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오 (에도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오(承応)는 1652년 10월 20일부터 1655년 5월 18일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사망을 기념하여 개원되었으며, 진서의 구절에서 이름을 따왔다. 조오 시대에는 조오 사건, 다마가와조스이 개통, 화재, 승려 은원의 일본 도착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고묘 천황의 사망이 있었다. 또한, 에도 막부의 쇄국 정책이 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에도 시대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조오 (에도 시대)
개요
존속 기간1652년 ~ 1655년
이전게이안
다음메이레키
천황
재위고코묘 천황
고사이 천황

2. 연호

게이안 5년 9월 18일(1652년 10월 20일) 도쿠가와 이에쓰나가 4대 쇼군으로 취임하면서 개원되었다는 설이 있으며,[1] 조오 4년 4월 13일(1655년 5월 18일) 메이레키로 개원되었다.[2]

2. 1. 개원

게이안 5년 9월 18일(1652년 10월 20일)에 개원하였다.[1] 도쿠가와 이에쓰나가 4대 쇼군으로 취임하면서 개원이 이루어졌다는 설이 있다.[1]

새로운 연호명은 진서에 나오는 " 왕조는 그들의 운명을 따르며, 는 때가 되자 도래했다." (夏商'''承'''運、周氏'''応'''期)에서 유래했다.[3]

고코묘 천황은 조오, 분가, 교오, 쇼로쿠, 쇼엔 등의 연호 후보 중 조오, 분가, 교오를 선택하여 막부에 제시했고, 막부는 그중에서 조오를 선택했다.[5]

개원의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관백 고노에 히사쓰구의 일기에는 에도 막부에서 개원을 신청했으나 그 이유를 명시하지 않아 히사쓰구 본인도 의문을 품고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 막부 측 사료인 하야시 라잔의 『개원 이야기』에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사망과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쇼군 취임을 이유로 막부가 개원을 요구했다는 사실이 명확히 기록되어 있다. 어떤 사정으로 인해 조정 측에는 உண்மையான 이유가 전달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6]

조오 4년 4월 13일(1655년 5월 18일) 메이레키로 개원하였다.[2]

3. 주요 사건


  • 1652년(쇼오 원년): 조오 사건과 쇼오의 변이 발생했다.[3]
  • 1654년(조오 3년): 다마가와조스이(도쿄도 내에 흐르는 상수도)가 개통되고, 타마 지방에 타마가와 상하수도 통수, 아즈미노에 야하라 세키가 개착되었다.[3]
  • 1653년 10월 3일 (조오 2년 8월 12일): 격렬한 화재로 황궁과 주변 사찰들이 파괴되었다. 방화 혐의로 12~14세 소녀들이 투옥되었다.[3]
  • 1654년 8월 18일 (조오 3년 7월 6일): 중국 승려 은원이 나가사키에 도착하여 일본 불교 개혁을 시도했다.[3]
  • 1654년 10월 30일 (조오 3년 9월 20일): 고묘 천황이 천연두로 사망하고 센뉴지에서 장례식이 거행되었다.[4]
  • 조오 시대 일본은 도쿠가와 막부의 쇄국 정책을 시행했다. 쇄국은 '닫힌 나라'를 의미하며, 1639년부터 1868년까지 시행되었다.[5] 중국과 네덜란드 상인을 제외한 외국과의 무역은 거의 금지되었고, 국민들의 출국과 외국인의 입국은 엄격히 통제되었다.[6] 쇄국 정책은 침략 방지와 국교 유지를 위해 채택되었으며, 에도 시대 이후 폐지되었다.[7]

3. 1. 국내


  • 조오 사건[3]
  • 다마가와조스이(도쿄도 내에 흐르는 상수도)가 개통되었다.[3]
  • 1653년 10월 3일 (조오 2년 8월 12일): 격렬한 화재로 황궁의 상당 부분과 인근의 많은 사찰이 파괴되었다. 그 직후, 이 화재와 헤이안쿄의 다른 화재를 일으킨 혐의로 12세~14세의 소녀 여러 명이 투옥되었다.[3]
  • 1654년 8월 18일 (조오 3년 7월 6일): 중국에서 온 유명한 승려 은원이 나가사키에 도착했다. 그의 목적은 일본 불교의 수행 방식을 개혁하는 것이었다.[3]
  • 1654년 10월 30일 (조오 3년 9월 20일): 고묘 천황이 천연두로 사망했고, 장례식은 10월 15일에 센뉴지에서 거행되었다.[4]
  • 쇼오의 변
  • 타마 지방에 타마가와 상하수도 통수, 아즈미노에 야하라 세키 개착
  • 조오 시대에 일본은 쇄국 정책을 시행했는데, 이는 도쿠가와 바쿠후에 의해 채택되었다. ''쇄국''(鎖国)은 일본어로 '닫힌 나라'를 의미한다. 일본은 1639년부터 1868년까지 이 정책을 시행했다.[5] 중국과 네덜란드 상인을 제외하고는 다른 나라와의 무역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본 거주자들은 정부에 의해 엄격하게 감시를 받았다. 국민들은 나라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이를 어길 시 사형에 처해졌다. 외국인 또한 마찬가지 상황이었으며, 일본 영토에 진입하려는 시도는 병사들에 의해 즉시 처형되었다.[6] 전국은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통제되었다. 쇄국 정책은 침략을 막고, 자국의 특성과 국교를 유지하기 위해 통치자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 정책은 에도 시대(1603–1868) 이후 폐지되었고, 1868년 국가는 세계에 다시 개방되었다.[7]

3. 2. 국제 관계

1654년 8월 18일 (조오 3년 7월 6일), 중국에서 온 유명한 승려 은원이 나가사키에 도착했다. 그의 목적은 일본 불교의 수행 방식을 개혁하는 것이었다.[3]

조오(Jōō) 시대에 일본은 도쿠가와 바쿠후에 의해 채택된 쇄국 정책을 시행했다. ''쇄국''(鎖国)은 일본어로 '닫힌 나라'를 의미한다. 일본은 1639년부터 1868년까지 이 정책을 시행했다.[5] 중국과 네덜란드 상인을 제외하고는 다른 나라와의 무역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본 거주자들은 정부에 의해 엄격하게 감시를 받았다. 국민들은 나라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이를 어길 시 사형에 처해졌다. 외국인 또한 마찬가지 상황이었으며, 일본 영토에 진입하려는 시도는 병사들에 의해 즉시 처형되었다.[6] 전국은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통제되었다. 쇄국 정책은 침략을 막고, 자국의 특성과 국교를 유지하기 위해 통치자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 정책은 에도 시대(1603–1868) 이후 폐지되었고, 1868년 국가는 세계에 다시 개방되었다.[7]

3. 3. 외교

조오 시대에 일본은 쇄국 정책을 시행했는데, 이는 도쿠가와 바쿠후에 의해 채택되었다. ''쇄국''(鎖国)은 일본어로 '닫힌 나라'를 의미한다. 일본은 1639년부터 1868년까지 이 정책을 시행했다.[5] 중국과 네덜란드 상인을 제외하고는 다른 나라와의 무역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본 거주자들은 정부에 의해 엄격하게 감시를 받았다. 국민들은 나라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이를 어길 시 사형에 처해졌다. 외국인 또한 마찬가지 상황이었으며, 일본 영토에 진입하려는 시도는 병사들에 의해 즉시 처형되었다.[6] 전국은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통제되었다. 쇄국 정책은 침략을 막고, 자국의 특성과 국교를 유지하기 위해 통치자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 정책은 에도 시대(1603–1868) 이후 폐지되었고, 1868년 국가는 세계에 다시 개방되었다.[7]

4. 인물

4. 1. 출생

레이겐 천황 (제112대 천황)[3]

4. 2. 사망

1654년 10월 30일 (조오 3년 9월 20일), 고묘 천황천연두로 사망하였다. 장례식은 10월 15일에 泉涌寺|센뉴지일본어에서 거행되었다.[4]

5. 서력 대조표

조오원년2년3년4년
서력1652년1653년1654년1655년
간지임진계사갑오을미



※는 작은 달을 나타낸다.

쇼오 1년(임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652년/2/103/104/95/86/67/68/49/310/311/112/112/31
율리우스력1652/1/312/293/304/285/276/267/258/249/2310/2211/2112/21
쇼오 2년(계사)1월2월※3월4월※5월※6월윤 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653년/1/292/283/294/285/276/257/258/239/2210/2211/2012/201654/1/19
율리우스력1653/1/192/183/194/185/176/157/158/139/1210/1211/1012/101654/1/9
쇼오 3년(갑오)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654년/2/173/194/175/176/157/148/139/1110/1111/912/91655/1/8
율리우스력1654/2/73/94/75/76/57/48/39/110/110/3011/2912/29
쇼오 4년(을미)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655년/2/73/84/75/66/57/48/28/319/3010/2911/2812/28
율리우스력1655/1/282/263/284/265/266/247/238/219/2010/1911/1812/18


참조

[1] 서적 "Jō-ō" https://books.google[...] Japan encyclopedia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3] 서적 https://books.google[...]
[4] 서적 https://books.google[...]
[4] 서적 Japan: The Rise of a Modern Power 2001
[5] 논문 Japan's abiding sakoku mentality 1996-03
[6] 웹사이트 Sakoku Policy http://aer2.sbc.edu.[...] St. Bonaventure College 2013-04-02
[7] 논문 Japan's abiding sakoku mentality 1996-03
[8] 문서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