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함대 (일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함대는 1943년 11월 15일 남동방면함대 소속으로 뉴기니 해역 관할을 위해 창설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였다. 뉴기니 대부분이 이미 연합군에게 점령된 상황에서 제한적인 지원만 가능했고, 1944년 3월 남서방면함대로 전속 후 홀란디아 전투에서 패배하며 1944년 7월 10일 폐지되었다. 엔도 요시카즈 중장이 초대 사령장관을 지냈으며, 뉴기니 전역, 홀란디아 전투, 비악 전투 등에 참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 제1함대 (일본)
제1함대 (일본)는 1903년 창설되어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며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으로 활동하다가 1944년 해체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남서태평양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산호해 해전
산호해 해전은 1942년 5월 미국과 일본 해군이 산호해에서 벌인 해전으로, 일본의 MO 작전은 실패하고 연합군의 전략적 승리로 끝났으며, 항공모함 중심 해전의 시작을 알렸다. - 남서태평양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모로타이섬 전투
모로타이섬 전투는 1944년 9월 연합군이 필리핀 진격을 위한 거점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 모로타이섬을 공격하여 시작되었으며, 압도적인 전력으로 섬을 점령하고 비행장을 건설하여 주요 군사 기지로 사용했다. - 1944년 폐지 - 프랑스 민병대
프랑스 민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시 프랑스에서 조직되어 레지스탕스 진압, 치안 유지, 유대인 강제 수용 등의 임무를 수행한 준군사 조직으로, 극우 성향 인사와 친독 협력자들이 주축이었으나 해방 후 보복과 처벌을 받았다. - 1944년 폐지 - 벨기에 북프랑스 군정청
벨기에 북프랑스 군정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를 점령한 후 설치한 군정 기관으로, 점령 지역 통치, 경제 통제, 나치즘 선전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원 약탈, 인권 유린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연합군의 해방 작전과 레지스탕스 운동으로 와해되었다.
제9함대 (일본) | |
---|---|
개요 | |
명칭 | 제9함대 |
원어 명칭 | (다이큐칸타이) |
영어 명칭 | 9th Fleet |
활동 | |
활동 기간 | 1943년 11월 15일 ~ 1944년 7월 10일 |
국가 | 일본 제국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참전 | 뉴기니 전역 |
지휘관 |
2. 역사
1943년 11월 15일, 남동방면함대 소속으로 창설되었다. 함대의 관할 구역은 뉴기니섬 해역이었으며, 주된 임무는 뉴기니 북부 해안을 점령한 일본군을 지원하고 제2, 제7 근거지대의 행정 관리를 담당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함대가 창설될 당시에는 미국군이 카트휠 작전을 통해 이미 뉴기니의 상당 부분을 탈환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제9함대의 역할은 방어 지원과 제한적인 물자 보급에 그쳤다.
명칭은 '함대'였지만, 실제 보유한 수상 함정은 소수의 구잠정뿐이었고, 주력은 육상 부대인 제2, 제7 근거지대였다. 이 중 제7근거지대는 거듭된 전투로 소모가 심해 1944년 3월, 제2근거지대와 통합되어 제27특별근거지대로 재편되었다. 이 시기 제9함대는 남동방면함대에서 남서방면함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함대 사령부는 처음 웨와크에 있었으나 이후 홀란디아(현 자야푸라)로 이전했다.
1944년 4월 22일, 미국군이 홀란디아에 상륙하자(홀란디아 전투), 카이릴 섬의 제27특별근거지대 본대를 제외한 약 1,000명의 함대 병력이 방어에 나섰으나 격퇴되었다. 이후 사르미로 후퇴하던 중인 5월 3일, 제9함대 사령부는 미군의 공격을 받아 전멸했고, 엔도 키이치 사령관, 오가타 마키 참모장, 오니츠카 테츠오 제90경비대 사령관 등 주요 지휘관들이 전사했다. 이 전투 이틀 전인 5월 1일경, 비악 섬 방어를 위해 제4남견함대 소속으로 제28특별근거지대가 편성되었으나, 제9함대에 대한 증원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사령부 전멸로 함대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제9함대는 1944년 7월 10일부로 공식 해체되었다. 살아남은 제27특별근거지대는 남서방면함대 직할 부대가 되어 보급선이 끊긴 상태로 종전까지 자력으로 생존해야 했다. 한편, 제9함대에 합류하지 못한 제28특별근거지대는 계속 제4남견함대 소속으로 남아 비악 섬 전투에 참전했으며, 같은 해 12월 옥쇄했다.
3. 지휘부
3. 1. 사령장관
wikitext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추가 설명 |
---|---|---|---|---|
중장 | 엔도 요시카즈 | 1943년 11월 15일 | 1944년 5월 3일 | 비악 전투에서 전사. |
3. 2. 참모장
wikitext계급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소장 | 오가타 마사키 | 1943년 11월 15일 ~ 1944년 5월 3일 | 비악 전투에서 전사 |
4. 편성
오스트레일리아 방면에서 북상하는 미국군에 대비하여 서부 뉴기니섬 방어를 목적으로 수상 부대와 육상 부대를 갖추어 편성되었다. 그러나 '함대'라는 이름과는 달리 실제 보유한 수상 함정은 소수의 구잠정 정도에 불과했고, 주력은 육상에 주둔한 2개의 근거지대(제2특별근거지대, 제7근거지대)였다. 이 중 제7근거지대는 연이은 전투로 인해 전력이 상당히 약화된 상태였다.
1944년 3월, 웨와크에 남아있던 제2특별근거지대와 제7근거지대의 잔존 병력을 통합하여 제27특별근거지대로 재편성했다. 이 과정에서 구 제2특별근거지대가 보유하고 있던 통신대와 항무부 인력을 차출하여 제90경비대를 창설했다. 근거지대 통합과 함께 제9함대의 소속은 남동방면함대에서 남서방면함대로 변경되었다.
이후 비악 섬 방어를 위해 제4남견함대 예하에 제28특별근거지대가 새로 편성되었으나, 제9함대가 홀란디아 전투에서 사실상 괴멸하면서 실질적인 지휘 관계나 증원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제9함대 해체 후, 유일하게 남은 제27특별근거지대는 남서방면함대 직할 부대가 되었다.
4. 1. 1943년 11월 15일 창설 당시
(웨와크)(라에 → 시오 → 웨와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