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매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매신은 가난한 환경에서 독서를 즐기며 땔나무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다가, 훗날 전한 무제의 신임을 얻어 관직에 나아간 인물이다. 젊은 시절에는 아내와 이혼하는 등 불우한 시기를 보냈으나, 무제의 발탁으로 중대부가 되었고, 회계태수를 거쳐 동월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이후 승상 장사가 되었으나, 장탕을 모함한 죄로 결국 주살되었다.

2. 생애

주매신은 가난했지만 책을 좋아하여 땔나무를 팔면서도 책을 읽었다. 훗날 상계리(上計吏)를 수행하는 병졸이 되어 장안에 갔으나, 무제에게 올린 상주문에 답을 받지 못했다. 그러던 중 무제는 삭방 개척 문제로 어사대부 공손홍과 갈등을 겪었고, 주매신은 공손홍을 논박하여 무제의 눈에 띄게 되었다. 이후 민월의 왕을 물리칠 계책을 바쳐 회계태수에 임명되었다.

회계태수가 된 후, 주매신은 과거의 가난했던 시절을 잊지 않고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사람들에게 보답했다. 특히 이혼한 전처와 그의 남편을 관사로 데려와 대접했지만, 전처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조서를 받아 병력을 이끌고 횡해장군(橫海將軍) 한열과 함께 동월을 쳐서 공을 세우고 주작도위가 되었다. 그러나 몇 년 후 죄를 지어 파면되었다가 다시 부름을 받아 승상장사가 되었다. 이때 어사대부 장탕을 모함하여 자살하게 만들었으나, 얼마 후 모의가 발각되어 주살되었다. 아들 주산부우부풍을 지냈다.

2. 1. 불우한 젊은 시절

가난하였지만 책을 좋아하여, 땔나무를 짊어지고 팔러 다니며 책을 읽었다. 아내도 함께 땔나무를 팔았는데, 주매신의 행색을 부끄럽게 여겨 이혼하려 하였다. 주매신은 자신이 쉰 살에 부귀해질 상인데, 지금 마흔이 넘었으니 좀 더 기다리라고 하였는데, 아내가 화를 내니 결국 이혼하였다. 혼자 살던 주매신은 무덤에서 땔나무를 주울 때 아내와 그 남자와 마주쳤고, 아내는 궁핍한 주매신에게 밥 한 끼를 대접하였다.

훗날 주매신은 상계리(上計吏)를 수행하는 병졸이 되어 장안에 갔는데, 무제에게 상주문을 올려도 답신을 받지 못하였다. 답신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굶게 되자, 동료 병졸이 밥을 대접해 주었다.

2. 2. 무제의 발탁과 출세

주매신은 가난했지만 책을 좋아하여, 땔나무를 짊어지고 팔러 다니며 책을 읽었다. 그의 아내도 함께 땔나무를 팔았는데, 주매신의 행색을 부끄럽게 여겨 이혼하려 하였다. 주매신은 자신이 쉰 살에 부귀해질 상인데, 지금 마흔이 넘었으니 좀 더 기다리라고 했다. 하지만 아내는 화를 냈고, 결국 둘은 이혼하였다. 주매신은 혼자 살았고, 아내는 다른 남자와 재혼했다. 주매신이 무덤에서 땔나무를 주울 때 아내와 그 남자를 마주쳤는데, 아내는 궁핍한 주매신에게 밥 한 끼를 대접하였다.

훗날 주매신은 상계리(上計吏)를 수행하는 병졸이 되어 장안에 갔다. 무제에게 상주문을 올렸으나 답신을 받지 못했다. 답신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굶게 되자, 동료 병졸이 밥을 주었다. 이 무렵 무제는 삭방 개척을 두고 어사대부 공손홍의 반대에 부딪혔다. 주매신은 공손홍과 논박하여 그를 억눌렀고, 무제는 주매신을 임용하였다. 나중에 주매신은 죄를 지어 파면되고 고향에서 소일하다가 다시 부름을 받았다. 그는 민월의 왕을 물리칠 계책을 바쳐 회계태수에 임명되었다.

회계태수가 된 주매신은 일부러 예전에 입었던 옷을 걸치고, 태수의 인수를 품에 숨기고 걸어서 임지로 갔다. 마침 연회를 즐기던 회계의 아전들은 주매신에게 눈길도 주지 않았고, 주매신 또한 함께 먹고 마셨다. 어떤 사람이 주매신의 품 속의 인끈을 보았고, 확인해 보니 태수의 인수였다. 사람들은 모두 놀랐고, 주매신은 백성들에게 길을 청소하게 하고 아전들의 마중을 받았다. 주매신은 길을 청소하던 전처와 그 남편을 보고는 그들을 수레에 태워 관사에 데려가 밥을 대접했다. 하지만 전처는 한 달 남짓 지나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주매신은 남편에게 장례 비용을 주었다. 이외에도 주매신은 예전에 신세를 진 사람들과 함께 먹고 마시며 은혜를 갚았다.

2. 3. 회계태수 시절

가난했지만 책을 좋아하여, 땔나무를 팔러 다니면서도 책을 읽었다. 아내도 함께 땔나무를 팔았으나, 주매신의 행색을 부끄럽게 여겨 이혼하려 하였다. 주매신은 자신이 쉰 살에 부귀해질 상인데, 지금 마흔이 넘었으니 좀 더 기다리라고 하였지만, 아내는 화를 내며 이혼하였다. 주매신은 혼자 살았고, 아내는 다른 남자에게 갔다. 무덤에서 땔나무를 주울 때 아내와 그 남자와 마주쳤고, 아내는 주매신의 궁핍한 모습을 보고 밥 한 끼를 대접하였다.

훗날 상계리(上計吏)를 수행하는 병졸이 되어 장안에 갔다. 무제에게 상주문을 올렸으나 답신을 받지 못하였다. 답신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굶게 되자, 동료 병졸이 밥을 대접해 주었다. 이 무렵 무제는 삭방 개척을 두고 어사대부 공손홍의 반대에 부딪혔는데, 주매신은 공손홍과 논박하여 그를 억눌렀고, 무제의 임용을 받았다. 죄를 지어 파면되고 고향에서 소일하다가 다시 부름을 받았고, 민월의 왕을 물리칠 계책을 바쳐 회계태수에 임명되었다.

회계태수가 된 주매신은 일부러 예전에 입었던 옷을 걸치고, 태수의 인수를 품에 숨기고 걸어서 임지로 갔다. 마침 연회를 즐기던 회계의 아전들은 주매신에게 눈길도 주지 않았고, 주매신 또한 함께 먹고 마셨다. 어떤 사람이 주매신의 품 속의 인끈을 보았고, 확인해 보니 태수의 인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모두 놀랐다. 주매신은 백성들에게 길을 청소하게 하고, 아전들의 마중을 받았다. 전처와 그 남편이 길을 청소하는 것을 보고는 그들을 수레에 태워 관사에 데려가 밥을 대접했는데, 전처는 한 달 남짓 지나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말았고, 주매신은 남편에게 장례 비용을 주었다. 이외에도 예전에 신세를 진 사람들과 함께 먹고 마시며 은혜를 갚았다.

2. 4. 동월 정벌과 중앙 관직

무제의 명으로 횡해장군(橫海將軍) 한열과 함께 동월을 공격하여 공을 세웠고, 주작도위가 되었다. 그러나 몇 년 후 죄를 지어 파면되었다가 다시 부름을 받아 승상장사가 되었다. 어사대부 장탕은 주매신이 시중이었던 시절에 말단 관리였고, 회남왕 유안의 모반을 수사할 때 장조를 죽게 하였기 때문에, 주매신은 그를 원망하였다. 주매신은 동료 승상장사 왕조·변통(邊通)과 함께 장탕을 고발하여 자살하게 만들었으나, 얼마 후 모의가 발각되어 모두 주살되었다.

2. 5. 장탕과의 갈등과 죽음

장탕은 주매신이 시중이던 시절에 말단 관리였고, 회남왕 유안의 모반을 수사할 때 장조를 죽게 하였기 때문에, 주매신은 그를 원망하였다. 장탕승상의 정무를 대행할 때 주매신을 굴복시켰고, 주매신 또한 장탕과 만날 때 예를 다하지 않았다. 주매신은 동료 승상장사 왕조, 변통(邊通)과 함께 장탕을 고발하여 원정 2년(기원전 115년)에 그를 자살하게 만들었으나, 얼마 후 모의가 발각되어 모두 주살되었다.

2. 6. 아들

아들 주산부우부풍을 지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