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은 9세기에 지어진 예배당 터에 세워져 '새로운'이라는 뜻의 이름을 얻었으며, 피렌체에 위치한 역사적인 교회이다. 1221년 도미니코 수도회가 이 부지를 인수하여 교회 건축을 시작했으며, 13세기 중반에 건설이 완료되었다. 15세기에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설계한 대리석 파사드가 완성되었고, 이후 조르조 바사리, 엔리코 로몰리 등에 의해 여러 차례 개축 및 복원 공사가 진행되었다. 성당 내부에는 마사초,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등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들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스페인 예배당, 천문 도구 등 부속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의 건축물 -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은 1250년 세르비테 수도회 창립 멤버들이 피렌체에 세운 성당으로, '수태고지' 그림으로 유명하며 르네상스 시기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의 재설계를 통해 고전적인 건축 양식을 갖추었고, 미켈로초가 설계한 회랑과 예술가들의 작품이 있는 성 루카 예배당을 포함하고 있다.
  • 조토 디 본도네 - 조토의 종탑
    조토의 종탑은 이탈리아 피렌체 대성당의 종탑으로, 조토 디 본도네가 설계를 맡아 1334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다채색 대리석과 기하학 무늬, 조각상 등으로 장식되었으며, 현재 7개의 종이 있고 피렌체 시내를 조망할 수 있다.
  • 조토 디 본도네 - 스크로베니 경당
    스크로베니 경당은 이탈리아 파도바에 있는 예배당으로, 조토 디 본도네가 그린 프레스코화로 유명하며, 엔리코 스크로베니가 아버지의 죄를 속죄하고 자신의 구원을 위해 건립했다.
  • 도미니코회 - 예루살렘 성경
    예루살렘 성경은 1943년 교황 비오 12세의 회칙에 따라 예루살렘 에콜 비블리크의 도미니코회 신학자들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을 바탕으로 번역한 성경으로, 여러 차례 개정을 거치며 원전 번역과 해석의 정확성을 높이고 현대 학문적 성과를 반영해왔다.
  • 도미니코회 - 신학대전
    신학대전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집필한 기독교 신학의 대표적 저서로,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반으로 하느님의 존재와 본성, 창조, 인간의 본성, 윤리, 법, 은총, 성사, 종말론 등 광범위한 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미완성 부분을 제자들이 완성하여 오늘날까지 기독교 신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의 파사드, 1470년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완공
1470년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완공한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의 파사드
위치피렌체, 토스카나주, 이탈리아
종교가톨릭교회
소속 교구피렌체 대교구
지위소성당
건축 양식고딕 건축 - 르네상스 건축
기공1279년
완공14세기
축성1420년

2. 역사

우니타 디탈리아 광장에서 본 모습


아벨리 거리에서 본 모습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은 9세기에 지어진 산타 마리아 델레 비녜 예배당 터에 세워져 '노벨라'(새로운)라는 이름이 붙었다.[13] 1221년 도미니코 수도회에 이 부지가 넘겨졌고, 도미니코회 수도사들은 새로운 교회 시설 및 봉쇄 구역을 짓기로 결정했다. 성당 설계는 도미니코회 수도사인 프라 시스토 피오렌티노와 프라 리스토로 다 캄피가 맡았다. 13세기 중엽(약 1276년경)에 건설이 시작되어 80년간 이어졌고,[13] 야코포 탈렌티 수도사의 감독 하에 로마네스크-고딕풍의 종탑성구실이 지어지며 완공되었다. 1360년에는 고딕풍 회랑이 파사드 쪽으로 추가되었으며, 이는 석관을 담기 위한 목적이었다.[13] 교회 시설은 1420년에 축성되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조반니 디 파올로 루첼라이의 의뢰를 받아 성당 파사드 상단 부분을 설계하고, '세르펜티노'라 불리는 프라토 지역의 녹색 대리석과 하얀색 대리석을 사용하여 상감 작업을 했다(1456년–1470년). 그는 리미니의 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 건축가로 이미 유명했지만, 건축 논문(De re aedificatoria|건축에 관하여la)으로 더욱 유명해졌다. 알베르티는 피렌체 내 루첼라이 궁전의 파사드 설계로도 유명하였다.

알베르티는 인본주의적 건축학 이상, 비율, 고전에서 영감을 받은 상세한 내용을 설계에 반영하고, 파사드의 중세적 부분들과 조화시켜냈다. 혼합된 파사드는 정사각형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반복적인 정사각형들을 디자인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14] 그의 기여에는 정사각형 장식의 넓은 프리즈, 하얀색-녹색 필라스터 네 개, 도미니코회의 태양 상징물이 있는 페디먼트 장식의 원형 창문, S자 커브 볼류트가 양쪽으로 떠받히고 있는 파사드의 상단 부분이 있다. 코린토스 주두가 달린 네 개 원주들도 추가되었다. 페디먼트와 프리즈는 고대 양식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S자 커브 스크롤은 고대에 전례가 없던 새로운 것이었다. 넓은 층에서 좁은 층으로 전환하는 건축학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이탈리아 교회들에 설치된 스크롤은 이 성당 설계에서 비롯되었다.[14] 페디먼트 아래 프리즈에는 후원자 이름이 새겨져 있다: ''IOHAN(N)ES ORICELLARIUS PAU(LI) F(ILIUS) AN(NO) SAL(UTIS) MCCCCLXX (1470년에 파올로의 아들 조반니 루첼라이).''

넓은 실내는 이집트 십자(T자 모양) 모양으로 설계되었고 신랑 한 곳과 창문들이 달린 회랑 두 개, 짧은 익랑 한 곳으로 구분되어 있다. 100m 길이의 신랑은 엄숙한 분위기를 준다. 기둥들은 혼합된 형태이고 고딕풍 아치를 떠받치는 코린토스 양식 원주가 있으며, 아치 위로는 장미창이 있는 클리어스토리가 있고, 그 위로는 물결 모양에 뾰족한 네 부분으로 나뉜 볼트가 있다. 리브와 아치는 검정과 하양으로 된 다색 장식으로 되어 있다. 애프스 방향에서 신랑이 실제보다 길어 보이는 트롱프뢰유 효과가 발생하는데, 기둥들이 강단쪽으로 서서히 근접해지기 때문이다.

14세기와 15세기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들이 있으며, 15세기의 '성모자상', '성 요한과 성 필립보' 스테인드글라스 ( 필리피노 리피 제작)가 필리포 스트로치 예배당에 장식되어 있다. 일부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은 수세기에 걸쳐 손상되어 교체되었다. 서쪽 끝의 스테인드글라스는 '마리아의 대관'을 묘사하는 14세기의 것으로, 안드레아 디 보나이우토 다 피렌체의 설계를 기반으로 하였다.

1443년 루첼라이 가문의 의뢰로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설계하고 안드레아 카발칸티가 시행한 설교단은 역사적 중요성을 띠는데, 이 설교단에서 톰마소 카치니 수도사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 옹호를 고발하였다.[15]

  • -|]]|섬네일|upright|마사초의 성 삼위일체]]


왼쪽 복도 중간 지점의 '성 삼위일체'는 마사초의 초기 르네상스 작품으로, 원근감과 수학적 비율에 대한 그의 생각을 보여준다. 의미는 건축의 브루넬레스키, 조각의 도나텔로와 비교된다. 후원자들은 렌치 가문 출신의 판사와 그의 아내로, 그림 속 무릎 꿇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트랑시 아래에 이탈리아어 에피그램이 새겨져 있다: "나는 한때 너와 같았고, 너가 될 무엇이다."

오른쪽 복도의 주목할 만한 것은 1451년에 베르나르도 로셀리노가 만든 'Tomba della Beata Villana'이다. 같은 복도에 티노 디 카마이노, 니노 피사노 등이 만든 피에솔레 주교들의 무덤이 있다.

코시모 1세의 의뢰로 조르조 바사리는 1567년에 첫 번째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원래 있던 루드 스크린과 성당 위층을 제거하고, 원주 사이에 예배당 여섯 개를 추가했다.[1] 1858년과 1860년 사이에는 엔리코 로몰리가 설계한 두 번째 리모델링이 있었다.

교회 앞 광장은 코시모 1세가 개최한 마차 경주 대회(Palio dei Cocchi)에 사용되었다. 이 관습은 1563년부터 19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코르사 데이 코키 오벨리스크 두 개는 경주 대회의 시작과 종료 지점을 표시하며, 로마의 키르쿠스 막시무스를 본떠 만들었다. 오벨리스크 위 청동 토르소는 1608년 잠볼로냐가 제작했다.

2. 1. 건립 배경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은 9세기에 지어진 산타 마리아 델레 비녜 예배당 터에 세워졌기 때문에 '노벨라'(새로운)라는 이름이 붙었다.[13] 1221년, 이 부지는 도미니코 수도회에 넘겨졌고, 도미니코 수도회는 새로운 교회와 봉쇄 구역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프라 시스토 피오렌티노와 프라 리스토로 다 캄피라는 두 명의 도미니코회 수도사가 이 교회를 설계했다. 13세기 중엽(약 1276년경)에 건설이 시작되어 80년간 지속되었으며,[13] 프라이어 야코포 탈렌티의 감독 하에 로마네스크-고딕 양식의 종탑성구실이 완공되면서 끝났다. 1360년에는 고딕 양식의 아케이드가 파사드에 추가되었는데, 이는 석관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었다.[13] 교회는 1420년에 축성되었다.

부유한 피렌체의 양모 상인 조반니 디 파올로 루첼라이의 의뢰를 받아,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성당 파사드 상단 부분을 설계했다. 그는 프라토 지역의 녹색 대리석(일명 '세르펜티노')과 흰색 대리석을 사용하여 상감 작업을 진행했다(1456년–1470년). 알베르티는 리미니의 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 건축가로 이미 유명했지만, 건축에 관한 그의 저명한 논문(De re aedificatoria|건축에 관하여la)으로 더욱 유명해졌다. 알베르티는 피렌체의 루첼라이 궁전 파사드도 설계했다.

알베르티는 인본주의 건축의 이상, 비례, 고전에서 영감을 받은 세부 사항을 디자인에 적용하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파사드의 기존 중세 부분과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이러한 요소들이 혼합된 파사드는 정사각형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디자인에서 여러 반복적인 정사각형들을 찾아볼 수 있다.[14] 성당에 대한 그의 기여에는 정사각형으로 장식된 넓은 프리즈, 하얀색-녹색의 필라스터 네 개, 도미니코회의 태양 상징물이 있는 페디먼트로 장식된 원형 창문 등이 있으며, 동시에 거대한 S자 커브 볼류트가 양쪽으로 떠받히고 있는 파사드의 상단 부분이 있다. 파사드 아래쪽에 있는 코린토스 주두가 달린 네 개의 원주들도 추가되었다. 페디먼트와 프리즈는 분명하게 고대의 양식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파사드 상단의 S자 커브 스크롤은 고대에 전례가 없던 새로운 것이었다. 넓은 층에서 좁은 층으로 전환하는 오랜 건축학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이탈리아의 모든 교회들에 설치된 스크롤(혹은 그 변형 형태)은 이 성당의 설계에서 그 기원이 비롯되었다.[14]

페디먼트 아래 프리즈에는 후원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IOHAN(N)ES ORICELLARIUS PAU(LI) F(ILIUS) AN(NO) SAL(UTIS) MCCCCLXX (1470년에 파올로의 아들 조반니 루첼라이).''

2. 2. 건설 과정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의 건설은 1221년 도미니코 수도회가 9세기에 지어진 산타 마리아 예배당(Santa Maria delle Vigne) 터를 넘겨받으면서 시작되었다.[13] 도미니코회 수도사들은 이 터에 새로운 교회 시설과 봉쇄 구역을 짓기로 결정하였다.

성당 설계는 도미니코회 수도사인 프라 시스토 피오렌티노 (Fra Sisto Fiorentino)와 프라 리스토로 다 캄피(Fra Ristoro da Campi)가 맡았다. 13세기 중엽(대략 1276년경)에 건설이 시작되어 80년간 이어졌으며,[13] 야코포 탈렌티 (Iacopo Talenti) 수도사의 감독 하에 로마네스크-고딕풍의 종탑성구실이 지어지며 완공되었다. 1360년에는 고딕풍 회랑이 파사드 쪽으로 추가되었는데, 이는 석관을 담기 위한 목적이었다.[13] 1420년에 교회 시설이 축성되었다.

1456년부터 1470년까지는 부유한 피렌체의 양모 상인 조반니 디 파올로 루첼라이의 의뢰를 받아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성당 파사드 상단 부분을 설계하고 상감 작업을 했다. 그는 흰색 대리석을 사용하고, 프라토 지역의 녹색 대리석인 '세르펜티노'를 사용하여 파사드를 장식했다. 알베르티는 리미니의 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 건축가로 이미 유명세를 얻었으며, 건축 논문(De re aedificatoria|건축론la)으로 더욱 명성을 얻었다.

알베르티는 파사드를 설계하면서 인본주의적 건축학 이상, 비율, 고전에서 영감을 받은 상세한 내용을 설계에 반영하려고 노력했다. 동시에 파사드의 기존 중세적 부분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했다. 이러한 요소들이 혼합된 파사드는 정사각형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여러 반복적인 정사각형들을 디자인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14] 그의 기여에는 정사각형으로 장식된 넓은 프리즈, 하얀색-녹색으로 된 필라스터 네 개, 도미니코회의 태양 상징물이 있는 페디먼트가 장식된 원형 창문 등이 있다. 파사드 상단 부분은 거대한 S자 커브 볼류트가 양쪽으로 떠받치고 있는 형태이다. 파사드 아래쪽에 있는 코린토스 주두가 달린 네 개 원주들도 이때 추가되었다.

페디먼트 아래 프리즈에는 후원자인 조반니 루첼라이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IOHAN(N)ES ORICELLARIUS PAU(LI) F(ILIUS) AN(NO) SAL(UTIS) MCCCCLXX|1470년에 파올로의 아들 조반니 루첼라이la

2. 3. 근현대

코시모 1세의 의뢰로 조르조 바사리는 1567년에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의 첫 번째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원래 있던 루드 스크린과 성당 위층을 제거하고, 원주 사이에 예배당 여섯 개를 추가했다.[1] 1858년과 1860년 사이에는 엔리코 로몰리가 설계한 두 번째 리모델링이 이루어졌다.

교회 앞 광장은 코시모 1세가 매년 개최한 마차 경주 대회(Palio dei Cocchi)에 사용되었다. 이 관습은 1563년부터 19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경주 대회의 시작과 종료 지점은 코르사 데이 코키 오벨리스크 두 개로 표시되었으며, 이는 고대 로마의 키르쿠스 막시무스를 본떠 만들어졌다. 오벨리스크 위의 청동 토르소는 1608년 잠볼로냐가 제작했다.

3. 건축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내부는 바실리카 양식을 기반으로 이집트 십자가(T자형) 구조로 설계되었다. 중앙 통로, 창문이 있는 두 개의 측랑, 짧은 횡단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미터 길이의 중앙 통로는 금욕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기둥은 복합적인 형태이며, 코린트식 기둥이 첨두 아치를 받치고, 그 위에 원형 창문이 있는 클레리스토리(채광창)와 흑백 다색 장식의 늑골이 있는 첨두 사분원형 궁륭이 있다.[3]

제단 쪽으로 갈수록 기둥 간격이 좁아져 실제보다 길어 보이는 트롱프뢰유 효과가 나타난다. 14~15세기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있으며, 필리포 스트로치(장로) 예배당의 15세기 「성모자」와 성 요한과 성 필립(필리피노 리피 디자인), 서쪽 끝의 14세기 「성모의 대관식」( 안드레아 디 보나이우토 다 피렌체(Andrea di Bonaiuto da Firenze) 디자인)이 유명하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Filippo Brunelleschi)가 디자인하고 안드레아 카발칸티(Andrea Cavalcanti)가 제작한 강단(1443년, 루첼라이 가문 의뢰)은 토마소 카치니(Tommaso Caccini) 신부가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의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Copernican heliocentrism) 옹호를 비난했던 곳으로 역사적 의미가 깊다.[3]

마사치오의 「성 삼위일체」(렌치 가문 부부 후원, "나는 너희가 지금 있는 모습이었고, 내가 지금 있는 모습이 너희가 될 것이다"라는 명문(epigram) 포함)는 원근법과 수학적 비례를 보여주는 초기 르네상스 걸작으로, 건축의 브루넬레스키, 조각의 도나텔로(Donatello)와 비견된다.

오른쪽 측랑에는 베르나르도 로셀리노(Bernardo Rossellino)의 「베아타 빌라나의 묘」(1451년), 티노 디 카마이노(Tino di Camaino)와 니노 피사노(Nino Pisano)의 피에솔레 주교 묘가 있다.

바사리는 1567년 코시모 1세 대공의 의뢰로 첫 번째 개조 공사를 진행, 로스크린과 좌석을 제거하고 여섯 개의 예배당을 추가했다. 1858~1860년에는 엔리코 로몰리(Enrico Romoli)가 두 번째 개조 공사를 설계했다.

성당 앞 광장은 코시모 1세가 1563년부터 19세기 후반까지 매년 전차 경주(Palio dei Cocchi)를 위해 사용했다. 잠볼로냐(Giambologna)의 청동 거북이 조각상(1608년) 위에 놓인 두 개의 전차 경주 오벨리스크가 경주 시작과 끝을 표시한다.

3. 1. 외관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조반니 디 파올로 루첼라이의 의뢰로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의 파사드 상단 부분을 설계했다. 1456년부터 1470년 사이에 완성된 이 파사드는 프라토 지역의 녹색 대리석(일명 '세르펜티노')과 흰색 대리석을 상감 세공하여 만들었다.[13][14] 알베르티는 리미니의 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와 피렌체의 루첼라이 궁전 파사드를 설계했으며, 건축 논문 De re aedificatoria|건축에 관하여la로도 유명하다.

알베르티는 파사드 설계에 인본주의적 건축 이상, 비율, 고전적 요소에서 영감을 받은 세부 사항을 반영하고, 동시에 기존 중세 부분과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그 결과, 정사각형을 기본으로 여러 개의 정사각형이 반복되는 디자인이 탄생했다.[14]

알베르티가 성당 파사드에 기여한 주요 부분은 다음과 같다.

  • 정사각형 장식의 넓은 프리즈
  • 흰색과 녹색의 필라스터 네 개
  • 도미니코 수도회의 태양 상징물이 있는 페디먼트로 장식된 원형 창문
  • 파사드 상단을 양쪽에서 떠받치는 거대한 S자 커브 볼류트


파사드 아래쪽에는 코린토스 주두가 달린 네 개의 원주가 추가되었다. 페디먼트와 프리즈는 고대 양식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S자 커브 스크롤은 고대에는 없던 새로운 시도로, 넓은 층에서 좁은 층으로 전환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이후 이탈리아 교회 건축에 큰 영향을 주었다.[14]

페디먼트 아래 프리즈에는 후원자 조반니 루첼라이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IOHAN(N)ES ORICELLARIUS PAU(LI) F(ILIUS) AN(NO) SAL(UTIS) MCCCCLXX (1470년에 파올로의 아들 조반니 루첼라이).''

코시모 1세는 성당 앞 광장을 마차 경주 대회('Palio dei Cocchi') 장소로 사용했다. 1563년부터 19세기 말까지 열린 이 대회의 시작과 끝 지점에는 코르사 데이 코키 오벨리스크 두 개가 세워졌다. 이 오벨리스크들은 고대 로마의 키르쿠스 막시무스를 본떠 만들었으며, 잠볼로냐가 1608년에 만든 청동 거북이 조각상이 위에 놓여 있다.

3. 2. 내부

넓은 실내는 이집트 십자(T자 모양)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하나의 신랑과 창문들이 있는 두 개의 회랑, 그리고 짧은 익랑으로 구분된다. 성당의 넓은 신랑은 길이가 100m이며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기둥들은 혼합된 형태이고, 날카로운 고딕풍 아치를 떠받치는 코린트 양식 원주가 있으며, 그 위로는 장미창이 있는 클리어스토리가 있고, 다시 그 위로는 물결 모양에 뾰족한 네 부분으로 나뉜 볼트가 있다. 리브와 아치는 모두 검정과 하양의 다색 장식으로 되어 있다.

성당에서는 애프스 방향에서 신랑이 실제 길이보다 길어 보이는 트롱프뢰유 효과가 발생하는데, 이는 신랑과 통로 사이의 기둥들이 강단 쪽으로 서서히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14세기와 15세기의 것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스테인드글라스 창문들이 여러 개 있으며, 15세기의 '성모자상'과 '성 요한과 성 필립보' 스테인드글라스 (둘 다 필리피노 리피 제작)는 필리포 스트로치 예배당에 장식되어 있다. 일부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은 수세기에 걸쳐 손상되어 교체되었다. 서쪽 끝에 있는 '마리아의 대관'을 묘사하는 스테인드글라스는 14세기의 것으로, 안드레아 디 보나이우토 다 피렌체의 설계를 기반으로 하였다.

1443년 루첼라이 가문의 의뢰로 제작된 설교단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설계하고 그의 양자 안드레아 카발칸티가 시행하였다. 이 설교단은 톰마소 카치니 수도사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 옹호를 고발한 곳으로 역사적 중요성을 갖는다.[15]

마사초의 '성 삼위일체'


왼쪽 복도 중간 지점에 있는 '성 삼위일체'는 마사초의 선구적인 초기 르네상스 작품으로, 원근감과 수학적 비율에 대한 그의 새로운 생각을 보여준다. 회화에서의 이 작품의 의미는 건축에서 브루넬레스키, 조각에서 도나텔로의 중요성과 비견된다. 성 삼위일체의 후원자들은 렌치 가문 출신의 판사와 그의 아내로, 그림 속 무릎 꿇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성당 내부의 트랑시 아래에는 이탈리아어로 "나는 한때 너와 같았고, 너가 될 무엇이다."라는 에피그램이 새겨져 있다.

오른쪽 복도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1451년에 베르나르도 로셀리노가 만든 'Tomba della Beata Villana'이다. 같은 복도 안에는 티노 디 카마이노와 니노 피사노 등이 만든 피에솔레 주교들의 무덤이 있다.

내진(혹은 카펠라 토르나부오니)에는 미켈란젤로를 도제로 두었던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1485년부터 1490년까지 그린 여러 프레스코화들이 있다. 이곳의 프레스코화는 성모와 세례자 요한의 삶에 대한 주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주요 피렌체 가문 출신 인사들의 초상화가 담겨 있다. 궁륭에는 복음자들의 모습이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후미 쪽 벽에는 '이교도의 책들을 태우는 성 도미니코', '성 베드로의 순교', '수태고지', 사막으로 향하는 성 요한' 등이 있다.

스테인드글라스는 비델리오라고도 알려진 피렌체의 예술가 알레산드로 아골란티가 제작하였으며 기를란다요가 그린 밑그림을 기반으로 하였다. 주 제단의 청동 십자가는 잠볼로냐 (16세기)가 제작한 것이다.

필리포 스트로치 예배당은 주 제단의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필리피노 리피가 그린 여러 프레스코화는 사도 필립보사도 야고보의 삶을 묘사하고 있으며 1502년에 완성되었다. 우측 벽에는 '히에로폴리스 신전의 용을 몰아내는 성 필립보'가 있고 이 프레스코화 위쪽의 뤼네트에는 '성 필립보의 십자형'이 그려져 있다. 좌측 벽에는 '드루시아나를 소생시키는 성 야고보'가 있고 그 위의 뤼네트에는 '성 사도 야고보의 고문'이 그려져 있다. 아담, 노아, 아브라함, 야고보 등이 늑재 궁륭에 나타나 있다. 제단 뒤쪽으로는 베네데토 다 마이아노가 조각한 스트로치의 무덤 (1491년)이 위치해 있다.

줄리아노 다 상갈로가 설계한 이 예배당은 주 제단의 왼쪽에 위치했고 13세기 말의 것으로 추정한다. 제단 뒤쪽 벽에는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제작한 몇 안 되는 목제 조각품인 십자가상이 존재한다. 피렌체의 산타 크로체 성당에 있는 도나텔로의 '원시적인' 십자가상을 보고 그가 몹시나 혐오감을 느껴 이것을 만들었다고 하는 전설이 남아있다. 궁륭에는 13세기 그리스 출신 화가들이 그린 프레스코화 조각들이 남아 있다. 다색의 대리석 장식은 줄리아노 다 상갈로가 도입한 것이었다 (1503년경). 스테인드글라스창은 20세기의 것이다.

스트로치 다 만토바 예배당은 좌측 트랜셉트 끝에 위치해 있다. 이곳의 프레스코화는 필리포 스트로치의 선조인 톰마소 스트로치의 의뢰를 받아 나르도 디 치오네 (1350년-1357년)가 제작한 것이었다. 이 프레스코화는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최후의 심판 (뒤쪽 벽에 위치했고 단테의 초상화를 담고 있다), 지옥 (우측 벽), 천국 (좌측 벽)이 그려져 있다. 주 제단화인 '성모와 성인들과 같이 있는 구세주'는 오르카냐로 더 잘 알려진 나르도 디 치오네의 형제인 안드레아 디 치오네가 제작하였다. 뒤쪽의 거대한 스테인드갈라스창은 두 형제가 제작하였다.

델라 푸라 예배당은 옛 묘지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1474년의 건물로 추정하며 르네상스식 원주로 지어졌었다. 1841년에 가에타노 바카니가 복원 작업을 하였다. 왼쪽에는 뤼네트에 그려진 '성 카탈리나와 같이 있는 성모자'라는 14세기의 프레스코화가 있다. 제단 앞쪽에는 바키오 다 몬텔루포가 제작한 목제 십자가상 (1501년)이 있다.

오른쪽 측랑 끝에 있는 루첼라이 예배당은 14세기의 것으로 추정한다. 파올로 루첼라이의 무덤 (15세기)와 니노 피사노가 만든 '성모자' 대리석상 외에, 마에스트로 디 산타 체칠리아 (13세기 말 - 14세기 초)가 만든 프레스코화의 조각 같은 예술품이 몇몇 소장되어 있다. 좌측 벽의 패널에 있는 '성 카탈리나의 순교'는 줄리아노 부기아르디니가 그린 것이다 (미켈란젤로의 도움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음). 중앙부에는 1425년에 로렌초 기베르티가 제작한 청동 무덤이 존재한다.

후진의 오른쪽 방향으로 두 번째에 있는 예배당인 바르디 예배당은 리카르도 바르디가 세웠으며 14세기 초의 것으로 추정한다. 오른쪽 기둥의 고육조(高肉彫)에는 '리카르도 바르디를 축복하는 성 그레고리오'를 묘사하고 있다. 예배당의 벽면은 스피넬로 아레티노작의 14세기 초 프레스코화를 나타내고 있다. 제단에 있는 '묵주 기도의 성모'는 조르조 바사리의 작품 (1568년)이다.

왼쪽 회랑의 끝에 있는 성구실은 1380년에 카발칸티 가문이 수태고지 예배당으로서 지은 것이었다. 최근 40여 년간 단장을 거친 뒤에 조토의 초기 작으로 거대한 규모의 크기인 '성모와 사도 요한의 십자가상'이 걸려 있다. 이 성구실은 또한 조반니 델라 로비아가 제작(1498년)한 유약이 발라진 테라코타와, 대리석 세례반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찻장은 1593년에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한 것이다. 벽에 그려진 그림은 바사리 및 그 외 동시대 피렌체 화가들의 작품이다. 뒤쪽 벽에 있는, 멀리언 세 개가 달린 넓은 고딕풍 창문은 1386년의 것으로 니콜로 디 피에트로 게리니의 스케치를 기반으로 하였다.

스페인 예배당에 있는 안드레아 디 보나이우토 다 피렌체가 그린 프레스코화, '개선교회와 도미니코 수도회의 알레고리' (1365년경)


스페인 예배당 ('Cappellone degli Spagnoli')은 산타 마리아 노벨라 수도원의 옛 챕터 하우스였다. 녹색 봉쇄구역 (Chiostro Verde)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부오나미코 (미코) 구이달로티의 의뢰를 받아 도미니코회의 챕터 하우스로 세워진 것이었다. 1343년경에 건설이 시작됐고 1355년에 완공되었다. 구이달로티 예배당은 이후 스페인 예배당으로 불리게 되었는데, 코시모 1세가 이 예배당을 톨레도의 엘레오노라와 그녀의 스페인 수행단에 넘겨주었기 때문이었다. 스페인 예배당 내부에는 '지극히 거룩한 성체 예배당'이라는 보다 작은 예배당이 존재한다.

스페인 예배당은 1365년부터 1367년까지 안드레아 다 피렌체로도 알려진 안드레아 디 보나이우토가 장식하였다. 이 예배당이 도미니코회를 위해 지어졌기에, 성 도미니코의 묘사들이 프레스코화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우측 벽에 있는 거대한 프레스코화는 '승리하는 교회와 도미니코회의 알레고리'를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은 특히나 흥미를 끄는 부분이 있는데 그림 배경에 있는 커다란 분홍색 건물이 일부는 (브루넬레스키의 돔 이전에 지어졌던)아르놀포 디 캄비오가 만든 피렌체 대성당의 본래 설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고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공상에 불과한데 두오모가 분홍색일리는 없으며 또한 뒤쪽에 종탑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이 프레스코화는 또한 교황 베네딕토 9세와 니콜로 알베르티니 추기경, 구이도 디 포피 백작, 아르놀포 디 캄비오, 시인 페트라르카의 초상도 담겨 있다.

다른 벽면에 있는 프레스코화는 예수 그리스도의 삶이, 입구쪽 벽면에는 성 베드로의 삶(후대에 설치된 성가대석 때문에 대부분이 손상되어 있다)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며, 좌측 벽면에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승리' 그리고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대한 알레고리'가 있고, 제단 쪽 벽면의 아치길에는 커다란 '골고다로 향하는 중의 고난과 림보로의 하강'이 있다.

네 부분으로 된 궁륭에는 그리스도의 부활, 나비첼라, 승천, 성령강림에 관한 장면들이 있다. 본래 스페인 예배당의 제단화 목적으로 만들어졌을 다섯 개 패널로 된 고딕풍 폴리프티카는 '아기예수, 성자와 함께 왕좌에 오른 성모'를 묘사하며 베르나르도 다디에 의해 1344년경 제작되었고 현재는 봉쇄구역 끝에 있는 유리문을 통해 이어지는 작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와 함께, 천장의 궁륭, 벽면, 제단 등에 있는 성상화들은 다함께 어우러져 구원의 길잡이로서 도미니코회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서쪽 방향 쪽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스카르셀라가 있으며 이곳에는 1731년에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가 기부한, 17세기 초의 도메니코 피에라티가 제작한 제단과 대리석 십자가상이 존재한다.

4. 주요 예술 작품

성당에 작품을 제작하여 기여한 예술가들은 다음과 같다.[17][18][19][20][21][22][23]

예술가작품
산드로 보티첼리초기작, 문 위쪽의 예수 탄생 장면 (동방박사의 경배)
바초 다뇰로목공
브론치노'예수의 기적'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십자가상 (1410년과 1425년 사이)
티노 다 카마이노성 안토니노의 흉상 (테라코타 형태), 피에솔레 주교 무덤
나르도 디 치오네신의 심판
두초루첼라이 성모
로렌초 기베르티레오나르도 다티의 비석 (1423)
도메니코 기를란다요토르나부오니 예배당 프레스코화 (15세기 말), 스테인드글라스 유리창 설계
필리피노 리피스트로치 예배당 프레스코화, 스테인드글라스 유리창
베네데토 다 마이아노스트로치 예배당 뒤쪽 필리포 스트로치 무덤 (1491년)
자코모 마르케티'성 라우렌시오의 순교'
마사초성 삼위일체
니노 피사노성모자 (1368)
베르나르도 로셀리노베아타 빌라나 기념비 (1451년)
산티 디 티토'죽음에서 일어난 라자로'
파올로 우첼로클로이스터 프레스코화
조르조 바사리묵주의 성모 (1568년)



1443년 루첼라이 가문의 의뢰로 제작된 강단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디자인하고 그의 양자인 안드레아 카발칸티가 제작했다. 이 강단은 토마소 카치니 신부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옹호를 비난했던 곳이라는 특별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3]

4. 1. 마사초의 '성 삼위일체'



왼쪽 복도 중간 지점에 있는 마사초의 성 삼위일체는 원근법과 수학적 비율에 대한 그의 새로운 생각을 보여주는 초기 르네상스 작품이다. 회화에서 이 작품의 의미는 건축에서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조각에서 도나텔로의 중요성과 쉽게 비교된다. 성 삼위일체의 후원자들은 렌치 가문 출신의 판사와 그의 아내로, 그림 속 무릎 꿇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성당 내부 트랑시 아래에는 "나는 한때 너와 같았고, 너가 될 무엇이다."라는 에피그램이 이탈리아어로 새겨져 있다.[19]

4. 2. 토르나부오니 예배당의 프레스코화

토르나부오니 예배당이라고도 불리는 내진에는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1485년부터 1490년까지 그린 여러 프레스코화들이 있다.[17] 이 프레스코화들은 성모와 세례자 요한의 삶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주요 피렌체 가문 출신 인사들의 초상화가 포함되어 있다.[17] 궁륭에는 복음사가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고,[17] 후미 벽에는 '이교도의 책들을 태우는 성 도미니코', '성 베드로의 순교', '수태고지', '사막으로 향하는 성 요한' 등이 그려져 있다.[17]

스테인드글라스는 비델리오라고도 알려진 피렌체의 예술가 알레산드로 아골란티가 제작하였으며, 기를란다요가 그린 밑그림을 기반으로 하였다.[17] 주 제단의 청동 십자가는 잠볼로냐가 16세기에 제작한 것이다.[17]

4. 3. 기타 예배당 및 작품


  • '''곤디 예배당 (Cappella Gondi)'''


줄리아노 다 상갈로가 설계한 이 예배당은 주 제단의 왼쪽에 있으며, 13세기 말에 지어졌다. 제단 뒤쪽 벽에는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제작한 목제 십자가상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도나텔로의 십자가상을 보고 혐오감을 느껴 이것을 만들었다고 한다. 궁륭에는 13세기 그리스 출신 화가들의 프레스코화 조각들이 남아 있다. 다색의 대리석 장식은 줄리아노 다 상갈로가 도입한 것이다 (1503년경). 스테인드글라스창은 20세기의 것이다.

  • '''필리포 스트로치 예배당 (Cappella di Filippo Strozzi)'''


필리포 스트로치 예배당은 주 제단의 오른쪽에 있다. 필리피노 리피가 그린 프레스코화는 사도 필립보와 사도 야고보의 삶을 묘사하며 1502년에 완성되었다. 우측 벽에는 '히에라폴리스 신전의 용을 몰아내는 성 필립보'와 뤼네트에는 '성 필립보의 십자형'이 그려져 있다. 좌측 벽에는 '드루시아나를 소생시키는 성 야고보'와 뤼네트에는 '성 사도 야고보의 고문'이 그려져 있다. 아담, 노아, 아브라함, 야고보 등은 늑재 궁륭에 나타나 있다. 제단 뒤쪽으로는 베네데토 다 마이아노가 조각한 스트로치의 무덤 (1491년)이 있다.

  • '''토르나부오니 예배당 (Cappella Tornabuoni)'''


내진(혹은 토르나부오니 예배당)은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1485년부터 1490년까지 그린 프레스코화들이 있다. 프레스코화는 성모와 세례자 요한의 삶을 나타내고 있으며, 피렌체 가문 인사들의 초상화가 포함되어 있다. 궁륭에는 복음자들의 그림이 있고, 후미 벽에는 '이교도의 책들을 태우는 성 도미니코', '성 베드로의 순교', '수태고지', 사막으로 향하는 성 요한' 등이 있다. 스테인드글라스는 알레산드로 아골란티가 제작하였으며 기를란다요의 밑그림을 기반으로 하였다. 주 제단의 청동 십자가는 잠볼로냐 (16세기)가 제작한 것이다.

  • '''바르디 예배당 (Cappella Bardi)'''


리카르도 바르디가 세운 이 예배당은 후진의 오른쪽 두 번째에 있으며, 14세기 초의 것으로 추정한다. 오른쪽 기둥의 고육조에는 '리카르도 바르디를 축복하는 성 그레고리오'를 묘사하고 있다. 벽면은 스피넬로 아레티노작의 14세기 초 프레스코화를 나타내고 있다. 제단에 있는 '묵주 기도의 성모'는 조르조 바사리의 작품 (1568년)이다.

  • '''루첼라이 예배당 (Cappella Rucellai)'''


오른쪽 측랑 끝에 있는 이 예배당은 14세기의 것으로 추정한다. 파올로 루첼라이의 무덤 (15세기)과 니노 피사노의 '성모자' 대리석상 외에, 마에스트로 디 산타 체칠리아 (13세기 말 - 14세기 초)의 프레스코화 조각이 소장되어 있다. 좌측 벽의 '성 카탈리나의 순교'는 줄리아노 부기아르디니가 그린 것이다 (미켈란젤로의 도움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음). 중앙부에는 1425년에 로렌초 기베르티가 제작한 청동 무덤이 있다.

  • '''델라 푸라 예배당 (Cappella della Pura)'''


이 예배당은 옛 묘지의 북쪽에 위치하며, 1474년의 건물로 추정한다. 르네상스식 원주로 지어졌으며, 1841년에 가에타노 바카니가 복원하였다. 왼쪽 뤼네트에는 '성 카탈리나와 같이 있는 성모자'라는 14세기 프레스코화가 있다. 제단 앞쪽에는 바키오 다 몬텔루포의 목제 십자가상 (1501년)이 있다.

  • '''스트로치 다 만토바 예배당 (Cappella Strozzi di Mantova)'''


스트로치 다 만토바 예배당은 좌측 트랜셉트 끝에 위치한다. 나르도 디 치오네 (1350년-1357년)가 제작한 프레스코화는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최후의 심판 (뒤쪽 벽, 단테의 초상화 포함), 지옥 (우측 벽), 천국 (좌측 벽)이 그려져 있다. 주 제단화인 '성모와 성인들과 같이 있는 구세주'는 오르카냐로 알려진 나르도 디 치오네의 형제 안드레아 디 치오네가 제작하였다. 뒤쪽 스테인드글라스창은 두 형제가 제작하였다.

  • '''성구실 (Sacristy)'''


왼쪽 회랑 끝에 있는 성구실은 1380년에 카발칸티 가문이 수태고지 예배당으로 지었다. 조토의 초기작 '성모와 사도 요한의 십자가상'이 있다. 조반니 델라 로비아의 유약 테라코타와 대리석 세례반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찻장은 1593년에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했다. 벽 그림은 바사리 및 동시대 피렌체 화가들의 작품이다. 뒤쪽 멀리언 세 개 달린 고딕풍 창문은 1386년 니콜로 디 피에트로 게리니 스케치를 기반으로 하였다.

  • '''기타'''


성당 작품 제작 예술가들은 다음과 같다.

예술가작품
산드로 보티첼리문 위쪽의 예수 탄생 장면 (동방박사의 경배)[17]
바초 다뇰로목공
브론치노'예수의 기적'
티노 다 카마이노성 안토니노의 흉상 (테라코타, 피에솔레 조교 무덤)
두초'루첼라이 성모'
자코모 마르케티'성 라우렌시오의 순교'
산티 디 티토죽음에서 일어난 라자로[23]
파올로 우첼로클로이스터의 프레스코화


5. 스페인 예배당



스페인 예배당 ('Cappellone degli Spagnoli')은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수도원의 옛 챕터 하우스였다. 녹색 봉쇄구역(Chiostro Verde)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부오나미코 (미코) 구이달로티의 의뢰를 받아 도미니코회의 챕터 하우스로 세워진 것이었다.[1] 1343년경에 건설이 시작됐고 1355년에 완공되었다. 구이달로티 예배당은 이후 코시모 1세가 이 예배당을 톨레도의 엘레오노라와 그녀의 스페인 수행단에 넘겨주면서 스페인 예배당으로 불리게 되었다. 스페인 예배당 내부에는 '지극히 거룩한 성체 예배당'이라는 보다 작은 예배당이 존재한다.

스페인 예배당은 1365년부터 1367년까지 안드레아 디 보나이우토가 장식하였다. 이 예배당이 도미니코회를 위해 지어졌기에, 도미니코의 묘사들이 프레스코화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1] 우측 벽에 있는 거대한 프레스코화는 '승리하는 교회와 도미니코회의 알레고리'를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은 특히나 흥미를 끄는 부분이 있는데, 그림 배경에 있는 커다란 분홍색 건물이 아르놀포 디 캄비오가 만든 피렌체 대성당의 본래 설계(브루넬레스키의 돔 이전)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고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공상에 불과한데, 두오모가 분홍색일리는 없으며 또한 뒤쪽에 종탑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이 프레스코화는 또한 교황 베네딕토 9세와 니콜로 알베르티니 추기경, 구이도 디 포피 백작, 아르놀포 디 캄비오, 시인 페트라르카의 초상도 담겨 있다.

다른 벽면에 있는 프레스코화는 예수의 삶을, 입구쪽 벽면에는 베드로의 삶(후대에 설치된 성가대석 때문에 대부분이 손상되어 있다)을 나타내고 있으며, 좌측 벽면에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승리'와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대한 알레고리'가 있고, 제단 쪽 벽면의 아치길에는 커다란 '골고다로 향하는 중의 고난과 림보로의 하강'이 있다.

네 부분으로 된 궁륭에는 그리스도의 부활, 나비첼라, 승천, 성령 강림에 관한 장면들이 있다. 본래 스페인 예배당의 제단화 목적으로 만들어졌을 다섯 개 패널로 된 고딕풍 폴리프티카는 '아기예수, 성자와 함께 왕좌에 오른 성모'를 묘사하며 베르나르도 다디에 의해 1344년경 제작되었고 현재는 봉쇄구역 끝에 있는 유리문을 통해 이어지는 작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와 함께, 천장의 궁륭, 벽면, 제단 등에 있는 성상화들은 다함께 어우러져 구원의 길잡이로서 도미니코회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서쪽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스카르셀라가 있으며 이곳에는 1731년에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가 기부한, 17세기 초의 도메니코 피에라티가 제작한 제단과 대리석 십자가상이 존재한다.

6. 천문 도구

남쪽 정문에 있는 혼천의


남쪽 정문에 있는 규표


1572년 코시모 1세의 천문학자인 이냐치오 단티는 파사드 아래쪽 블라인드 아치 끝 쪽에 혼천의(좌측)와 규표가 달린 천문학 사분면(우측)을 추가했다.[16] 혼천의는 춘분을 결정하기 위한 용도였고, 1574년에 처음 대대적으로 관찰되었다. 규표는 알프스 너머식, 이탈리아식, 보헤미아식 방식에 따라 시간을 알려주는 그림자를 천문학 사분면에 드리웠다.[16]

이 도구들 덕분에, 천문학자들은 기원전 46년에 공표된 이래로 계속 쓰이던 율리우스력과 진정한 태양년 간의 차이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었다. 단티는 로마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게 자신의 연구 성과를 알려, 부활절 날짜 재구성과 새로운 그레고리력 공포를 도왔다.

자오선을 나타내고 있는 신랑의 바닥


단티는 또한 혼천의보다 분점을 정하는 데 더 나은 방법으로, 남쪽을 바라보는 높이 21.35m의 원형 창문에 구멍을 뚫고 성당 바닥에 자오선을 그렸다. 그렇지만 그의 성당 내 건설 작업은 후원자인 코시모 1세 대공의 죽음으로 완료되지 못하였다.[16]

7. 부속 시설

왼쪽 회랑 끝에 있는 성구실은 1380년에 카발칸티 가문이 수태고지 예배당으로 지은 것이다. 최근 40여 년간 단장을 거친 뒤에 조토의 초기작으로 거대한 규모인 '성모와 사도 요한의 십자가상'이 걸려 있다. 이 성구실은 또한 조반니 델라 로비아가 제작(1498년)한 유약이 발라진 테라코타와, 대리석 세례반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찻장은 1593년에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한 것이다. 벽에 그려진 그림은 바사리 및 그 외 동시대 피렌체 화가들의 작품이다. 뒤쪽 벽에 있는, 멀리언 세 개가 달린 넓은 고딕풍 창문은 1386년의 것으로 니콜로 디 피에트로 게리니의 스케치를 기반으로 하였다.[1]

산타 마리아 노벨라 광장


교회 앞의 광장은 코시모 1세가 매년 열리는 마차 경주 대회('Palio dei Cocchi')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이 관습은 1563년부터 19세기 말까지 존재했다. 코르사 데이 코키 오벨리스크 두 개가 이 경주 대회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나타냈다. 이 오벨리스크들은 고대 로마의 키르쿠스 막시무스를 본떠 세워진 것이었다. 오벨리스크에 세워진 청동 토르소는 1608년에 잠볼로냐가 만든 것이다.[1]

참조

[1] 서적 The Renaissance in Italy: Architecture • Sculpture • Frescoes The Viking Press
[2]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Jovanovich
[3] 웹사이트 Galileo Galilei https://catalogue.mu[...] 2023-01-13
[4] 서적 The Sun in the Church. Cathedrals as Solar Observatori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5] 뉴스 Homosexuales que hicieron brillar a la Iglesia https://www.elconfid[...] 2018-02-03
[6] 서적 Dominican Women and Renaissance Art: The Convent of San Domenico of Pis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2-05
[7] 백과사전 Masaccio https://www.britanni[...]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8-02
[9] 서적 Strolling through Florence: The Definitive Walking Guide to the Renaissance City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7-11-30
[10] 서적 The World of the Florentine Renaissance Artist: Projects and Patrons, Workshop and Art Marke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 서적 Travels in Europe : for the use of travellers on the continent, and likewise in the Island of Sicily; not comprised in any of the former editions, to which is added an account of the remains of ancient Italy and also of the roads leading to those remains https://archive.org/[...] A. & W. Galignani & Company
[12] 뉴스 Lessons for Theresa May and the EU from 15th-century Florence https://www.economis[...] 2017-09-24
[13] 서적 The Renaissance in Italy: Architecture • Sculpture • Frescoes https://archive.org/[...] The Viking Press
[14]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Jovanovich
[15] 웹인용 Galileo Galilei https://catalogue.mu[...] 2023-01-13
[16] 서적 The Sun in the Church. Cathedrals as Solar Observatori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17] 뉴스 Homosexuales que hicieron brillar a la Iglesia https://www.elconfid[...] 2018-02-03
[18] 서적 Dominican Women and Renaissance Art: The Convent of San Domenico of Pis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2-05
[19] 백과사전 Masaccio https://www.britanni[...]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8-02
[21] 서적 Strolling through Florence: The Definitive Walking Guide to the Renaissance City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7-11-30
[22] 서적 The World of the Florentine Renaissance Artist: Projects and Patrons, Workshop and Art Market https://books.google[...] 토론토 대학교 출판부
[23] 서적 Travels in Europe : for the use of travellers on the continent, and likewise in the Island of Sicily; not comprised in any of the former editions, to which is added an account of the remains of ancient Italy and also of the roads leading to those remains https://archive.org/[...] A. & W. Galignani & Company
[24] 뉴스 Lessons for Theresa May and the EU from 15th-century Florence https://www.economis[...] 2017-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