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훈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영훈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내야수 및 지명타자로 활약했다. 속초상업고등학교 시절 추신수, 이대호 등과 함께 고교 야구 선수로 이름을 알렸으며, 건국대학교 졸업 후 2005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다. 2012년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되었고, 그 해 NC 다이노스의 특별 지명을 받아 이적하여 2017년 은퇴할 때까지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은퇴 후에는 NC 다이노스에서 전력 분석 담당, 2군 타격 코치를 역임했다. 통산 83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59, 46홈런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속초상업고등학교 동문 - 박용근
박용근은 2007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kt 위즈를 거쳐 2017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 코치로, 선수 시절 유격수로 활약했으며 은퇴 후 상무 야구단과 LG 트윈스 코치를 거쳐 2025년부터 NC 다이노스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고 2016년 가수 채리나와 결혼했다. - 속초상업고등학교 동문 - 최영진 (야구인)
최영진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동했으며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의 전력분석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영랑초등학교 동문 - 김재환 (야구 선수)
김재환은 두산 베어스 소속의 프로 야구 외야수로, 2008년 포수로 입단하여 외야수로 전향 후 장타력을 바탕으로 주전으로 활약하며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금지약물 복용 징계와 메이저 리그 진출 실패 후 FA 재계약을 맺었다. - 영랑초등학교 동문 - 최성영
최성영은 NC 다이노스 소속의 프로 야구 투수로, 2016년 입단 후 꾸준한 활약을 보였으며, 상무 야구단에서 군 복무 후 복귀, 2021년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평균자책점상을 수상했고 다양한 변화구와 우타자 바깥쪽 제구력이 강점으로 평가받는다. - 설악중학교 (강원) 동문 - 이양수
이양수는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기업 대표를 거쳐 보수정당의 당직 및 정부직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강원도 속초시 등 지역구에서 제20대, 제21대, 제2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설악중학교 (강원) 동문 - 최성영
최성영은 NC 다이노스 소속의 프로 야구 투수로, 2016년 입단 후 꾸준한 활약을 보였으며, 상무 야구단에서 군 복무 후 복귀, 2021년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평균자책점상을 수상했고 다양한 변화구와 우타자 바깥쪽 제구력이 강점으로 평가받는다.
조영훈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조영훈 (趙煐勳) |
로마자 표기 | Jo Yeong-hun |
출생일 | 1982년 11월 12일 (세) |
출생지 | 강원도 속초시 |
포지션 | 1루수 |
타석 | 좌투 |
투구 | 좌타 |
클럽 정보 | |
데뷔 | 리그: KBO |
데뷔 연도 | 2005년 |
데뷔 팀 | 삼성 라이온즈 |
최종 연도 | 2017년 |
최종 팀 | NC 다이노스 |
선수 경력 | |
선수 | 삼성 라이온즈 (2005년~2007년, 2010년~2011년) 경찰 야구단 (2008년~2009년) KIA 타이거즈 (2012년) NC 다이노스 (2013년~2017년) |
감독 및 코치 경력 | |
코치 | NC 다이노스 (2020년~) |
타격 성적 (KBO) | |
시즌 | 2017년 |
리그 | KBO |
타율 | .257 |
홈런 | 47 |
타점 | 258 |
2. 선수 경력
2005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였다. 2012년 6월 22일, 김희걸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 같은 해 11월, NC 다이노스의 특별 지명을 받아 이적했다.
2013년에 처음으로 규정 타석을 채웠지만, 2014년 이후에는 대타나 백업 선수로 기용되었다. 2016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2년 4.5억원에 잔류했다.[9] 2017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아마추어 시절
강원도 속초상업고등학교(현 속초고등학교) 재학 시절, 조영훈은 추신수, 이대호와 함께 전국 최고의 고교 타자 투수 중 한 명으로 손꼽혔다. 팀의 에이스이자 클린업 히터였던 조영훈은 속초상업고등학교를 이끌고 2000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와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1] 같은 해 조영훈은 대한민국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이 팀은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2000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는데, 조영훈은 이대호, 추신수, 김태균, 정근우와 함께 공격을 이끌었다.[1]200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투수로서의 재능을 보여주며 삼성 라이온즈에 2차 2라운드 11순위로 지명을 받았으나, 건국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진학했다.[1] 건국대 재학 시절 대학 리그 최고의 강타자로 군림했으며, 2003년에는 대학야구 추계리그에서 맹활약하며 대회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다.[1]
2. 2. 프로 선수 시절
2005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였다. 2012년 6월 22일, 김희걸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 같은 해 11월, NC 다이노스의 특별 지명을 받아 이적했다.2013년에 처음으로 규정 타석을 채웠지만, 2014년 이후에는 대타나 백업 선수로 기용되었다. 2016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2년 4.5억원에 잔류했다.
2. 2. 1. 삼성 라이온즈 시절
2005년 건국대학교를 졸업하고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였다.[1] 그 해 7경기에 출전해 4 타수에서 안타 1개를 기록했다.[1] 2006년에는 88경기에서 .283의 타율, 2홈런, 26타점, 9도루를 기록하며 성장한 모습을 보였다.[1]2007년에는 66경기에서 .168의 타율로 부진하며 슬럼프를 겪었다.[1] 시즌 후 경찰 야구단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수행했다.[1] 2년 동안 경찰 야구단에서 1루수로 활동하면서, 구원 투수로도 간간히 경기에 출전했다.[1]
2010년 군 복무를 마치고 팀에 복귀하여[1] 타율 .275를 기록하며 반등하는 듯했으나,[1] 2011년에는 .245로 다시 하락했다.[1]
2. 2. 2. 경찰 야구단 복무
2007년 시즌 후 경찰 야구단에 입대해 2009년에 제대했다.2. 2. 3. 삼성 라이온즈 복귀
2011년에는 채태인과 외국인 타자 라이언 가코의 컨디션 난조 및 부진으로 1루수로 많은 경기에 출전했다. 6월 23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2회말과 4회말에 김혁민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데뷔 첫 연타석 홈런을 기록했다.[2]2. 2. 4. KIA 타이거즈 시절
2012년 시즌 중 당시 감독이었던 선동열의 요청에 의해 KIA 타이거즈의 투수였던 김건한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 2군으로 내려간 김주형을 대신해 트레이드 당일부터 주전 1루수로 활동했다. 2012년 6월 28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만루 홈런을 쳐 냈다.[3] 하지만 이적 후 1할대 타율, 33타점, 6홈런으로 부진했고, 1루 수비 역시 불안하여 시즌 후반에는 후보 선수로 밀려났다. 89경기에서 1루수로 출전하여 타율 .200을 기록하고, 통산 최다인 10개의 실책을 범하는 등 KBO 최악의 시즌을 보냈다.2. 2. 5. NC 다이노스 시절
2012년 11월 15일에 전력 보강 선수로 지명돼 NC 다이노스로 이적하였다. 이적 후 주전 1루수로 기용돼 데뷔 후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데뷔 첫 100경기 이상 출전해 규정 타석에 진입했고 세 자릿수 안타를 기록했다. 약점으로 꼽히던 수비와 선구안이 크게 좋아져 5실책, 0.70의 BB/K로 데뷔 후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2013년 시즌에 팀 타자들 중 가장 높은 타율을 기록했다.[4]시즌 전 에릭 테임즈가 영입되며 주로 대타로 출장했다. 4월 15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옥스프링을 상대로 시즌 첫 홈런을 기록했다.[5]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3경기에서 대타로 출장해 1안타를 기록했다.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루 실패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장타율 | 출루율 | 실책 | 비고 |
---|---|---|---|---|---|---|---|---|---|---|---|---|---|---|---|---|---|---|
0.333 | 3 | 3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333 | 0.333 | 0 |
2017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고, 2018년부터 NC 다이노스의 전력 분석 담당이 되었다. 2020년부터는 NC의 2군 타격 코치가 되었다.
실패
4월 12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문광은을 상대로 시즌 첫 홈런을 기록했다.[6] 7월 23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심수창을 상대로 시즌 세 번째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 이 홈런은 1160일 만에 친 개인 통산 두 번째 만루 홈런이었다.[7] 9월 30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이현호를 상대로 3점 홈런을 기록했다.[8]
시즌 109경기에 출전해 60안타, 29득점, 5홈런, 35타점을 기록했다. 2016년 시즌 후 FA를 신청했고, 2년 4.5억원에 잔류했다.[9]
3. 은퇴 이후
4. 주요 기록
볼넷 사구 삼진 병살타 장타율 출루율 실책 2005 삼성 0.250 7 4 0 1 1 0 0 2 0 0 0 1 1 0 0.500 0.400 0 2006 0.283 88 180 15 51 11 1 2 26 9 2 16 1 49 2 0.389 0.342 2 2007 0.168 66 155 16 26 4 0 1 9 1 0 14 0 44 2 0.213 0.231 3 2010 0.275 67 138 22 38 6 1 6 17 6 2 15 1 36 1 0.464 0.346 0 2011 0.245 98 245 33 60 11 0 6 34 7 2 27 5 76 1 0.363 0.329 2 2012 삼성/KIA 0.200 89 230 30 46 7 1 6 36 1 2 23 1 64 1 0.317 0.272 10 2013 NC 0.282 120 380 38 107 26 3 6 39 4 5 39 2 56 6 0.413 0.350 5 2014 0.261 92 111 15 29 4 0 6 22 1 1 10 1 26 1 0.459 0.325 3 2015 0.282 103 124 20 35 8 0 8 35 3 0 19 0 36 1 0.540 0.372 4 2016 0.355 119 179 29 60 14 0 15 35 3 3 21 3 43 2 0.597 0.408 5 통산 (10시즌) 0.259 839 1746 218 453 92 6 46 255 35 17 184 15 431 17 0.398 0.331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