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자이툰 부대)은 2004년 2월 23일, 이라크 재건과 평화 유지를 위해 창설되어 이라크 다국적군에 파병된 대한민국 국군 사단이다. 2003년 국회 파병 동의 이후, 미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아르빌 지역의 경비, 재건 임무를 수행했으며, 3,800여 명 규모로 시작하여 병력 감축과 임무 연장을 거쳐 2008년 12월 20일 철수했다. 자이툰 부대는 도로 건설, 전력 공급, 의료 서비스 제공 등 이라크 재건에 기여했으나, 파병 반대 여론, 부대 내 사망 사건, 현지 민간인과의 사고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제58항공수송단
제58항공수송단은 2004년 자이툰 부대 지원을 위해 창설되어 이라크에 파병되었으며, 4년 3개월간 병력과 군수물자를 수송하고 2008년 자이툰 부대 철수에 따라 철수하였다. -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제마부대
제마부대는 이라크 전쟁 기간 동안 파병되어 미국 및 연합군과 이라크 국민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한 대한민국 군 부대였으나,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간접 지원이라는 비판도 있었으며, 이후 서희부대와 함께 자이툰 부대에 통합되었다. - 대한민국-이라크 관계 - 주이라크 대한민국 대사관
주이라크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이라크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이라크 바그다드에 설치된 대한민국 외교 공관으로, 1981년 개설되어 걸프 전쟁으로 폐쇄되었다가 2003년 재개설되었으며 정무, 경제 통상, 영사, 문화 교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이라크 관계 - 주한 이라크 대사관
주한 이라크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이라크 간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는 이라크 정부의 외교 공관으로, 1981년 개설 후 걸프 전쟁 등의 영향으로 일시 폐쇄되었다가 2007년 재개관하여 외교 및 교섭, 투자 유치, 자국민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보병사단 - 제32보병사단
제32보병사단은 1955년 창설되어 월남전 파병으로 전방에 배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충청남도와 세종특별자치시를 방어하는 향토사단으로, 2020년 국방개혁에 따라 여단으로 승격된 예하 부대들로 구성되어 해당 지역의 방위 임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보병사단 - 제62보병사단
제62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육군 보병사단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 방어 임무를 수행했으며, 2008년 부대 개편으로 해체되었다.
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자이툰 부대 |
원어 명칭 | RoK Joint Support Group for the Iraq |
로마자 표기 | Jaitun Budae |
쿠르드어 명칭 | Tîpa Zeytûnê |
아랍어 명칭 | زيتون (자이툰) |
활동 기간 | 2004년 2월 23일 ~ 2008년 12월 20일 |
규모 | 보병 사단, 약 3,600명 (교대 인원 650–3,600명) |
역할 | 이라크의 평화 유지와 아르빌의 경비 및 재건설 |
위치 | 아르빌, 쿠르드 자치구 |
별칭 | 자이툰부대 (Zaytun 部隊, Zaytun Division) |
표어 | 평화 |
지휘 | |
지휘 체계 | [[파일:ROK JCF logo.svg|20px]] 합동참모본부 |
사단장 | 육군 사단장 |
주요 지휘관 | 황의돈 사단장 정승조 사단장 박선우 사단장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이라크 전쟁 |
2. 역사
2003년 4월 2일, 대한민국 국회는 '국군부대의 이라크전쟁 파견 동의안'을 통과시켰다. 이후 미국 연방 정부는 2003년 9월에 전쟁으로 파괴된 이라크 재건을 위해 대한민국에 추가 파병을 요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4년 2월 23일 평화 유지와 아르빌 경비 및 재건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자이툰 부대를 창설하여 이라크 다국적군의 일원으로 파병하였다. 자이툰 부대는 3,800여 명 규모의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2004년 10월 10일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과 2007년 12월 8일 노무현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자이툰 부대를 방문하여 장병들을 격려하였다.
2007년 5월 19일 자이툰부대 소속 오 모 중위가 총상을 입고 숨진 채 발견되었으며, 국방부 조사본부는 이를 자살로 결론 내렸다.[25][26]
자이툰 부대는 2008년 12월 20일 쿠르드 자치구 아르빌에서 철수하면서 쿠르드인들에게 부지와 대부분의 건설 장비를 넘겨주었다.[24]
2. 1. 파병 배경
2003년 4월 2일, 대한민국 국회는 '국군부대의 이라크전쟁 파견 동의안'을 통과시켰다.[1] 미국 연방 정부는 2003년 9월, 전쟁으로 파괴된 이라크를 재건한다는 명목으로 대한민국에 더 많은 군대 파병을 요청하였다.[2] 이를 받아들인 대한민국 정부는 2004년 2월 23일 평화 유지와 아르빌 경비 및 재건 임무를 수행할 자이툰 부대를 창설하여 이라크 다국적군의 일원으로 파병하였다.당시 대한민국은 미국에 이어 영국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규모의 병력을 이라크에 파견했다. 그러나 파병에 대한 국내 여론은 찬반으로 나뉘어 갈등을 빚었으며, 2004년 6월에 발생한 김선일 씨 피랍 및 살해 사건[5][6]은 이러한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7]
2004년 10월 10일,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미국의 국방부 장관이 자이툰 부대를 방문하여 장병들을 격려하였고,[8] 2007년 12월 8일에는 노무현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자이툰 부대를 방문하였다.
아이만 알-자와히리는 2004년 10월경 자원자들에게 미국 동맹국 목록에 한국을 언급하며 테러를 예고하기도 하였다.[8]
2. 2. 부대 창설 및 활동
2003년 4월 2일, 대한민국 국회는 '국군부대의 이라크전쟁 파견 동의안'을 통과시켰다.[1] 미국 연방 정부는 2003년 9월 4일 한국에 전쟁으로 파괴된 국가를 재건한다는 목적하에 더 많은 군을 파병해 달라고 요청하였다.[2] 대한민국 정부는 이 요청을 받아들여 2004년 2월 23일 평화 유지와 아르빌 경비 및 재건을 위한 자이툰 부대를 창설했다. 자이툰 부대는 3,800여 명 규모의 사단으로, 이라크 다국적군의 일원으로 파병되었다.[3]2004년 9월 초까지 2,200명의 추가 병력(주로 공병)이 이라크 북부 쿠르드 자치구 아르빌에 파견되었고, 이라크 남부에서 이동해 온 인도주의적 지원 병력과 함께 배치되었다. 이 통합 부대는 2,800명으로 구성되었다. 2004년 11월에는 800명의 병력이 아르빌 주둔 병력을 증원하기 위해 파견되어, 총 3,600명 규모가 되었다.[4]
자이툰 부대는 2004년 8월 25일부터 순차적으로 쿠웨이트로 출발, 미군 기지 캠프 버지니아의 우다헤리 훈련장에서 훈련을 받았다. 이후 9월 2일부터 순차적으로 아르빌에 들어가 9월 22일 전개를 완료했다. 이 부대는 아르빌 공항 근처 랭킨과 북서쪽 스와란 등에 주둔하며 물자 지원, 도로 건설, 전력 공급, 태권도 보급, 경찰·민간 방위군 육성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대한민국에 적대적인 아랍 저항단체는 자이툰 부대의 철수를 요청했다. 그러나 도널드 럼즈펠드 전 미국의 국방부 장관이 2004년 10월 10일 부대를 방문해 격려했고, 노무현 전 대한민국의 대통령도 2007년 12월 8일 부대를 전격 방문했다.
2007년 5월 19일 오후 6시 45분경(현지시간 오후 1시 45분) 자이툰부대 오모 중위가 영내 자이툰병원 의무대 이발소에서 총상을 입고 숨진 채 발견됐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2007년 6월 4일 이를 타살이 아닌 자살로 결론내렸다.[25][26]
자이툰 부대는 쿠르드인에게 부지와 대부분의 건설 장비 등을 넘겨주고 2008년 12월 20일 쿠르드 자치구 아르빌에서 철수했다.[24]
2. 3. 주요 사건
2003년 4월 2일, 대한민국 국회는 '국군부대의 이라크전쟁 파견 동의안'을 통과시켰다.2004년 6월 17일 김선일 씨 피랍 사건이 발생했고, 6월 22일 김선일 씨가 처형되었다. 이 사건은 한국 내 파병 반대 여론을 격화시켰고, 때로는 폭력적인 반미 시위로 이어졌다.[5][6][7]
2004년 10월 10일,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이 아르빌의 자이툰 부대를 방문해 장병들을 격려했다. 같은 날, 한 이슬람 단체가 한국군이 2주 안에 철수하지 않으면 "한국을 고통스럽게 만들 것"이라고 위협하는 비디오를 공개하며 한국군과 그 가족들을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8] 아이만 알-자와히리도 한국을 공격 대상으로 지목했고, 반기문 당시 외교부 장관은 한국 대사관에 보안 강화를 지시했다.[8]
2004년 12월 8일,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이 아르빌의 자이툰 부대를 깜짝 방문했다.
2007년 5월 19일 오후 6시 45분경(현지 시간 오후 1시 45분), 자이툰부대 오 모 중위가 부대 내 이발소에서 총상을 입고 숨진 채 발견되었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2007년 6월 4일 타살이 아닌 자살로 결론 내렸다.[20][21][22]
2008년 12월 20일, 자이툰 부대는 쿠르드 자치구 아르빌에서 철수하였다.[24]
2. 4. 철수
2004년 김선일 씨 납치 및 처형 사건은 한국 내에서 파병 반대 여론을 크게 고조시켰다.[5][6] 이 사건은 때로는 폭력적이고 노골적인 반미 시위를 포함하여 파병 여부에 대한 주요 공론의 장을 촉발시켰다.[7]2004년 10월 10일, 잘 알려지지 않은 이슬람 단체가 한국군이 2주 이내에 철수하지 않으면 "한국을 고통스럽게 만들 것"이라고 위협했다.[8] 이들은 한국군과 그 가족을 공격하겠다고 경고했다.[8] 아이만 알자와히리도 자원자들에게 한국을 공격 대상으로 지목했다.[8] 이에 반기문 당시 외교부 장관은 한국 대사관에 보안 강화를 지시했다.[8]
2006년 초, 국회 투표를 통해 1,300명의 병력이 철수했다.[9] 2007년 초에는 1,200명이 추가로 귀국했으며, 2008년 초까지 완전 철수가 예상되었다.[10] 그러나 2007년 10월 23일, 노무현 대통령은 파병 임무를 1년 더 연장하고 파견 규모를 600명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11]
2007년 12월, 한국은 933명의 병력을 파견했다.[12] 이 숫자는 2008년 10월까지 520명으로 줄었다. 2008년 10월 29일, 국방부 대변인은 자이툰 부대가 12월 초부터 철수를 시작하여 2008년 12월 20일경까지 철수를 완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3][14][15]
자이툰 부대는 쿠르드인들에게 부지와 대부분의 건설 장비 등을 넘겨주고 2008년 12월 20일에 쿠르드 자치구 아르빌에서 철수하였다.[24] 잔여 한국 파견 부대에 대한 환송 행사는 2008년 12월 1일에 열렸다.[16]
3. 조직 구성
초기에는 사단 사령부와 사령부 직할대, 건설공병단 "서희"[27]와 의료지원단 "제마"[28], 특전사 인원이 주축인 2개 민사(또는 재건 지원)대대, 각 특공대에서 차출된 대원들로 구성된 1개 경비대대, 장갑차 중대가 편성된 제11민사여단(111, 112재건지원대대)과 제12민사여단(121, 122재건지원대대)으로 구성되었다. 해병대에서 전속된 1개 해병중대가 국내 해병대 파병여론을 고려하여 추가 편성되었으며, 중대임에도 아르빌과 바그다드 2개소에서 임무를 수행하였다. 바그다드의 주이라크 한국 대사관 경비, 사단 위병소 경계, 사단 본부 및 사단 관측소 운용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후 사단의 경계 체계가 정립된 후 위병소를 민사여단에 인계한 후, 현지인 진료를 실시하는 의무대대를 방호하였다. 사단의 총 규모는 약 3,800여명이었다.[29][30]
2007년 12월 28일, ''국군부대의 이라크 파견 연장 및 임무종결계획 동의안''에 따라 1년 더 파병이 연장되면서 사령부 부서인 민사처가 민사협조본부로, 재건지원대대에 경비대대가 통합되었다. 병력 감축에 의해 650여명으로 줄어들었으나, 독자적인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소장 계급의 지휘관의 지휘를 받았다.[31]
제58항공수송단 "다이만"에서 자이툰부대에 군수 및 병력을 공수하여 지원하였다.
- 제11재건여단
- * 제111재건대대
- * 제112재건대대
- 제12재건여단
- * 제121재건대대
- * 제122재건대대
- 제320의료지원대 '제르마'
- 제1100건설공병대 '서희'
-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2개 대대)
- 대한민국 육군 특공대 (1개 대대)
- 대한민국 해병대 (1개 중대)
4. 평가 및 의의
자이툰 부대는 의료 서비스와 사회 기반 시설 재건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파병 전 이슬람으로 개종한 한국인 무슬림 병사들이 부대에 포함된 점도 특기할 만하다.[17]
그러나 2004년 김선일 씨 피랍 및 처형 사건[5][6]은 파병에 대한 격렬한 반대 여론을 불러왔다.[7] 또한, 이슬람 단체의 테러 위협[8]과 아이만 알자와히리의 공격 대상 언급[8]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4. 1. 긍정적 평가
대한민국 파병 부대의 주요 임무는 의료 서비스 제공과 도로, 전력선, 학교 및 기타 공공 기반 시설의 건설 및 수리였다. 이 부대에는 파병 직전에 이슬람으로 개종한 소수의 한국인 무슬림 병사도 포함되었다.[17]4. 2. 부정적 평가
김선일 씨 피랍 및 처형 사건(2004년 6월 22일)[5][6] 이후, 파병에 대한 정치권과 대중의 격렬한 반대가 절정에 달했다. 이 사건은 한국 파병 부대의 파병 준비 기간에 발생하여 파병 여부에 대한 주요 공론장을 촉발시켰으며, 때로는 폭력적이고 노골적인 반미 시위를 포함했다.[7]2004년 10월 10일, 한 이슬람 단체가 한국군이 2주 안에 철수하지 않으면 "한국을 고통스럽게 만들 것"이라고 위협하며, 한국군과 한국 내 가족들을 표적으로 삼겠다고 밝혔다.[8] 아이만 알자와히리는 한국을 공격 대상 동맹국 목록에 언급했고,[8] 반기문 당시 외교부 장관은 한국 대사관에 보안 강화를 지시했다.[8]
4. 3.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김선일 씨 피랍 사건[5]과 2004년 6월 22일 그의 처형[6] 이후, 파병에 대한 정치권과 대중의 격렬한 반대가 절정에 달했다. 이 사건은 한국 파병 부대의 대부분이 파병 준비를 하고 있는 동안 발생했으며, 때로는 폭력적이고 노골적인 반미 시위를 포함하여 파병 여부에 대한 주요 공론의 장을 촉발시켰다.[7]2004년 10월 10일, 잘 알려지지 않은 이슬람 단체가 한국군이 2주 이내에 철수하지 않으면 "한국을 고통스럽게 만들 것"이라고 위협했다.[8] 이들은 한국군과 한국 내 가족까지 표적으로 삼겠다고 경고했다.[8] 아이만 알자와히리도 한국을 공격 대상으로 언급했고,[8] 반기문 당시 외교부 장관은 한국 대사관에 보안 강화를 지시했다.[8]
2006년 초, 국회 투표를 통해 1,300명의 병력이 철수했고,[9] 2007년 초에는 추가로 1,200명이 귀국했다.[10] 2007년 10월, 노무현 대통령은 파병 임무를 1년 더 연장했지만, 파견 규모는 600명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11] 이러한 결정은 이라크 파병이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되던 12월 대선을 앞두고 내려졌다.
2008년 12월, 자이툰 부대는 철수를 시작하여 미군에게 임무를 인계하고 12월 20일경 철수를 완료했다.[13][14][15] 12월 1일에는 잔여 부대에 대한 환송 행사가 열렸다.[16]
참조
[1]
뉴스
Digital Chosunilbo (English Edition) : Daily News in English About Korea
http://english.chosu[...]
2006-02-24
[2]
웹사이트
부대 연혁
http://www.zaytun.mi[...]
2006-04-29
[3]
뉴스
Digital Chosunilbo (English Edition) : Daily News in English About Korea
http://english.chosu[...]
2004-11-07
[4]
뉴스
Daily developments | The San Diego Union-Tribune
http://www.signonsan[...]
2004-10-02
[5]
뉴스
Al Jazeera English – Archive – Anxiety And Grief Grip South Korea
http://english.aljaz[...]
[6]
뉴스
Al Jazeera English - Archive - S Koreans Press For U-Turn On Troop Despatch
http://english.aljaz[...]
[7]
뉴스
Thousands in South Korea protest sending more troops to Iraq
https://www.usatoday[...]
2017-09-19
[8]
뉴스
Al-Qaeda Threatens Korea
http://www.jamestown[...]
[9]
웹사이트
Al Jazeera English - News
http://english.aljaz[...]
2007-11-17
[10]
뉴스
Korea to extend Iraq troop deployment
http://news.ninemsn.[...]
[11]
웹사이트
S. Korea Extends, But Cuts in Half, Military Deployment to Iraq
http://www.globalsec[...]
2017-04-08
[12]
뉴스
List of 'Willing' U.S. Allies Shrinks Steadily in Iraq
https://www.washingt[...]
2017-09-19
[13]
웹사이트
S. Korea to withdraw troops from Iraq by year's end
http://english.hani.[...]
2017-04-08
[14]
뉴스
All South Korea troops to leave Iraq by end of '08
https://www.reuters.[...]
2008-09-19
[15]
웹사이트
All South Korea troops to leave Iraq by end of '08
http://www.chinadail[...]
2017-04-08
[16]
뉴스
Troop Pullout to Leave U.S. and Britain as Iraq Force
https://www.nytimes.[...]
2017-02-28
[17]
뉴스
Al Jazeera English - Archive - Police Protection For Korea's Muslims
http://english.aljaz[...]
[18]
뉴스
中央日報 2006.03.05 イラク派遣ザイトゥーン部隊を1000人縮小
https://japanese.joi[...]
2006-03-05
[19]
뉴스
자이툰-다이만 장병들 고국품으로… "국민 지지에 감격"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12-20
[20]
뉴스
中央日報 2007.05.20 ザイトゥーン部隊派兵後初めて死者発生
https://japanese.joi[...]
2007-05-20
[21]
뉴스
자이툰 1명 첫 사망…외부세력 소행 아닌듯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2-21
[22]
뉴스
국방부"자이툰 부대 오아무개 중위 자살로 판단"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2-21
[23]
뉴스
자이툰부대 12월 20일까지 철수
http://www.ytn.co.kr[...]
YTN
2008-11-23
[24]
뉴스
자이툰-다이만 장병들 고국품으로… "국민 지지에 감격"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12-20
[25]
뉴스
자이툰 1명 첫 사망…외부세력 소행 아닌듯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2-21
[26]
뉴스
국방부 "자이툰부대 오아무개 중위 자살로 판단"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2-21
[27]
웹인용
이라크 파병 공병건설부대 창설
http://search.ytn.co[...]
YTN
2012-04-19
[28]
웹인용
<29>이라크 전쟁과 서희·제마부대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2-04-19
[29]
뉴스
‘자이툰’3,600명 부대편성 확정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12-01
[30]
뉴스
평화재건 임무 `자이툰부대' 어떻게 편성되나
http://news.sportsse[...]
스포츠서울
2011-12-01
[31]
뉴스
합참, 자이툰부대 편제 재편성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11-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