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겸 (청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겸은 1829년 저장성 사오싱에서 태어나 1884년 사망한 청나라 시대의 문인으로, 서예, 회화, 전각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는 금석학 연구에도 몰두하여 여러 저술을 남겼으며, 특히 코담배 연구서인 《융루 시엔지에》와 《장시 통지》의 저술 및 편집으로도 알려져 있다. 조지겸은 20세에 수재가 되었으나 태평천국의 난으로 과거 시험 응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벼슬길에 나아가 펑양현의 현지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서예가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의 서예가 - 정샤오쉬
정샤오쉬는 청나라 말기 외교관, 만주국 초대 국무원 총리, 서예가로 활동했으며, 친일 행적으로 비판받았으나 뛰어난 서예 작품을 남겼다. - 청나라의 화가 - 석도
석도는 청나라 초기의 혁신적인 화가이자 승려로, '단선' 사상을 바탕으로 전통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창작 정신을 추구하며 시화일률의 경지를 지향한 예술가이다. - 청나라의 화가 - 정섭
정섭은 청나라 시대의 문인, 서예가, 화가로, 서화 판매와 관직 생활을 거쳐 독특한 서체와 난, 대나무 그림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논서』와 난, 대나무 그림 등의 작품을 남겼다. - 1829년 출생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 1829년 출생 - 아우구스트 케쿨레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독일의 화학자로서 탄소의 사중 원자가와 자가 연결 능력을 기반으로 유기화학의 구조 이론을 체계화하고 벤젠의 고리 모양 구조를 제안하여 방향족 화합물 연구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은 화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하였다.
조지겸 (청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조지겸 |
자(字) | 이푸(益甫) 렝쥔(冷君) |
호(號) | 휘수(撝叔) 베이안(悲盦) |
출생 | 1829년 |
출생지 | 저장성사오싱청나라 |
사망 | 1884년 (56세) |
직업 | 서예가 전각가 화가 학자 |
영향 | 오창석 치바이스 |
대표작 | 《용로선계(甬麓仙界)》 |
2. 생애
자오즈첸(조지겸, 1829년 ~ 1884년)은 청나라 말기의 저명한 서예가, 화가, 전각가이다. 그는 저장성 사오싱의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소년기에 집안이 몰락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풍부한 장서를 바탕으로 학문에 정진했으며, 특히 15세 무렵부터 금석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1][2]
20세에 수재가 되고 1859년에는 거인의 칭호를 얻었으나, 태평천국의 난이라는 혼란기를 겪으며 관직에 나아가려던 계획은 큰 차질을 빚었다. 이 시기 그의 가족은 몰락했고, 소중히 모았던 예술품과 소장품들도 대부분 잃었다. 이후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했으나 낙방을 거듭한 끝에 시험을 통한 출세의 길을 포기했다. 생계를 위해 서당 강사나 막객 등으로 활동하기도 했다.[1][2]
학문과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중국 최초의 코담배 연구서로 평가받는 勇廬閒詰|융루 시엔지에zho를 저술했으며, 류쿤이의 위촉을 받아 江西通志|장시 통지zho 편찬 작업을 총괄하여 1881년에 완성했다. 그의 서재 이름은 仰視千七百二十九鶴齋|양스 치엔이바이시지우 허 자이 충수zho였다.[1] 예술 분야에서는 문인화, 서예, 전각 모두에서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했다. 쉬웨이, 천춘, 스타오, 리산 등의 화풍을 배우면서도 자신만의 양식을 확립했으며, 서예에서는 금석학 연구를 바탕으로 전서와 예서에 뛰어났고 여기에 초서의 필법을 가미하여 참신한 서체를 만들었다. 전각에서는 절파와 휘파의 장점을 두루 흡수하고 진·한 시대의 인장뿐 아니라 위진남북조 시대까지 연구 범위를 넓혀 새로운 양식을 선보였으며, 그의 일파는 신절파 (조파)로 불리게 되었다.[2]
43세 무렵 장시성의 현지사 후보가 된 것을 계기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1876년 펑양현 현지사로 부임했다. 부임 중 대홍수를 만나 백성 구휼에 힘쓰다 병을 얻었으며, 이후 펑신현과 난청현으로 옮겨 근무하다 1884년 임지에서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46세에 재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평소 비연(코담배)을 즐겼다고 전해진다.[1][2]
2. 1. 출생과 가계
저장성 사오싱시 회계현 출신이다. 대대로 부유한 상인 집안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나, 소년기에 집안이 몰락하였다. 하지만 집에 장서가 풍부하여 학문을 공부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고, 15세 무렵부터는 금석학을 즐겨 배웠다.2. 2. 청년기와 과거
저장성 사오싱시 회계현의 상인 집안에서 1829년 차남으로 태어났다. 소년기에 집안 형편이 어려워졌지만, 집에 책이 많아 학문을 공부할 수 있었고, 15세 무렵부터는 금석학을 즐겨 배웠다.20세에 수재가 되었으나, 이듬해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면서 과거 시험 응시가 중단되어 관직에 나아가려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이 혼란기에 그의 가족은 몰락했고 집은 파괴되었으며, 오랫동안 수집해 온 예술 작품과 소장품 등 귀중한 문물들도 모두 잃었다. 이후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서당 강사 등으로 일했으며, 저장안찰사 묘재의 권유로 막객이 되기도 했다.
1859년 저장성 향시에서 거인이 되었지만, 이후 국가 시험을 보기 위해 베이징으로 갔으나 여러 차례 낙방하였다. 결국 과거 시험을 통한 출세의 꿈을 포기하게 되었다. 베이징에 머무는 동안 반조음과 교류하며 지냈다. 43세(1871년경)에는 장시성의 한 현의 현지사 후보가 되기 위해 요청서를 제출하기도 했으나, 이후 류쿤이의 위촉을 받아 『강서성사』(江西通志)의 총편집을 맡게 되었다. 이 지방지는 광서 7년(1881년)에 출판되었다.
2. 3. 관직 생활과 사망
43세 때 장시성의 현지사 후보가 되었으나, 류쿤이의 위촉을 받아 『강서성사』의 총편집으로 먼저 활동했다. 이후 1876년, 펑양현의 현지사로 부임하였다. 그러나 부임 직후 대홍수를 겪게 되었고, 이때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다가 병을 얻었다. 이후 펑신현과 난청현의 현지사로 자리를 옮겨 계속 근무하였으나, 결국 1884년 임지에서 5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는 평소 비연(코담배)을 즐겼다고 전해진다.3. 예술 활동
조지겸은 서예, 회화, 전각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예술 활동 전반에는 금석학에 대한 깊은 연구가 바탕이 되었다.
금석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그는 서예 분야에서 전서와 예서에 특히 능했으며, 초서의 필법을 더해 독창적인 서체를 이루었다. 회화에서는 문인화의 전통 위에서 여러 대가의 화풍을 연구하여 자신만의 스타일을 확립했고, 수묵화의 전통 속에서 글씨와 그림의 조화를 추구했다. 전각에서는 여러 유파의 장점을 흡수하고 금석문 연구를 폭넓게 적용하여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양식을 선보였으며, 이는 신절파 (조파)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주요 작품'''
- --
- --
- --
- --
- --
- --
3. 1. 서예
조지겸은 금석학 연구를 통해 서예의 옛 기법을 깊이 이해하고 습득했다. 이를 바탕으로 특히 전서와 예서에 능숙한 솜씨를 보였다. 그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초서의 필법을 접목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자신만의 서체를 완성했다. 또한 전통적인 수묵화의 관점을 따라, 그림과 글씨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예술로 통합하여 표현하고자 했다.3. 2. 회화
조지겸은 10대에 문인화를 배우기 시작하여 쉬웨이, 천춘, 스타오, 리산 등을 스승으로 삼아 그림을 익혔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했다.
그는 금석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서예의 옛 법도를 터득했으며, 특히 전서와 예서에 뛰어났다. 여기에 초서의 필법을 더하여 참신하고 독특한 서체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서예 실력은 그의 그림에도 영향을 미쳐, 수묵화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글씨와 그림을 하나로 여기는 독특한 경지를 보여주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1859년에 그린 《원추리》 그림 등이 있다.
관련 작품
- --
- --
- --
- --
- --
3. 3. 전각
조지겸은 전각 분야에서 절파의 딩징, 황이, 장런, 천훙서와 휘파의 덩스루, 바웨이주, 후탕 등 여러 유파의 장점을 가리지 않고 습득했다. 1864년에는 일부러 타이저우의 우시자이를 방문하여 그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그는 금석학에 대한 깊은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진·한 시대 전서뿐만 아니라 위진남북조 시대까지 연구 범위를 넓혔다. 이를 통해 다소 경직되어 있던 당시 전각 예술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으며 독자적인 양식을 수립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영향을 받은 일파는 신절파 (조파)라고 불리게 되었다.
조지겸은 아무에게나 도장을 새겨주지 않았기 때문에 남아있는 작품 수가 많지는 않다. 그의 친구였던 웨이시쩡, 선수융, 후수 등이 그의 도장을 비교적 많이 소장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학문 연구 및 저술
조지겸은 소년기에 집안 환경 덕분에 풍부한 장서를 접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고, 특히 15세 무렵부터 금석학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금석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훗날 그의 서예와 전각 예술이 독창적인 경지에 이르는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그는 학문 연구와 더불어 저술 활동에도 힘썼다. 대표적인 저술로는 중국 최초의 코담배 연구서로 평가받는 저작과 장시성 지방지 편찬 작업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학문적 성과를 정리하고 후세에 남겼다. 그의 서재 이름은 ''양스 치엔이바이시지우 허 자이 충수''였는데, 이는 "위를 올려다보며 1,729마리의 학을 관찰한 서재"라는 뜻을 담고 있다.
4. 1. 금석학 연구
조지겸은 15세 무렵부터 금석학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금석학 연구를 통해 서예의 옛 법도를 익혔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서와 예서에 능통하게 되었다. 나아가 초서의 필법을 가미하여 독창적이고 참신한 서체를 완성했다.전각 분야에서는 특정 유파에 얽매이지 않고 절파(딩징, 황이, 장런, 천훙서 등)와 휘파(덩스루, 바웨이주, 후탕 등)의 장점을 두루 흡수했다. 특히 금석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진·한 시대의 전서뿐만 아니라 위진남북조 시대의 문자까지 폭넓게 탐구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정형화된 전각 예술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는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했다. 이러한 그의 전각 스타일은 후대에 신절파(조파)로 불리게 되었다. 그는 아무에게나 도장을 새겨주지 않았기 때문에 작품 수가 많지 않으며, 친구인 웨이시쩡·선수융·후수 등이 그의 도장을 많이 소장하게 되었다.
4. 2. 주요 저술
- 《육조별자기》(六朝別字記)
- 《보환우방비록》(補寰宇訪碑錄)
- 《국조한학사승정속기》(國朝漢學師承續記)
- 《비암거사문존》(悲盦居士文存)
- 《비암거사시등》(悲盦居士詩賸)
- 《이금접당인보》(二金蝶堂印譜)
- 《용려간힐》(勇廬閒詰)
조지겸은 중국 최초의 코담배 연구서로 평가받는 Yonglu Xianjie|융루 시엔지에중국어("융루의 영역, 코의 신에 대한 여가 시간 동안의 연구")를 저술했다. 이 책의 영어 번역본은 국제 중국 코담배 협회 저널 1991년 가을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그는 광서 7년(1881년)에 출판된 장시성 지방지인 Jiangxi Tongzhi|장시 통지중국어의 저자이자 편집장이기도 했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Couplet of Eight Characters - 2 of 2 - Zhao Zhiqian - official / clerical script - Qing Dynasty
http://hua.umf.maine[...]
[2]
웹인용
Couplet of Eight Characters - 2 of 2 - Zhao Zhiqian - official / clerical script - Qing Dynasty
http://hua.umf.maine[...]
2020-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