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부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부풍은 전한 시대에 수도권을 관할하던 직책으로, 현재의 시안시 서부, 바오지시, 셴양시 일대를 관할했다. 전한 시대에는 중지군에 해당했으며,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는 행정 구역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후한 시대에는 15개 현을 관할했으며, 이각과 곽사의 난으로 황폐화되었다. 위진 시기에는 풍익군으로 강등되었고, 서진 시대에는 6현을 관할했다. 북위 시대에는 시평군을 통폐합하여 5현을 관할했으며, 남조 시대에는 일부 현이 샹양시 일대로 옮겨졌다. 수나라 시대에는 기주(岐州)로 불렸고, 9현을 관할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기주로 불리다가 당 현종 시기에 부풍군으로 불렸으며, 757년 봉상부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 - 좌풍익
좌풍익은 전한 시대에 수도 장안을 관할하는 행정 구역으로 시작하여 후한, 위진, 북위, 수, 당, 송 시대까지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화하며 존속했고, 수도권의 행정,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수행했다. - 중국의 군 - 파산군
파산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응순의 출생지이다. - 산시성 (섬서성)의 역사 - 북한 (십국)
북한은 오대 십국 시대에 유숭이 건국한 국가로 후한의 부흥을 표방하며 요나라의 지원을 받아 후주 및 송나라와 대립하다가 979년 송나라에 멸망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역사 - 가정대지진
1556년 명나라 가정제 시기에 중국 산시성에서 발생한 가정대지진은 웨이허 계곡의 화주 지역을 진앙으로 하여 수십만 명의 사망자를 낸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낸 지진 중 하나로, 모멘트 규모 약 7.9~8 정도의 강진으로 추정된다. - 중국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중국의 관직과 칭호 - 태위
태위는 동아시아의 삼공 중 하나로, 주로 군사 지휘를 담당하는 최고위 관직이었으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에 차이가 있었다.
우부풍 | |
---|---|
지리 | |
위치 | 오늘날의 중국 산시 성 우궁 현 일대 |
역사적 정보 | |
존속 기간 | 기원전 114년 ~ 8년 |
전신 | 한나라 우내사 |
후신 | 신나라 신도군 |
행정 | |
속현 | 괴리 (槐里, Huáilǐ) 무릉 (武陵, Wǔlíng) 평릉 (平陵, Pínglíng) 안릉 (安陵, Ānlíng) 망읍 (望邑, Wàngyì) 주읍 (盩厔, Zhōuzhì) 호치 (鄠, Hù) 옹 (雍, Yōng) 기 (漆, Qī) 익양 ( 익, Yìyìang) 심양 (沈陽, Shěnyáng) 미양 (美陽, Měiyáng) |
역사 | |
설치 | 한무제 시기 (기원전 114년) |
변경 |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 신도군으로 변경 (8년) |
인구 | |
호구 수 | 178,094호 (기원 2년) |
인구 수 | 713,236명 (기원 2년) |
2. 역사
전한 수도권을 관할하는 직책인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은 모두 전한의 내사와 관련이 있다. 전한 고제는 옹나라를 정복하고 농서군, 북지군, 중지군을 설치했는데, 우부풍의 관할 영역은 이 중 중지군에 해당한다. 고제 9년(기원전 198년), 전한의 수도권 지역의 군을 폐지하고 진나라처럼 내사를 두면서 중지군도 폐지되었다. 무제 건원 6년(기원전 135년)에 내사의 관할 영역을 좌우로 나누면서 우내사에 옛 위남군과 중지군이, 좌내사에 옛 하상군이 속했다.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 우내사의 관할 영역을 나누고 주작도위의 이름을 우부풍으로 고쳐 옛 중지군 영역을 관할하게 했다.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21만 6377호, 83만 6070명, 21현을 관할했다. 현대의 시안시 서부와 바오지시·셴양시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위성현 | 渭城縣 | 셴양시 북동 | 옛 함양으로, 고제 원년(기원전 206년) 신성(新城)으로 고쳤다가 7년(기원전 200년) 폐지 후 장안에 속하게 했다. 무제 원정 3년 위성으로 개칭. 난지관(蘭池官)이 있었다. | |
괴리현 | 槐里縣 | 셴양시 싱핑시 남동 남좌촌(南佐村) | 주나라에서는 견구(犬丘)라 했고 서주 의왕의 도읍이었다. 진나라에서 폐구(廢丘)로 개칭, 고조 3년(기원전 204년) 괴리로 개칭. 황산궁(黃山宮)은 혜제 2년(기원전 193년) 건립. | |
호현 | 鄠縣 | 시안시 후 현 | 하나라 계가 친 옛 호(扈)나라. 호곡정(扈谷亭)이 있다. 풍수(鄷水)와 율수(潏水)가 북으로 상림원(上林苑)을 지나 위수로 합류. 배양궁(萯陽宮)은 진문왕이 건립. | |
주질현 | 盩庢縣 | 시안시 저우즈현 종남진 | 장양궁(長陽宮), 사웅관(射熊館)은 진소왕이 건립. 영지거(靈軹渠)는 무제가 개착. | |
태현 | 斄縣 | 셴양시 우궁현 서 양릉진 | 주나라 선조 후직의 봉지. | |
욱이현 | 郁夷縣 | 바오지시 동, 첸허(千河)와 웨이허 합류지 | ||
미양현 | 美陽縣 | 셴양시 우궁 현 북서 | 《우공》의 기산(岐山)이 북서쪽에 있다. 중수향(中水鄕)은 주대왕(周大王)의 읍. 고천궁(高泉宮)은 진선태후가 건립. | |
미현 | 郿縣 | 바오지시 푸펑현 남서 | 성국거(成國渠)가 위수에서 갈려나와 북동쪽 상림, 몽롱거(蒙籠渠)로 합류. 우보도위 치소 지역. | |
옹현 | 雍縣 | 바오지시 펑샹 현 남 | 진 혜공의 도읍. 오치(五畤), 태호(太昊), 황제(黃帝) 이하 사당 303곳. 탁천궁(橐泉宮)은 효공, 기년궁(祈年宮)은 혜공, 역양궁(棫陽宮)은 소왕이 건립. 철관(鐵官)이 있었다. | |
칠현 | 漆縣 | 셴양시 빈 현 | 칠수(漆水)가 서쪽에 있다. 철관(鐵官)이 있었다. | |
순읍현 | 栒邑縣 | 셴양시 쉰이현 북동 | 빈향(豳鄉)은 시경의 빈(豳)나라로 공류의 도읍. | |
유미현 | 隃麋縣 | 바오지시 첸양현 동 | 황제자사(黃帝子祠)가 있다. | |
진창현 | 陳倉縣 | 바오지시 동 진창 옛 성 | 상공(上公), 명성(明星), 황제손(黃帝孫), 순처(舜妻) 육(育) 총사(冢祠)가 있다. 우양궁(羽陽宮)은 진무왕이 건립. | |
두양현 | 杜陽縣 | 바오지시 린유현 북서 | 두수와 위수 합류지. | |
견현 | 汧縣 | 바오지시 룽현 남 | 오산(吳山)은 고문에선 견산(汧山), 옹주산(雍州山)이다. 북쪽 포곡향(蒲谷鄕)에 현중곡(弦中谷)은 옹주 현포수(弦蒲藪). 견수(汧水)는 북서에서 위수로, 예수(芮水)는 북서에서 경수(涇水)로 합류. 《시경》의 예국(芮𨸰)은 옹주천(雍州川). | |
호치현 | 好畤縣 | 바오지시 첸 현 동 | 궤산(垝山)이 동쪽에 있다. 양산궁(梁山宮)은 진시황이 건립. | |
괵현 | 虢縣 | 바오지시 서 | 황제자사(黃帝子祠)와 주문왕사(周文王祠)가 있다. 괵궁(虢宮)은 진선태후가 건립. | |
안릉현 | 安陵縣 | 셴양시 북동 | 혜제가 설치. | |
무릉현 | 茂陵縣 | 셴양시 싱핑 시 북동 | 무제가 설치. 6만 1817호, 27만 1277명. | |
평릉현 | 平陵縣 | 셴양시 북서 | 소제가 설치. | |
무공현 | 武功縣 | 바오지시 메이현 동 | 태일산(太壹山, 고문 終南), 수산(垂山, 고문 敦物)이 현 동쪽에 있다. 야수(斜水)는 아령산(衙領山) 북쪽에서 미(郿)를 지나 위수로, 포수(褒水)는 아령에서 남정(南鄭)을 지나 면수(沔水)로 합류. 수산·야수·포수 세 곳에 사당. |
[10][11]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위성(渭城) | 경성(京城) |
괴리(槐里) | 괴치(槐治) |
욱이(郁夷) | 욱평(郁平) |
칠(漆) | 칠치(漆治) |
유미(隃麋) | 부정(扶亭) |
두양(杜陽) | 통두(通杜) |
호치(好畤) | 호읍(好邑) |
안릉(安陵) | 가평(嘉平) |
무릉(茂陵) | 선성(宣城) |
평릉(平陵) | 광리(廣利) |
무공(武功) | 신광(新光) |
당나라는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기주(岐州)'''로 불렀다가 당 현종 시기 일시적으로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부풍군으로 불렀다. 757년 봉상부로 승격되었다. 당나라 이후 연혁은 봉상부 참조.
2. 1. 전한
헌제탈출전 시기 크게 황폐화되었고 옹주가 설치되면서 '''풍익군'''으로 강등되었다. 220년경 한안군에서 개명된 한흥군이 폐지되면서 두양현, 옹현, 유미후국, 진창현이 본군으로 돌아왔다. 266년 군의 일부가 시평군으로 분리되었다. 구 주질현 서남쪽에 촉한과 연결된 잔도 중 하나인 낙곡이 있어 낙곡 대전이 본군 일대에서 발발했다. 서진 대에는 6현 23,000호를 거느렸다.[13]2. 1. 1. 행정 구역
현명 | 한자 | 비고 |
---|---|---|
괴리현 | 槐里縣 | 266년 시평군으로 이관되었다. |
호현 | 鄠縣 | 266년 시평군으로 이관되었다. |
무공현 | 武功縣 | 266년 시평군으로 이관되었다. |
미양현 | 美陽縣 | |
미후국 | 郿候國 | 서진대 부풍군의 치소가 되었다. |
옹현 | 雍縣 | 후상(候相)이 민정을 맡았고 황제, 태호(太昊) 등의 신을 모시는 303개의 사당이 있었다. |
유미현 | 隃麋縣 | 서진 초에 폐지되었다. |
두양현 | 杜陽縣 | 서진 초에 폐지되었다. |
진창현 | 陳倉縣 | |
견현 | 汧縣 | 현 남쪽에 오산(吳山)이 있다. |
평릉현 | 平陵縣 | 조위 초에 시평현으로 개명되었고 266년 시평군으로 이관되었다. |
지양현 | 池陽縣 | 지금의 셴양 시 징양 현 약간 서북에 있던 현으로 서진대에 경조윤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찰알산(巀嶭山)이 있다. |
북위 태무제 시기인 태평진군 연간에 시평군을 통폐합해서 5현을 거느렸다.[14]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호치현 | 好畤縣 | 바오지 시 첸 현 동 | 북위대의 부풍군 치소가 있었다. 무도성(武都城)이 있었다. |
시평현 | 始平縣 | 셴양 시 북서 | 온천과 신시성(新市城)이 있다. |
미양현 | 美陽縣 | 셴양 시 우궁 현 서 | 487년(북위 효문제 태화 11년)에 무공군이 설치되면서 무공군으로 이관되었다가 446년(태평진군 7년) 무공군을 통폐합하면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
괴리현 | 槐里縣 | 셴양 시 우궁 현 북동 | |
?옥현 | 𥂕厔縣 | 미상 | 446년(태평진군 7년) 무공군을 통폐합하면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
2. 2. 후한
후한 시대 부풍군은 15개 현, 71,352호, 93,091명을 거느렸다. 헌제 탈출전 시기 이각, 곽사의 난으로 경조윤, 좌풍익과 함께 크게 황폐화되었다.[12] 189년 한안군이 신설되면서 일부 현이 이관되었다.2. 2. 1. 행정 구역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괴리현 | 槐里縣 | 셴양시 싱핑 시 남동 | |
안릉현 | 安陵縣 | 셴양시 북동 | |
평릉현 | 平陵縣 | 셴양시 북서 | |
무릉현 | 茂陵縣 | 셴양시 싱핑 시 북동 | |
호현 | 鄠縣 | 시안시 후 현 | |
미현 | 郿縣 | 바오지시 푸펑현 남서 | |
무공현 | 武功縣 | 바오지시 메이현 동 | 65년(후한 명제 영평 8년) 복구. 종남산(終南山)에서 개명된 태일산(太一山), 화산이 있음. |
진창현 | 陳倉縣 | 바오지시 동 진창 옛 성 | 189년 한안군 신설로 한안군에 이관. |
견현 | 汧縣 | 바오지시 룽현 남 | 오악산(吳岳山), 회성(回城)이 있음. |
유미후국 | 隃麋候國 | 바오지시 첸양현 동 | 189년 한안군 신설로 한안군에 이관. |
옹현 | 雍縣 | 바오지시 펑샹 현 남 | 철광석 채굴지 있음. 189년 한안군 신설로 한안군에 이관. |
순읍현 | 栒邑縣 | 셴양시 쉰이현 북동 | 빈향(豳鄕)이 있음. |
미양현 | 美陽縣 | 셴양시 우궁 현 북서 | 기산(岐山)과 주성(周城)이 있음. |
칠현 | 漆縣 | 셴양시 빈 현 | 칠수와 철광석 채굴지 있음. 194년 본현에 신평군 설치. |
두양현 | 杜陽縣 | 바오지시 린유현 북서 | 137년(후한 순제 영화 2년) 복구. 189년 한안군 신설로 한안군에 이관. |
영가의 난으로 황하 서쪽 옹주, 진주, 양주 주민들이 난양 시, 샹양 시 일대로 이주하면서 부풍군의 일부 현이 교치됨.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직위 | 비고 |
---|---|---|---|---|
축양현 | 築陽縣 | 샹양 시 구청 현 동 | 영(令) | |
미현 | 郿縣 | 영(令) | ||
범양현 | 泛陽縣 | 영(令) | 남향군에서 이관. |
수나라 대업 초 설치. 주현제 실시 때는 '''기주(岐州)'''로 칭함.[1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옹현 | 雍縣 | 바오지 시 펑샹 현 | 북위에서 진평군(秦平郡)을 설치했고 서위는 기산군(歧山郡)으로 개명했으나 583년(수 문제 개황 3년) 폐지. 대업초 부풍군 설치. 기양궁(岐陽宮)이 있음. |
기산현 | 岐山縣 | 바오지 시 치산 현 북동 기산 남쪽 | 북주에서 삼룡현(三龍縣)으로 칭했으나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개명. 북위 주성현(周城縣)이 있었으나 북주 때 폐지. 기산이 있음. |
진창현 | 陳倉縣 | 바오지 시 | 북위에서 완천현(宛川縣)이라 칭했으나 서위에서 복구. 북주는 현주(顯州)를 설치하고 심주(尋州) 현을 폐지.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설치. 진창산(陳倉山), 관관(關官)이 있음. |
괵현 | 虢縣 | 바오지 시 천창구 천하진 근처 | 북위는 무도군을 세웠고 서위는 낙읍현(洛邑縣)으로 개명. 북주는 삭주로 승격시켰으나 군으로 격하, 수나라 개황초 폐지. 대업초 개명. |
미현 | 郿縣 | 바오지 시 메이 현 상흥진 | 평양현(平陽縣)으로 불렸다가 서위에서 미성현으로 개명. 북주는 주성현(周城縣)을 통폐합. 598년 주성현에서 위빈현(渭濱縣)으로 개명,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개명. 북주에서 운주(雲州)를 설치했으나 건덕연간 폐지. 안인궁(安仁宮), 봉천궁(鳳泉宮), 태백산(太白山), 오장원이 있음. |
보윤현 | 普閏縣 | 바오지 시 린유 현 서 | 대업초 신설. 인수궁(仁壽宮), 칠수(漆水), 기수(岐水), 두수(杜水)가 있음. |
견원현 | 汧源縣 | 바오지 시 룽 현 | 서위는 농동군(隴東郡)과 견음현(汧陰縣)을 세우고 동진주에 소속시켰으나 현명은 두양현으로 개명, 주는 농주(隴州)로 변경. 북주는 현음현으로 개명. 583년 농동군 폐지, 585년 개명.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농주 폐지. 관관, 농산(隴山), 견산(汧山), 견수(汧水)가 있음. |
견양현 | 汧陽縣 | 바오지 첸양 현 | 본래 견양군이 있었지만 북주에서 폐지. |
남유현 | 南由縣 | 바오지 시 진타이구 금하진 | 북위대 신설. 서위 때 진으로 격하, 북주에서 현으로 복구. 장사현(長蛇縣)이 있었지만 개황말 본현에 통폐합. 관관, 반룡산(盤龍山)이 있음. |
2. 3. 위진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위진 시대 부풍군에 대한 내용이 없어 요약 및 하위 섹션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2. 3. 1. 행정 구역
주어진 문서는 우부풍의 행정 구역에 관한 내용이 아니라, 당나라 시기 기주(岐州)와 봉상부(鳳翔府)의 연혁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주어진 섹션 제목 '행정 구역'에 부합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원본 소스에는 행정 구역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 속현 목록, 위치 등)가 없으므로, 이 문서에서는 행정 구역 정보를 추출하여 작성할 수 없다.2. 4. 북위
자료가 없습니다.2. 5. 남조
(이전 출력이 원본 소스 없이 생성되었기 때문에, 수정 또한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2. 6. 수
수나라 때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기주(岐州)가 설치되었고 607년(대업 3년)에 부풍군이 설치되었다.[1]3. 지리
(요약 또는 참조할 원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Book of Sui
[5]
서적
New Book of Tang
[6]
서적
漢書
[7]
서적
漢書
[8]
서적
漢書
[9]
서적
後漢書
[10]
서적
한서
[11]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2]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4]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15]
서적
수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