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좌익급진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익급진당(PRG)은 1972년 장자크 세르방슈라이베르의 중도화 전략에 반발한 급진당 내 좌파 의원들이 창당한 프랑스의 정당이다. 사회당, 공산당과 함께 좌파 연합을 형성했으며, 1970년대 로베르 파브르 대표 시기 좌파 세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981년 미셸 크레푸를 대선 후보로 내세웠으며, 1990년대 베르나르 타피 대표 시기에는 당세를 확장했으나, 타피의 법적 문제로 쇠퇴했다.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리오넬 조스팽 정부에 참여했고, 2002년 대선에 크리스티앙 토비라를 후보로 지명했으나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후 사회당, 앙상블 연합 등과 연대하며 활동을 이어갔으며, 2022년 총선 이후 올리비에 팔로르니가 유일한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념적으로는 사회자유주의, 세속주의, 개인의 자유를 지향하며, 선거에서 중산층 유권자 및 남서부 지역의 지지를 기반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설립된 정당 - 전인도 안나 드라비다 진보당
    전인도 안나 드라비다 진보당은 1972년 M.G. 라마찬드란에 의해 창당되어 드라비다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사회 정의 실현과 타밀어 교육을 지지하는 인도의 타밀나두 주 기반 정당이다.
  • 1972년 설립된 정당 - 미국 사회민주주의자들
    미국 사회민주주의자들은 1972년 사회민주당-사회노동연맹에서 이름을 바꿔 결성되어 미국 내 사회민주주의 운동을 전개했으나, 활동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며 내부 갈등과 정부 참여 논란을 겪은 단체이다.
  • 급진주의 정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은 1920년대 외몽골 독립운동에서 시작되어 몽골 인민혁명을 주도, 몽골 인민공화국 건설에 기여했으며, 1990년 민주화 이후 다당제 체제에서 활동하며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채택, 몽골 정치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대통령 선거와 총선에서 여러 차례 승리했으나, 급격한 좌경화와 부정선거 논란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 급진주의 정당 - 스위스 자유민주당
    스위스 자유민주당은 자유민주당과 자유당의 합병으로 탄생한 정당으로, 고전적 자유주의에 기반하여 자유 시장 경제, 개인의 자유와 책임, 작은 정부를 옹호하며, EU 가입에는 반대하지만 양자 협정은 지지하고 스위스의 중립성, 연방제, 직접 민주주의를 수호한다.
  • 프랑스의 자유주의 정당 - 프랑스 민주연합
    프랑스 민주연합은 1978년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 시절 결성된 중도우파 정당 연합으로, 자유주의적 보수부터 사회자유주의적 중도까지 포괄하며 분열과 재편을 거듭하다 2007년 민주운동 창당으로 사실상 해체되었다.
  • 프랑스의 자유주의 정당 - 민주당-무소속 연합
    민주당-무소속 연합은 프랑스의 중도우파 정당 연합으로, 유럽 자유민주 동맹에 가입하여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분열된 모습을 보였으며, 유럽 의회 선거에서 민주운동과 연합하거나 앙상블 연합의 일환으로 의석을 확보하기도 했다.
좌익급진당 - [정당]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당 이름좌익급진당
원어 이름Parti radical de gauche
로고[[파일:Logo - PRG, le centre gauche.svg|좌익급진당 로고]]
약칭PRG
창립자모리스 포레
창립일1971년 (GEARS)
1972년 (MGRS)
1973년 (MRG)
1994년 (급진당)
1996년 (PRS)
1998년 (PRG)
2019년 (PRG, 재창당)
해산일2017년 12월 9일 (1998년 PRG)
합병급진 운동 (대부분)
분리급진당
급진 운동 (2019년 PRG)
본부프랑스 파리, 콩스탕 코클랭 가 3
청년 조직좌익급진청년
당원 수3,500명
당원 수 기준 년도2022년
색상노랑
파랑
정치 성향 및 이념
이념사회자유주의
급진주의
정치적 위치중도좌파
의회 의석
하원 의석0/577
상원 의석4/348
유럽 의회 의석0/79
레지옹 의회 의장0/17
데파르트망 의회 의장2/95
국제 및 유럽 관계
유럽 의회ERA (1994–1999)
S&D (2014–2017)
기타
공식 웹사이트좌익급진당 공식 웹사이트
리더십
대표기욤 라크루아
창립자모리스 포레

2. 역사

좌익급진당은 1972년 공화·급진·급진사회주의당에서 분리되어 창당된 프랑스의 중도좌파 정당이다. 창당 초기에는 사회당, 공산당과 함께 좌파연합에 참여하며 공동 정책을 추진했다. 1970년대 로베르 파브르 대표 시기에는 좌파 내에서 입지를 다지려 했으나, 사회당과의 관계를 둘러싼 내부 갈등을 겪기도 했다.

1981년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당선 이후 사회당 정부에 참여하여 1981년-1986년, 1988년-1993년 기간 동안 연립 여당으로 활동했다. 1990년대에는 사업가 베르나르 타피를 영입하여 199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12%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주목받기도 했으나, 타피의 스캔들 이후 다시 약화되었다.[12] 이 과정에서 여러 차례 당명을 변경했으며, 1998년부터 현재의 '좌익급진당'(Parti radical de gauche|PRG프랑스어)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로는 사회당과의 연대를 지속하면서도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 위해 노력했다. 2002년에는 크리스티앙 토비라를 독자 후보로 내세웠고[13], 이후 사회당 정부에서 각료를 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선거에서는 사회당의 지원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7년에는 급진당과 합당하여 급진운동을 창당했으나[22][23], 2019년 다시 분리되어 재창당되었다.[24] 2024년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앙상블 시투아얭 연합에 참여했다.

2. 1. 창당 배경 (1972년)

좌익급진당은 1972년 공화·급진·급진사회주의당에서 분당하여 창당되었다. 당시 당 대표였던 장자크 세르방슈라이베르의 중도 노선에 반대한 급진주의자들이 주축이 되었다. 이들은 창당 직후 사회당(PS), 프랑스 공산당(PCF)과 함께 좌파연합에 참여하였고, 이들이 서명한 공동강령에 동의하며 공동 정책 노선을 걸었다. 창당 당시 당명은 '''급진사회주의좌파 운동'''(Mouvement de la Gauche Radicale-Socialiste|MGRS프랑스어)이었으나, 1973년 이후 '''좌파 급진주의자 운동'''(Mouvement des Radicaux de Gauche|MRG프랑스어)으로 변경하였다.

2. 2. 로베르 파브르 대표 시기 (1970년대)

1970년대에 로베르 파브르가 대표로 재직하는 동안, 좌익급진당은 사회당, 공산당에 이어 좌파 세력 내에서 세 번째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그러나 선거에서의 득표수나 의석수 면에서는 사회당과 공산당에 비해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파브르 대표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과의 공조를 시도했다. 하지만 이 결정은 당 내부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파브르는 대표직에서 축출되는 결과를 맞았다.

2. 3. 미셸 크레푸의 대통령 선거 출마와 사회당과의 연정 (1980년대)

1981년 선거에서 좌익급진당은 미셸 크레푸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 그러나 크레푸는 1차 투표에서 2.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낙선했다. 크레푸는 2차 투표에서 사회당프랑수아 미테랑 후보를 지지했다. 미테랑이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좌익급진당은 사회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게 되었다. 이 연정을 통해 좌익급진당은 1981년부터 1986년까지, 그리고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여당의 지위를 가졌다. 연정 기간 중 치러진 198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다른 정당과 연합하여 참여했으나, 3.3%의 득표율에 그쳐 의석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2. 4. 베르나르 타피 대표 시기와 당명 변경 (1990년대)

1990년대에 사업가 출신인 베르나르 타피가 대표로 취임하였다. 당시 사회당의 지지율이 낮아지자, 좌익급진당은 사회당의 낮은 지지율 속에서 반사이익을 얻으려 했다. 199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타피는 "급진적인 에너지"를 결성하여 선거를 이끌었고, 4위인 234만 4457표(12.03%)를 얻어 13석을 확보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33]

그러나 타피가 이후 스캔들로 인해 대표직에서 사퇴하면서 당은 어려움을 겪었다. 당은 이름을 ''사회주의급진당''(Parti Radical-Socialiste, PRS프랑스어)으로 변경했지만, 지지율은 다시 하락했다. 한편, 프랑스 민주 연합에 소속된 급진당(이 당의 공식 명칭 역시 '급진사회당'이었음)이 PRS라는 명칭 사용에 대해 법적 절차를 개시하자, 1997년 당명을 다시 ''좌익급진당''으로 변경했다.

2. 5. 리오넬 조스팽 정부 참여와 크리스티안 토비라의 대선 출마 (2000년대)

1997년 총선에서 12석을 확보한 좌익급진당(PRG)은 리오넬 조스팽이 이끄는 다원좌파 연립 정부에 소수 파트너로 참여하여 2002년까지 함께했다. 1998년에는 기존의 '좌익 급진 운동'에서 현재의 당명인 '좌익급진당'으로 변경하였다.

2000년대 초반, 좌익급진당은 독자적인 선거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평균 득표율이 약 2%대에 머물러, 의석 확보를 위해 거대 정당인 사회당(PS)과의 연대에 크게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당시 좌익급진당 소속 국회의원 대부분은 사회당의 지원을 받아 선출되었다.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프랑스령 기아나(Guyane) 출신의 여성 정치인 크리스티앙 토비라(Christiane Taubira)를 후보로 내세웠다. 토비라는 대서양 노예 무역을 반인도적 범죄로 규정한 2001년 법안(일명 '토비라 법') 통과에 기여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1993년부터 프랑스 국민의회 의원을 지낸 토비라는 당시 프랑스에서 거의 유일한 흑인 여성 국회의원으로 주목받았으나, 선거 결과 66만 447표(2.32%)를 획득하는 데 그쳤다. 이는 좌익급진당이 여전히 사회당의 지원 없이는 전국 단위 선거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2. 6. 니콜라 사르코지 정부 시기와 당내 분열 (2000년대 후반)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 좌익급진당은 사회당 후보 세골렌 루아얄을 공식적으로 지지했지만, 당내 일부 인사는 다른 선택을 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베르나르 타피는 우파 후보였던 니콜라 사르코지 지지를 선언하며 당내 노선 차이를 드러냈다.

같은 해 치러진 2007년 총선에서 좌익급진당은 1차 투표에서 343,565표(1.32%)를 얻어 프랑스 국민의회에서 7석을 확보했다. 이는 2002년 총선과 동일한 의석수로, 여전히 사회당과의 선거 연대에 크게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당시 당의 국회의원 대부분은 사회당과의 지역구 조정을 통해 당선될 수 있었다.

니콜라 사르코지 정부 출범 이후, 2008년 사르코지가 추진한 헌법 개정안을 두고 당내 의견이 갈리며 분열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내부 이견은 이전 2005년 프랑스 유럽 헌법 국민투표 당시 에밀 즈카렐리나 크리스티앙 토비라 등이 당론과 달리 반대표를 던진 사례처럼, 당의 공식적인 중도좌파, 친유럽 노선과 다른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이 시기에도 좌익급진당은 코르시카나 프랑스 남서부 등 전통적인 지지 기반을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전국적인 선거에서는 약세를 면치 못하며 사회당과의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이었다.

2. 7. 프랑수아 올랑드 정부 시기와 이후 (2010년대~)

장미셸 바예 대표 시절 당은 중도좌파, 사회자유주의, 친유럽 노선을 표방했으나, 크리스티앙 토비라와 같이 2005년 유럽 헌법에 반대하거나 2011년 사회당 예비선거에서 바예 대신 아르노 몽부르를 지지하는 등 내부적인 이견도 존재했다.

바예 대표는 2011년 사회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0.64%의 득표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좌익급진당은 2012년 대선에서 사회당의 프랑수아 올랑드 후보를 지지했으며, 이어진 2012년 총선에서는 1차 투표에서 429,059표 (1.65%)를 얻어 12석을 확보했다. 이는 이전 선거보다 5석 증가한 결과이다.

201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사회당과의 공동 명부로 참여하여 2,650,357표 (13.98%)를 득표했고, 이 중 좌익급진당 소속으로 버지니 로지에르 1명이 유럽 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6년, 장미셸 바예가 대표직에서 물러나고 실비아 피넬이 새로운 대표로 선출되었다. 피넬 대표는 2017년 사회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참여했으나 2% 득표에 머물렀다. 2017년 총선에서는 106,311표 (0.47%)를 얻어 3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이는 이전 선거 대비 9석 감소한 수치이다.

2017년 대선과 총선 이후, 급진당과의 합병 논의가 진행되어 12월 급진운동으로 통합되었다.[22][23] 그러나 2019년 2월, 실비아 피넬 전 대표를 포함한 일부 당원들이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에마뉘엘 마크롱르네상스와의 연대에 반발하며 탈당하여 좌익급진당을 재창당했다.[24] 기욤 라크루아가 새로운 대표로 선출되었다.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사회당, 공공장소, 뉴딜 등과 연합 명부를 구성했으나 (전체 1,403,170표, 6.19% 득표), 좌익급진당 소속 당선자는 없었다.

2022년 대선에서는 크리스티앙 토비라 전 법무장관을 지지했다. 2022년 총선에서는 126,689표 (0.56%)를 득표하여 올리비에 팔로르니 의원 1명만이 당선되었다. 이는 이전 선거보다 2석 감소한 결과이다.

2024년, 당은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앙상블 시투아얭 연합에 합류했다. 202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다른 군소 정당들과 연합 명부를 구성했으나 63,006표 (0.26%) 득표에 그쳐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이 시기 주요 인물로는 당 대표를 지낸 장미셸 바예, 실비아 피넬, 기욤 라크루아와 현직 국회의원인 올리비에 팔로르니, 그리고 프랑수아 올랑드 정부 및 이후 시기에 장관직을 역임한 아니크 지라르댕, 자크 메자르 등이 있다.

3. 이념 및 정책

좌익급진당(PRG)은 사회자유주의, 고전적 급진주의, 프랑스 고유의 세속주의 원칙인 ''라시테(laïcité)'', 진보주의, 유럽 연합주의, 그리고 개인의 자유를 핵심 이념으로 삼는다. 사회당의 사회민주주의 노선과는 사유재산에 대한 강한 애착을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972년, 기존 급진당 내에서 프랑스 사회당, 프랑스 공산당과의 연대에 적극적인 좌파 세력이 분리되어 '좌익 급진 운동'을 창당했으며, 1998년에 현재의 당명인 좌익 급진당으로 변경했다. 한때 '급진사회당'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프랑스 민주 연합(UDF)에 소속된 다른 급진당의 문제 제기로 현재의 당명을 사용하게 되었다.

유럽 통합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입장을 견지하며, 유럽 헌법 제정 당시에는 찬성 캠페인을 벌였다. 국제적으로는 2012년까지 유럽 자유민주당 및 개혁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20]

199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가수이자 기업가인 베르나르 타피를 중심으로 "급진적인 에너지" 명단을 구성하여 12.03%의 득표율로 13석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반면,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프랑스령 기아나 출신의 크리스티앙 토비라를 후보로 내세웠으나 2.32% 득표에 그쳤다.

2017년 대선 및 총선 이후 급진당과의 합당을 통해 급진 운동을 창당했으나[22][23],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르네상스와의 연대 문제로 이견이 발생하며 실비아 피넬 전 대표를 포함한 일부 세력이 탈당하여 다시 분리되었다.[24]

3. 1. 당내 분파

장미셸 바예(Jean-Michel Baylet프랑스어) 대표 시절, 좌익급진당(PRG)의 공식적인 당론은 중도좌파, 사회자유주의, 친유럽주의 성향이었다. 하지만 당 내부에는 다른 목소리도 존재했다.

전직 각료이자 전 부총리를 지낸 에밀 즈카렐리(Émile Zuccarelli프랑스어)는 대표적인 예이다. 그는 좌파 공화주의자로, 코르시카 민족주의에 강하게 반대했으며 2005년 프랑스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서는 당론과 달리 반대표를 지지했다. 이는 장피에르 셰브네망(Jean-Pierre Chevènement프랑스어)이 이끄는 시민 공화주의 운동(MRC)의 입장과 더 가까웠다.

마찬가지로 크리스티안 토비라(Christiane Taubira프랑스어) 역시 2005년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서 반대표를 던졌으며, 2011년 좌파 예비선거에서는 당 대표인 바예 대신 아르노 몽부르(Arnaud Montebourg프랑스어)를 지지하며 당내 노선과 다른 행보를 보였다.

4. 주요 정치인

좌익급진당(PRG)은 장미셸 바이레 당대표 시절 중도좌파, 사회자유주의, 친유럽주의 성향을 당론으로 삼았으나, 당 내부에는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했다. 전직 각료이자 부총리를 지낸 에밀 즈카렐리Émile Zuccarelli프랑스어는 좌파 공화주의자로서 코르시카 민족주의에 강하게 반대했으며, 2005년 프랑스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서 당론과 달리 반대표를 던졌다. 이는 장피에르 셰브네망Jean-Pierre Chevènement프랑스어의 시민 공화주의 운동(MRC)과 유사한 입장이었다. 마찬가지로 크리스티앙 토비라Christiane Taubira프랑스어 역시 2005년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서 반대표를 지지했고, 2011년 사회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는 바이레 대신 아르노 몽부르Arnaud Montebourg프랑스어를 지지했다.

주요 정치인들은 다음과 같다.

'''국회의원 및 장관'''

구분이름 (원어)지역구 또는 직책비고
현직 국회의원올리비에 팔로르니 (Olivier Falorni프랑스어)샤랑트마리팀 1
전직 장관아니크 지라르댕 (Annick Girardin프랑스어)
자크 메자르 (Jacques Mézard프랑스어)상원의원 역임
전직 국회의원스테판 클레로 (Stéphane Claireaux프랑스어)생피에르 미클롱아니크 지라르댕 장관 재임 중 대리 수행
자닌 뒤비에 (Jeanine Dubié프랑스어)오트피레네
실비아 피넬 (Sylvia Pinel프랑스어)타른에가론



'''상원의원 (RDSE 그룹 소속)'''

이름 (원어)지역구
조셉 카스텔리 (Joseph Castelli프랑스어)오트코르스
이봉 콜랭 (Yvon Collin프랑스어)타른에가론
필립 에스놀 (Philippe Esnol프랑스어)이벨린
프랑수아 포르타생 (François Fortassin프랑스어)오트피레네
프랑수아즈 라보르드 (Françoise Laborde프랑스어)오트가론
자크 메자르 (Jacques Mézard프랑스어)칸탈
장클로드 레키에 (Jean-Claude Requier프랑스어)로트


5. 지지 기반

좌익급진당은 자체적으로는 선거에서 약세를 보였지만, 프랑스 남서부와 같이 전통적으로 급진주의 성향이 강한 지역에서 지지 기반을 유지했다. 대표적으로 타른에가론의 실비아 피넬 전 당수와 이봉 콜랭 상원의원, 오트피레네의 자닌 뒤비에 전 국회의원과 프랑수아 포르타생 상원의원 등이 남서부 지역 기반을 보여준다. 코르시카에서는 오트코르스의 조셉 카스텔리 상원의원이 활동했으며, 코르시카 민족주의에 반대하는 에밀 즈카렐리 전 부총리 역시 코르시카 정치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다. 또한,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Guyane) 출신인 크리스티앙 토비라 전 법무부 장관도 당의 주요 인물로서 해외 영토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다만, 당내에서는 2005년 프랑스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 대한 입장 차이(에밀 즈카렐리와 크리스티앙 토비라는 반대)가 존재하는 등, 지지 기반 내에서도 다양한 시각이 공존했다.

6. 역대 선거 결과

좌익급진당(PRG)은 선거에서 독자적으로 큰 지지세를 확보하기보다는 주요 파트너인 사회당(PS)과의 연대를 통해 의회 의석을 확보하는 경향을 보였다.[34][35] 당의 주요 지지 기반은 전통적으로 남서부 지역에 있었으며, 코르시카와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예외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유지하기도 했다. 해외 영토인 기아나에서도 지역 정당과의 연계를 통해 활동했다. 각 선거별 상세 결과 및 지역별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6. 1. 대통령 선거

자체적으로는 선거에서 다소 약세를 보였던 좌익급진당은 평균 득표율이 약 2% 정도였다(2002년 대통령 선거 후보 크리스티앙 퇴비라는 2.32% 득표). 이는 당이 더 강력한 동맹인 사회당(PS)의 지원과 의회 대표성에 의존했던 이유를 설명한다.

선거후보1차 투표결선 투표결과
득표수%득표수%
1981년미셸 크레포642,8472.21%--낙선
2002년크리스티앙 퇴비라660,4472.32%--낙선


6. 2. 총선

프랑스 국민의회 총선 결과
선거 연도1차 투표 득표수1차 투표 득표율 (%)의석 수 (전체 의석)변동비고
1973년사회당과 함께 집계13 / 490 [21]신규
1978년603,9322.11%10 / 491▼ 3
1981년사회당과 함께 집계14 / 491 [21]▲ 4
1986년107,7690.38%7 / 577▼ 7여러 지역구에서 사회당-좌익 급진당 연합 명단으로 당선된 5명 포함.
1988년272,3161.11%9 / 575▲ 2
1993년사회당 또는 좌익 무소속으로 분류6 / 577▼ 3
1997년389,7821.53%12 / 577▲ 6
2002년388,8911.54%7 / 577▼ 5
2007년343,5651.32%7 / 577= 0
2012년429,0591.65%12 / 577▲ 5
2017년106,3110.47%3 / 577▼ 9
2022년126,6890.56%1 / 577▼ 2



좌익급진당(PRG)은 독자적으로 선거에 참여했을 때 평균 득표율이 약 2%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이 때문에 의회 의석 확보를 위해서는 주요 파트너인 사회당(PS)의 지원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좌익급진당 소속 국회의원이나 지역 정치인 대부분은 사회당이 해당 선거구에 후보를 내지 않는 방식으로 당선되었다.

좌익급진당은 주로 중산층 유권자와 프랑스 남부의 전통적인 급진주의 강세 지역에서 지지 기반을 유지했다.

특히 코르시카에서는 좌익급진당이 비(非)민족주의 성향의 프랑스 좌파 정당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다. 이는 지아코비(Giacobbi) 가문과 같은 지역 정치 명가의 오랜 영향력과 코르시카 내 사회당 조직이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점에 기인한다. 폴 지아코비는 2017년 정계 은퇴 전까지 오트코르스 지역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에밀 즈카렐리 역시 바스티아 시장을 지내며 2007년 낙선 전까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니콜라 알퐁시와 프랑수아 벤다시(François Vendasi)는 상원에서 코르시카 좌익급진당을 대표했다. 폴 지아코비는 오트코르스 종합 의회 의장을 맡기도 했다.

프랑스 본토에서는 남서부 지역 외에도 외르에루아르주나 외르주처럼 프랑스 제3공화국 시대부터 이어져 온 급진주의 전통이 강한 지역에서 꾸준한 지지세를 보였다.

해외 영토인 기아나에서는 크리스티앙 토비라가 이끌던 정당 월와리가 좌익급진당과 연계하여 활동했으며, 기아나 좌파 진영의 주요 세력 중 하나였다.

6. 3. 유럽 의회 선거

유럽 의회 선거 결과
선거대표득표수%의석수변동EP 그룹
1979년프랑수아 미테랑4,763,02623.53 (#2)2 / 81신규SOC
1984년올리비에 스티르670,4743.32 (#6)0 / 81-2
1989년로랑 파비우스4,286,35423.61 (#2)2 / 81+2SOC
1994년베르나르 타피2,344,45712.03 (#4)13 / 87+11ERA
1999년프랑수아 올랑드3,873,90121.95 (#1)2 / 87-11PES
2004년장-미셸 바이레121,5730.71 (#14)0 / 78-2
2009년출마하지 않음0 / 740
2014년장-크리스토프 캉바델리스2,650,35713.98 (#2)1 / 74+1S&D
2019년라파엘 글럭스만1,403,1706.19 (#6)0 / 79-1
2024년기욤 라크루아63,0060.26 (#17)0 / 790


7. 역대 당 대표


  • 로베르 파브르 (Robert Fabre) (1972–1978)
  • 미셸 크레포 (Michel Crépeau) (1978–1981)
  • 로제-제라르 슈바르첸베르크 (Roger-Gérard Schwartzenberg) (1981–1983)
  • 장-미셸 바이레 (Jean-Michel Baylet) (1983–1985)
  • 프랑수아 두뱅 (François Doubin) (1985–1988)
  • 이봉 콜랭 (Yvon Collin) (1988–1989)
  • 에밀 주카렐리 (Émile Zuccarelli) (1989–1992)
  • 장-프랑수아 오리 (Jean-François Hory) (1992–1996)
  • 장-미셸 바이레 (Jean-Michel Baylet) (1996–2016)
  • 실비아 피넬 (Sylvia Pinel) (2016–2017)
  • 기욤 라크루아 (Guillaume Lacroix) (2019년–현재)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Digital Government https://books.google[...] Idea Group Inc (IGI) 2013-07-19
[2] 서적 The Mainstreaming of the Extreme Right in France and Australia: A Populist Hegemon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3-07-27
[3] 서적 Party Attitudes Towards the EU in the Member States: Parties for Europe, Parties Against Europe Routledge
[4] 웹사이트 En Occitanie, les Radicaux de gauche campent sur leur position https://www.midilibr[...]
[5] 웹사이트 France http://www.parties-a[...] 2017
[6] 서적 Das politische System Frankreichs https://books.google[...] Springer DE
[7] 서적 French Politics Toda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3-07-27
[8] 뉴스 Les radicaux font un pas de plus vers l'unité... et l'indépendance http://www.lefigaro.[...] 2017-10-27
[9] 뉴스 Les radicaux de gauche et de droite en voie de réunion pour peser au centre http://www.lemonde.f[...] 2017-10-27
[10] 뉴스 À gauche, les échéances électorales divisent les radicaux http://www.lefigaro.[...] 2019-02-18
[11] 서적 The Green Challenge: The Development of Green Parties in Europe Routledge
[12] 웹사이트 CEVIPOL - Electoral results: France - European elections of 1994 https://web.archive.[...] Dev.ulb.ac.be 2013-03-12
[13] 웹사이트 CEVIPOL - Electoral results: France - Presidential elections of 2002 https://web.archive.[...] Dev.ulb.ac.be 2013-03-12
[14] 웹아카이브 La Loi Taubira https://web.archive.[...] 2011-09-27
[15] 웹아카이브 Baptême du Pôle Radical et Ecologique https://archive.toda[...] 2011-12-21
[16] 웹아카이브 Création du "pôle radical et écologique" https://web.archive.[...] 2011-12-21
[17] 웹사이트 Le PRG choisit son nouveau président https://www.ladepech[...] 2022-01-15
[18] 웹사이트 Présidentielle : Christiane Taubira se jette dans la fosse à l'union https://www.liberati[...] 2022-01-15
[19] 뉴스 Le Parti radical de gauche dénonce les négociations pour une union autour de La France insoumise https://www.lemonde.[...] 2022-05-03
[20] 웹사이트 ELDR Council: between a rock and some very hard places indeed... https://web.archive.[...] Libdemvoice.org 2013-03-12
[21] 웹사이트 Chronologie des radicaux de gauche MRG PRG http://www.france-po[...] France-politique.fr 2013-03-12
[22] 뉴스 Les radicaux font un pas de plus vers l'unité... et l'indépendance http://www.lefigaro.[...] 2017-10-27
[23] 뉴스 Les radicaux de gauche et de droite en voie de réunion pour peser au centre http://www.lemonde.f[...] 2017-10-27
[24] 뉴스 À gauche, les échéances électorales divisent les radicaux http://www.lefigaro.[...] 2019-02-18
[25] 웹사이트 http://lelab.europe1[...]
[26] 웹인용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The database about parliamentary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in Europe http://www.parties-a[...] Parties-and-elections.eu 2013-03-12
[27] 서적 Europeanisation and Party Politics: How the EU affects Domestic Actors, Patterns and Systems https://books.google[...] ECPR Press
[28] 서적 Encyclopedia of Digital Government http://books.google.[...] Idea Group Inc (IGI) 2013-07-19
[29] 서적 The Mainstreaming of the Extreme Right in France and Australia: A Populist Hegemony? http://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3-03-01
[30] 서적 Party Attitudes Towards the EU in the Member States: Parties for Europe, Parties Against Europe http://books.google.[...] Routledge 2013-12-04
[31] 서적 Das politische System Frankreichs http://books.google.[...] Springer DE 2007-02-22
[32] 서적 French Politics Today http://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2-01-01
[33] 웹인용 CEVIPOL - Electoral results: France - European elections of 1994 http://dev.ulb.ac.be[...] Dev.ulb.ac.be 2013-03-12
[34] 기타
[3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