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하사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하사니는 헝가리 출신의 경제학자이자 게임 이론가로, 1994년 존 내시, 라인하르트 젤텐과 함께 비협력 게임 이론에 대한 공헌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부다페스트 대학교에서 약리학 및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핍박을 피해 예수회 수녀원에서 은신했다. 호주와 미국에서 경제학을 연구하고 가르쳤으며, 특히 불완전 정보 게임에 대한 분석 기법을 개발하여 게임 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규칙 공리주의를 옹호하며, 다양한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데 게임 이론을 적용했다. 2000년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에서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간 사람 - 세케레시 죄르지
세케레시 죄르지는 헝가리 출신으로 나치즘을 피해 상하이로 이주하여 예술 활동을 하다 호주에서 수학 교육과 연구에 헌신한 수학자로, 조합론과 기하학에 기여했으며 '해피 엔딩 문제'를 제기했고, 호주 수학 올림피아드 위원회 활동 및 훈장 수훈과 함께 그의 업적을 기리는 메달이 제정되었다. - 웨인 주립 대학교 교수 - 허버트 C. 브라운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화학자 허버트 C. 브라운은 붕소 화합물을 유기 합성 시약으로 활용하는 방법 개발과 수소붕소화 반응 발견, 그리고 다양한 환원제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197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웨인 주립 대학교 교수 - 에드먼드 게티어
미국의 철학자 에드먼드 게티어는 "정당화된 참된 믿음"이 지식의 필요충분조건인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논문으로 유명하며, 이 논문은 '게티어 문제'를 야기하여 인식론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경제학자 - 네르시 레죄
헝가리 사회노동자당의 주요 인물이었던 네르시 레죄는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신 경제 메커니즘을 통한 경제 개혁을 시도하고 사회주의에서 시장 경제로의 전환을 주도하며 헝가리 사회당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 - 헝가리의 경제학자 - 마이클 폴라니
마이클 폴라니는 헝가리 출신의 과학자이자 철학자로, 화학 연구를 수행하고 나치스를 피해 영국으로 망명하여 과학철학, 사회철학, 인식론 분야에서 암묵지, 층의 이론 등을 제시하며 개인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존 하사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하르사니 야노시 카로이 |
출생일 | 1920년 5월 29일 |
출생지 | 부다페스트, 헝가리 |
사망일 | 2000년 8월 9일 |
사망지 | 버클리, 캘리포니아주, 미국 |
국적 | 헝가리 미국 |
연구 분야 | |
분야 | 경제학 |
소속 기관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웨인 주립 대학교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퀸즐랜드 대학교 |
출신 학교 | 리옹 대학교 부다페스트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케네스 애로 |
주요 업적 | 베이즈 게임 공리주의 윤리학 균형 선택 |
수상 | 노벨 경제학상 (1994년) 존 폰 노이만 이론상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안네 클라우버 |
2. 생애
존 하사니는 1920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 부다페스트 대학교에서 약리학 학위를 받은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박해를 피해 잠시 피신하기도 했다. 전쟁 후 같은 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사회학 조교수로 활동했으나, 점차 강화되는 공산 정권 하에서 학문적 자유를 위협받자 1950년 호주로 망명했다.
호주 시드니에 도착한 직후 앤 클라우버와 결혼했으며, 시드니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퀸즐랜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강사로 일하다가 1956년 록펠러 재단 장학금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갔다.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1959년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잠시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에서 연구 활동을 하기도 했으나,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 웨인 주립 대학교를 거쳐 1964년부터 1990년 은퇴할 때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게임 이론 분야, 특히 정보가 불완전한 상황에서의 전략적 의사 결정을 분석하는 베이즈 게임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4년 존 내시, 라인하르트 젤텐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말년에는 알츠하이머병을 앓았으며, 2000년 미국 버클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920-1944)
존 하사니는 1920년 5월 29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약국을 운영하던 카로이 하사니와 앨리스 하사니(결혼 전 성: 곰보스) 사이에서 태어났다.[4] 그의 부모는 유대인이었으나, 그가 태어나기 1년 전에 가톨릭교로 개종했다.[5] 그는 부다페스트에 있는 파소리 김나지움(루터교 김나지움)을 다녔다. 고등학교 시절, 그는 1893년 창간되어 헝가리 학생들의 수학 실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 수학 잡지 쾨마을(KöMaL)에서 뛰어난 문제 해결 능력을 보였으며, 고등학생 대상의 뢰트뵈시 수학 경시대회에서 1등을 수상하기도 했다.[6]하사니는 수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싶어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1939년 그를 프랑스 리옹 대학교로 보내 화학 공학을 전공하게 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하사니는 헝가리로 돌아와 부다페스트 대학교(현재의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서 약학을 공부했고, 1944년에 학위를 받았다.[7] 당시 헝가리에서는 유대계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 헝가리 왕립군 징집 대신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는데, 하사니는 약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징집을 면제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1944년, 호르티 정권이 무너지고 화살십자당이 권력을 잡으면서 그의 징병 유예는 취소되었다. 결국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의 강제 노역 부대에 징집되었다.[6][8] 7개월간 강제 노역에 시달린 후, 독일 당국이 그의 부대를 오스트리아의 강제 수용소로 이송하려 하자 하사니는 탈출에 성공했다. 그는 부다페스트의 한 예수회 수녀원에 숨어 지내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피신했다.[6][7][9]
2. 2. 전후와 망명 (1945-1950)
전쟁이 끝난 후, 하사니는 부다페스트 대학교로 돌아가 철학과 사회학을 공부하여 1947년에 두 전공 모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당시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그는 신학 공부를 병행하며 도미니코회 평신도회에도 가입했지만, 나중에는 가톨릭 신앙을 버리고 평생 무신론자로 살았다.[7]하사니는 1947년부터 1948년까지 부다페스트 대학교 사회학 연구소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미래의 아내가 될 안네 클라우버를 만났다. 그러나 그는 공개적으로 반마르크스주의적 견해를 표명했기 때문에 교수직에서 물러나야 했으며, 안네 클라우버 역시 같은 이유로 동료들로부터 그를 떠나라는 압박에 시달렸다.
교수직을 그만둔 후, 하사니는 약 2년 동안 헝가리에 머물면서 가족의 약국을 지키려 노력했다. 1950년에 공산당이 약국을 몰수할 것이 분명해지자, 그는 안네 클라우버와 그녀의 부모와 함께 오스트리아 국경을 불법으로 넘어 호주로 망명했다. 호주에는 클라우버 부모의 친구들이 있었다.[6][7][10] 그는 1950년 12월 30일 시드니에 도착했다.
2. 3. 호주에서의 삶 (1950-1956)
1950년 12월 30일, 존 하사니는 앤 클라우버와 함께 호주 시드니에 도착했다. 당시 클라우버의 이민 서류 문제로 인해 두 사람은 호주에 도착할 때까지 결혼하지 않은 상태였다.[10] 두 사람은 도착 직후 결혼을 준비하여 1951년 1월 2일에 결혼식을 올렸다. 당시 두 사람 모두 영어를 거의 구사하지 못했다.[10]하사니가 헝가리에서 취득한 학위는 호주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이를 바탕으로 시드니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과정을 밟을 수 있었다.[7] 그는 생계를 위해 낮에는 공장에서 일하고, 저녁에는 시드니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는 주경야독의 생활을 이어갔으며, 1953년에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7] 시드니에서 공부하는 동안, 그는 ''Journal of Political Economy''와 ''Review of Economic Studies''와 같은 저명한 경제학 학술지에 연구 논문을 게재하기 시작하며 학문적 성과를 쌓았다.[7]
석사 학위를 바탕으로 하사니는 1954년 브리즈번에 위치한 퀸즐랜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강사로 임용되었다.[7] 브리즈번에서 그의 아내는 작은 공장에서 패션 디자이너로 일하며 생활을 꾸려나갔다.[10] 1956년, 하사니는 록펠러 재단의 장학금을 받아 미국의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할 기회를 얻게 된다.
2. 4. 미국에서의 연구와 노벨상 수상 (1956-2000)
1956년, 하사니는 록펠러 재단 장학금을 받아 아내 앤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후 2년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연구했으며, 한 학기는 코울스 재단에서 보냈다. 스탠퍼드에서 그는 케네스 애로 교수의 지도 아래 게임 이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1959년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시기 아내 앤은 심리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958년 학생 비자가 만료되자 하사니 부부는 호주로 돌아갔다. 그는 캔버라에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에서 잠시 연구원으로 일했지만, 호주 학계의 게임 이론에 대한 무관심에 실망했다. 케네스 애로와 제임스 토빈의 도움으로 하사니는 다시 미국으로 이주할 기회를 얻었다.
1961년부터 1963년까지 디트로이트의 웨인 주립 대학교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했다. 1964년에는 버클리로 옮겨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교수가 되었으며, 1990년 은퇴할 때까지 이곳에 머물렀다. 버클리에 정착한 직후 아들 톰이 태어났다.
버클리 재직 기간 동안 하사니는 게임 이론 연구에 깊이 몰두했다. 특히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존 폰 노이만에게 수학했고 이미 게임 이론 분야에서 업적을 쌓고 있던 해럴드 W. 쿤은 그의 연구를 격려했다. 하사니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1967년과 1968년에 발표된 일련의 논문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논문들에서 그는 게임 참여자들이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고 전략적 결정을 내리는 상황, 즉 '불완전 정보 게임'(베이지안 게임)을 분석하는 표준적인 틀을 제시했다. 그는 각 플레이어가 상대방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nature)이 마치 게임의 초기 조건을 무작위로 결정하는 것처럼 모델링하여, 각 플레이어가 가진 정보의 불확실성을 확률적으로 다루었다. 이 모델에서 일부 플레이어는 자연의 선택 결과를 관찰하지만, 다른 플레이어는 단지 확률 분포와 일부 플레이어가 실제 결과를 알고 있다는 사실만을 인지한다. 이 분석은 모든 플레이어가 게임의 기본 규칙과 초기 조건이 결정될 확률 분포(공통 사전 확률, common prior)를 공유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이는 '하사니 독트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1]
1966년부터 1968년까지 하사니는 프린스턴 대학교의 컨설팅 그룹인 Mathematica와 협력했다. 그는 해럴드 쿤, 오스카 모르겐슈테른 등이 이끄는 게임 이론가 팀의 일원으로서 미국 군비 통제 및 군축국에 자문을 제공했다.[6][7]
1994년, 하사니는 불완전 정보 게임 분석에 대한 선구적인 공헌을 인정받아 존 내시, 라인하르트 젤텐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만년에 알츠하이머병을 앓았던 하사니는 2000년 8월 9일 버클리에서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7]
3. 학문적 업적
존 하사니는 게임 이론과 경제학 응용 분야, 특히 베이지안 게임으로 알려진 불완전 정보 게임 분석 기법 개발로 유명하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크게 공리주의 윤리 연구와 게임 이론 발전 및 응용으로 나눌 수 있다.
1950년대 중반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의 퀸즐랜드 대학교에서 공리주의 윤리 연구를 시작했으며, 이는 사람들의 개인적 선호와 도덕적 선호의 차이를 구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두 편의 논문으로 이어졌다.[10] 그는 자신의 연구가 애덤 스미스, 이마누엘 칸트, 그리고 벤담, 밀, 시지윅, 에지워스와 같은 공리주의자들의 서양 도덕 사상을 조화시키려는 시도라고 설명했다. 특히 하사니는 "규칙 공리주의"의 중요한 옹호자로 평가받는데, 이는 개별 행위의 결과뿐만 아니라 규칙의 일반적인 준수가 가져올 사회 전체의 장기적 결과를 고려하여 도덕적 판단을 내려야 한다는 관점이다.
록펠러 재단의 펠로우십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케네스 애로우의 지도를 받으면서, 하사니는 존 내시의 게임 이론 연구에 영향을 받아 해당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10] 그는 정보가 불완전한 상황에서 각 참여자가 상대방의 정보나 의도를 정확히 알지 못할 때 어떻게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지를 분석하는 베이지안 게임 이론을 개발했다. 이는 현실 세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하사니의 게임 이론 연구는 경제학을 넘어 비즈니스, 경영, 국제 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적 상황이나 갈등을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그의 연구는 인간 행동에 대한 수학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4. 저술
- 「복지 경제학 및 위험 감수 이론에서의 기수적 효용(Cardinal utility in welfare economics and in the theory of risk-taking)」, 정치 경제 저널, 1953년[10]
- 「기수적 복지, 개인주의 윤리 및 효용의 대인간 비교(Cardinal welfare, individualistic ethics, and interpersonal comparisons of utility)」, 정치 경제 저널, 1955년
- 「상대방의 효용 함수를 모르는 상태에서의 협상(Bargaining in ignorance of the opponent's utility function)」, 갈등 해결 저널, 1962년
- 「"베이시안" 플레이어가 플레이하는 불완전 정보 게임, I-III. 파트 I. 기본 모델(Games with incomplete information played by "Bayesian" players, I-III. part I. The Basic Model)」, 경영 과학(Management Science), 1967년
- 『윤리, 사회 행동 및 과학적 설명에 관한 에세이(Essays on ethics, social behavior, and scientific explanation)』, D. Reidel Pub. Co, 1976년
- 『게임 및 사회적 상황에서의 합리적 행동 및 협상 균형(Rational behavior and bargaining equilibrium in games and social situ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년
- 「도덕과 합리적 행동 이론(Morality and the theory of rational behavior)」, 사회 연구(Social Research), 1977년
- 『게임 이론 논문집(Papers in game theory)』, D. Reidel Pub. Co., 1982년
- 『게임에서의 균형 선택에 대한 일반 이론(A general theory of equilibrium selection in games)』 (라인하르트 젤텐과 공저), MIT Press, 1988년[14]
5. 기타
2010년 5월 29일, 구글은 존 하사니의 생일을 두들로 기념했다.[12][13]
참조
[1]
논문
An informationally parsimonious impartial observer theorem
https://doi.org/10.1[...]
1998-05-01
[2]
웹사이트
Economics Faculty Directory
http://emlab.berkele[...]
2017-12-02
[3]
문서
A marslakók legendája – György Marx
[4]
웹사이트
Harsanyi, John Charles – Dictionary definition of Harsanyi, John Charles – Encyclopedia.com: FREE online dictionary
http://www.encyclope[...]
2017-12-02
[5]
웹사이트
Biographical Memoirs Home
http://www.nap.edu/h[...]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7-12-02
[6]
기타
2020-10-11
[7]
논문
John Charles Harsanyi
http://www.accesseco[...]
[8]
뉴스
Nobel Laureate John C. Harsanyi, UC Berkeley economist and game theory pioneer, dies at 80
http://www.haas.berk[...]
HAAS News
[9]
웹사이트
John Harsanyi (1920–2000)
https://www.jewishvi[...]
[10]
서적
Lives of the Laureates
The MIT Press
[11]
문서
Bayesian Games: Games with Incomplete Information
http://www.ma.huji.a[...]
[12]
웹사이트
29 May: Remembering John Harsányi on Birthday
https://observervoic[...]
2023-05-28
[13]
웹사이트
John Harsányi's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3-05-28
[14]
논문
Reviewed Work: A General Theory of Equilibrium Selection in Games by John C. Harsanyi & Reinhard Selten
1989-09
[15]
웹인용
Harsanyi, John Charles – Dictionary definition of Harsanyi, John Charles – Encyclopedia.com: FREE online dictionary
http://www.encyclope[...]
2017-12-02
[16]
웹인용
Biographical Memoirs Home
http://www.nap.edu/h[...]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7-12-02
[17]
뉴스
Nobel Laureate John C. Harsanyi, UC Berkeley economist and game theory pioneer, dies at 80
http://www.haas.berk[...]
HAAS News
[18]
기타
2020-10-11
[19]
저널
John Charles Harsanyi
http://www.accesseco[...]
[20]
웹사이트
John Harsanyi (1920–2000)
https://www.jewishv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