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도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도면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진도군에 속하는 면으로,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1899년 진도면의 부속 도서에서 조도면과 가사도면으로 분리되어 면 행정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23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섬으로는 상조도, 하조도, 가사도, 관매도, 독거도, 맹골도 등이 있으며, 진도 관매도 후박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조도면에는 초·중·고등학교가 각각 1개교씩 있으며, 초등학교는 여러 분교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도군 - 벽파진 해전
- 진도군 - 진도군의 농어촌버스
진도군의 농어촌버스는 진도여객, 옥주여객, 조도여객이 운행하며 총 17대의 버스가 등록되어 있고, 진도공용터미널을 기점으로 진도읍, 임회, 군내, 고군, 의신, 지산 방면의 다양한 노선을 운행한다.
조도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조도면 |
한자 표기 | 鳥島面 |
영문 표기 | Jodo-myeon |
위치 | 대한민국 전라남도 진도군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수 | 23개 리 |
법정리 수 | 23개 |
행정리 수 | 39개 |
반 수 | 130개 |
인구 통계 | |
인구 (2022년 3월) | 2,879명 |
세대 (2015년 12월 31일) | 1,798세대 |
지리 | |
면적 | 56.96 km² |
총 면적 (한국어 문서) | 63.95 km² |
기타 정보 | |
면사무소 주소 |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창리길 49 |
웹사이트 | 진도군 조도면사무소 웹사이트 |
2. 연혁
1899년 면행정구역 세분(細分) 이전은 진도면 부속도서로 되어 있다가 조도면과 가사도면으로 분리되어 면행정이 시작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령에 따라 조도면과 가사도면이 합면되었다. 1963년 1월 1일 마진도리를 신안군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1964년 7월 31일 가사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66년 4월 4일에는 서거차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1년 12월 23일에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635.06km2)되었다.[3] 1983년 2월 15일 만재도리 및 고·평사도리를 신안군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1997년 4월 30일 상·하조도 연도교(교량길이 510m)가 개통되었고, 2003년 8월 하조도 창유 일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일부가 해제되었다.
2. 1. 행정 구역 변천
1899년 면행정구역 세분(細分) 이전은 진도면 부속도서로 되어 있다가 조도면과 가사도면으로 분리되어 면행정이 시작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령에 따라 조도면과 가사도면이 합면되었다. 1963년 1월 1일 마진도리를 신안군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1964년 7월 31일 가사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66년 4월 4일에는 서거차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1년 12월 23일에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635.06km2)되었다.[3] 1983년 2월 15일 만재도리 및 고·평사도리를 신안군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1997년 4월 30일 상·하조도 연도교(교량길이 510m)가 개통되었고, 2003년 8월 하조도 창유 일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일부가 해제되었다.2. 2. 주요 사건
- 1899년 면행정구역 세분(細分) 이전은 진도면 부속도서로 되어 있다가 조도면과 가사도면으로 분리되어 면행정이 시작되었다.
- 1914년 행정구역 폐합령에 따라 조도면과 가사도면이 합면되었다.
- 1963년 1월 1일 마진도리를 신안군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 1964년 7월 31일 가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66년 4월 4일 서거차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81년 12월 23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 지정되었다 (635.06km2).[3]
- 1983년 2월 15일 만재도리 및 고·평사도리를 신안군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 1997년 4월 30일 상·하조도 연도교(교량길이 510m)가 개통되었다.
- 2003년 8월 하조도 창유 일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일부가 해제되었다.
3. 행정 구역
조도면은 23개의 리로 나뉜다.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가사도리 | 加沙島里 | 가사리, 궁항리(弓項里), 돌목리(--里) | |
관매도리 | 觀梅島里 | 관매리, 관호리(觀湖里) | |
관사도리 | 觀沙島里 | 관사리, 관작리(觀作里) | |
내병도리 | 內竝島里 | 내병리 | |
눌옥도리 | 訥玉島里 | 눌옥리 | |
대마도리 | 大馬島里 | 대마리, 대막리(大幕里) | |
독거도리 | 獨巨島里 | 독거리 | |
동거차도리 | 東巨次島里 | 동육리, 동막리 | |
라배도리(나배도리) | 羅拜島里 | 라배리(나배리, 羅拜里) | |
맹골도리 | 孟骨島里 | 맹골리 | |
맹성리 | 孟城里 | 맹성리, 당도리(堂道里) | |
모도리 | 茅島里 | 모도리 | |
서거차도리 | 西巨次島里 | 서거차리 | |
성남도리 | 城南島里 | 성남리 | |
소마도리 | 小馬島里 | 소마리 | |
신육리 | 新陸里 | 읍구리(邑仇里), 육동리(陸東里), 신전리(新田里) | |
여미리 | 礪尾里 | 동구리(洞口里), 율목리(栗木里), 여미리 | |
옥도리 | 玉島里 | 옥도리 | |
외병도리 | 外竝島里 | 외병리 | |
죽항도리 | 竹項島里 | 죽항리 | |
진목도리 | 進木島里 | 진목리 | |
창유리 | 倉柳里 | 창리(倉里), 어류포리(魚遊浦里), 산행리(山行里),유토리(柳土里), 명지리(明池里), 곤우리(坤友里) | 조도면사무소 소재지 |
청등도리 | 靑藤島里 | 청등리 |
리 | 한글 | 한자 | 섬 |
---|---|---|---|
관매도리 | 관매도리 | 觀梅島里 | 관매도, 각흘도, 항도, 형제도 |
동거차도리 | 동거차도리 | 東巨次島里 | 동거차도, 망도, 병풍도, 북도, 상송도, 송도, 하송도 |
서거차도리 | 서거차도리 | 西巨次島里 | 서거차도, 상하죽도, 항도 |
신육리 | 신육리 | 新陸里 | 하조도, 수육도 |
창유리 | 창유리 | 倉柳里 | 하조도 |
대마도리 | 대마도리 | 大馬島里 | 대마도, 거마도, 소거마도, 내항도, 외항도, 시하도 |
소마도리 | 소마도리 | 小馬島里 | 소마도, 굄도, 대불장도 |
관사도리 | 관사도리 | 觀沙島里 | 관사도, 산자도, 족도, 주도 |
나배도리 | 나배도리 | 羅拜島里 | 나배도, 소나배도 |
맹성리 | 맹성리 | 孟城里 | 상조도, 충도 |
여미리 | 여미리 | 礖尾里 | 상조도, 구남도, 백야도, 유금도 |
성남도리 | 성남도리 | 城南島里 | 성남도, 소성남도, 상갈도, 하갈도 |
죽항도리 | 죽항도리 | 竹項島里 | 죽항도 |
독거도리 | 독거도리 | 獨巨島里 | 독거도, 독거군도, 구도, 변도, 슬도, 소슬도, 탄항도, 행금도 |
청등도리 | 청등도리 | 靑藤島里 | 청등도, 곡두도, 송도, 신의도 |
모도리 | 모도리 | 茅島里 | 모도, 소모도 |
맹골도리 | 맹골도리 | 孟骨島里 | 맹골도, 맹골군도 |
진목도리 | 진목도리 | 進木島里 | 진목도, 갈목도, 갈도, 북도 |
옥도리 | 옥도리 | 玉島里 | 옥도, 과도, 시야도, 오미도 |
눌옥도리 | 눌옥도리 | 訥玉島里 | 눌옥도 |
외병도리 | 외병도리 | 外竝島里 | 외병도, 제도 |
내병도리 | 내병도리 | 內竝島里 | 내병도, 모사도, 북송도 |
가사도리 | 가사도리 | 加沙島里 | 가사도, 가덕도, 광대도, 대신동도, 소시동도, 마도, 상방구도, 중방구도, 하방구도, 송도, 양덕도, 외공도, 접부도, 주지도, 혈도 |
3. 1. 법정리 및 행정리 목록
wikitable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가사도리 | 加沙島里 | 가사리, 궁항리(弓項里), 돌목리(--里) | |
관매도리 | 觀梅島里 | 관매리, 관호리(觀湖里) | |
관사도리 | 觀沙島里 | 관사리, 관작리(觀作里) | |
내병도리 | 內竝島里 | 내병리 | |
눌옥도리 | 訥玉島里 | 눌옥리 | |
대마도리 | 大馬島里 | 대마리, 대막리(大幕里) | |
독거도리 | 獨巨島里 | 독거리 | |
동거차도리 | 東巨次島里 | 동육리, 동막리 | |
라배도리(나배도리) | 羅拜島里 | 라배리(나배리, 羅拜里) | |
맹골도리 | 孟骨島里 | 맹골리 | |
맹성리 | 孟城里 | 맹성리, 당도리(堂道里) | |
모도리 | 茅島里 | 모도리 | |
서거차도리 | 西巨次島里 | 서거차리 | |
성남도리 | 城南島里 | 성남리 | |
소마도리 | 小馬島里 | 소마리 | |
신육리 | 新陸里 | 읍구리(邑仇里), 육동리(陸東里), 신전리(新田里) | |
여미리 | 礪尾里 | 동구리(洞口里), 율목리(栗木里), 여미리 | |
옥도리 | 玉島里 | 옥도리 | |
외병도리 | 外竝島里 | 외병리 | |
죽항도리 | 竹項島里 | 죽항리 | |
진목도리 | 進木島里 | 진목리 | |
창유리 | 倉柳里 | 창리(倉里), 어류포리(魚遊浦里), 산행리(山行里),유토리(柳土里), 명지리(明池里), 곤우리(坤友里) | 조도면사무소 소재지 |
청등도리 | 靑藤島里 | 청등리 |
```
조도면은 23개의 리로 나뉜다. 각 리에 속하는 섬들은 다음과 같다.
4. 부속 도서
조도면에는 다음과 같은 부속 도서가 있다.
- 맹성리, 여미리 : 상조도
- 신육리, 창유리 : 하조도
- 가사도리 : 가덕도, 가사도, 광대도, 대소동도, 소소동도, 돈서, 마도, 상방구도, 송도, 양덕도, 외공도, 접우도, 주지도, 중방구도, 하방구도, 혈도, 산402번지 섬
- 관매도리 : 각흘도, 관매도, 항도, 형제도, 고치여, 산320번지 섬
- 관사도리 : 관사도, 산자도, 족도, 주도, 산144번지 섬
- 나배도리 : 나배도, 소나배도
- 내병도리 : 내병도, 모사도, 북송도
- 눌옥도리 : 눌옥도
- 대마도리 : 거마도, 내항도, 대마도, 소거마도, 시하도, 외항도, 상어여
- 독거도리 : 구도, 독거도, 독거군도(개의도, 서대기도, 제주도, 초도, 화단도, 소경여), 변도, 소슬도, 슬도, 탄항도, 행금도, 두여, 탄항여, 산104번지 섬
- 동거차도리 : 동거차도, 망도, 병풍도, 북도, 상송도, 송도, 하송도
- 맹골도리 : 맹골군도(곽도, 맹골도, 명도, 몽덕도, 소죽도, 죽도), 산13번지 섬, 산14번지 섬
- 맹성리 : 충도, 산74번지 섬, 산98번지 섬, 260~272번지 일대 섬
- 모도리 : 모도, 소모도, 흑여, 산29번지 섬, 산30번지 섬
- 서거차도리 : 상하죽도(상죽도, 하죽도), 서거차도, 항도, 산15번지 섬
- 성남도리 : 상갈도, 성남도, 소성남도, 하갈도, 새섬
- 소마도리 : 계도, 대불장도, 소마, 조도
- 신육리 : 수육도, 매동여, 산439번지 섬, 산440번지 섬, 산441번지 섬, 산444번지 섬
- 여미리 : 군암도, 백야도, 유금도, 목여, 산258번지 섬
- 옥도리 : 과도, 시야도, 오미도, 옥도, 산11번지 섬
- 외병도리 : 외병도, 제도
- 죽항도리 : 죽항도, 담초여
- 진목도리 : 갈도, 갈목도, 북도, 진목도, 소양간여, 산20번지 섬, 산25번지 섬
- 청등도리 : 곡두도, 송도, 신의도, 청등도, 목여
- 가사군도(Gasa archipelago): 가사도, 대소동도, 주지도, 양덕도, 혈도, 송도, 광대도
- 성남군도(Seongnam archipelago): 성남도, 소성남도, 옥도, 백야도, 유금도, 내병도, 외병도
- 상조군도(Upper Jodo archipelago): 상조도
- 하조군도(Lower Jodo archipelago): 하조도
- 독거군도(Dokgeo archipelago): 독거도, 슬도, 구도
- 관매군도(Gwanmae archipelago): 관매도, 청등도
- 거차군도(Geocha archipelago): 동거차도, 서거차도 등
- 맹골군도(Maenggol archipelago): 맹골도, 곽도, 명도, 몽덕도, 소죽도, 죽도
4. 1. 주요 군도
조도면에는 다음과 같은 섬들이 있다.- 상조도
- 하조도
- 가사군도(Gasa archipelago): 가사도, 대소동도, 주지도, 양덕도, 혈도, 송도, 광대도
- 성남군도(Seongnam archipelago): 성남도, 소성남도, 옥도, 백야도, 유금도, 내병도, 외병도
- 독거군도(Dokgeo archipelago): 독거도, 슬도, 구도
- 관매군도(Gwanmae archipelago): 관매도, 청등도
- 거차군도(Geocha archipelago): 동거차도, 서거차도 등
- 맹골군도(Maenggol archipelago): 맹골도, 곽도, 명도, 몽덕도, 소죽도, 죽도
- 그 외 관사도, 나배도, 눌옥도, 대마도, 소마도, 죽항도, 진목도 등
4. 2. 그 외 부속 도서
조도면에는 다음과 같은 부속 도서가 있다.- 맹성리, 여미리 : 상조도
- 신육리, 창유리 : 하조도
- 가사도리 : 가덕도, 가사도, 광대도, 대소동도, 소소동도, 돈서, 마도, 상방구도, 송도, 양덕도, 외공도, 접우도, 주지도, 중방구도, 하방구도, 혈도, 산402번지 섬
- 관매도리 : 각흘도, 관매도, 항도, 형제도, 고치여, 산320번지 섬
- 관사도리 : 관사도, 산자도, 족도, 주도, 산144번지 섬
- 나배도리 : 나배도, 소나배도
- 내병도리 : 내병도, 모사도, 북송도
- 눌옥도리 : 눌옥도
- 대마도리 : 거마도, 내항도, 대마도, 소거마도, 시하도, 외항도, 상어여
- 독거도리 : 구도, 독거도, 독거군도(개의도, 서대기도, 제주도, 초도, 화단도, 소경여), 변도, 소슬도, 슬도, 탄항도, 행금도, 두여, 탄항여, 산104번지 섬
- 동거차도리 : 동거차도, 망도, 병풍도, 북도, 상송도, 송도, 하송도
- 맹골도리 : 맹골군도(곽도, 맹골도, 명도, 몽덕도, 소죽도, 죽도), 산13번지 섬, 산14번지 섬
- 맹성리 : 충도, 산74번지 섬, 산98번지 섬, 260~272번지 일대 섬
- 모도리 : 모도, 소모도, 흑여, 산29번지 섬, 산30번지 섬
- 서거차도리 : 상하죽도(상죽도, 하죽도), 서거차도, 항도, 산15번지 섬
- 성남도리 : 상갈도, 성남도, 소성남도, 하갈도, 새섬
- 소마도리 : 계도, 대불장도, 소마, 조도
- 신육리 : 수육도, 매동여, 산439번지 섬, 산440번지 섬, 산441번지 섬, 산444번지 섬
- 여미리 : 군암도, 백야도, 유금도, 목여, 산258번지 섬
- 옥도리 : 과도, 시야도, 오미도, 옥도, 산11번지 섬
- 외병도리 : 외병도, 제도
- 죽항도리 : 죽항도, 담초여
- 진목도리 : 갈도, 갈목도, 북도, 진목도, 소양간여, 산20번지 섬, 산25번지 섬
- 청등도리 : 곡두도, 송도, 신의도, 청등도, 목여
- 가사군도(Gasa archipelago): 가사도, 대소동도, 주지, 양덕도, 혈도, 송도, 광대도
- 성남군도(Seongnam archipelago): 성남도, 소성남도, 옥도, 백야도, 유금도, 내병도, 외병도
- 상조군도(Upper Jodo archipelago): 상조도
- 하조군도(Lower Jodo archipelago): 하조도
- 독거군도(Dokgeo archipelago): 독거도, 슬도, 구도
- 관매군도(Gwanmae archipelago): 관매도, 청등도
- 거차군도(Geocha archipelago): 동거차도, 망도, 북도, 상송도, 하송도, 송도, 서거차도, 상죽도, 하죽도, 항도
- 맹골군도(Maenggol archipelago): 맹골도, 곽도, 명도, 몽덕도, 소죽도, 죽도
5. 문화
- 진도 관매도 후박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12호이다.
5. 1. 문화재
- 진도 관매도 후박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12호이다.
5. 2. 관광
6. 교육
조도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가 각 1개교씩 있다. 초등학교는 조도초등학교이며, 관매도, 관사도, 서거차도, 대마도에는 분교가 있다. 진도서초등학교 가사분교도 조도면에 있다. 중학교는 조도중학교이고, 고등학교는 조도고등학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dministrative divisions and Population of Jodo-myeon
https://web.archive.[...]
2014-04-24
[2]
웹사이트
Jodo Course
http://english.knps.[...]
Korea National Park
2014-06-12
[3]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78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