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겐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겐 천황은 1663년부터 1687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112대 천황이다. 그는 고미즈노오 천황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며, 아버지의 섭정을 거쳐 친정을 시작했으나, 막부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황실 재흥과 독자적인 정책을 추구했지만, 막부의 견제와 '친막부파' 공경의 배제 등으로 인해 한계를 겪었다. 1687년 아들 히가시야마 천황에게 양위한 후에도 섭정을 통해 정치에 관여했으며, 1713년 출가하여 법황이 되었다. 레이겐 천황은 문화 예술 분야, 특히 가도와 서예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그의 서풍은 아리스가와류 서도의 기원이 되기도 했다. 그는 황실의 권위를 지키려 노력했지만, 에도 막부 시대의 권력 구조 속에서 정치적 한계를 겪었고, 사후에는 영원천황으로 추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겐 천황 - 마쓰노키 무네코
에도 시대 여성 마쓰노키 무네코는 레이겐 천황의 총애를 받아 히가시야마 천황을 낳았고, 준삼후에 올라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말년에 몰락하여 출가했으며, 그녀의 후손은 현재 일본 황실과 구 황족의 공통 조상이 되었다. - 레이겐 천황 - 다카쓰카사 후사코
다카쓰카사 후사코는 에도 시대 레이겐 천황의 뇨고로 입궁하여 중궁에 책립된 황후로, 준삼후를 거쳐 여원 칭호를 받았으며 막부로부터 소령을 받았다. - 고미즈노오 천황의 자녀 - 메이쇼 천황
메이쇼 천황은 1629년 즉위하여 1643년 퇴위한 일본의 109대 천황으로, 도쿠가와 막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지진, 조선 사절 방문, 시마바라의 난 등의 사건을 겪었고, 1696년 사망했다. - 고미즈노오 천황의 자녀 - 고코묘 천황
고코묘 천황은 고미즈노 천황의 아들로, 11세에 즉위하여 유학 장려 및 조정 의례 부활에 힘썼으나, 22세에 천연두로 사망한 일본의 천황이다. - 17세기 일본의 군주 - 고미즈노오 천황
고미즈노오 천황은 1596년에 태어나 1611년 즉위하여 1629년 양위한 일본의 108대 천황으로, 막부의 통제 속에서 권위 실추를 겪었으며 도후쿠몬인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낳고 저서를 남겼다. - 17세기 일본의 군주 - 히가시야마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은 레이겐 천황의 아들로 168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하며 겐로쿠 문화의 전성기와 조정과 막부의 원만한 관계, 황실 재정 안정 등 안정적인 시기를 보낸 후 천연두로 사망했다.
레이겐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사토히토 (識仁) |
어린 시절 이름 | 다카키노미야 (高貴宮) |
법명 | 소조 (素浄) |
별칭 | 센토사마 (仙洞様) |
추존호 | 레이겐인 (霊元院), 레이겐 천황 (霊元天皇) |
출생일 | 1654년 7월 9일 |
사망일 | 1732년 9월 24일 (향년 78세) |
릉묘 | 쓰키노와 능 (月輪陵) |
재위 정보 | |
즉위 | 1663년 3월 5일 |
퇴위 | 1687년 5월 2일 |
재위 기간 (음력) | 간분 3년 1월 26일 ~ 조쿄 4년 3월 21일 |
시대 | 에도 시대 |
연호 | 간분 엔포 덴나 조쿄 |
즉위례 | 1663년 6월 2일 (간분 3년 4월 27일) |
쇼군 | 도쿠가와 이에쓰나 도쿠가와 쓰나요시 |
수도 | 교토 |
궁궐 | 헤이안 궁 (교토 고쇼) |
가계 | |
아버지 | 고미즈노오 천황 |
어머니 | 소노 구니코 (藤原国子) |
배우자 | 다카쓰카사 후사코 (1670년 12월 1일 결혼, 1712년 5월 19일 사망) |
자녀 | 에이시 내친왕 (니조 쓰네히라의 부인) 노리코 내친왕 (고노에 이에히로의 부인) 아사히토 친왕 (히가시야마 천황) 후쿠코 내친왕 (후시미노미야 구니나가 친왕의 비) 에이슈 여왕 교고쿠노미야 아야히토 친왕 우메노미야 가쓰코 내친왕 기요미야 간류 법친왕 쓰나노미야 산노미야 교엔 법친왕 다이료인노미야 지코인노미야 사이신 법친왕 도키와이노미야 사쿠노미야 쇼오 법친왕 분키 여왕 겐슈 여왕 도쿠노미야 리키노미야 손쇼 법친왕 분오 여왕 가치노미야 도메노미야 미네노미야 아리스가와노미야 요시히토 친왕 요시코 내친왕 교쿄 법친왕 야에노미야 |
기타 | |
이전 천황 | 고사이 천황 |
다음 천황 | 히가시야마 천황 |
2. 약력
1654년 맏형 고코묘 천황의 양자가 되었고, 1658년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663년 1월, 이복형 고사이 천황에게서 양위받아 레이겐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치세 초기에는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이 섭정을 하였고, 1680년 아버지 사망 이후부터 직접 정무를 맡았다. 아버지의 유지를 계승하여 황실 재흥과 독자적인 정책 전개를 목표로 했기 때문에 막부와는 거리를 두려 하였고, 이 때문에 '친막부파'로 여겨지는 공경은 철저하게 배제하였다.
1687년 아들 히가시야마 천황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태상천황(上皇)이 되어 섭정을 시작했다. 1694년 천황의 성장을 이유로 섭정 중단을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센토고쇼(仙洞御所)에 별도의 기구를 확립하여 조정에 지시를 내리는 방식으로 정치에 계속 관여했다. 이는 이후 에도 시대 원정(院政)의 관행이 되었다.[39]
1693년 막부의 압력으로 표면상 정치에서 물러났으나,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46] 1713년에 출가하여 법황(法皇)이 되었고, 1732년에 사망하였다.
2. 1. 즉위 전
1654년 맏형 고코묘 천황의 양자가 되었고, 1658년에 황태자가 되었다.[4] 레이겐 천황은 고미즈노오 천황의 19번째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내대신 소노 모토오토(園基音)의 딸이자 시녀였던 소노 쿠니코(新広義門院国子)였다.1654년 당시 고코묘 천황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독살설이 제기되었고, 고코묘 천황이 레이겐 천황(당시 고귀궁)을 양자로 삼으려 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3] 그러나 고귀궁의 생모가 고코묘 천황의 외가 쪽 사촌이었고, 당시 다른 황족들은 이미 궁가를 계승했거나 사찰에 들어갔기 때문에, 고귀궁이 황위 계승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당시 생후 4개월에 불과했던 고귀궁이 즉위하는 것은 무리라고 여겨졌다. 이 때문에 고귀궁이 성장할 때까지 고사이 천황이 즉위하였다.[7] 1663년 고사이 천황의 양위를 받아 레이겐 천황으로 즉위하였다.[6]
2. 2. 재위 기간
1654년 맏형 고코묘 천황의 양자가 되었고, 1658년에 황태자 책봉을 받았다. 1663년 1월, 이복형 고사이 천황에게서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초기에는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이 섭정을 하였고, 1680년 아버지 사망 이후부터 직접 정무를 맡았다.[6] 아버지의 유지를 계승하여 황실 재흥과 독자적인 정책 전개를 목표로 했기 때문에 막부와는 거리를 두려 하였고, 이 때문에 「친막부파」 공경은 철저하게 배제하였다.1687년 아들 히가시야마 천황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섭정을 개시하였다. 1694년에는 천황의 성장을 이유로 섭정 중단을 선언하였다. 하지만, 자신을 배제하고 전권을 휘두르던 상황의 정치에 불만을 가지던 천황은 친정을 개시하자 막부와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였다. 막부는 이를 환영하여 천황을 지원하였고, 상황 역시 반대세력을 규합하여 히가시야마 천황과 후임자 나카미카도 천황에게 종종 제약을 가하기도 했다. 또한, 막부에 반대하던 태도를 바꾸어 황녀 요시코 내친왕과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를 약혼시켜 막부와의 제휴를 꾀했지만, 이에쓰구의 사망으로 좌절되었다. 1713년에 출가하여 법황이 되었고, 1732년에 사망하였다.

- '''1654년 7월 9일''': 레이겐 천황(霊元天皇)이 될 황자 탄생.[6]
- '''1654년''': 사토히토 친왕(飽信親王)은 아테노미야(阿哲宮)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의 형인 고코묘 천황이 죽기 전에 계승자로 지명되었으나, 너무 어렸기에 즉위할 수 없다고 판단되었다. 젊은 계승자가 성장할 때까지 그의 형이 고사이 천황으로 즉위하게 되었다.
- '''1663년 3월 5일''' (간분(寛文) 3년 1월 26일): 고사이 천황이 퇴위하였고;[7] 사토히토 친왕이 제위를 계승(踐祚)하였다. 곧이어 레이겐 천황이 정식으로 즉위(即位)하여 그의 치세가 시작되었다.[6]
- '''1665년''' (간분 5년 6월): 일본 전역의 마을에 종교재판소가 설치되었다. 이 재판소는 각 지역에서 기독교의 흔적을 발견하고 제거하는 임무를 맡았다.[8]
- '''1666년''' (간분 6년 4월): 다른 사람들과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영적, 도덕적 순수성이 손상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을 위해 법화종 불교 수행이 보존되었다.[8]
thumb 지붕 너머로 보이는 경치는 니가츠도(二月堂)의 높은 통로에서 보이는 파노라마 전망이 된다.]]
- '''1667년''' (간분 7년): 본당이 화재로 소실된 후, 나라의 니가츠도(二月堂)(二月堂일본어) 재건 공사가 시작되었다.[8]
- '''1668년 2월 13일''' (간분 8년 2월 1일): 에도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45일 동안 지속되었다. 이 재앙적인 화재는 방화로 인한 것으로 여겨졌다.[8]
- '''1669년''' (간분 9년): 기근이 발생하였고, 샤쿠샤인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북혼슈로 군사 원정이 파견되었다.[8]
- '''1673년''' (엔포(延宝) 1년): 교토에서 대화재가 발생했다.[8]
- '''1673년 5월 21일''' (엔포 1년 4월 5일): 중국 불교 승려 인겐이 우지에 있는 만푸쿠지(萬福寺) 오바쿠슈(黄檗) 선종 사찰에서 사망했다.[8]
- '''1675년''' (엔포 3년): 교토에서 대화재가 발생했다.[8]
- '''1680년 6월 4일''' (엔포 8년 5월 8일):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가 사망하고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계승했다.[8]
- '''1680년 6월 15일''' (엔포 8년 5월 19일): 고미즈노오 천황이 사망했다.[8]
- '''1680년''' (엔포 8년 8월): 대홍수가 에도를 휩쓸었다.[8]
- '''1680년''' (엔포 8년): 고코쿠지(護国寺)가 에도에 창건되었다.[8]
- '''1681년''' (덴나(天和) 1년): 쓰나요시의 쇼군 즉위식.[8]
- '''1682년 2월 5일''' (덴나 1년 12월 28일): 대화재가 에도를 휩쓸었다.[9]
- '''1681년''' (덴나 2년): 대기근이 교토와 그 주변 지역을 휩쓸었다.[9]
- '''1682년''' (덴나 3년): 도모히토 친왕(智仁親王)이 황태자로 선포되었고, 300년 이상 중단되었던 즉위식이 거행되었다.[2]
- '''1685년 3월 26일''' (조쿄(貞享) 2년 2월 22일): 고사이 천황이 사망하였고, 큰 혜성이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것이 관측되었다.[9]
- '''1687년 5월 2일''' (조쿄 4년 3월 21일): 레이겐 천황이 다섯 번째 아들인 히가시야마 천황에게 퇴위하였다.[9]
- '''1687년''': 레이겐 상황(上皇)이 상황으로서 통치를 시작했고, 퇴위 후 그의 새로운 거처는 센토고쇼(仙洞御所)(상황의 궁궐)로 불리게 되었다.[10]
- '''1696년 12월 4일''': 메이쇼 천황 사망.
- '''1713년''': 레이겐 상황이 소죠(素浄)라는 이름으로 사원에 들어갔다.
- '''1715년''': 레이겐 상황의 13번째 딸인 요시코(佳子) 공주(1714-1758)가 7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와 결혼했다.
- '''1716년''': 7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가 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732년 9월 24일''' (쿄호(享保) 17년 9월 24일): 레이겐 천황이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레이겐 천황의 재위 기간은 하나 이상의 일본 연호(元号, ''nengō'')로 더 구체적으로 구분된다.[8]
연호 | 기간 |
---|---|
간분(寛文) | 1661년–1673년 |
엔포(延宝) | 1673년–1681년 |
덴나(天和) | 1681년–1684년 |
조쿄(貞享) | 1684년–1688년 |
2. 3. 상황(上皇) 시기
1687년 아들 히가시야마 천황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태상천황(上皇)이 되어 섭정을 개시했다.[9] 1694년 천황의 성장을 이유로 섭정 중단을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센토 고쇼(仙洞御所)에 별도의 기구를 확립하여 조정에 지시를 내리는 방식으로 정치에 계속 관여했다. 이는 이후 에도 시대 원정(院政)의 관행이 되었다.[39]레이겐 상황은 조정의 주재자라는 의식이 강하여, 히가시야마 천황이 성인이 될 때까지 본래 천황이 행하는 의식인 사방배(四方拝)를 센토 고쇼에서 행하기도 했다.[39] 이러한 태도는 조정 집행부와의 불화를 야기했다. 특히 1693년에는 사이혼간지(西本願寺) 문적(門跡)의 참내(參內) 시 의례를 변경하려다 관백 고노에 모토히로를 비롯한 공가들과 교토 소시다이의 반대에 부딪혀 좌절되면서 권위에 상처를 입었다.[44]
1693년 막부의 압력으로 표면상 정치에서 물러났으나,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46] 도쿠가와 쓰나요시 사후,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장인이었던 고노에 모토히로와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했다.[32]
1710년 히가시야마 천황이 사망하면서 다시 섭정을 시작했다. 1713년 출가하여 법황(法皇)이 되었다.[6] 1716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와 황녀 요시코 내친왕의 약혼을 추진했으나, 이에쓰구의 사망으로 무산되었다.[6] 1732년 사망할 때까지 막부, 조정과의 관계에서 긴장과 갈등이 반복되었다.[6]
3. 가족
霊元天皇일본어은 고미즈노오 천황의 19번째 황자로, 생모는 소노 구니코이다. 레이겐 천황은 헤이안 궁에서 생활했으며, 많은 후궁을 두었고 슬하에 13남 14녀를 두었다.[2]
배우자 | 이름 | 출신 가문 및 비고 | 자녀 |
---|---|---|---|
중궁 | 다카쓰카사 후사코 | 다카쓰카사 노리히라의 딸 | 제3황녀: 마사코 내친왕 - 니조 쓰나히라와 결혼 |
후궁 | 마쓰노키 무네코 | 마쓰키 무네아쓰의 딸, 게이호몬인 | 제4황자: 히가시야마 천황 제5황녀: 도미코 내친왕 - 후시미노미야 구니나가 친왕과 결혼 제6황녀: 에이슈 여왕 제7황자: 교고쿠노미야 아야히토 친왕 제7황녀: 우메노미야 제8황녀: 가쓰코 내친왕 제8황자: 세이노미야 |
후궁 | 오구라 사네오키의 딸 | 제1황자: 사이신 법친왕 | |
후궁 | 보조 후사코 | 보조 도시히로의 딸 | 제2황녀: 겐시 내친왕 - 고노에 이에히로와 결혼 |
후궁 | 아타고 후쿠코 | 아타고 미치토미의 딸 | 제2황자: 간류 법친왕 제4황녀: 쓰나노미야 |
후궁 | 고조 요코 | 고조 다메쓰네의 딸 | 제3황자: 산노미야 제5황자: 교엔 법친왕 제6황자: 다이레이인노미야 |
후궁 | 히가시쿠세 히로코 | 히가시쿠세 미치카도의 딸 | 제11황자: 도쿠노미야 제12황자: 리키노미야 |
후궁 | 니시노토인 도키나가의 딸 | 제1황녀: 지코인미야 | |
후궁 | 고조 쓰네코 | 고조 다메쓰네의 딸 | 제9황자: 사쿠노미야 제10황자: 쇼오 법친왕 제9황녀: 분키 여왕 제10황녀: 겐슈 여왕 |
후궁 | 이마조 사다쓰나의 딸 | 제13황자: 손쇼 법친왕 제11황녀: 분오 여왕 | |
후궁 | 이리에 이쓰코 | 이리에 스케나오의 딸 | 제14황자: 가치노미야 제12황녀: 도메노미야 |
후궁 | 구라하시 야스사다의 딸 | 제15황자: 미네노미야 | |
후궁 | 마쓰무로 아쓰코 | 마쓰무로 시게아쓰의 딸 | 제16황자: 아리스가와노미야 요리히토 친왕 제13황녀: 요시코 내친왕 - 도쿠가와 이에쓰구 약혼녀 제18황자: 교쿄 법친왕 |
후궁 | 마쓰무로 나카코 | 마쓰무로 시게나카의 딸 | 제17황자: 손인 법친왕 |
후궁 | 하타씨의 딸 | 제14황자: 야에노미야 |
4. 연호
다음은 레이겐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사용된 연호이다.
5. 문화적 업적
레이겐 천황은 형인 후사이 천황으로부터 고킨덴주(古今伝授)를 받은 가도(와카)의 달인이었으며, 황자였던 이치죠인노미야 타카아키라 친왕과 아리스가와노미야 쇼쿠진 친왕을 비롯하여 나카인 미치무네, 무사코지 사네카게, 카라스마 미츠히데 등 당대를 대표하는 가인들을 길러낸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후미히토 천황을 본받아 칙선와가집인 『신류다이와가슈(新類題和歌集)』의 편찬을 카라스마 미츠히데, 산죠니시 공후쿠, 미나세 우지나리, 타카마쓰 시게스에, 무사코지 사네카게에게 명령하였다.
또한, 도요토미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친 역대 천황 중 후요나리 천황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서예의 제왕이기도 하다. 레이겐인(霊元院)의 자필 서예는 신하들의 손을 거쳐 야나가사와가 등 제한된 다이묘 가문에 전해져 가보로서 대대로 이어지고 있다.
아리스가와류 서도는 이 천황의 서풍에서 유래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6. 평가
레이겐 천황은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고 독자적인 정치를 펼치고자 했으나, 에도 막부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그의 정치적 노력은 에도 막부의 권력 강화와 조정의 역할 축소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문화 예술 분야에서 그의 업적은 높이 평가되며, 특히 가도와 서예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역사적으로, 레이겐 천황은 격동하는 에도 시대에 황실의 존엄성을 지키려 했던 인물로 기억된다.
1654년 맏형 고코묘 천황의 양자가 되었고, 1658년 황태자 선지를 받았다. 1663년 이복형 고사이 천황에게 양위받아 즉위하였다. 치세 초기에는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의 섭정을 받았고, 1680년부터 직접 정무를 맡았다. 아버지의 유지를 계승하여 황실 재흥과 독자적인 정책 전개를 목표로 했기 때문에 막부와 거리를 두려 하였고, 이 때문에 「친막부파」 공경은 철저하게 배제하였다.
1687년 아들 히가시야마 천황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섭정을 개시했다. 1694년 섭정 중단을 선언했지만, 상황의 정치에 불만을 가지던 천황은 친정을 개시하며 막부와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였다. 막부는 이를 환영하여 천황을 지원하였고, 상황 역시 반대세력을 규합하여 히가시야마 천황과 후임자 나카미카도 천황에게 종종 제약을 가하기도 했다. 또한, 막부에 반대하던 태도를 바꾸어 황녀 요시코 내친왕과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를 약혼시켜 막부와의 제휴를 꾀했지만, 이에쓰구의 사망으로 좌절되었다. 1713년 삭발 출가하여 법황이 되었고, 1732년 사망하였다.
유조에 의해, 효령천황・효원천황의 시호를 따서 “영원원(霊元院)”이라 추시호되었다. 다이쇼 시대 이후에는 “영원천황(霊元天皇)”으로 표기된다.
또한, 시모쓰리묘신사(下御霊神社)의 출운로 신직(出雲路信直)・나오모토 부자는 레이겐 천황과 친분이 있었다. 레이겐 천황은 승하할 당시 나오모토에게 자신을 신으로 모시도록 은밀히 전했다. 나오모토는 일조 겸향(一条兼香)과 상의하여 천황을 “'''천중주황신(天中柱皇神)'''”이라는 신호로 시모쓰리묘신사의 향전에 모셨다.
참조
[1]
웹사이트
霊元天皇 (112)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4]
서적
[5]
서적
[6]
서적
Japans Kaiserhof in der Edo-Zeit
https://books.google[...]
1999
[7]
서적
[8]
서적
https://books.google[...]
[9]
서적
https://books.google[...]
[10]
서적
Kyoto: The Old Capital of Japan, 794–1869
1956
[11]
서적
Imperial House
[12]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13]
간행물
近世朝廷と寺社の祈祷
吉川弘文館
2022
[14]
서적
近世朝廷の法制と秩序
山川出版社
2012
[15]
서적
2021
[16]
서적
2021
[17]
서적
2021
[18]
서적
2021
[19]
서적
2021
[20]
서적
2021
[21]
서적
2021
[22]
서적
2021
[23]
서적
2021
[24]
서적
2021
[25]
서적
2021
[26]
서적
2021
[27]
서적
2021
[28]
서적
1998
[29]
서적
1998
[30]
서적
2021
[31]
서적
1998
[32]
서적
1998
[33]
서적
1998
[34]
서적
1998
[35]
서적
1998
[36]
서적
貞享三年11月7日付大久保忠朝・阿部正武・戸田忠昌・牧野成貞宛土屋政直書状案
[37]
문서
『基量卿記』貞享3年12月23日条所引、貞享三年11月23日付土屋政直宛大久保忠朝・阿部正武・戸田忠昌・牧野成貞連名老中奉書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本願寺〈門跡成〉と〈准門跡〉本願寺
戎光祥出版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