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조 바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르조 바사리는 이탈리아의 화가, 건축가이자 미술사가로, 1511년 아레초에서 태어나 1574년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그는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1세의 전속 예술가로서 우피치 궁전을 설계하고 프레스코화를 제작했으며, 피렌체 아카데미아 델레 아르티 델 디세뇨 설립에 기여했다. 또한, 그는 《미술가 열전》을 저술하여 "미술사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을 기록하여 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 그의 저서에는 피렌체 회화를 편애하고 기록 오류가 존재하지만,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평론가 - 안토니오 그람시
안토니오 그람시는 이탈리아 공산당 창립에 기여하고 파시즘 정권 하에서 헤게모니 이론을 정립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정치인, 언론인으로, 그의 사상은 서구 마르크스주의와 다양한 분야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미술사학자 - 비르질리오 노에
비르질리오 노에는 1922년 이탈리아 출생으로, 사제 서품 후 전례 개혁에 기여하고 교황청 경신성사성에서 활동하다 1991년 추기경에 서임되었으며,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를 교황청의 부지런한 협력자로 평가했다. - 매너리즘 화가 - 엘 그레코
엘 그레코는 비잔틴 미술을 익히고 베네치아와 로마를 거쳐 스페인 톨레도에서 독창적인 화풍을 확립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이며, 매너리즘의 영향을 받아 인물을 길게 늘이고 강렬한 색채와 빛으로 종교적 감성을 표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등이 있다. - 매너리즘 화가 - 크리스토파노 알로리
크리스토파노 알로리는 베네치아 화풍의 색채와 피렌체 화풍의 드로잉 기법을 융합한 16세기 후기 피렌체 마니에리스모 화가로, 메디치 가문의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자연에 대한 정확한 묘사와 섬세한 기법으로 유명해졌고, 대표작인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든 유딧"은 현대에도 재해석되며 여성의 강인함을 보여주는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조르조 바사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조르조 바사리 |
출생 | 1511년 7월 30일 |
출생지 | 아레초, 피렌체 공화국 |
사망 | 1574년 6월 27일 (62세) |
사망지 | 피렌체, 토스카나 대공국 |
국적 | 이탈리아 |
분야 | 회화 건축 미술사 |
사조 | 르네상스 |
스승 | 안드레아 델 사르토 |
배우자 | 니콜로사 바치 |
주요 작품 | 《가장 뛰어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의 생애》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Collins English Dictionary |
2. 생애
1511년 토스카나 아레초에서 태어났다.[24] 1524년 피렌체로 가서 안드레아 델 사르토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고 미켈란젤로의 제자로서, 메디치가(피렌체의 지배자)의 원조를 받으면서 회화, 조각, 건축에 종사했다. 1529년 로마를 방문하여 라파엘로와 그 밖의 르네상스 화가들의 작품을 공부하고 고대 로마의 유적을 소묘해 가면서 예술적 영감을 쌓아갔다.
바사리는 평생 매우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다. 1529년 로마를 방문하여 라파엘로와 로마 르네상스 시대의 다른 예술가들의 작품을 연구했다. 그의 매너리즘 회화는 사후보다 생전에 더 칭찬을 받았다. 1547년 로마의 팔라초 델라 칸첼레리아에 있는 영사실의 홀을 살라 데이 센토 조르니라는 이름으로 벽화로 완성했다. 피렌체와 로마의 메디치 가문에 정기적으로 고용되었고, 나폴리 (예: 바사리 사크리스티에 작업), 아레초 및 기타 지역에서도 활동했다.[8]
당시 메디치가의 수장이었던 코시모 1세의 힘과 영광을 드러내기 위하여 무수한 프레스코화(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많이 그려진 벽화)를 제작하였고 우피치 궁(우피치미술관) 설계 등의 대작들을 연달아 수행했다. 화가로서 바사리는 화려하고 지적이지만 독창성은 부족한 보수적인 미술가였다. 그러나 건축가로서는 간결하고 강건한 건축물을 만들어내었다.
코시모 1세가 권좌에서 물러나 사망한 몇 달 후인 1574년 숨을 거두었다. 조르조 바사리는 1511년 7월 30일, 토스카나 아레초에서 조산으로 태어났다.[6] 그의 사촌 루카 시뇨렐리의 추천으로 어린 나이에 스테인드 글라스의 숙련된 화가인 구글리엘모 다 마르실리아의 제자가 되었다.[7][8] 실비오 파세리니 추기경에 의해 16세에 피렌체로 보내져, 안드레아 델 사르토와 그의 제자 로소 피오렌티노, 야코포 폰토르모의 문하에 들어가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다. 그는 미켈란젤로와 친구가 되었고, 미켈란젤로의 화풍은 바사리에게 영향을 미쳤다. 바사리는 생전에 높은 명성을 누렸고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 그는 아레초에서 가장 부유하고 저명한 가문 중 하나인 니콜로사 바치와 결혼했다. 그는 교황으로부터 황금 박차 기사 작위를 받았다. 그는 고향의 시의회에 선출되었고, 마침내 곤팔로니에레라는 최고 직위에 올랐다.[8]
1547년 아레초에 훌륭한 집을 짓고 벽과 천장을 그림으로 장식했다. 현재 이 집은 그의 이름을 딴 카사 바사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의 피렌체 거주지 또한 보존되어 있다. 1563년 그는 피렌체의 ''아카데미아 에 콤파냐 데레 아르티 델 디세뇨''를 코시모 1세 데' 메디치 대공과 미켈란젤로를 기관의 "카피"(수장)로 하여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36명의 예술가가 회원으로 선택되었다.[9] 그는 1574년 6월 27일, 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에서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1529년 로마를 방문하여 라파엘로 등의 작품을 공부했다. 이후 메디치의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1세 (1519년-1574년)의 전속 예술가가 되었다. 현재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우피치 궁전도 설계했다.
1572년부터 피렌체 대성당 돔 천장에 『최후의 심판』 프레스코화를 그렸으나, 1574년 사망했다 (천장화는 1579년에 완성).
3. 회화
그의 그림 중 많은 수가 여전히 존재하며, 가장 중요한 작품은 1555년부터 그와 그의 조수들이 작업했던 피렌체의 베키오 궁에 있는 살라 디 코시모 1세의 벽과 천장에 있는 그림이다.[8] 바사리는 또한 현재 베키오 궁에 재조립된 스튜디오의 장식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로마에서는 살라 레지아에 프레스코를 그렸다. 그의 마지막 주요 의뢰작은 피렌체 대성당 돔 천장에 그려진 거대한 프레스코화 최후의 심판으로, 1572년에 볼로냐 출신의 화가 로렌초 사바티니의 도움을 받아 시작했지만, 바사리의 사망으로 미완성되어 페데리코 주카리에 의해 완성되었다.[11]
그의 잘 알려진 제자나 추종자로는 세바스티아노 플로리, 바르톨로메오 카르두치, 미라벨로 카발로리 (살린코르노), 스테파노 벨트로니 (몬테 산 사비노 출신) 및 알레산드로 포르토리 (아레초 출신) 등이 있다.[11]
우피치 미술관 소장 (피렌체)
루브르 박물관 소장 (파리)
그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그의 수많은 작품들은 산타 마리아 대성당, 베키오 궁, 바티칸 궁, 바사리 회랑에서 감상할 수 있다.[24]
4. 건축
바사리는 화가로서의 경력 외에도 건축가로서도 성공했다.[12] 그의 로지아는 아르노 강을 따라 있는 우피치 미술관의 팔라초에서 뻗어 나와 길고 좁은 안뜰의 먼 끝을 시원하게 트이게 한다. 이것은 공공 광장으로 기능하는 독특한 도시 계획으로, 짧은 거리로 간주하더라도 통일된 건축적 처리가 돋보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독특한 거리이다. 아르노 강에서 바라본 로지아의 모습은 바사리 복도와 함께 강을 향해 열려 있고 강변 환경을 포용하는 몇 안 되는 구조물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13]
피렌체에서 바사리는 우피치 미술관을 강 건너 피티 궁전과 연결하는 긴 통로를 설계했는데, 현재는 바사리 복도라고 불린다. 이 복도는 아케이드 위로 아르노 강을 따라 지나가고, 베키오 다리를 건너 여러 건물 외부를 감싸고 돈다. 한때는 메르카토 데 베키오가 있던 곳이다.[14] 그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과 산타 크로체 성당의 중세 교회를 개조했다. 두 건물 모두에서 그는 원래의 성가대석과 로프트를 제거하고, 매너리즘 시대의 취향에 맞게 후면 성가대석을 개조했다.[8]
산타 크로체 성당에서 바사리는 1566년 교황 비오 5세의 의뢰를 받아 1567년 2월에 완성된 ''동방 박사의 경배''를 제작했다. 이 작품은 최근 복원되어 2011년 로마와 나폴리에서 전시되었다. 1562년, 바사리는 피스토이아에 있는 겸손의 성모 성당에 팔각형 돔을 건설했는데, 이는 고 르네상스 건축의 중요한 사례이다.[15] 로마에서 바사리는 교황 율리우스 3세의 빌라 줄리아에서 자코모 바로치 다 비뇰라 및 바르톨로메오 암마나티와 함께 작업했다.
5. 《미술가 열전》
바사리는 자신의 책 제1부 '서설'에서 고대의 재생을 논하며 당시 시대를 규정짓기 위해 'Rinascimento'(르네상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에는 현재 우리가 쓰는 '르네상스 시대'라는 역사적 개념이라기보다는, '고대 그리스 문화가 재생하였다'라는 평면적 의미였다. 현대 우리가 쓰는 역사적인 의미는 스위스의 미술사학자인 부르크하르트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25]에서 만들어 낸 개념이다.
바사리가 남긴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미술가 열전》(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이다. 이 책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 200여 명의 삶과 작품을 기록한 것으로, 1550년에 초판이 출간되었고 1568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Le vite de' piu eccelenti pittori, scultori e architettori|르 비테 데 피우 에첼렌티 피토리, 스쿨토리 에 아르키테토리it는 여러 나라에서 번역 출판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이 번역, 출판되었다.
출판 연도 |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비고 |
---|---|---|---|---|
1982년 | 르네상스 화가전 | 히라카와 스케히로(平川祐弘)·코타니 토시지(小谷年司)·다나카 히데미치(田中英道) | 하쿠스이샤(白水社) | 주요 작가 발췌 |
1995년 | 속 르네상스 화가전 | 히라카와 스케히로(平川祐弘)·센보쿠야 치토(仙北谷茅戸)·코타니 토시지(小谷年司) | 하쿠스이샤(白水社) | 주요 작가 발췌 |
1989년 (2009년, 신장판) | 르네상스 조각가 건축가 열전 | 모리타 요시유키(森田義之) 감수 | 주요 작가 발췌 | |
2011년 | 예술가 열전 | 하쿠스이 U 북스(白水Uブックス) | 전 3권, 저명한 화가·총 17명 수록 | |
2014년 - 2022년 | 미술가 열전 | 모리타 요시유키(森田義之)·코시카와 토모아키(越川倫明)·카이 노리유키(甲斐教行)·미야시타 키쿠로(宮下規久朗)·타카나시 미츠마사(高梨光正) 감수 | 주오코론 미술출판(中央公論美術出版) | 전 6권, 완역판 |
1986년 |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가전 | 이근배 | 탐구당 | 완역본 |
2000년 | 이태리 르네상스의 미술가 평전 | 한명출판사 | 완역본의 축약본, 품절 | |
2019년 |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 | 재출간 |
5. 1. 개요 및 학술적 가치
조르조 바사리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미술가 열전》(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이다. 이 책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 200여 명의 삶과 작품을 기록한 것으로, 르네상스 미술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다. 1550년 초판이 출간되었고, 1568년에는 이탈리아 전역을 돌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정판이 나왔다.[26]《미술가 열전》은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미술사 서적으로 평가받으며, 바사리는 이 책을 통해 "미술사학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얻었다.[26] 그는 책에 당시 예술 기법을 상세히 분류한 '기법론'을 추가하여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들의 기술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8][17]
바사리는 '레 비테 데 피우 에첼렌티 피토리, 스컬토리, 에 아르키테토리'(가장 뛰어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의 생애)를 통해 예술가 전기 백과사전이라는 장르를 개척했다.[16] 이 책은 1550년 코시모 1세 데 메디치 대공에게 헌정되었으며, 바사리는 이 책에서 '린아시타'(이탈리아어로 부활)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시대부터 예술 분야에서 진행 중인 '부활'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조토의 작품과 함께 예술적 스타일의 변화를 지칭하며, 이후 프랑스어 '르네상스'(부활)로 널리 사용되었다. 바사리는 고딕 미술이라는 용어를 현대적으로 사용한 인물이기도 하지만, 그는 '고트'라는 단어를 부활 이전의 '야만적인' 독일 양식과 관련해서만 사용했다. 《미술가 열전》은 예술에 사용된 기술적 방법에 대한 새로운 논문을 포함했다.[8][17] 1568년에는 부분적으로 다시 쓰여지고 확장되었으며, 예술가의 목판 초상화(일부는 추측)가 추가되었다.

《미술가 열전》은 피렌체 회화를 편애하고 르네상스 미술의 모든 발전을 피렌체에 귀속시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판화의 발명이 그렇다. 특히 베네치아 미술은 첫 번째 판에서 체계적으로 무시되었다. 바사리는 첫 번째 판과 두 번째 판 사이 베네치아를 방문하여 두 번째 판에서는 베네치아 미술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지만, 중립적인 관점을 갖지는 못했다.
《미술가 열전》에는 몇 가지 부정확한 내용도 있다. 예를 들어, 바사리는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가 도메니코 베네치아노를 살해했다고 썼지만, 안드레아는 도메니코보다 몇 년 전에 사망했다. 또한, 일 소도마라는 인물에 대한 전기에서 그를 부도덕하고 비열하며 허영심 많다고 비난했지만, 실제로는 레오 10세에 의해 최고 그리스도 기사단의 기사로 임명되는 등 중요한 의뢰를 받은 인물이었다.[18]
바사리의 전기는 재미있는 가십들로 구성되어 있다. 많은 일화가 그럴듯해 보이지만, 일부는 허구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젊은 조토가 치마부에의 그림 표면에 파리를 그려 넣었고, 나이든 거장이 이를 반복적으로 털어내려 했다는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 화가 아펠레스에 대한 일화와 같은 장르의 이야기이다. 바사리는 현대 미술 사학자들처럼 정확한 날짜를 위해 기록 보관 연구를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전기는 동시대 화가들과 이전 세대의 화가들에 대해 더 신뢰할 수 있다. 현대 비평은 연구를 통해 생성된 새로운 자료로 그의 많은 날짜와 사실을 수정했다.[8] 바사리는 《미술가 열전》 마지막 부분에 짧은 자서전을 포함시켰고, 라자로 바사리와 프란체스코 살비아티의 생애에 자신과 그의 가족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을 추가했다.[8]
역사학자 리차드 골드스웨이트에 따르면,[19] 바사리는 경제적 의미에서 '경쟁'(이탈리아어로 '콘코렌차')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초기 저술가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이 용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했으며, 피에트로 페루지노의 생애에 대한 서문에서 피렌체 예술의 탁월성을 설명하면서 이 개념을 강조했다. 바사리는 피렌체 예술가들이 배고팠기 때문에 뛰어났고, 그들은 작품 의뢰를 위한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배고팠다고 보았다. 그는 경쟁이 "그들을 유지하는 영양분 중 하나"라고 말했다.
5. 2. 기록 오류
바사리의 기록에는 많은 오류가 존재한다.[27] 대표적인 오류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임종에 관련된 내용이다. 1516년 이후 말년에 3년 동안 프랑스에서 계속 거주하며 활동하던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1519년 5월 2일, 67세의 나이로 프랑스 클로 뤼세(Clos Lucé)에 있는 자신의 저택에서 사망했다.[28] 바사리는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프랑수아 1세의 품 안에서 숨을 거뒀다고 적고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프랑수아 1세는 다빈치 임종 시 그 자리에 없었다.[29]
또 다른 대표적인 오류는 모나리자에 대한 것이다.[30] 바사리는 모나리자의 눈썹이 자연스럽고 아름답다고 평가했으나, 실제로는 모나리자에 눈썹이 없는 것이 특징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바사리의 실제 기록은 다음과 같다. "피부에서 솟아난 눈썹의 털은 여기는 뻣뻣하게, 저기는 성기게, 또 모근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어 있어 그 이상 자연적일 수 없을 것 같다."[31]
이는 마치 바사리가 직접 본 것을 기록한 듯했지만, 실제로는 모나리자라는 작품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는 증거가 되고 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미완성된 모나리자를 가지고 프랑스로 이주한 시기는 1516년으로, 이때 바사리는 겨우 5살이었다.[28] 또한 다빈치 사망 후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가 다빈치의 제자인 멜치로부터 4000플로린[32]에 모나리자를 구입하여 퐁텐블로 궁전[33][34]에 개인 소장하고 있었다. 따라서 후대의 많은 연구자들은 바사리가 직접 모나리자를 볼 기회가 없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35][36]
바사리의 저서에 많은 기록 오류가 존재하는 이유는 그가 각종 서류와 일화, 구술 기록 등을 꼼꼼히 조사했지만, 사실 확인이 부족할 경우에는 망설이지 않고 그 부분을 가설로 채워 넣었기 때문이다.[37] 바사리는 실제로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사람이며, 미켈란젤로의 친구이자 제자이기도 했다. 그는 책에 등장하는 여러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과 직간접적으로 널리 교류했다. 그 덕분에 좀 더 생생하고 자세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 훗날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오류로 밝혀진 부분들도 적지 않지만, 그가 생존했던 시대의 상황과 혼자서 200여 명에 대한 평전을 집필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생각해 보면 그가 남긴 오류가 크게 눈에 띄지는 않는 것 같다.
5. 3. 한국어 번역
Le vite de' piu eccelenti pittori, scultori e architettori|르 비테 데 피우 에첼렌티 피토리, 스쿨토리 에 아르키테토리it는 여러 나라에서 번역 출판되었으며, 1986년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가전'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서 처음 번역, 출판되었다(이근배 역, 탐구당 간행). 이 완역본의 축약본은 2000년에 '이태리 르네상스의 미술가 평전'이라는 제목으로 한명 출판사에서 다시 간행하기도 했다. 탐구당본과 한명 출판사 본 모두 품절되어 헌책방에서만 구할 수 있었으나, 2019년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이라는 제목으로 다시 출간되어 2020년 12월 현재 시중 대형서점 또는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Vasari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6-01
[2]
웹사이트
Vasari, Giorgi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Vasari
2019-06-01
[4]
사전
Vasari
2019-06-01
[5]
서적
Histoire de France: Renaissance
1835
[6]
서적
Everyman's dictionary of pictorial art. Volume II.
Dent
1962
[7]
웹사이트
Art in Tuscany Giorgio Vasari and Italian Renaissance painting Podere Santa Pia, Holiday house in the south of Tuscany
http://www.traveling[...]
2017-10-01
[8]
백과사전
Vasari, Giorgio
[9]
논문
Santi di Tito and the Florentine Academy: Solomon Building the Temple in the Capitolo of the Accademia del Disegno (1570–71)
2002-02
[10]
웹사이트
Six Tuscan Poets, Giorgio Vasari
http://collections.a[...]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11]
서적
The History of Painting in Italy: The Florentine, Sienese, and Roman schools
https://books.google[...]
[12]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rtists
Facts on File
2005
[13]
웹사이트
Tuscan artists' insight: Giorgio Vasari
https://www.florence[...]
2024-09-16
[14]
서적
A History of Building Typ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9
[15]
서적
The Christian Travelers Guide to Italy
https://books.google[...]
2001
[16]
웹사이트
Vasari, Giorgio
http://arthistorians[...]
Dictionary of Art Historians
2013-05-26
[17]
서적
Vasari on technique: being the introduction to the three arts of design, architecture, sculpture, and painting, prefixed to the Lives of the most excell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https://archive.org/[...]
Dent
1907
[18]
학술지
Vasari's Biography of Bazzi as 'Soddoma:' Art History and Literary Analysis
2015
[19]
서적
The Economy of Renaissance Florence
2009
[20]
웹사이트
Giorgio Vasari Italian artist and author
https://www.britanni[...]
[21]
웹사이트
イタリア・フィレンツェへ ミケランジェロを訪ねる旅
https://www.nhk.or.j[...]
NHKオンライン
2016-10-23
[22]
서적
世界で一番美しい天井装飾
エクスナレッジ
2015
[23]
서적
美術検定 過去問題集 2008
美術出版社
2008
[24]
백과사전
조르조 바사리 [Giorgio Vasari]
두산백과
[25]
서적
이탈리아 르네상스 이야기
[26]
Youtube
YTN 사이언스 - 다빈치의 위대한 유산
https://www.youtube.[...]
[27]
Youtube
KBS1 다큐 - 1편 모나리자의 진실
https://www.youtube.[...]
[28]
서적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2006-12-26
[29]
서적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30]
Youtube
KBS1 다큐 - 1편 모나리자의 진실
https://www.youtube.[...]
[31]
Youtube
KBS1 다큐 - 1편 모나리자의 진실
[32]
백과사전
레오나르도 다 빈치
네이버 지식백과
2008-05-06
[33]
서적
스캔들 미술사
리베르
2010-12-17
[34]
백과사전
퐁텐블로
두산백과
[35]
서적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2006-12-26
[36]
서적
스캔들 미술사
리베르
2010-12-17
[37]
웹사이트
조르조 바자리
https://100.daum.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