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8항공수송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8항공수송단은 2004년 8월 자이툰 부대 지원을 위해 창설되어 같은 해 10월 이라크에 파병되었다. 다이만 부대는 자이툰 부대의 수송을 전담하여, 4년 3개월간 약 4만 3천 명의 병력과 4,600톤의 군수물자를 수송했으며, 지구 86바퀴에 해당하는 340만km를 비행했다. 2008년 12월 자이툰 부대 철수에 따라 다이만 부대도 철수했으며, 2009년 12월에는 참전 장병들의 공적을 기리는 기념비가 제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쿠웨이트 관계 -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하며, 쿠웨이트 정부가 대한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위해 설립한 외교 공관으로, 양국 간의 외교, 경제, 문화 교류 및 자국민 보호를 담당한다.
  • 대한민국-쿠웨이트 관계 - 주쿠웨이트 대한민국 대사관
    주쿠웨이트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쿠웨이트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쿠웨이트에 설치된 대한민국 외교 공관으로, 1972년 통상대표부 설치 이후 1979년 대사관으로 개설되었으며, 걸프 전쟁 당시 쿠웨이트를 지원했다.
  • 대한민국의 수송기 부대 - 제5공중기동비행단
    제5공중기동비행단은 대한민국 공군 소속 부대로, 공중 수송 및 급유 지원을 주요 임무로 C-54D 스카이마스터, C-130 허큘리스, A330 MRTT 등을 운용하며 1955년 창설되어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대한민국의 수송기 부대 - 청마부대
    청마부대는 2001년 김해기지에서 창설되어 미국 중부사령부 작전지역에 전개되어 병력, 물자, 화물 수송 및 자국민 보호를 수행하고, 이라크 파병 부대 지원, 다국적 연합작전 참여, 인도적 구호작전을 통해 국제공조체제를 유지했다.
  •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자이툰 부대)은 2004년 이라크 재건과 평화 유지를 위해 창설되어 아르빌 지역에서 경비, 재건 임무를 수행하다가 2008년 철수했다.
  •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제마부대
    제마부대는 이라크 전쟁 기간 동안 파병되어 미국 및 연합군과 이라크 국민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한 대한민국 군 부대였으나,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간접 지원이라는 비판도 있었으며, 이후 서희부대와 함께 자이툰 부대에 통합되었다.
제58항공수송단
기본 정보
이름대한민국 제58항공수송단
원어이름Republic of Korea 58th Airlift Group
大韓民國 第58航空輸送團
활동 기간2004년 8월 31일 ~ 2008년 12월 19일
국가대한민국
소속공군
병과항공수송
종류수송부대
역할자이툰 부대에 대한 애드혹지원
규모전대
본부쿠웨이트 알리 알 살렘 공군기지
별명다이만 부대(Daiman 部隊, Daiman Unit)
표어항상 그대와 함께
장비록히드 C-130 허큘리스
참전이라크 전쟁
지휘관
주요 지휘관5대 고석목 공군 대령

2. 역사

2004년 8월 창단하여 10월에 이라크로 파병되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4년 12월 자이툰 부대 방문 시 쿠웨이트에서부터 호송을 담당하였고, 2007년 3월 26일에는 부대를 방문하여 장병들을 격려하였다.[2]

자이툰 부대의 수송을 맡은 다이만 부대는 4년 3개월간 단 한 번의 사고 없이 병력 약 4만 3천 명과 군수물자 약 4,600 t을 수송했으며 지구 86바퀴에 해당하는 총 340만 km를 비행했다.[4] 이는 베트남 전쟁 7년간 수송량의 2.5배, 대테러전 2년간 수송량의 11배에 달하는 화물량이다.[5]

2008년 12월 19일, 자이툰 부대가 철수함에 따라 다이만 부대도 함께 철수하여 김해공항으로 귀환했다.[4] 2009년 12월 14일, 제5공중기동비행단에서 다이만 부대 장병들의 공적을 기리는 기념비 제막식을 가졌다.[6] 다이만 부대가 사용한 2대의 C-130은 김해국제공항제5공중기동비행단 소속이다.

2. 1. 창설 및 파병

2004년 8월 자이툰 부대 지원을 위해 다이만 부대가 창설되었다.[2] 같은 해 10월, 이라크에 파병되어 본격적인 임무를 시작하였다.[2] 2007년 3월 26일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부대를 방문하여 장병들을 격려하였다.[2] 2004년 12월 노무현 대통령의 자이툰 부대 방문 당시 쿠웨이트에서부터 호송을 담당하기도 하였다.[2]

다이만 부대는 C-130 수송기 2대를 운용하여 자이툰 부대의 병력과 군수물자 수송을 전담하였다. 4년 3개월간의 파병 기간 동안 단 한 건의 사고도 없이 임무를 완수하였으며, 약 4만 3천 명의 병력과 4,600톤의 군수물자를 수송하였다. 이는 지구 86바퀴에 해당하는 총 340만km를 비행한 기록이다.[4] 군수물자 수송량 4,400톤은 7년간의 베트남 전쟁 때보다 2.5배, 2년간의 대테러전보다 11배나 많은 양이었다.[5]

2008년 12월 19일, 자이툰 부대가 철수함에 따라 다이만 부대도 쿠웨이트를 출발, 인도, 태국, 필리핀 등 3개 중간 기착지를 거쳐 김해공항으로 귀환하였다.[4] 2009년 12월 14일에는 제5공중기동비행단에서 다이만 부대 장병들의 공적을 기리는 기념비 제막식을 가졌다.[6] 다이만 부대가 사용한 2대의 C-130은 김해국제공항제5공중기동비행단 소속이다.

2. 2. 노무현 대통령 방문

2004년 12월, 노무현 대통령이 자이툰 부대를 방문했을 때 쿠웨이트에서부터 호송을 담당하였다.[3] 2007년 3월 26일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자이툰 부대를 방문하여 장병들을 격려하였다.[2]

2. 3. 임무 수행 및 성과

자이툰 부대로 파병되는 전 병력은 공군 다이만 부대의 C-130 수송기를 이용하였다.[5] 다이만 부대는 4년 3개월간 병력 약 4만 3천 명, 군수물자 약 4,600톤을 수송하였다.[4] 총 340만 km (지구 86바퀴)를 비행하였으며,[4] 이는 베트남 전쟁 7년간 수송량의 2.5배, 대테러전 2년간 수송량의 11배에 달하는 화물량이다.[5]

2. 4. 철수 및 귀환

2008년 12월 19일, 자이툰 부대 철수에 따라 다이만 부대도 함께 철수하였다.[3] 다이만 부대(부대장 고석목 대령, 공사 31기, 49세)의 C-130 수송기 2대가 쿠웨이트를 출발해 연료 보급과 항공기 점검을 위해 인도, 태국, 필리핀 등 3개 중간 기착지를 경유, 총 6천여km를 비행한 끝에 김해공항으로 귀환했다.[4]

2. 5. 기념비 제막

2009년 12월 14일, 제5공중기동비행단은 부산시 강서구 대저2동 부대 내에서 이라크 자유 작전에 참전한 다이만 부대 장병들의 공적을 기리는 기념비 제막식을 거행하였다.[6]

3. 운용 장비

다이만 부대는 C-130 허큘리스 수송기 2대를 운용하였다.

3. 1. C-130 수송기

다이만 부대는 C-130 허큘리스 수송기 2대를 운용하였다. 이 수송기들은 원래 김해국제공항제5공중기동비행단 소속이다.[6] 다이만 부대는 4년 3개월간 단 한 번의 사고 없이 병력 약 4만 3천 명과 군수물자 약 4,600t을 수송했으며 지구 86바퀴에 해당하는 총 340만km를 비행했다.[4] 군수물자 수송량 4,400t은 베트남 전쟁 7년간 수송량의 2.5배, 2년간의 대테러전 수송량보다 11배나 많은 화물량이다.[5]

참조

[1] 저널 다이만 부대 장병 접견 (쿠웨이트 방문) https://web.archive.[...] 국무총리실 2011-12-01
[2] 뉴스 노대통령, 쿠웨이트 다이만 부대 방문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07-10-26
[3] 뉴스 자이툰.다이만부대 귀국..철수 완료(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10-01
[4] 뉴스 다이만부대 수송기 2대 귀환..철수 완료(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10-01
[5] 뉴스 다이만부대, 6000시간 지구 80바퀴 거리 무사고 비행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1-10-01
[6] 뉴스 공군5전비, 다이만부대 참전 기념비 제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