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러드 필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러드 필모어는 1800년 뉴욕주에서 태어난 미국의 정치인으로, 휘그당 소속으로 연방 하원의원, 뉴욕주 감사원장, 부통령을 거쳐 미국의 제13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나, 법률 공부를 통해 변호사가 되었고, 정치 경력을 쌓았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1850년 타협을 통해 남북 간의 노예 문제에 대한 갈등을 완화하려 했으나, 도망 노예법 집행으로 북부의 지지를 잃었다. 그는 또한 일본과의 통상 조약을 체결하고, 하와이에 대한 프랑스의 영향력 확대를 막는 등 외교 정책을 펼쳤다. 퇴임 후에는 남북 전쟁에 반대하며 링컨 정부를 비판하기도 했다. 필모어는 역사가들로부터 무능하고 무력한 대통령으로 평가받으며, 대중문화에서도 잊혀진 인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러드 필모어 - 메인 루이스턴 하이 스쿨
메인 루이스턴 하이 스쿨은 메인 주 루이스턴에 위치한 고등학교로, MPA의 관할 아래 스포츠 경기에 참가하고 KVAC의 회원이며, 남자 축구팀은 주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고, LRTC를 운영하며 다양한 직업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여러 분야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재커리 테일러 행정부의 각료 - 조지 W. 크로퍼드
조지 W. 크로퍼드는 조지아주 출신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조지아 주지사와 육군 장관을 역임하며 남부 권리 옹호자로서 활동했다.
밀러드 필모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밀러드 필모어 |
원어명 | Millard Fillmore |
출생일 | 1800년 1월 7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모라비아 |
사망일 | 1874년 3월 8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버펄로 |
안장 장소 | 포레스트 론 묘지, 버펄로 |
![]() | |
직업 | 정치인 변호사 |
정치 경력 | |
제13대 미국 대통령 | 재임 시작: 1850년 7월 9일 재임 종료: 1853년 3월 4일 |
제12대 미국 부통령 | 대통령: 재커리 테일러 재임 시작: 1849년 3월 4일 재임 종료: 1850년 7월 9일 |
뉴욕주 회계감사관 | 주지사: 존 영 해밀턴 피시 재임 시작: 1848년 1월 1일 재임 종료: 1849년 2월 20일 |
미국 하원 세입위원회 위원장 | 재임 시작: 1841년 3월 4일 재임 종료: 1843년 3월 3일 |
미국 하원 의원 (뉴욕주 제32 선거구) | 재임 시작: 1837년 3월 4일 재임 종료: 1843년 3월 3일 |
미국 하원 의원 (뉴욕주 제32 선거구) | 재임 시작: 1833년 3월 4일 재임 종료: 1835년 3월 3일 |
개인 정보 | |
아버지 | 나다니엘 필모어 |
어머니 | 피비 밀러드 |
배우자 | 아비게일 파워스 (1826년 2월 5일 결혼, 1853년 3월 30일 사망) 캐롤라인 매킨토시 (1858년 2월 10일 결혼) |
자녀 | 밀러드 메리 |
소속 정당 | 반메이슨당 (1828–1832) 휘그당 (1832–1855) 노우 나씽 (1855–1856) 민주당 (1857년 이후) |
군 복무 | |
소속 | 뉴욕 민병대 뉴욕 방위군 |
복무 기간 | 1820년대~1830년대 (민병대) 1860년대~1870년대 (방위군) |
계급 | 소령 (민병대) 대위 (방위군) |
지휘 부대 | 유니온 컨티넨탈 (방위군) |
참전 전투 | 미국 남북 전쟁 |
대통령 재임 기간 주요 사건 | |
주요 사건 | 1850년 타협 도망 노예법 (1850년) 습지법 (1850년) 인디언 자금 할당법 (1851년) 캘리포니아 주 승인법 제1차 라라미 요새 조약 일리노이 센트럴 철도 페리 탐험 필모어, 유타주 밀러드 카운티, 유타주 나르시소 로페스의 쿠바 원정 |
2. 어린 시절과 교육
밀러드 필모어는 1800년 1월 7일 뉴욕주 북부 핑거 레이크스 지역 카유가 카운티 서머힐(이전 명칭은 Locke에서 분리된 Plato)의 통나무집에서 나다니엘 필모어와 피비 밀라드(Phoebe Millard)의 9남매 중 두 번째 자식이자 맏아들로 태어났다.[1] 부계 조상은 스코틀랜드계 장로교도였고 모계는 영국교회에서 분리된 국교 반대자였으나, 훗날 필모어는 유니테리언주의자가 되었다.[1]
필모어 가문은 영국계 혈통으로, 존 필모어(John Fillmore)는 식민지 시대에 매사추세츠주 이프스위치(Ipswich, Massachusetts)에 도착했다.[1][2] 내시얼 필모어는 코네티컷주 프랭클린(Franklin, Connecticut) 출신인 내시얼 필모어(Nathaniel Fillmore Sr.)의 아들이었는데, 그는 버몬트주 베닝턴(Bennington, Vermont)의 초기 정착민 중 한 명이 되었다.[3]
내시얼 필모어와 피비 밀러드는 1799년 버몬트에서 이주하여 내시얼의 돌밭 농장보다 나은 기회를 찾았지만, 카유가 군 토지의 소유권이 불완전하다는 것이 판명되어 필모어 가족은 근처 셈프로니우스로 이주하여 소작농으로서 땅을 임대했고, 내시얼은 가끔 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했다.[4] 역사가 타일러 앤바인더(Tyler Anbinder)는 필모어의 어린 시절을 "힘든 노동, 빈번한 궁핍, 그리고 거의 없는 정규 교육"으로 묘사했다.[4]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시얼은 셈프로니우스에서 더 성공했지만, 밀러드의 성장기 동안 가족은 심각한 빈곤을 겪었다.[5] 내시얼은 지역 사회에서 평판이 좋아져서 평화 판사를 포함한 지역 공직을 역임하게 되었다.[6] 그는 장남인 밀러드가 기술을 배울 수 있기를 바라며, 14세였던 밀러드가 1812년 전쟁에 참전하지 않도록 설득하고 스파르타의 직물 제조업자 벤자민 헝거포드(Benjamin Hungerford)에게 견습생으로 보냈다.[6] 필모어는 하찮은 노동에 종사했고 기술을 배우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고 헝거포드의 고용을 그만두었다.[6]
이후 필모어의 아버지는 그를 뉴 홉의 제분소에서 같은 직종에 배치했다.[6] 자기 계발을 추구하면서 밀러드는 순회 도서관에 지분을 투자하고 읽을 수 있는 모든 책을 읽었다.[6] 1819년, 제분소에서 일하는 동안 시간을 활용하여 마을의 새로운 아카데미(뉴호프 아카데미)에 등록했고, 거기서 훗날 아내가 되는 애비게일 파워스를 만났다.
1819년 후반, 내시얼은 가족을 모라비아의 작은 마을인 몽트빌로 이주했다.[6] 아들의 재능을 인정한 내시얼은 아내의 조언에 따라 필모어 가족의 집주인이자 그 지역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인 월터 우드(Walter Wood) 판사에게 밀러드가 시험 기간 동안 그의 법률 사무원이 되도록 허락해 달라고 설득했다.[6] 우드는 젊은 필모어를 고용하고 그가 법률 공부를 하도록 감독하는 데 동의했다.[6] 필모어는 석 달 동안 학교를 가르치면서 돈을 벌어 제분소 견습 기간을 끝냈다.[6] 그는 18개월 후 우드의 곁을 떠났는데, 판사가 그에게 거의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고, 필모어가 농부를 도와 소송에서 소액의 돈을 벌자 두 사람은 다퉜다.[6] 다시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것을 거부한 필모어는 사무원직을 그만두었다.[6] 내시얼은 다시 가족을 이주시켰고, 밀러드는 내시얼이 번영하는 농장을 구입한 뉴욕주 이스트 오로라(East Aurora, New York)(버팔로 근처)로 서쪽으로 함께 이동했다.[8]
1821년 필모어는 21세가 되어 성년에 도달했다.[8] 그는 이스트 오로라에서 학교를 가르쳤고, 실무자가 면허를 받은 변호사일 필요가 없는 평화 판사 법정에서 몇몇 사건을 수임했다.[8] 이듬해 버팔로로 이주하여 학교를 가르치는 동안과 아사 라이스(Asa Rice)와 조셉 클래리(Joseph Clary)의 법률 사무소에서 법률 공부를 계속했다.[8] 1823년 미국 변호사 자격 시험 합격 후, 버팔로 법률 회사의 제안을 거절하고 이스트 오로라로 돌아와 마을 유일의 거주 변호사로 사무실을 개설했다.[8]
2. 1. 애비게일 파워스와의 만남과 결혼
1819년, 밀러드 필모어는 뉴호프 아카데미에서 공부하던 중 훗날 자신의 아내가 되는 애비게일 파워스를 만났다.[4] 필모어는 제분소에서 일하면서 틈틈이 학교를 다녔는데, 그곳에서 애비게일과 사랑에 빠졌다.[4]1823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후, 필모어는 이스트 오로라에 법률 사무소를 개업했다.[4] 그는 이스트 오로라에서 애비게일과 함께 살 집을 지었고, 1826년 2월 5일에 결혼식을 올렸다.[4] 이후 1830년, 이들 부부는 버펄로로 이주했다.[4] 이들 사이에서는 밀러드 파워스 필모어와 메리 아비게일 필모어 두 자녀가 태어났다.
3. 정치 경력
1828년, 필모어는 올버니의 출판업자 서로 위드의 도움으로 반 프리메이슨당 소속 뉴욕주 하원의원에 선출되어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1829년부터 1831년까지 뉴욕주 하원의원으로 재직하며, 법정 증인에게 비종교적인 선서를 허용하고 채무자 감옥을 폐지하는 법안을 추진했다.
이후 필모어는 휘그당에 합류하여 1832년 미국 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는 1833년부터 1835년까지, 그리고 1837년부터 1843년까지 연방 하원의원으로 활동하며 헨리 클레이의 국수주의를 지지했다. 1841년부터 1843년까지 하원 세입 위원회(Ways and Means Committee) 위원장을 맡아 보호 관세를 옹호하며 1842년 관세법 초안을 작성했다. 그는 텍사스 합병에 반대했으며, 버펄로 항구 확장과 허드슨 강 항해 개선 등 인프라 건설을 지지했다.[10]
1844년 뉴욕 주지사 선거에서 낙선한 필모어는 1847년 뉴욕주 감사원장 선거에서 승리하여 1848년부터 1849년까지 재직했다. 그는 뉴욕주 감사원장으로서 뉴욕의 은행 시스템을 개혁하여 훗날 국가 은행 시스템의 모델이 되도록 하였다.[11]
3. 1. 뉴욕주 하원의원 시절 (1829-1831)
1828년, 필모어는 반 프리메이슨당 소속으로 뉴욕주 하원의원에 당선되어 1829년부터 1831년까지 재직했다. 필모어는 프리메이슨이었던 앤드루 잭슨 장군의 대통령 후보 지명에 반대하는 많은 반 프리메이슨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재선을 위해 존 퀸시 애덤스 대통령을 지지한 뉴욕 주 대표 대회의 대표였으며, 1828년 여름 두 차례의 반 프리메이슨 대회에도 참석했다.[9] 이 대회에서 필모어는 당시 신문 편집자였던 정치 보스이자 훗날 라이벌이 되는 서로 위드를 처음 만났으며, 서로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고 한다.1828년 필모어의 당선은 잭슨 민주당(곧 민주당)의 전반적인 승리와 대조적이었다. 잭슨 민주당은 잭슨을 대통령으로 선출하고 올버니에서 다수당을 차지했다. 따라서 필모어는 의회에서 소수파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법정 증인에게 비종교적인 선서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1830년에는 채무 감옥을 폐지하는 데 기여했다.
1830년, 필모어는 가족과 함께 버펄로로 이사했다. 그는 1831년 재선에 도전하지 않았다.
3. 2. 연방 하원의원 시절 (1833-1835, 1837-1843)
필모어는 1832년 휘그당 소속으로 미국 하원 의원에 당선되어 1833년부터 1835년까지 재직했다. 1836년 재선에 성공하여 1837년부터 1843년까지 의원직을 수행했다. 그는 헨리 클레이의 국수주의를 지지했으며, 하원 세입 위원회(Ways and Means Committee) 위원장(1841~1843)으로서 수입품에 대한 세금을 늘리는 보호 관세를 주창, 1842년 관세법 초안을 작성했다. 그러나 이 법안은 존 타일러 대통령에 의해 거부되었다.[9]의회에서 그는 텍사스 합병을 반대했으며, 이는 텍사스를 노예주로 인정하는 것에 대한 반대 입장이었다. 연방 관할권에 속하는 버펄로 항구 확장을 촉구했고, 뉴욕주 소유의 이리 운하 확장을 위해 로비를 벌였다.[10] 허드슨 강의 항해 개선과 포토맥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 건설에 찬성표를 던지는 등 인프라 건설을 지지했다.
1842년에는 재출마를 포기했다.
3. 3. 뉴욕주 감사원장 시절 (1848-1849)
필모어는 1844년 뉴욕 주지사 선거에서 낙선했지만, 1847년 뉴욕주 감사원장 선거에서 승리하여 1848년부터 1849년까지 재직했다. 그는 일반 투표로 선출된 최초의 뉴욕주 감사원장이었다.[11]그는 뉴욕주 감사원장으로서 뉴욕의 은행 시스템을 개혁했는데, 이는 훗날 국가 은행 시스템의 모델이 되었다.[11]
4. 부통령 시절 (1849-1850)
1848년 휘그당 전당대회에서 멕시코 전쟁 영웅 재커리 테일러 장군이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자, 헨리 클레이 지지자들과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얻은 영토의 노예제 반대자들은 분노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휘그당의 현실적인 정치인 그룹은 필모어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필모어는 노예제가 없는 주 출신이었고, 인구가 가장 많은 주인 뉴욕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11]
필모어는 뉴욕주 정치 기구의 보스인 서로우 위드와 그의 대리인이라 할 수 있는 윌리엄 H. 수어드가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는 것을 막았다. 결국 수어드는 상원의원에 당선되었다. 수어드와 필모어의 갈등은 이후 테일러 내각의 각료 회의에도 이어져 필모어에게 조언을 해주는 잠재적인 힘으로 작용했다. 이 갈등은 테일러 사후에도 계속되었다.
테일러와 필모어는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미국이 멕시코로부터 얻은 새로운 영토에서의 노예제 문제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테일러는 새로운 주들이 자유주가 되기를 원했지만, 필모어는 남부를 달래기 위해 그 주들에서의 노예제를 지지했다. 그는 "하느님은 제가 노예제를 혐오한다는 것을 아시지만, 그것은 기존의 폐해이며…우리는 그것을 감수하고 헌법에 의해 보장되는 것과 같은 보호를 그것에 제공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11]
필모어는 수개월에 걸친 1850년 타협에 관한 논의 동안 의장을 맡았다. 논의 중에 미시시피주 출신의 헨리 S. 푸트는 미주리주 출신의 토머스 H. 벤튼에게 권총을 겨누었다. 필모어는 타협의 장점에 대한 논평을 발표하지 않았다. 그러나 테일러 대통령 사망 며칠 전에 필모어는 북부를 지지하여 헨리 클레이의 제안이 통과되도록 투표할 것이라고 시사했다.[11]
5. 대통령 재임 (1850-1853)
재커리 테일러 대통령이 1850년 7월 9일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필모어는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 테일러 대통령은 1850년 타협에 반대했지만, 필모어는 찬성하는 입장이었다.[11] 대통령이 된 후, 필모어는 테일러 내각을 교체하고 1850년 타협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였다.
의회는 1850년 타협을 이루는 법안들을 통과시켰고, 필모어는 즉시 서명하였다. 이 타협으로 캘리포니아주는 자유주로, 유타와 뉴멕시코는 주민들이 노예 제도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준주가 되었다. 또한 텍사스주의 경계 분쟁을 해결하고, 컬럼비아 특별구에서 노예 무역을 폐지하는 대신 더욱 엄격한 도망노예법이 제정되었다.[11]
도망노예법은 도망친 노예를 소유주에게 돌려보내도록 강제하는 법으로, 북부에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필모어는 이 법을 옹호하며 노예제를 혐오하지만 헌법에 의해 보장되는 기존의 폐해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입장으로 인해 노예제에 반대하는 휘그당원들의 지지를 잃게 되었다.
필모어의 임기 동안 의회는 우편 요금을 5센트에서 3센트로 인하하였다. 1852년 말, 필모어는 매슈 페리 제독을 극동 지역에 파견하여 일본과의 통상 조약 체결을 추진하도록 하였다. 이는 2년 후 흑선 내항 사건으로 이어져 일본 개항의 계기가 되었다.
필모어는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으로부터 이어진 인디언 보호구역 정책을 추진하여, 광대한 인디언 영토를 미국에 할양하게 했다. 필모어는 의회에서 "가치 있는 광대한 토지가 백인의 정착과 개간을 위해 열리게 되었고, 수족과 나바호족을 비롯한 인디언과의 충돌 위험도 제거되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필모어의 퇴임 이후, 이러한 정책은 인디언에 대한 민족 말살과 인디언 전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편, 영부인 애비게일 여사는 건강이 좋지 않아 딸 메리가 많은 공무를 대신 수행했다. 애비게일 여사는 백악관에 최초로 레인지를 설치하고, 도서관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1851년 의회 도서관 화재 당시 필모어 대통령과 내각은 화재 진압을 돕기도 했다.
5. 1. 1852년 대선
1852년 대통령 선거를 위한 휘그당 후보 지명 과정에서 당은 1850년 타협에 대한 지지와 반대로 나뉘었다. 남부인들은 필모어를 지지했지만, 대부분의 북부인들은 그를 거절했고, 뉴잉글랜드 출신의 친 타협파 소수 대표단은 국무장관 대니얼 웹스터를 지지했다. 결국 노예 제도를 반대하는 윈필드 스콧이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선거에서 패배했다.6. 퇴임 이후 (1853-1874)
필모어는 백악관을 떠난 지 한 달 만에 부인 애비게일 필모어를 잃었다. 그는 버펄로로 돌아와 변호사 생활을 다시 시작했다.[1] 1858년, 필모어는 캐롤라인 카마이클 매킨토쉬와 재혼했다.[1]
남북 전쟁 동안 필모어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했다.[1] 그는 전쟁이 끝난 후 앤드루 존슨 대통령이 실시한 남부 재통합에 호의를 가졌다.[1]
1874년 3월 8일, 필모어는 버펄로에서 7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포리스트 론 공동 묘지에 안장되었다.[1]
6. 1.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
밀러드 필모어는 남북 전쟁 발발 당시 은퇴한 정치인이었지만, 여전히 사회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는데, 이는 그가 노예제 문제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필모어는 노예제를 악으로 규정하면서도 연방 정부가 노예제에 대해 권한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11]전쟁 초기, 필모어는 북부의 승리를 지지하며 전쟁 지원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링컨의 노예 해방 선언과 흑인 병사 모집에 대해서는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당시 민주당 내 강경파의 입장과 유사했다.
남북 전쟁 이후 재건 시대에 필모어는 앤드루 존슨 대통령의 온건한 재건 정책을 지지했다. 그는 남부에 대한 강경한 정책보다는 화합과 통합을 강조했다. 하지만 그의 이러한 입장은 노예제 문제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와 더불어, 흑인의 권리 신장에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7. 사망
1874년 2월, 필모어는 뇌졸중을 앓았다. 그 후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1874년 3월 8일 23시에 두 번째 뇌졸중으로 7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1] 그의 마지막 말은 삶은 콩 수프를 먹인 후 "음식이 맛있다"였다고 한다.[1]
3월 11일, 필모어의 장례식은 버펄로의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 거행되었으며, 미국 전역에서 온 수백 명의 저명인사들이 참석했다. 이 중에는 전 대통령 율리시스 S. 그랜트도 있었다.[1] 미국 상원은 필모어를 기리기 위해 3개월 동안 애도 기간을 가졌고, 그를 추모하기 위해 관례적인 애도 결의안을 통과시켰다.[1] 필모어는 버펄로의 포리스트 론 공동 묘지에 안장되었다.[1]
8. 유산과 평가
필모어 대통령은 온화하고 신사적인 인물이었지만, 재임 기간 동안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 당시 미국 의회는 민주당이 다수였고, 필모어가 속한 휘그당은 노예 해방 문제 등으로 분열되어 있어 중요한 법안이 거의 통과되지 못했다.[15] 필모어는 남북 분열을 막기 위해 "1850년 타협"을 추진했지만, 노예에게 불리한 "도망노예법" 등으로 인해 휘그당의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결과적으로 필모어는 현재 미국의 양대 정당(민주당, 공화당)이 아닌 정당 출신으로 대통령이 된 마지막 인물이 되었다.
필모어는 대륙 횡단 철도 건설을 추진하고, 매슈 페리 제독을 일본에 파견하여 쇄국 정책을 펼치던 일본을 개방하는 데 성공했으며, 프랑스의 간섭이 있었던 하와이 왕국을 미국의 영향권 아래 두는 데에도 성공했다.[16]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 이후 인디언 보호구역 정책을 추진하여, "제1차 라라미 요새 조약"을 통해 서부 대평원에서 남서부에 이르는 광대한 인디언 영토를 미국에 할양하게 했다. 필모어는 의회에서 "가치 있는 광대한 토지가 (백인의) 정착과 개간을 위해 열리게 되었고, 강력하고 호전적인 집단(수족과 나바호족을 비롯한 인디언)과 충돌할 위험도 제거되었다"고 자신 있게 보고했지만, 그의 퇴임 후 이는 인디언에 대한 민족 말살과 "인디언 전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의 아내 애비게일의 공적도 있지만, 백악관에 최초로 도서관, 수도 시설, 취사용 스토브를 도입한 것도 필모어 시대의 업적이다. 백악관에 최초로 욕조를 설치한 것도 필모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잊혀진 기념일).
8. 1. 대중문화
밀러드 필모어는 대중문화에서 거의 잊힌 인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그의 이름은 평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대통령을 지칭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참조
[1]
서적
Millard Fillmore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2010-02-09
[2]
서적
Millard Fillmore Papers
https://books.google[...]
Buffalo Historical Society
1907-01-01
[3]
서적
Lineage Book, National Society of th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Telegraph Printing Company
2017-02-18
[4]
서적
History of Cayuga County, New York
https://archive.org/[...]
D. Mason & Co.
2022-04-11
[5]
서적
Millard Fillmore Papers
https://books.google[...]
Buffalo Historical Society
2016-10-04
[6]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Buffalo and Erie County
https://books.google[...]
D. Mason & Co.
1884-01-01
[7]
서적
A History of Livingston County, New York
https://archive.org/[...]
Edward L. Doty
2019-11-16
[8]
서적
Town of Aurora: 1818–1930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00-01-01
[9]
서적
Centennial History of Erie County, New York
https://books.google[...]
Matthews & Warren
2017-02-18
[10]
서적
The New-York State Register for 1830
https://books.google[...]
Clayton & Van Norden
2015-06-27
[11]
웹사이트
Millard Fillmore: Life Before the Presidency
http://millercenter.[...]
American President: Miller Center of Public Affairs
2010-01-01
[12]
웹사이트
The American Franchise
http://millercenter.[...]
Miller Center of Public Affairs, University of Virginia
2008-03-13
[13]
서적
Presidents and Prophets: The Story of America's Presidents and the LDS Church
Covenant Communications
2007-01-01
[14]
웹사이트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Federal Judiciary
http://www.fjc.gov/p[...]
Federal Judicial Center
2012-03-04
[15]
웹사이트
Supreme Court Nominations, 1789–Present
https://www.senate.g[...]
U.S. Senate
2014-09-08
[16]
웹사이트
Millard Fillmore: Foreign Affairs
https://millercenter[...]
American President: Miller Center of Public Affairs
2020-10-06
[17]
서적
Millard Fillmore Papers
https://books.google[...]
1907-01-01
[18]
웹사이트
Presidential Elections, 1789–2016
http://www.infopleas[...]
infoplease.com
2017-01-11
[19]
서적
Ordeal of the Union: A House Dividing 1852–1857
Charles Scribner's Sons
1947-01-01
[20]
서적
The Origins of the Republican Party, 1852–1856
1987-01-01
[21]
웹사이트
Hospital History
https://www.kaleidah[...]
Kaleida Health
2016-12-31
[22]
서적
Proceedings, Volumes 23–37
https://books.google[...]
Buffalo Historical Society
2015-06-27
[23]
서적
Presidents: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2010-01-01
[24]
서적
Presidents and Presidencies in American History: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Encyclopedia and Document Collection
ABC-CLIO
2019-01-01
[25]
뉴스
Millard Fillmore was deservedly forgotten, but his politics sound familiar
https://www.bostongl[...]
2021-03-03
[26]
뉴스
Millard Fillmore's achievements should be celebrated, not vilified
https://buffalonews.[...]
2022-08-18
[27]
웹사이트
First Lady Biography: Abigail Fillmore
http://www.firstladi[...]
The National First Ladies' Library
2013-12-19
[28]
뉴스
No Joke: Buffalo and Moravia Duke It Out Over Millard Fillmore
https://online.wsj.c[...]
2016-12-01
[29]
웹사이트
Millard Fillmore Presidential $1 Coin – 13th President, 1850–1853
https://www.usmint.g[...]
United States Mint
2016-12-01
[30]
웹사이트
Millard Fillmore: Impact and Legacy
http://millercenter.[...]
2016-10-04
[31]
웹사이트
合衆国書翰和解(標準画像 2-37) {{!}} 史料にみる日本の近代
https://www.ndl.go.j[...]
2022-11-09
[32]
웹사이트
Millard Fillmore Log Cabin
http://www.americanp[...]
[33]
백과사전
Millard Fillmore
http://encarta.msn.c[...]
[34]
서적
Western New York: From Niagara Falls and Southern Ontario to the Western Edge of the Finger Lakes
The Countryman Press
2005-01-01
[35]
학회발표
Transcendentalists, Abolitionism, and the Unitarian Association
http://www.uua.org/g[...]
2006-12-28
[36]
웹사이트
Facts on Millard Fillmore
http://www.hwwilson.[...]
[37]
서적
Millard Fillmore Papers
Buffalo Historical Society
[38]
서적
The World Almanac of Presidential Facts
World Almanac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