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함대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함대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이다. 1938년 2월 중국 전선 지원을 위해 창설되어 하이난 섬 작전, 산터우 공략 등에 참여했다가 1939년 11월 중국 방면 함대로 재편성되었다. 1941년 7월, 북방 해역 초계 및 알류샨 열도 공략을 위해 재창설되었으며, 알류샨 열도 점령, 코만도르스키 제도 해전,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했다. 1945년 2월 제10방면함대에 흡수되어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1함대 (일본)
    제1함대 (일본)는 1903년 창설되어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며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으로 활동하다가 1944년 해체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알류산 열도 전역 - 키스카섬
    키스카섬은 알류샨 열도에 위치하며 1741년 베링에 의해 발견,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점령과 미군 탈환 작전이 있었고 현재는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자연과 전쟁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 알류산 열도 전역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전쟁과 임무 수행을 거쳐 현재는 워싱턴주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를 감독한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연합함대
    연합함대는 청일 전쟁 이후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일본 제국 해군의 주력 부대로서 천황 직속 지휘를 받았으며, 항공모함 함대 결전 사상 실패와 해상 호위 부대 부족으로 궤멸되었고, 현재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자위함대가 그 역할을 일부 계승한다.
제5함대 (일본)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제5함대
원어 명칭(다이고칸타이)
활동 기간1938년 2월 1일 ~ 1939년 11월 15일
1941년 7월 25일 ~ 1945년 2월 5일
국가일본 제국
소속대일본제국 해군
종류특설 함대
규모
규모 정보 없음규모 정보 없음
지휘 체계
지휘 구조지휘 구조 정보 없음
주둔지
주둔지 정보 없음주둔지 정보 없음
장비
장비 정보 없음장비 정보 없음
별칭
별칭 정보 없음별칭 정보 없음
표어
표어 정보 없음표어 정보 없음
색상
색상 정보 없음색상 정보 없음
군가
군가 정보 없음군가 정보 없음
마스코트
마스코트 정보 없음마스코트 정보 없음
전투 및 작전
참전 전투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알류샨 열도 전역
코만도르스키 제도 해전
전투 훈장태평양 전쟁
기념일
기념일 정보 없음기념일 정보 없음
훈장
훈장 정보 없음훈장 정보 없음
지휘관
현재 지휘관현재 지휘관 정보 없음
주요 지휘관곤도 노부타케
식별 기호
식별 기호 정보 없음식별 기호 정보 없음
기타 정보
관련 정보 없음관련 정보 없음

2. 역사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일본 해군은 중국 방면 함대를 지원하기 위해 1937년 10월 20일에 제4함대를 신설했다.[8] 1938년 2월 1일, 제5함대가 증원 부대로 편성되었다.[8] 초대 사령장관은 시오자와 고이치 중장이었고, 참모장은 다유이 조 소장이었다.[8] 시오자와 사령관은 묘코를 기함으로 지정했다.[8]

제5함대의 신설로 중국 방면 함대는 예하에 3개 함대(제3함대, 제4함대, 제5함대)를 거느리게 되었다.[9] 제4함대는 북지 방면, 제3함대는 중지 방면, 제5함대는 남지(화남) 방면에 배치되었다.[10]

제5함대는 샤먼 섬, 광둥, 하이난 섬 공략 작전에 투입되었다. 1938년 5월 1일, 제5함대 사령장관을 지휘관으로 하는 "D부대"가 편성되어 샤먼 공략 작전("D작전")이 시작되었다. 5월 10일에는 해군 육전대가 샤먼 섬에 상륙했고, 5월 20일에 작전이 완료되었다. 10월 상순에는 광둥 공략 작전에 협력했다.

1938년 12월 15일, 제5함대 사령장관은 곤도 노부타케 중장, 참모장은 야마구치 다몬 소장으로 교체되었다.[2] 1939년 1월 19일, 일본은 하이난 섬 공략을 발령했고, 제5함대가 이 작전을 실시했다. 2월 10일, 육해군 부대는 하이난 섬 상륙 작전을 실시했다. 6월 중순부터는 산터우 공략 작전을 실시하여 6월 21일에 점령했다. 10월 20일, 제5함대 사령관은 다카스 시로 중장으로 교체되었다.[2]

1939년 11월, 일본 해군은 중국 방면 함대의 개정을 실시했다. 기존의 제5함대는 '''제2견지함대'''로 개칭되었고, 사령장관은 다카스 시로 중장이 유임되었다.[11] 기함은 묘코에서 쵸카이로 변경되었다.[11]

2. 1. 중일 전쟁 (1938년 ~ 1939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일본군의 작전을 지원하고 해안을 봉쇄하기 위해 1938년 2월 1일에 제5함대가 창설되었다. 초대 사령장관은 시오자와 고이치 중장이었다.[1] 제5함대는 하이난 섬 작전 등 중국 해안 봉쇄 작전에 투입되었다. 1939년 11월 15일, 제2견지함대로 재편성되었다.

;사령장관

  • 시오자와 코이치 중장: 1938년 2월 1일[2] -
  • 곤도 노부타케 중장: 1938년 12월 15일 -
  • 타카스 시로 중장: 1939년 9월 29일 - (개명 후에도 유임)

2. 2. 태평양 전쟁 (1941년 ~ 1945년)

1941년 7월 25일, 일본 북동부 해역의 초계 순찰과 알류샨 열도 공략을 위해 제5함대가 재창설되었다.[1] 당시 일본 해군은 남진론에 따라 남쪽 공격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련의 해상 침략 위협이 희박하다고 판단하여 제5함대는 부차적인 중요성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고, 소수의 경순양함과 소형 함정만이 배속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둘리틀 공습으로 도쿄가 공격받자, 제5함대는 다수의 개조된 무장 상선으로 보강되었다. 미드웨이 해전 작전 계획에는 알류샨 열도를 향한 기만적인 북쪽 공격이 포함되었다. 이를 위해 증강된 제5함대의 순양함들은 "북방 해역 부대"로 지정되어[2] 1942년 6월 6일부터 7일까지 아투 섬과 키스카 섬에 일본군 상륙을 지원했으며, 1943년 3월 27일 코만도르스키 해전에서 미국 해군과 교전했다.[3]

그러나 제5함대는 1943년 5월 미군의 아투 섬 탈환을 막지 못했다. 이후 1943년 8월 5일부터 1944년 12월 5일까지 제5함대는 동북 해역 함대의 작전 통제를 받으며 재편성되었고, 키스카 섬 일본군 철수 및 일본 북쪽 해역 증강을 감독했다.[4]

일본이 알류샨 열도에서 철수한 후, 동북 해역 함대는 1944년 10월 필리핀으로 재배치되어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했다. 살아남은 함선들은 1944년 12월 15일 남서 해역 함대에 합류했다. 1945년 2월 5일, 남서 해역 함대는 일본 해군 제10 해역 함대가 되었고, 이때 제5함대의 행정 조직 잔여 부대가 해체되었다.

3. 지휘부

제5함대는 사령장관과 참모장으로 지휘부가 구성되었다. 역대 사령장관과 참모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역대 사령장관

제5함대 사령장관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
중장시오자와 고이치1938년 2월 1일1938년 12월 15일
중장곤도 노부타케1938년 12월 15일1939년 9월 29일
중장다카스 시로1939년 9월 29일1939년 11월 15일
중장호소가야 보시로1941년 7월 25일1943년 3월 31일
중장가와세 시로1943년 3월 31일1944년 2월 15일
중장시마 기요히데1944년 2월 15일1945년 2월 5일

[6]

3. 2. 역대 참모장

계급이름임명일
1중장타유이 미노루1938년 2월 1일 – 1938년 12월 15일[7]
2중장야마구치 다몬1938년 12월 15일 – 1939년 11월 15일[7]
3중장나카자와 타스쿠1941년 7월 25일 – 1942년 11월 6일[7]
4소장이치미야 요시유키1942년 11월 6일 – 1943년 3월 19일[7]
5소장오와다 노보루1943년 3월 10일 – 1943년 11월 17일[7]
6소장마츠모토 타케시1943년 11월 17일 – 1945년 2월 5일[7]


4. 주요 참전 전투 및 작전

5. 소속 부대

제5함대의 소속 부대는 시기에 따라 변동이 있었다. 다음은 각 시기별 제5함대의 전투 서열을 나타낸 표이다.

시기주요 소속 부대
태평양 전쟁 시작
미드웨이 해전 이후
전시편제제도 개정
마리아나 해전 이후



위의 표에서 제시된 부대 외에도 다양한 함정들이 제5함대에 소속되어 작전을 수행했다.[5]

참조

[1] 서적 Dull, Battle History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2] 서적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Volume IV: Coral Sea, Midway and Submarine Actions, May 1942-August 1942 Little, Brown and Company 1988
[3] 서적 D'Albas, Death of a Navy
[4] 서적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Volume VII: Aleutians, Gilberts, and Marshalls, June 1942-April 1944 Little, Brown and Company 1984
[5] 웹사이트 Pacific War Online Encyclopedia
[6] 웹사이트 Imperial Japanese Navy
[7] 웹사이트 Axis History
[8] 간행물 昭和13年2月9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2833号 p.41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 간행물 昭和14年11月21日(火)海軍公報(部内限)第3365号 p.33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 간행물 昭和14年12月1日(金)海軍公報(部内限)第3373号 p.6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 간행물 昭和14年11月24日(金)海軍公報(部内限)第3367号 p.33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 간행물 昭和16年7月29日(火)海軍公報(部内限)第3857号 p.19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