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용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용록》은 조동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공안집으로, 굉지정각의 '송고 백칙' 100개의 공안에 만송행수가 평석을 더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만송행수는 각 공안에 대해 서론적 비평, 부분적인 단평, 전체적인 평석을 추가했다. 수록된 100개의 공안은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수행자들이 깨달음에 이르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어록 -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저술하고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불교 서적으로,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선어록 - 무문관
무문 혜개 선사가 48개의 공안을 모아 해설과 게송을 붙여 엮은 《무문관》은 선 수행 지침서로, 간화선 수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활용된다. - 불교 논서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교 논서 -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저술하고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불교 서적으로,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종용록 | |
---|---|
개요 | |
제목 | 종용록 |
원제 | 만송노평창천동각화상송고종용암록 (萬松老評唱天童覺和尚頌古從容庵錄) |
저자 | 만송 행수 (萬松行秀) |
시대 | 금나라 (金) |
유형 | 어록 (공안) |
언어 | 한문 |
내용 | |
설명 | 100개의 공안 (화두) 모음집 |
주석가 | 만송 행수 (萬松行秀) |
관련 인물 | 천동 각 (天童覺) |
중요성 | |
영향 | 조동종 연구에 중요 |
다른 제목 | 서정록 (書定錄) |
영어 제목 | |
영어 제목 | Book of Equanimity |
2. 구성
《종용록》은 만송 노인 평창 천동 각 화상 송고 종용암록(萬松老人評唱天童覺和尙頌古從容庵錄)이라고도 하며, 조동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공안집이다. 굉지정각의 '송고 백칙' 100개의 공안에 만송행수가 수시(서론적 비평), 저어(부분적인 단평), 평창(전체적인 평석)을 더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1]
2. 1. 송고 백칙 (頌古百則)
'''송고백칙'''(頌古百則)은 굉지정각 선사가 선종의 핵심 가르침을 담은 100개의 공안을 모아 엮은 것이다. 각 공안은 간결하면서도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어, 수행자들이 깨달음에 이르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1]번호 | 제목 | 번호 | 제목 | 번호 | 제목 | 번호 | 제목 |
---|---|---|---|---|---|---|---|
1 | 세존이 법좌에 오르다 | 26 | 향엄이 눈을 가리키다 | 51 | 법안의 "배인가 육지인가" | 76 | 수산의 세 구절 |
2 | 달마의 "광대무변" | 27 | 법안이 대나무 발을 가리키다 | 52 | 소산(疎山)의 "법신(法身)" | 77 | 향엄: 그의 직업이 요구하는 대로 |
3 | 인도 왕이 조사(祖師)를 청하다 | 28 | 고국(古國)의 "세 가지 치욕" | 53 | 황벽(黃檗)의 "술꾼" | 78 | 운문의 "떡" |
4 | 세존이 땅을 가리키다 | 29 | 불철(佛轍)의 "쇠소" | 54 | 앙산의 "대자비" | 79 | 초사(招沙)가 한 걸음을 내딛다 |
5 | 서암(西巖)의 "쌀값" | 30 | 대수(大隨)의 "겁화(劫火)" | 55 | 설봉이 요리를 담당하다 | 80 | 수비(隨臂)와 턱 받침 |
6 | 마조(馬祖)의 "흑백" | 31 | 운문의 "기둥" | 56 | 미시(米之)와 흰 토끼 | 81 | 현사(玄沙)가 현(縣)에 이르다 |
7 | 약산이 법좌에 오르다 | 32 | 향엄의 마음과 객관 세계 | 57 | 건용(乾用)의 하나의 "것" | 82 | 운문의 "소리"와 "색" |
8 | 백장(百丈)과 여우 | 33 | 삼소(三召)의 "황금 비늘" | 58 | 《금강경(金剛經)》의 "경멸을 받음" | 83 | 도고(道吾)가 병든 자를 간호하다 |
9 | 남전(南泉)이 고양이를 죽이다 | 34 | 불철의 "티끌" | 59 | 서린(西林)의 "치명적인 뱀" | 84 | 구제(俱胝)의 한 손가락 |
10 | 태산(泰山) 근처의 노파 | 35 | 낙포(落浦)의 경배 | 60 | 철마(鐵磨), 소 | 85 | 국사(國師)의 묘비 |
11 | 운문(雲門)의 "두 가지 병" | 36 | 마조(馬祖)가 병들다 | 61 | 검포(劍浦)의 "한 줄" | 86 | 임제의 대오(大悟) |
12 | 지장(地藏)이 논에 벼를 심다 | 37 | 이산(異山)의 "업식(業識)" | 62 | 배고(貝鼓)의 "깨달음" | 87 | 소산: 있거나 없거나 |
13 | 임제(臨濟)의 "눈 먼 당나귀" | 38 | 임제의 "참된 사람" | 63 | 조주가 "죽음"에 대해 질문하다 | 88 | 《능엄경(楞嚴經)》의 "보지 않음" |
14 | 시자(侍者) 각(覺)이 차를 올리다 | 39 | 조주의 "발을 씻어라" | 64 | 지사(智師)의 "계승" | 89 | 동산의 "풀이 없는 곳" |
15 | 향엄(香嚴)이 가래를 땅에 꽂다 | 40 | 운문의 "흑백" | 65 | 수산(首山)의 "신부" | 90 | 향엄이 말하다 |
16 | 마곡(麻谷)이 요령을 흔들다 | 41 | 낙포의 임종 | 66 | 규보(圭坡)의 "머리와 꼬리" | 91 | 남전과 모란 |
17 | 법안(法眼)의 "털끝" | 42 | 남악(南嶽)과 물병 | 67 | 《화엄경(華嚴經)》의 지혜 | 92 | 운문의 "하나의 보물" |
18 | 조주(趙州)의 개 | 43 | 라산(羅山)의 "나타남과 사라짐" | 68 | 가산(迦山)이 칼을 휘두르다 | 93 | 노소가 이해하지 못하다 |
19 | 운문의 "수미산" | 44 | 고령(高靈)의 "가루다(Suparnin)" | 69 | 남전의 "고양이와 여우" | 94 | 동산이 아프다 |
20 | 지장의 "가장 친밀한 것" | 45 | 《원각경(圓覺經)》의 네 구절 | 70 | 신산(神山)이 본성에 대해 질문하다 | 95 | 임제가 선을 긋다 |
21 | 앙산(仰山)이 땅을 쓸다 | 46 | 덕산(德山)의 "공부 성취" | 71 | 수암(水庵)의 "눈썹" | 96 | 규보가 인정하지 않다 |
22 | 간두(竿頭)가 가츠에게 절하다 | 47 | 조주의 "뜰 앞의 떡갈나무" | 72 | 중유(重遊)의 "원숭이" | 97 | 도고(道高) 천황의 헬멧 후드 |
23 | 노소(魯祖)가 벽을 향하다 | 48 | 유마힐의 "불이(不二)" | 73 | 소산의 효도 | 98 | 동산의 "그것과 친밀함" |
24 | 설봉(雪峰)의 "뱀을 보라" | 49 | 동산(洞山)과 제사 | 74 | 법안의 "모습과 이름" | 99 | 운문의 "바루와 함지" |
25 | 연안(延安)의 "코뿔소 부채" | 50 | 설봉의 "이게 무엇인가?" | 75 | 취암(翠巖)의 "영원한 원리" | 100 | 노야(老爺)의 "산과 강" |
2. 2. 만송행수의 평석 (評唱)
만송행수는 굉지정각의 송고 백칙에 대해 수시(서론적 비평), 저어(부분적인 단평), 평창(전체적인 평석)을 더했다.[1]3. 주요 내용 (공안 목록)
《종용록》에 수록된 100개의 공안은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담고 있다.
(1-100번까지의 공안 목록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 있으므로 생략)
3. 1. 1-25
번호 | 제목 |
---|---|
1 | 세존이 법좌에 오르다 |
2 | 달마의 "광대무변" |
3 | 인도 왕이 조사(祖師)를 청하다 |
4 | 세존이 땅을 가리키다 |
5 | 서암(西巖)의 "쌀값" |
6 | 마조의 "흑백" |
7 | 약산이 법좌에 오르다 |
8 | 백장과 여우 |
9 | 남전이 고양이를 죽이다 |
10 | 태산(泰山) 근처의 노파 |
11 | 운문의 "두 가지 병" |
12 | 지장(地藏)이 논에 벼를 심다 |
13 | 임제의 "눈 먼 당나귀" |
14 | 시자(侍者) 각(覺)이 차를 올리다 |
15 | 향엄이 가래를 땅에 꽂다 |
16 | 마곡(麻谷)이 요령을 흔들다 |
17 | 법안의 "털끝" |
18 | 조주의 개 |
19 | 운문의 "수미산" |
20 | 지장의 "가장 친밀한 것" |
21 | 앙산이 땅을 쓸다 |
22 | 간두(竿頭)가 가츠에게 절하다 |
23 | 노소(魯祖)가 벽을 향하다 |
24 | 설봉의 "뱀을 보라" |
25 | 연안(延安)의 "코뿔소 부채" |
3. 2. 26-50
- 26 향엄이 눈을 가리키다
- 27 법안이 대나무 발을 가리키다
- 28 고국(古國)의 "세 가지 치욕"
- 29 불철의 "쇠소"
- 30 대수의 "겁화(劫火)"
- 31 운문의 "기둥"
- 32 향엄의 마음과 객관 세계
- 33 삼소의 "황금 비늘"
- 34 불철의 "티끌"
- 35 낙포의 경배
- 36 마조가 병들다
- 37 이산의 "업식(業識)"
- 38 임제의 "참된 사람"
- 39 조주의 "발을 씻어라"
- 40 운문의 "흑백"
- 41 낙포의 임종
- 42 남악과 물병
- 43 라산의 "나타남과 사라짐"
- 44 고령의 "가루다(Suparnin)"
- 45 《원각경》의 네 구절
- 46 덕산의 "공부 성취"
- 47 조주의 "뜰 앞의 떡갈나무"
- 48 유마힐의 "불이(不二)"
- 49 동산과 제사
- 50 설봉의 "이게 무엇인가?"
3. 3. 51-75
- 51. 법안의 "배인가 육지인가"
- 52. 소산(疎山)의 "법신(法身)"
- 53. 황벽(黃檗)의 "술꾼"
- 54. 앙산의 "대자비"
- 55. 설봉의 요리
- 56. 미시(米之)와 흰 토끼
- 57. 건용(乾用)의 "것"
- 58. 《금강경》의 "경멸"
- 59. 서린(西林)의 "치명적인 뱀"
- 60. 철마(鐵磨)와 소
- 61. 검포(劍浦)의 "한 줄"
- 62. 배고(貝鼓)의 "깨달음"
- 63. 조주의 "죽음" 질문
- 64. 지사(智師)의 "계승"
- 65. 수산(首山)의 "신부"
- 66. 규보(圭坡)의 "머리와 꼬리"
- 67. 《화엄경》의 지혜
- 68. 가산(迦山)의 칼
- 69. 남전의 "고양이와 여우"
- 70. 신산(神山)의 본성 질문
- 71. 수암(水庵)의 "눈썹"
- 72. 중유(重遊)의 "원숭이"
- 73. 소산의 효도
- 74. 법안의 "모습과 이름"
- 75. 취암(翠巖)의 "영원한 원리"
3. 4. 76-100
번호 | 내용 |
---|---|
76 | 수산의 세 구절 |
77 | 향엄 : 그의 직업이 요구하는 대로 |
78 | 운문의 "떡" |
79 | 초사(招沙)가 한 걸음을 내딛다 |
80 | 수비(隨臂)와 턱 받침 |
81 | 현사가 현(縣)에 이르다 |
82 | 운문의 "소리"와 "색" |
83 | 도고가 병든 자를 간호하다 |
84 | 구제의 한 손가락 |
85 | 국사의 묘비 |
86 | 임제의 대오(大悟) |
87 | 소산 : 있거나 없거나 |
88 | 《능엄경》의 "보지 않음" |
89 | 동산의 "풀이 없는 곳" |
90 | 향엄이 말하다 |
91 | 남전과 모란 |
92 | 운문의 "하나의 보물" |
93 | 노소가 이해하지 못하다 |
94 | 동산이 아프다 |
95 | 임제가 선을 긋다 |
96 | 규보가 인정하지 않다 |
97 | 도고(道高) 천황의 헬멧 후드 |
98 | 동산의 "그것과 친밀함" |
99 | 운문의 "바루와 함지" |
100 | 노야(老爺)의 "산과 강" |
4. 한국 불교와의 관계
《종용록》은 조동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공안집으로, 굉지정각의 송고 백칙에 서론적 비평(수시), 부분적인 단평(저어), 전체적인 평석(평창)을 더한 것이다. 간화선 수행의 핵심 자료로 활용된다.[1]
4. 1. 조계종의 수행
조계종에서는 간화선 수행을 중요시하며, 《종용록》의 공안들은 간화선 수행의 핵심 자료로 활용된다.[1] 조계종 승려들은 《종용록》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자 정진하며, 선(禪)의 가르침을 실천하고자 노력한다.[1]5. 번역본
토마스 클리어리가 번역한 《고요의 책: 백 가지 선(禪) 대화》(The Book of Serenity: One Hundred Zen Dialogues)는 샴발라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ISBN은 9781590302491이다.[1] 게리 시신 윅이 번역한 《평정의 책: 고전 선(禪) 공안 조명》(The Book of Equanimity: Illuminating Classic Zen Koans)은 지혜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ISBN은 9780861713875이다.[2]
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Koans
http://buddhism.abou[...]
About.com
2013-04-16
[3]
서적
The Book Of Equanimity: Illuminating Classic Zen Koans
https://archive.org/[...]
Wisdom Publications
[4]
서적
Cultivating the Empty Field: The Silent Illumination of Zen Master Hongzhi
https://archive.org/[...]
Tuttle Publishing
[5]
웹사이트
Reviews: Book of Serenity / The Gateless Barrier
http://www.tricycle.[...]
Tricycle: The Buddhist Review
[6]
서적
Realizing Genjokoan
Wisdom Publications
[7]
웹사이트
Book of Serenity: One Hundred Zen Dialogues
http://www.shambhala[...]
Shambhala Publications
2013-04-16
[8]
웹사이트
BG 109: Koan Training and the Different Styles of Zen
http://www.buddhistg[...]
Buddhist Geeks
2013-04-16
[9]
문서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종용록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