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함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합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의 주력 부대로, 청일 전쟁 이후 임시 편성되었다가 러일 전쟁, 태평양 전쟁 등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했다. 연합 함대는 천황 직속의 사령관이 지휘했으며, 전함, 항공모함 등 주요 함정들을 포함했다. 하지만, 태평양 전쟁 말기에는 항공모함 함대 결전 사상과 해상 호위 부대 및 대잠 초계 부대 편성이 늦어져 궤멸적인 타격을 입었다. 전쟁 말기에는 사실상 해체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자위함대가 그 역할을 일부 계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4년 설립 - 대한제국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은 갑오개혁으로 설립되어 의회적 성격을 갖추었으나, 공화정 수립 루머로 황제의 견제를 받았으며, 독립협회 폐지 이후 자문기관으로 역할이 축소되다가 1907년 기능이 종식되었다. - 1894년 설립 - 내부 (대한제국)
내부는 1895년 대한제국 고종에 의해 설치되어 이조를 개편하여 설립되었으며, 1910년 경술국치로 폐지된 중앙 행정 기관으로, 지방 행정, 경찰, 토목, 위생 등 다양한 분야를 총괄 지휘하고 지방관과 경무사를 감독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5함대 (일본)
제5함대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제국 해군 함대로 두 차례 창설되었으며, 중일 전쟁 지원과 알류샨 열도 공략 및 북동부 해역 경계 임무 등을 수행하다 해체되었다.
연합함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연합함대 |
로마자 표기 | Rengō Kantai |
존속 기간 | 1894년 ~ 1945년 |
국가 | 일본 제국 |
소속 | 대일본제국 해군 |
종류 | 해군 함대 |
역할 및 규모 | |
역할 | 대해군 구성 요소 |
지휘부 | |
주요 지휘관 | 도고 헤이하치로 야마모토 이소로쿠 도요다 소에무 오자와 지사부로 |
다른 지휘관 | 기타 다수 |
사령장관 | 連合艦隊司令長官 |
역사 | |
주요 참전 |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
2. 역사
메이지 시대 초기, 일본 해군은 주력 부대를 "상비함대", 잠수함 등으로 구성된 해안 방어를 위한 부대를 "보안 함대"라고 불렀다. 그러나 청일 전쟁 개전 이후 "보안 함대"라는 명칭은 전시에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야마모토 곤노효에 대령은 "보안 함대"를 "서해 함대"로 개명하고, "상비함대"와 "서해 함대"를 통합하여 "연합 함대"를 조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이 연합 함대의 시작이었다.
청일 전쟁 개전 6일 만에 최초로 연합 함대가 편성되었으며, 이후 러일 전쟁 등 전시 및 훈련 시에만 임시로 편성되다가 1923년 이후 상설화되었다.
연합 함대는 천황 직속의 연합 함대 사령 장관이 총괄하고 군령에 관해서는 군령부 총장, 군정에 관해서는 해군 장관의 지시를 받았다. 연합 함대 사령부에는 사령관을 보좌하는 막료로 참모장, 참모 부장, 수석 참모, 포술 참모, 수뢰 참모, 항공 참모, 통신 참모, 항해 참모, 기관 참모, 전정무 참모, 정무 참모, 회계사, 군의장, 기관장 등이 배치되었다.
일본 해군은 오랫동안 연합 함대가 대표적이었으며, 전함 등 주력함은 물론이고 구축함, 수송함 같은 보조 함정까지 대다수가 연합 함대에 포함되었다. 또한 연합 함대는 실전 부대의 엘리트라는 생각이 강했고, 유능한 인재를 집중시켰다. 그러나 이는 국지 경비 부대와 해상 호위 부대의 인재 육성을 경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일본 해군은 전함 중심의 함대 결전 사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동시에 항공모함 기동 부대를 편성하여 참신한 함대 운용의 선구자가 되었다. 해군 항공대의 육성, 전함의 함대 결전, 그리고 마지막으로 항공모함 함대 결전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4년 6월 마리아나 해전의 패배로 항공모함 함대 결전 사상은 포기되었고, 1944년 10월 레이테만 전투까지 연합 함대 중심주의의 함대 편성 운영을 하였다. 연합 함대 중심주의는 해상 호위 부대, 대잠 초계 부대 편성에 뒤처지는 결과를 낳았다.
1944년 레이테 만 해전에서 연합함대는 사실상 괴멸되었다. 1945년 4월 전함 야마토 이하 제2함대의 텐고 작전에서의 해상 특공은 레이테만 전투에서처럼 항공 부대의 지원 없이 무모한 돌입 전략을 반복하였다. 오키나와 전투에서 살아남은 전함 "나가토"는 사실상 국지 경비대 해안 포대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특공 병기 "회천", "해룡", "진양" 등을 배포한 특공대가 해군의 주력 함정이 되어 있었다. 전쟁 말기, 연합 함대는 사실상 해체되고 있었다.
2. 1. 창설 배경
메이지 시대 초기, 일본 해군은 주력 함대를 '상비함대', 연안 방어를 위한 부대를 '보안 함대'라고 불렀다. 그러나 청일 전쟁 개전 이후 '보안 함대'라는 명칭이 전시에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야마모토 곤노효에 대령은 '보안 함대'를 '서해 함대'로 개명하고, '상비함대'와 '서해 함대'를 통합하여 '연합함대'를 조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3] 청일 전쟁 개전 6일 만에 최초로 연합 함대가 편성되었으며, 이후 러일 전쟁 등 전시 및 훈련 시에만 임시로 편성되다가 1923년 이후 상설화되었다.[3]2. 2. 청일 전쟁 (1894-1895)
1894년 7월 18일, 상비함대(준비함대라고도 함)와 서해함대를 통합하여 연합함대가 정식으로 창설되었다. 상비함대는 해군의 가장 현대적이고 전투 능력이 뛰어난 군함들로 구성되었고, 서해함대는 일선 전투 작전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지만 통상 보호와 연안 방어에는 여전히 적합한 구식 함선들로 주로 구성된 예비 전력이었다. 이토 스케유키 부제독이 청일 전쟁 기간 동안 초대 연합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연합 함대는 황해 해전, 웨이하이웨이 해전 등에서 청나라 북양함대와 교전했다.
2. 3. 러일 전쟁 (1904-1905)
1904년 러일 전쟁 발발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은 세 개의 함대를 통합 지휘하는 체계로 연합함대를 재편성했다. 제1함대는 주력 전함 부대로, 적 전함 함대와 대결하는 전통적인 함대 결전을 위해 편성되었다. 제2함대는 장갑순양함과 방호순양함으로 구성된 빠르고 기동력 있는 타격 부대였다. 제3함대는 구식 함선으로 구성된 예비 함대였지만, 뤼순항 봉쇄 작전에 투입되었다.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은 러일 전쟁 당시 연합함대 사령관을 맡았다.[3]
연합함대는 쓰시마 해전(1905년 5월 27일, 28일)에서 러시아 발트 함대를 격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당시 기함은 전함 미카사였다.[3]
;러일 전쟁 개전 시 (1903년 12월 28일)
연합함대 |
---|
제1함대 |
제2함대 |
;러일 전쟁 북견함대 편성 시 (1905년 6월 14일)
연합함대 |
---|
제1함대 |
제2함대 |
제3함대 |
제4함대 |
2. 4. 전간기 (1905-1937)
연합함대는 1905년부터 1924년까지 필요에 따라 임시로 편성되었다가 해산되는 것을 반복했다. 1924년, 함대 조직에 관한 칙령에 따라 "당분간" 제1함대와 제2함대로 구성된 상설 조직이 되었다.[2] 그러나 제1함대 사령관이 연합함대를 겸임했기 때문에, 연합함대는 자체 참모 본부를 갖지 않았다.[2]1933년 만주 사변 이후 중국과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연합함대에 상설 참모 본부가 설치되었다.[2] 1930년대 후반, 일본 군함 대부분은 연합함대에 포함되었고, 기지 부대, 특별 육전대, 중국 방면 함대만이 연합함대에 포함되지 않았다.[2]
2. 5. 태평양 전쟁 (1941-1945)

1937년, 연합함대는 대본영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게 되었다. 제1 항공 함대가 진주만 공격을 감행하면서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자, 연합함대는 1943년 4월 부건빌 섬 상공에서 미군에 의해 격추되기 전까지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아래 일본 제국 해군의 주력으로 활동했다. 연합함대는 전함, 항공모함, 항공기 등 일본 해군의 주요 전투력을 구성했다. 연합함대는 미드웨이 해전에서 처음으로 전체가 동원되었다.
미드웨이 해전과 솔로몬 제도 전역에서 항공모함에 큰 손실을 입은 후, 해군은 다양한 지리적 구역에 대한 지역 작전 통제를 위해 여러 "방면 함대"로 재편성되었다. 이후 연합함대는 행정 조직에 더 가까워졌다.
일본에게 전쟁 상황이 악화되고 "방면 함대"가 통제하던 영토가 미국 해군에 의해 하나둘씩 함락되자, 대본영과 일본 해군 군령부는 ''함대 결전'' 철학에 따라 필리핀에서 미국 함대를 "결정적인 전투"로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필리핀 해 해전과 레이테 만 해전에서 일본 함대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2] 연합함대의 잔여 세력은 오키나와현으로 도주했지만, 연료 부족과 공중 엄호의 부재로 인해 추가 작전이 어려워졌다. 전함 ''야마토''의 마지막 자살 작전인 작전 텐고가 진행될 무렵, 연합함대는 더 이상 효과적인 전투력으로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2]
2. 6. 전후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살아남은 전함 "나가토"는 사실상 국지 경비대 해안 포대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특공 병기 "회천", "해룡", "진양" 등을 배포한 특공대가 해군의 주력 함정이 되어 있었다. 전쟁 말기, 연합 함대는 사실상 해체되고 있었다.[1] 해상자위대에는 연합함대에 상당하는 기동 운용 부대로서 자위함대가 있으며, 자위함대 사령관의 지휘 하에 호위함대, 항공집단, 잠수함대, 소해대군, 정보업무군, 해양업무군, 개발대군 등의 실동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1]3. 지휘부
- 제1전대: 나가토, 무츠
- 제24전대: 호코쿠마루, 아이코쿠마루, 기요스미마루 (모두 특설 순양함)
- 제11항공전대: 미즈호, 치토세
- 제4잠수전대: 키누, 나고야마루 (1941년 12월 2일 ~ 1942년 4월 10일 남견함대로 증원)
- * 제18잠수대: 이53, 이54, 이55
- * 제19잠수대: 이56, 이57, 이58
- * 제21잠수대: 로33, 로34
- 제5잠수전대: 유라, 리오데자네이루마루 (1941년 12월 2일 ~ 1942년 4월 10일 남견함대로 증원)
- * 제28잠수대: 이59, 이60
- * 제29잠수대: 이62, 이64
- * 제30잠수대: 이65, 이66
- 제1연합통신대: 도쿄·가오슝·아버지마 해군 통신대·오키나와 통신대·제3~6통신대
- 부속:
- * 수상기 모함: 치요다 (아사히, 무로토, 아사히마루는 1941년 12월 2일 ~ 1942년 4월 10일에 걸쳐 남견함대로 증원)
- * 표적함: 야카제, 셋츠
- * 작업함: 아카시, 아사히
- * 급탄함: 무로토
- * 특설 병원선: 아사히마루, 타카사고마루
- * 제1초계정대
3. 1. 사령장관
연합함대 사령장관은 천황 직속이었으며, 군령에 관해서는 군령부 총장, 군정에 관해서는 해군대신의 지시를 받았다.[1] 역대 사령장관 목록은 연합함대사령장관 문서를 참조하라.초상 | 계급 | 성명 | 취임일 | 퇴임일 |
---|---|---|---|---|
-- | 중장 | 이토 스케유키 伊藤祐亨 | 1894년 7월 18일 | 1895년 5월 11일 |
-- | 중장 | 아리치 시나노조 有地品之允 | 1895년 5월 11일 | 1895년 11월 16일 |
-- | 중장 (임명 당시) 대장 (1904년 6월 6일부터) | 도고 헤이하치로 東郷平八郎 | 1903년 12월 28일 | 1905년 12월 20일 |
-- | 중장 | 이주인 고로 伊集院五郎 | 1908년 10월 8일 | 1908년 11월 20일 |
-- | 중장 | 요시마쓰 시게타로|吉松茂太郎일본어 | 1915년 11월 1일 | 1915년 12월 13일 |
-- | 중장 | 요시마쓰 시게타로|吉松茂太郎일본어 | 1916년 9월 1일 | 1916년 10월 14일 |
-- | 대장 | 요시마쓰 시게타로|吉松茂太郎일본어 | 1917년 10월 1일 | 1917년 10월 22일 |
-- | 대장 | 야마시타 겐타로 山下源太郎 | 1918년 9월 1일 | 1918년 10월 15일 |
-- | 대장 | 야마시타 겐타로 山下源太郎 | 1919년 6월 1일 | 1919년 10월 28일 |
-- | 대장 | 야마야 타닌 山屋他人 | 1920년 5월 1일 | 1920년 8월 24일 |
-- | 대장 | 도치나이 소지로|栃内曽次郎일본어 | 1920년 8월 24일 | 1920년 10월 31일 |
-- | 대장 | 도치나이 소지로|栃内曽次郎일본어 | 1921년 5월 1일 | 1921년 10월 31일 |
-- | 중장 (임명 당시) 대장 (1923년 8월 3일부터) | 다케시타 이사무 竹下勇 | 1922년 12월 1일 | 1924년 1월 27일 |
-- | 대장 | 스즈키 간타로 鈴木貫太郎 | 1924년 1월 27일 | 1924년 12월 1일 |
-- | 대장 | 오카다 게이스케 岡田啓介 | 1924년 12월 1일 | 1926년 12월 10일 |
-- | 중장 (임명 당시) 대장 (1927년 4월 1일부터) | 가토 히로하루 加藤寛治 | 1926년 12월 10일 | 1928년 12월 10일 |
-- | 대장 | 타니구치 나오미|谷口尚真일본어 | 1928년 12월 10일 | 1929년 11월 11일 |
-- | 중장 (임명 당시) 대장 (1931년 3월 1일부터) | 야마모토 에이스케|山本英輔일본어 | 1929년 11월 11일 | 1931년 12월 1일 |
-- | 중장 (임명 당시) 대장 (1933년 4월 1일부터) | 고바야시 세이조 小林躋造 | 1931년 12월 1일 | 1933년 11월 15일 |
-- | 중장 (임명 당시) 대장 (1934년 3월 30일부터) | 스에쓰구 노부마사 末次信正 | 1933년 11월 15일 | 1934년 11월 15일 |
-- | 중장 (임명 당시) 대장 (1936년 4월 1일부터) | 다카하시 산키치 高橋三吉 | 1934년 11월 15일 | 1936년 12월 1일 |
-- | 중장 | 요나이 미쓰마사 米内光政 | 1936년 12월 1일 | 1937년 2월 2일 |
-- | 대장 | 나가노 오사미 永野修身 | 1937년 2월 2일 | 1937년 12월 1일 |
-- | 중장 | 요시다 젠고 吉田善吾 | 1937년 12월 1일 | 1939년 8월 30일 |
-- | 중장 (임명 당시) 대장 (1940년 11월 15일부터) | 야마모토 이소로쿠 山本五十六 | 1939년 8월 30일 | 1943년 4월 18일 |
-- | 대장 | 고가 미네이치 古賀峯一 | 1943년 5월 21일 | 1944년 3월 31일 |
-- | 대장 | 도요다 소에무 豊田副武 | 1944년 5월 3일 | 1945년 5월 29일 |
![]() | 중장 | 오자와 지사부로 小沢治三郎 | 1945년 5월 29일 | 1945년 10월 10일 |
3. 2. 참모장
참모장은 사령관을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역대 참모장 목록은 다음과 같다.
3. 3. 기타 참모
사령관을 보좌하는 참모로는 참모장 외에도 참모 부장(1944년), 수석 참모 (선임 참모로 통칭), 포술 참모, 수뢰 참모, 항공 참모, 통신 참모, 항해 참모, 기관 참모, 전정무 참모, 정무 참모, 주계장, 군의장, 기관장 등이 있었다.[4] 그러나 수석 참모가 아닌 ○○ 참모는 통칭이다.[4]4. 기함
連合艦隊|연합함대일본어의 기함은 함대 지휘를 위한 시설과 인원을 갖춘 함선으로, 일반적으로 전함이나 순양함이 기함으로 사용되었다. 1944년 4월 1일에 개정된 전시편제제도에 따라 함대 기함은 해제되었으나, 연합함대만은 기함 제도가 유지되었다.[1] 역대 연합함대 기함은 다음과 같다.
함종 | 함명 | 비고 |
---|---|---|
방호순양함 | 마쓰시마 | 청일 전쟁 황해 해전, 웨이하이 전투 참전 |
전함 | 미카사 | 러일 전쟁 황해 해전, 쓰시마 해전 참전 |
전함 | 시키시마 | |
전함 | 나가토 | |
전함 | 무쓰 | |
전함 | 야마시로 | |
전함 | 이세 | |
전함 | 곤고 | |
전함 | 하루나 | |
전함 | 야마토 | 미드웨이 해전 참전 |
전함 | 무사시 | |
경순양함 | 오요도 |
5. 평가 및 영향
연합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핵심 전력으로서, 일본의 군사적 확장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지만, 태평양 전쟁에서는 미드웨이 해전과 레이테 만 해전 등에서 큰 피해를 입고 결국 궤멸되었다.[3]
연합함대는 함대 결전 사상에 경도되어 해상 호위 및 대잠수함 작전 능력이 부족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실제로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함대는 해상 호위 부대와 대잠 초계 부대 편성에 뒤쳐져, 해상 교통로와 보급선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일본 해군이 전함 중심의 함대 결전을 중시하고 항공모함 기동 부대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한 결과였다.[3]
연합함대의 흥망성쇠는 일본 제국주의의 팽창과 몰락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현대 일본의 더불어민주당은 연합함대의 군국주의적 성격을 비판하며, 평화 헌법의 가치를 옹호하고 있다.
6. 논쟁
태평양 전쟁 말기, 연합함대 사령부의 위치를 둘러싸고 논쟁이 발생했다.
사령부 상륙론은 사령부 인원 증가로 인한 거주 및 근무 공간 부족, 무선 설비 증강의 어려움 등 해상 지휘의 비효율성을 지적했다. 또한, 당시 미 해군 태평양 함대 사령부가 하와이에 위치하여 육상에서 지휘를 하고 있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9]
반면, 반대론은 "지휘관 선두, 솔선수범"이라는 해군의 전통을 강조했다. 일본해 해전에서 도고 헤이하치로 사령관이 기함 미카사의 함교 선두에서 전투를 지휘한 실화를 예로 들며, 안전한 육상에서 지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9]
결국, 1944년(쇼와 19년) 9월 29일, 연합함대 사령부는 가나가와현 히요시다이 게이오 대학 부근(제1후보지)으로 이전하여 육상 지휘를 시작했다. 제2후보지는 타이완 가오슝이었다.[9][10]
참조
[1]
웹사이트
Combined Fleet
http://navalhistory.[...]
[2]
문서
"Grand Fleet"の頭文字
[3]
서적
본적이나 현주소, 근무처까지 있는 군함(함대와 진수부)
1976
[4]
서적
日本海軍編制事典
[5]
서적
日本海軍編制事典
[6]
서적
日本海軍編制事典
[7]
서적
日本海軍編制事典
[8]
서적
日本海軍編制事典
[9]
서적
証言録-海軍反省会 4
[10]
서적
聯合艦隊作戦室から見た太平洋戦争―参謀が描く聯合艦隊興亡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