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평화통일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1961년 5월 13일 결성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남 기구였다. 조선로동당의 통일전선부 역할을 수행하며, 대한민국 정부를 비방하고 여론 조작, 선전 활동, 정보 조작 등의 활동을 했다. 2016년 국가 기구로 격상되었으나, 2024년 1월, 최고인민회의에서 폐지되었다. 초대 위원장은 홍명희였으며, 리선권이 마지막 위원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회 운동 -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는 한국 전쟁 중 납북된 인사들을 중심으로 1956년 평양에서 결성되었으며, 평화통일을 주장했지만 북한의 대남 선전 및 통일 전략에 활용되었다는 평가를 받는 단체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회 운동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은 1949년 북조선과 남한의 단체가 통합되어 결성되었으며, 조선로동당의 통일전선 전술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내 지지 세력과의 연계 활동을 목표로 했으나, 김정은의 평화통일 목표 포기 선언에 따라 2024년 3월 해산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단체 - 조선소년단
조선소년단은 1946년 북한에서 창립된 9~15세 청소년 단체로, 주체사상과 김일성 일가 숭배 교육을 하며, 2018년 기준 275만 명의 단원 수를 보유하고, 주요 기념일에 신규 입단이 이루어지며, 일본에서도 조선총련 주도로 운영되고 조선학교 학생들은 의무적으로 가입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단체 - 북조선로동당
북조선로동당은 1946년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과 조선신민당의 합병으로 창당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집권 정당으로, 김두봉이 초대 위원장을 맡았지만 김일성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했으며, 1949년 남조선로동당과 합병하여 조선노동당으로 개편되었다. - 한국의 통일운동 -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는 1948년 평양에서 남북한 정당 및 사회단체 대표들이 모여 단독 정부 수립 움직임에 맞서 통일 정부 수립을 논의했으나, 실질적인 성과 없이 남북 분단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며, 회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한국의 통일운동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은 해방 직후 좌우익 대립 심화 속에서 김규식, 여운형 등 중도파가 주도한 민족통일운동으로, 미군정 지원과 좌우합작 7원칙 발표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냉전 심화, 여운형 암살 등으로 실패하여 1947년 해산되었으나, 남북 분단 방지와 통일 정부 수립 노력으로 평가받는다.
조국평화통일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기관 명칭 | 조국평화통일위원회 |
한자 표기 | 祖國平和統一委員會 |
로마자 표기 | Joguk Pyeonghwa Tong-il Wiwonhoe |
약칭 | 조평통 |
영문 명칭 | Committee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CPRK) |
개요 | |
설립일 | 1961년 5월 13일 |
해산일 | 2024년 1월 15일 |
관할 | 한반도 통일 문제 |
본부 | 평양 |
소속 |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
해산 관련 정보 | |
해산 사유 | '남북관계가 동족 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됨에 따라 대남 사업 기구들을 정리' |
추가 정보 | 김정은 시대의 새로운 노선에 따른 조치 |
2. 결성과 목적
1961년 5월 13일 홍명희를 초대 위원장, 허정숙을 부위원장으로 하여 결성되었다.[17] 최용건 등이 참여하였다.
조직은 중앙위원회를 중심으로 상무위원회와 서기국이 설치되어 있고, 중앙위 산하에 조직부, 선전부, 회담부, 조사연구부, 총무부, 자료종합실 등의 부서가 있었다. 허담, 김용순 등 고위 정치인들이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결성 목적은 대한민국과 해외 교포 등을 망라하여 각계각층이 연대하여 자주적 통일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었다. 4·19 혁명 이후 대한민국에서 남북협상과 통일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통일전선 기구로 창립되었다.[17] 위원회 창설은 5·16 군사 정변의 성공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2]
3. 조직과 활동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의 분파로, 남한 정부가 정당성이 없으며 공식 기관에서 상대해서는 안 된다는 북한 정부의 입장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1] 1961년 5월 13일에 설립되었으며, 이는 전 해의 4·19 혁명으로 이승만의 사임으로 이어진 것에 대한 평양의 지속적인 대응의 일환이었다. 조평통의 창설은 남한의 정치적 불안을 악화시키고, 3일 뒤 육군 장군 박정희의 5·16 군사 정변 성공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위원회 창설 이후, 평양의 통일 정책은 남한 정부를 도발하고 내부 공산주의 혁명을 선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보다 적극적인 수단으로 전환되었다. 평양은 중국 및 소련과 추가적인 군사 협정을 체결하고, USS ''Pueblo''를 나포했으며, 1968년 김신조 사건으로 알려진 박정희 암살 시도를 감행했고, 1969년 EC-121 격추 사건 다음 해에는 미국 항공기를 격추했다.[2]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는 민족경제협력국, 금강산국제관광국과 함께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폐지하는 결정을 채택했다. 최고인민회의는 "약 8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에 기반한 우리 조국 통일 노선과 명확히 상반되는 '흡수 통일', '체제 통일'을 국책으로 정한 대한민국과는 언제까지고 통일이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3. 1. 역할 및 기능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1961년 5월 13일에 결성되었으며, 표면적으로는 대한민국과 해외 교포 등 각계각층이 연대하여 자주적 통일을 위해 노력한다는 목적을 내세웠다.[17] 4·19 혁명 이후 대한민국에서 남북협상과 통일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통일전선 기구로 창립되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무국 산하 통일전선부의 지시를 받는 전위기구였다.[18] 통일전선부는 직접 남북대화에 참여하거나 대한민국 및 해외 교포들에 대한 선전 업무를 공개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공개적인 부분을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명의로 수행하도록 역할을 분담했다.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북한의 입장을 강조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를 정당성이 없는 기관으로 취급하며 상대하지 않는다는 전략을 취했다.[1] 위원회 창설 이후, 북한의 통일 정책은 남한 정부를 도발하고 내부 공산주의 혁명을 선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보다 적극적인 수단으로 전환되었다.[2]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서기국 보도'라는 형식으로 대한민국의 정세 변화에 대해 반응을 보였으며, 대한민국과 미국에 대한 비방이나 규탄을 담은 성토문, 고발장, 공개질문, 성명서, 백서 등을 발표했다.[19] 대한민국에서 간첩 사건이 발생하면 이를 반박하기도 했다.[19] 또한, 기관지 《조국통일》을 발행하고, 2003년에는 공식 웹사이트인 우리민족끼리를 개설하여 대한민국 및 해외에서 선전 활동을 수행했다.[3]
겉으로는 남북 교류를 추진하는 단체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대한민국을 향한 여론 조작, 사상 공작 및 언론에 대한 심리전 등 정보 조작을 수행하는 사회 단체였다.
3. 2. 기관지
조국통일한국어[1]
4. 위상 변화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의 분파였던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1961년 5월 13일에 설립되었다. 이는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사임한 것에 대한 평양의 지속적인 대응의 일환이었다.[1][2] 위원회 창설은 남한의 정치적 불안을 악화시키고, 3일 뒤 박정희의 5·16 군사 정변 성공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2]
2016년 6월 29일, 201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선거로 선출된 제13기 최고인민회의 4차 회의에서 위원회는 국가 기구로 격상되었다.[4]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는 "흡수 통일", "체제 통일"을 국책으로 정한 대한민국과는 통일이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며 민족경제협력국, 금강산국제관광국과 함께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폐지하는 결정을 채택했다.[5]
5. 역대 위원장 및 부위원장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역대 위원장 및 부위원장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
위원장 | 홍명희 | 초대 |
김일 | 1980년대[7] | |
허담 | 2대 | |
김용순 | 3대 | |
리선권 | 4대 ~ 2024년 해체 시까지 | |
부위원장 | 최덕신 | 1989년까지[8] |
김용순 | 2003년까지[9] | |
김기남 | 2005년경[10] | |
전종수 | 2024년 해체 시까지 |
5. 1. 역대 위원장
5. 2. 역대 부위원장
6. 평가 및 비판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기구였던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표면적으로는 남북 교류를 위한 단체였지만, 실제로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여론 조작, 사상 공작, 언론 심리전 등 정보 조작을 수행했다.[3] 한국을 향해 라디오를 통한 선전 방송을 하거나, 2003년에는 공식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를 개설하여 운영하기도 했다.[3]
조평통의 설립은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사임한 것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1961년 5월 13일에 이루어졌다. 조평통 창설 발표는 대한민국의 정치적 불안을 심화시키고, 3일 뒤 박정희 장군의 5·16 군사 정변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2]
조평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대남 정책을 실행하는 핵심 기구로서, 남북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 정부는 조평통을 공식적인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았으며, 북한은 조평통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의 정당성을 부정하는 입장을 강조했다.[1] 조평통의 활동은 남북 관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조평통이 주도한 대남 선전 및 심리전은 대한민국 사회의 갈등을 조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는 조평통을 민족경제협력국, 금강산국제관광국과 함께 폐지하는 결정을 채택했다. 최고인민회의는 "약 8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에 기반한 우리 조국 통일 노선과 명확히 상반되는 '흡수 통일', '체제 통일'을 국책으로 정한 대한민국과는 언제까지고 통일이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참조
[1]
서적
Korea Briefing 2000–2001: First Steps Toward Reconciliation and Reunification
https://books.google[...]
M.E. Sharpe
[2]
서적
The Neutralized-unification of Korea i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Korea
Scarecrow Press
[4]
뉴스
The Fourth Session of the 13th SPA: Tweaks at the Top
https://www.38north.[...]
2019-08-30
[5]
뉴스
Decision of DPRK Supreme People's Assembly
https://web.archive.[...]
2024-01-16
[6]
뉴스
Declaring South fellow countrymen no longer, Pyongyang shutters inter-Korean exchange bodies
https://english.hani[...]
2024-01-16
[7]
웹사이트
Modern Korean History Portal: Timeline: 1981
https://web.archiv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21-02-05
[8]
뉴스
Choi Duk Shin, 75, Ex-South Korean Envoy
https://www.nytimes.[...]
2013-05-28
[9]
뉴스
Pyongyang official dies of crash injuries
https://www.nytimes.[...]
2010-06-08
[10]
뉴스
S. Korean president meets DPRK officials
http://english.peopl[...]
2013-05-28
[11]
뉴스
北朝鮮、祖国平和統一委員会を韓国統一部と同等の国家機構化
http://japan.hani.co[...]
2018-01-03
[12]
뉴스
北朝鮮「統一実現しない」…祖国平和統一委員会と金剛山国際観光局など廃止
https://s.japanese.j[...]
2024-01-16
[13]
뉴스
Choi Duk Shin, 75, Ex-South Korean Envoy
http://www.nytimes.c[...]
2014-11-28
[14]
뉴스
Pyongyang official dies of crash injuries
http://www.nytimes.c[...]
2014-11-28
[15]
뉴스
S. Korean president meets DPRK officials
http://english.peopl[...]
2014-11-28
[16]
뉴스
北 '남북 2국가' 정책은 흡수통일 차단 의도…김정은 시대 새 노선
https://www.news1.kr[...]
2024-01-22
[17]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웅진씽크빅
2004-09-08
[18]
웹인용
북)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https://web.archive.[...]
국가기록포털
2008-09-03
[19]
뉴스
北조평통 "여간첩 사건은 날조 모략극"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8-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