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슨 독트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슨 독트린은 1965년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미국이 서반구에서 공산주의 정부의 수립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독트린은 냉전 시대 미국의 반공주의적 입장을 반영하며,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되었다. 특히, 1965년 도미니카 공화국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먼로 독트린과 아이젠하워 독트린의 영향을 받았다. 존슨 독트린은 미국의 대외 정책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라틴 아메리카와 그 외 지역에서의 미국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냉전 시기 미국 정부는 공산주의 확산을 막고자 했다. 붉은 공포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인들은 공산주의의 잠재적 영향력을 두려워했다.[2] 이러한 반공주의 정서는 트루먼 독트린을 통해 명확히 드러났다.[3] 미국은 린든 B. 존슨 대통령 시기 이전에도 공산주의에 대항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려 했다. 존슨 대통령은 베트남 전쟁에 미군을 파병하는 데는 반대했지만, 동아시아 국가들이 공산주의 정권에 넘어가는 것 또한 반대했다.[4]
존슨 독트린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확장에 대한 미국 정부의 기존 독트린을 강화한 것이다. 1965년 5월 2일 연설에서 존슨 대통령은 특히 미주 국가들이 서반구에 또 다른 "공산주의 정부"의 수립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1] 그는 도미니카 공화국 혁명의 관점에서 이 선언을 설명하며, 혁명의 다양한 파벌을 언급했다.[10] 존슨은 도미니카 공화국 정부를 계속 칭찬하며 자신의 의도가 국내 방어임을 설명했다.[10]
2. 배경
미국은 존슨 독트린 이전에도 라틴 아메리카 문제에 개입한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5] 피그만 침공과 같이 은밀하게 이루어진 경우도 있었다.[13] 미국과 도미니카 공화국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밀접했는데, 1849년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은 미국에 합병을 요청하기도 했다.[6]
1901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은 루즈벨트 수정안과 플랫 수정헌법을 라틴 아메리카 문제에 대한 군사적 개입 명분으로 사용했다.[7]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은 쿠바의 독립을 보장했지만, 쿠바에 압력을 가해 플랫 수정헌법을 새 헌법에 포함시켜 미국이 쿠바 문제에 개입할 권리를 보장받았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미국이 서부 세계의 국제 경찰 권력으로 활동할 것이라고 선언하며, 카리브해, 중앙 및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유럽 열강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미국의 영향력을 증대시켰다.[7]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선린 정책으로 미국의 개입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으나, 이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미국의 지도력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는 조건이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은 라틴 아메리카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소련이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 공산주의를 확립할 가능성을 심각하게 우려한 것이다.[7] 1948년에는 미주 기구가 창설되었는데, 이는 1947년의 미주 상호 원조 조약과 함께 미국이 개입할 수는 있지만, 명확한 명분이 필요함을 의미했다.[8]
존슨 독트린을 공표하기 전, 미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에 제재를 가하고, 군사력을 위협하며, 자유 선거를 보장하는 등 여러 방식으로 관여해 왔다.[6] 1965년, 민주적으로 선출되었으나 축출된 후안 보쉬를 지지하는 좌익 단체가 봉기를 일으켰다.[8] 미국 정부는 보쉬가 처음 선출되었을 때부터 그가 도미니카 공화국을 공산주의 국가로 이끌 수 있다고 우려했다.[4] 미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의 행동을 먼로 독트린 위반으로 정당화했다.[9]
2. 1. 미국의 반공주의
미국 정부는 냉전 동안 공산주의의 확산을 반대했다. 이러한 공산주의 반대는 붉은 공포로 알려진 현상으로 이어졌으며, 미국인들은 공산주의의 잠재적인 영향력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들었다.[2] 이러한 반공주의적 정서는 미국이 권위주의의 위협을 받는 국가에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선언한 트루먼 독트린과 같은 성명서를 통해 분명히 드러났다.[3]
미국 정부는 존슨 독트린 선포 이전에 공산주의에 대항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려 했다. 비록 처음에는 미국 군대를 베트남 전쟁에 파견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린든 B. 존슨은 민주적인 동아시아 국가들이 공산주의 정권에 넘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도 반대했다.[4]
2. 2.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개입주의
존슨 독트린 시행 이후 미국은 국제 문제에 지속적으로 개입해 왔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미국은 공산주의 세력으로 인식되는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 개입했고, 1970년대 콘도르 작전, 니카라과 내 콘트라 반군 지원, 1983년 그레나다 침공 등으로 실질적인 행동을 보였다.[16]
존슨 독트린 시행 이전에도 미국은 이미 라틴 아메리카 문제에 개입한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5] 그러나 존슨 독트린 시행 이전의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보다 최근의 개입은 피그만 침공과 같이 더욱 은밀하게 이루어졌다.[13] 미국과 도미니카 공화국의 관계는 미국 역사상 상당 기간 동안 밀접하게 얽혀 있었다. 1849년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은 미국에 합병해 줄 것을 요청했고, 밀러드 필모어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미국 대통령은 미국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도미니카 공화국의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표명했다.[6]
1901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은 루즈벨트 수정안과 플랫 수정헌법을 라틴 아메리카 문제에 대한 군사적 개입의 정당성으로 사용했다.[7] 예를 들어,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미국은 스페인을 격파하고 쿠바의 독립을 보장했지만, 미국은 쿠바에 압력을 가해 새 정부가 플랫 수정헌법을 새 헌법에 포함하도록 강요하여 미국이 쿠바 문제에 개입할 권리를 보장했다. 미국이 서부 세계의 국제 경찰 권력으로 활동할 것이라는 시어도어 루즈벨트의 선언으로 특징지어진 이 기간은 카리브해, 중앙 및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유럽 열강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미국의 영향력을 증대시켰다.[7]
이러한 개입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선린 정책에 의해 일시적으로 종료되었다. 선린 정책은 미국의 개입주의를 종식시키는 역할을 했지만, 일시적인 조치였다. 그러나 선린 정책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미국의 지도력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은 라틴 아메리카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소련이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 공산주의를 확립할 가능성을 심각한 우려로 간주한 것이다.[7] 그 결과,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도미니카 공화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개입했다. 이러한 개입의 성격은 이전의 개입과는 달랐다. 1948년에는 미주 기구가 창설되었다. 이 기구는 1947년의 미주 상호 원조 조약과 함께 미국이 개입할 수는 있지만, 그렇게 할 명확한 정당성이 필요함을 의미했다.[8]
2. 3. 1965년 도미니카 공화국 개입
존슨 독트린을 공표하기 전, 미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에 제재 시행, 군사력 위협,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자유 선거 보장 등 여러 방식으로 관여해 왔다.[6] 1965년,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설 가능성이 보이자 미국은 다시 도미니카 공화국에 개입했다. 그 해, 민주적으로 선출되었으나 축출된 후안 보쉬를 지지하는 좌익 단체가 보쉬의 복권을 시도했다.[8]
도미니카 공산주의자 그룹이 봉기에 관여했고, 미국은 공산주의 정권 수립 위협을 매우 심각하게 여겼다.[8] 미국 정부는 보쉬가 처음 선출되었을 때부터 그가 민주적으로 선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도미니카 공화국을 공산주의 국가로 이끌 수 있다고 우려했다.[4] 이를 막기 위해 미국은 군사력을 파견했는데, 이는 이전 수십 년간의 선린 외교 철학에서 벗어난 것이었다.[8]
미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의 행동을 (이전 몇 년 동안 쿠바 개입을 정당화했던 것처럼) 먼로 독트린 위반으로 정당화했으며, 입법자들은 도미니카 공화국의 긴장이 고조될 경우 개입을 허용하기 위해 먼로 독트린을 특별히 확장하기로 결의했다.[9]
3. 독트린의 내용
존슨 독트린은 미국의 간섭(이 경우 사회주의)을 비난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먼로 독트린과 유사하다. 존슨의 행동은 표면적으로 다자간이었지만, 실제로는 더 일방적이었으며, 군사 작전이 시행된 후 미주 기구(OAS)를 통해 정당화되었다.[13] 그러나 일방적으로 행동하고 존슨 독트린을 통해 미국은 어떤 이유로든 다른 국가에 대한 어떤 종류의 개입도 금지하는 OAS의 금지 조항을 위반했다.[13] 이 조치는 또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선린 정책의 핵심 부분이었던 불개입 약속을 위반했다.[13]
먼로 독트린은 1823년에 제정된 라틴 아메리카 소유 영토를 보호하는 면에서 존슨 독트린과 동일한 원칙을 따르며, 이를 부활시키고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소련과의 쿠바 경제 독립, 소련 미사일의 발견 및 제거, 최근 도미니카 공화국의 쿠바 침투는 먼로 독트린의 논란과 지위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14] 피델 카스트로 수상과 소련이 모두 먼로 독트린을 무시하고 위반했으며, 이 독트린을 쿠바에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4]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 대통령의 정책에 불만을 품은 보수주의자들이 독트린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기도 했다.[14] 이 위원회의 주요 목표는 의회가 독트린을 재확인하는 공동 결의안을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었고, 1963년 하원은 쿠바 주둔 소련군이 독트린을 위반했다는 결의안을 제출했다.[14] 2년 후, 대니얼 J. 플러드 하원의원은 카리브해에서 사태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여 독트린을 "확장"해 줄 것을 하원에 요청했고, 아미스테드 I. 셀든 하원의원은 미국에 공산주의에 대항하여 라틴 아메리카에서 일방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결의안을 제안했는데, 이는 독트린의 "원칙"을 위반하는 것이었다.[14]
3. 1. 모스크바 전략 독트린과의 비교
존슨 독트린은 모스크바 전략 독트린과 비교되기도 한다. 모스크바 전략 독트린은 토마스 B. 라슨 박사와 알렉산더 J. 달린이 연구했는데, 흐루쇼프 시대 소련의 군비 통제 정책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1]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이 독트린의 주요 가정은 전략 무기 불균형이 미국에 유리하다는 것이었다.[11] 소련은 이 기간 동안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포함한 전략 무기 분야에서 균형을 회복했으며, 미국과 소련 간의 군비 제한 및 군비 통제 협정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11]
3. 2. 아이젠하워 독트린과의 유사성
존슨 독트린은 서반구에서 공산주의에 반대한다는 점에서 케네디 독트린과 아이젠하워 독트린을 기반으로 한다.[11] 아이젠하워 독트린은 존슨 독트린의 토대가 되며, 공산주의에 대처하는 고유한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1957년 중동에서 미국은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고 필요하다면 군사력을 사용하여 공산주의를 몰아낼 것이라고 선언했다.[12] 아이젠하워는 중동을 확보하기 위해 1957-1958년에 요르단 왕국에 자금을 지원하고 시리아인들이 이에 대한 군사 작전을 수행하도록 장려했으며, 레바논에 미군을 배치하여 급진적인 변화를 막았다.[12] 이 독트린은 미국이 중동의 안정을 확보하고 국제 문제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중요한 약속과 새로운 결의를 보여주었으며, 이에 따라 아이젠하워는 향후 수십 년 동안 미국이 중동에서 싸우고 책임을 질 가능성을 높였다.[12]
1965년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서반구에서 공산주의 정부의 성장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하에 2만 명 이상의 병력을 도미니카 공화국에 파견했다.[13] 라틴 아메리카에서 존슨 독트린은 아이젠하워 독트린이 공산주의에 대처했던 방식을 따랐다.
4. 존슨 독트린의 유산
존슨 독트린 시행 이후, 미국은 국제 문제에 지속적으로 개입해 왔다. 미국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공산주의 세력으로 간주되는 위협을 막기 위해 개입했고, 콘도르 작전, 니카라과 내 콘트라 반군 지원, 그레나다 침공 등으로 이어졌다.[1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은 우크라이나를 지원했고, 서구 이외의 국가들에 대한 침공, 정권 교체에도 관여했다. 또한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대외 원조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세계 각국에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다.[17][18]
4. 1. 비판
존슨 독트린 시행 이후 미국은 국제 문제에 지속적으로 개입해 왔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미국은 공산주의 세력의 위협으로 인식되는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 개입했고, 1970년대 콘도르 작전, 니카라과 내 콘트라 반군 지원, 1983년 그레나다 침공 등으로 실질적인 행동을 보였다.[1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서구 이외의 국가들에 대한 침공, 정권 교체에 관여하기도 했다. 또한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지원하기 위해 대외 원조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세계 각국에 군사적 주둔을 유지하고 있다.[17][18]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Lyndon B. Johnson: "Radio and Television Report to the American People on the Situation in the Dominican Republic.," May 2, 1965
http://www.presidenc[...]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Barbara
[2]
웹사이트
McCarthyism and the Red Scare
https://millercenter[...]
2017-12-20
[3]
웹사이트
Milestones: 1945–1952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23-03-10
[4]
서적
Lyndon B. Johnson : portrait of a president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
웹사이트
Before Venezuela, US had long involvement in Latin America
https://apnews.com/a[...]
2021-04-20
[6]
논문
The United States and the Dominican Republic to 1965: Background to Intervention
https://www.jstor.or[...]
1970
[7]
논문
The Johnson Doctrine
https://www.jstor.or[...]
2006
[8]
서적
Gunboat democracy : U.S. interventions in the Dominican Republic, Grenada, and Panama
https://www.worldcat[...]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6
[9]
논문
The Monroe Doctrine, Cold War Anachronism: Cuba and the Dominican Republic
https://www.journals[...]
1966-05
[10]
웹사이트
Dominican Republic intervention statement, 1965.
https://lib.byu.edu/[...]
2023-04-05
[11]
논문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By Matthew J. Ouimet. New Cold War History.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3. xiv, 309 pp. Notes. Index. 21.95, paper.
https://www.cambridg[...]
2004
[12]
논문
Securing the Middle East: The Eisenhower Doctrine of 1957
https://onlinelibrar[...]
2006-03
[13]
논문
The Johnson (Eisenhower?) Doctrine for Latin America
http://dx.doi.org/10[...]
1985-01
[14]
논문
The Monroe Doctrine, Cold War Anachronism: Cuba and the Dominican Republic
http://dx.doi.org/10[...]
1966-05
[15]
웹사이트
US Foreign Affairs & Aid Statistics and Data Trends: foreign aid, troop deployment, trade and more
https://usafacts.org[...]
2023-01-31
[16]
웹인용
Before Venezuela, US had long involvement in Latin America
https://apnews.com/a[...]
2021-04-20
[17]
웹인용
US Foreign Affairs & Aid Statistics and Data Trends: foreign aid, troop deployment, trade and more
https://usafacts.org[...]
2023-01-31
[18]
간행물
해외주둔미군재배치계획과 한미동맹의 미래
https://www.dbpia.co[...]
20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