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3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보병 사단이었다. 사단은 폴란드 침공에 예비대로 참전했으며,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과 전투를 벌였다. 크리미아 전역과 세바스토폴 공방전에 참여했으나 1944년 5월 세바스토폴과 크림반도에서 전멸했다. 헝가리에서 재편성된 후 바르샤바 봉기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고, 1944년 9월 바르샤바 프라가에서 궤멸되었다. 재편성된 후 1945년 단치히 주변 전투에서 최후를 맞았으며, 사단 사령부는 포로로 잡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352보병사단
제352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1943년 11월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오마하 해변을 방어하다 큰 피해를 입고 해체된 후, 1944년 9월 제352국민척탄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5년 4월 다름슈타트에서 전멸하며 해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은 1934년 창설되어 폴란드, 서유럽, 동부 전선에 참전했으며, 부다페스트 전투에서 궤멸된 후 재편성되어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 - 1939년 설립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39년 설립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7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 명칭 | 제73보병사단 |
원어 명칭 | 73. Infanterie-Division |
별칭 | 클라이스트 사단 |
![]() | |
국가 | 나치 독일 |
종류 | 보병 |
규모 | 사단 |
소속 | 육군 |
기간 | 1939년 8월 26일 – 1945년 4월 16일 |
지휘 |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기타 | |
참고 문헌 | Lakowski, Richard. Die Militärische Niederwerfung der Wehrmacht. Deutsche Verlags-Anstalt. 2008. ISBN 9783421062376. Müller, Rolf-Dieter 편집. Das Deutsche Reich und der Zweite Weltkrieg. 10/1. München. pp. 491–681. (독일어) |
2. 부대 역사
제73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다양한 전역에 참전했다. 폴란드 전투에서 북부집단군 예하 예비대로 참전했으며,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과 격전을 벌였다.[1] 1944년 봄, 소련군에 의해 본대와 격리되어 세바스토폴과 크림반도에서 전멸했다.[1] 이후 헝가리에서 재편성되어 바르샤바 봉기 진압에 투입되었으나, 1944년 9월 바르샤바 프라가에서 다시 궤멸되었다.[1] 중부집단군 사령부는 사단 해산을 요구했지만 거절되었고, 재편성 후 1945년 단치히(그다니스크) 주변 전투에서 최후를 맞았다.[1]
2. 1. 초기 활동 (1939년 ~ 1941년)
사단은 창설 후 폴란드 침공에서 북부집단군 예하의 예비대로 배치되어 참전하였으며,[1] 1941년 6월부터 1944년 5월까지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과 싸웠다.[1] 11군 예하로 크리미아 전역에 참전하여 세바스토폴 공방전 뿐만 아니라 "타타르 요새"에 대한 공격을 포함하여 1941년 말까지 격전을 치렀다.[1]2. 2. 동부 전선 (1941년 ~ 1944년)
사단은 1941년 6월부터 1944년 5월까지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과 싸웠다. 11군 예하로 크리미아 전역에 참전하여 세바스토폴 공방전 뿐만 아니라 "타타르 요새"에 대한 공격을 포함하여 1941년 말까지 격전을 치렀다.[1]1944년 봄, 소련군에 의해 본대와 격리된 사단은 1944년 5월에 세바스토폴과 크림반도에서 전멸했다.[1]
2. 3. 바르샤바 봉기 및 재편성 (1944년)
헝가리에서 재편성된 제73보병사단은 그해 여름 바르샤바 봉기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으며,[1] 1944년 9월에는 바르샤바 프라가에서 소련군에 의해 궤멸되었다.[1] 중부집단군 사령부는 사단의 형편없는 전투력을 문제삼아 완전히 해산시킬 것을 요구했지만, 그 요구는 거절되었다.[1]2. 4. 종전 (1945년)
재편성 후, 1945년 단치히(그다니스크) 주변 전투에서 최후를 맞았다. 사단 사령부 요원들은 1945년 4월 17일 고야 호에 포로로 끌려갔다.[1]3. 주요 참전 전투
4. 지휘관
- 포병 대장 프리드리히 폰 라베나우 (1939년 8월 26일 – 1939년 9월 29일)
- 보병 대장 브루노 빌러 (1939년 9월 29일 – 1941년 10월 29일)
- 보병 대장 루돌프 폰 뷔나우 (1941년 11월 1일 – 1943년 2월 1일)
- 사단장 요하네스 네드비히 (1943년 2월 1일 – 1943년 9월 7일)
- 중장 헤르만 뵈메 (1943년 9월 7일 – 1944년 5월 13일)
- 프리드리히 프라넥 중장 (1944년 6월 26일 – 1944년 7월 29일)
- 사단장 쿠르트 햘링 (1944년 7월 30일 – 1944년 9월 7일)
- 사단장 프란츠 슐리퍼 (1944년 9월 7일 – 1945년 4월 10일)
5. 부대 구성
제73보병사단은 사령부와 제170보병연대, 제186보병연대, 제213보병연대, 제173정찰대대(후에 자전거대대), 제173포병연대, 제173공병대대, 제173대전차대대, 제173통신대대, 제173사단 보급 집단으로 구성되었다.[2][3]
5. 1. 주요 부대
부대 |
---|
제170보병연대[2][3] |
제186보병연대[2][3] |
제213보병연대[2][3] |
제173정찰대대 (후에 자전거대대)[2][3] |
제173포병연대[2][3] |
제173공병대대[2][3] |
제173대전차대대[2][3] |
제173통신대대[2][3] |
제173사단 보급 집단[2][3] |
5. 2. 기타 부대
참조
[1]
서적
Die Militärische Niederwerfung der Wehrmacht
Deutsche Verlags-Anstalt
[2]
서적
German Order of Battle, 1st-290th Infantry Divisions in WWII
[3]
웹사이트
Infanterie-Division (2. Welle), German Army, 22.06.1941
http://niehorster.or[...]
2019-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