean poli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
웹사이트
https://ko.m.wikisou[...]
민주노동당 강령개정위원회
[4]
서적
Democracy and Social Change: A History of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s, 1980-2000
https://books.google[...]
Peter Lang
[5]
서적
The South Korean Left's 'Northern Question'
https://books.google[...]
Brill
[6]
서적
Impacts of globalization and restructuring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
웹사이트
https://www.redian.o[...]
레디앙
2009-05-09
[8]
웹사이트
https://www.redian.o[...]
레디앙
2012-06-12
[9]
웹사이트
https://www.labortod[...]
매일노동뉴스
2004-04-09
[10]
웹사이트
https://lib.ansan.ac[...]
이매진
2011
[11]
웹사이트
https://www.hani.co.[...]
한겨레
2006-10-12
[12]
웹사이트
https://www.redian.o[...]
레디앙
2007-12-23
[13]
웹사이트
https://vop.co.kr/A0[...]
민중의소리
2010-03-10
[14]
웹사이트
https://www.labortod[...]
매일노동뉴스
2021-08-30
[15]
웹사이트
http://www.newscham.[...]
참세상
2011-05-19
[16]
웹사이트
https://www.hani.co.[...]
한겨레
2007-12-30
[17]
뉴스
https://www.sisain.c[...]
2008-04-29
[18]
뉴스
‘NL-PD’ 해묵은 갈등이 결국 진보당 발목 잡았다(‘NL-PD’古い葛藤が結局、進歩党の足を引っ張った)
http://www.hani.co.k[...]
2012-06-18
[19]
웹사이트
CLIAIR REPORT 236号:大韓民国の2002年統一地方選挙
http://www.clair.or.[...]
自治体国際化協会
[20]
웹페이지
[21]
뉴스
民主労働党が北スパイ除名案を否決 自主派議員ら歓声、平等派は「もうあきらめた」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2-04
[22]
뉴스
韓国:民労離党ドミノ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08-02-14
[23]
뉴스
韓国:民主労総前職・現職幹部、民主労働党集団離党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08-02-20
[24]
뉴스
現代自の組合員250人、民労党を集団離党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2-22
[25]
뉴스
韓国:進歩新党の創党か、民主労働党の「我流」か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08-01-26
[26]
뉴스
民主労働党が分裂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3-03
[27]
뉴스
民労党新代表に姜基甲氏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7-26
[28]
뉴스
韓国:姜基甲議員、民主労働党代表に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08-07-25
[29]
뉴스
韓国:6.4補欠選、ハンナラ惨敗..牛肉民心で厳しい審判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08-06-05
[30]
뉴스
蔚山チョ・スンス当選...ハンナラ党惨敗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09-04-30
[31]
뉴스
民主労働党、進歩新党...荒波の中に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0-06-03
[32]
뉴스
党代表に女性若手議員 民主労働党
http://rki.kbs.co.kr[...]
KBSワールドラジオ
2010-07-16
[33]
뉴스
민노당, 새 대표 이정희 의원(民労党、新しい代表に李正姫議員)
http://kdlp.org/1436[...]
ヘラルド経済
[34]
뉴스
민노당 크게 웃었다…4명 당선 약진(民労党大笑い・・・4名当選躍進)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1-04-28
[35]
뉴스
‘북 문제’ 진보신당 양보(‘北問題’進歩新党譲歩)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1-06-01
[36]
뉴스
진보대통합 사회당 빼고 합의, 직권조인 내홍 예고
http://www.labornetj[...]
레이버넷
2011-06-02
[37]
뉴스
결국 ‘참여당 벽’ 못 넘고…진보통합 결렬 위기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8-19
[38]
뉴스
민노-진보, 새달 25일 ‘통합정당 창당’ 합의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8-28
[39]
뉴스
민노당-진보신당 통합 끝내 무산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9-04
[40]
뉴스
한국:민노원代表3人が参与党との統合に反対を呼びかけ
http://www.labornetj[...]
레이버넷
2011-09-22
[41]
뉴스
민노당 ‘참여당과 통합안’ 15표 차로 부결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9-25
[42]
뉴스
민노당·참여당·통합연대 ‘진보 3자통합’ 그림 그려졌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11-11
[43]
뉴스
민노-참여-통합연대 진보통합정당 건설 선언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1-11-20
[44]
뉴스
민주노동당, 진보통합 최종 승인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11-27
[45]
뉴스
党合併を公式決定 進歩系3党
http://rki.kbs.co.kr[...]
KBSワールドラジオ
2011-12-05
[46]
웹사이트
중앙당현황
http://party.nec.go.[...]
2011-12-17
[47]
웹사이트
중앙당일람표
http://party.nec.go.[...]
2011-12-17
[48]
기타
제16대는 지역구의 득표율
[49]
뉴스
한나라, 재·보선 참패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6-05
[50]
뉴스
민주노동당의 새로운 대표에 강기갑씨 선출, 임기 2년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8-07-25
[51]
뉴스
민심을 재는 재보궐선거, 한나라당·선진당이 득표 지역에서 승리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8-10-30
[52]
논문
한국 정당의 당원 연구: 이념적 정체성과 당내 민주주의
http://www.dbpia.co.[...]
한국정치학회
2008-06
[53]
뉴스
통합진보당 출범..민노 12년만에 역사속으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12-05
[54]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earch.ccourt[...]
[55]
기타
2008년 5월 마지막주 리얼미터 조사
[56]
웹사이트
민주노동당, 2009년 4월 29일
http://www.kdlp.org/[...]
[57]
뉴스
일하는 사람의 희망과 실망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11-07
[58]
뉴스
“민노당, 하드디스크 2개 빼돌렸다”...경찰 “영장집행 진행 중에 빼내”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0-02-08
[59]
뉴스
검찰 “민노당, 하드디스크 빼돌린 행위는 증거인멸죄”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0-02-08
[60]
뉴스
민노당의 압수수색 비난은 잘못이다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0-02-10
[61]
뉴스
민노당 미등록 계좌 10억 당 지도부 유입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2-12
[62]
뉴스
(제목 없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5-30
[63]
간행물
미래한국
2011-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