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왕산은 백악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산으로, 안산암질 및 유문암질 마그마에 의해 다양한 화산암층이 생성되었다. 주왕산 응회암은 주상절리, 절벽, 협곡, 동굴, 폭포 등 다양한 지질 명소를 제공하며, 과거에는 불국사층군 각력질 안산암, 경상계 안산암질암, 신라층군 보경사 반암류 등으로 분류되었다. 현재는 입봉 안산암층, 지품 화산암층, 내연산 응회암, 주왕산 응회암, 너구동층, 무포산 응회암 등으로 세분화되어 분류된다. 주왕산은 기암단애, 급수대 주상절리, 주산지, 절골, 주왕계곡 등 다양한 지질유산을 포함하며, 뛰어난 자연경관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낙동정맥 - 영축산
영축산은 낙동정맥의 산줄기에서 솟아오른 산으로, 석가모니가 설법한 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통도사가 남쪽 산록에 위치해 있다. - 낙동정맥 - 백암산 (경북)
- 경상북도의 공원 - 팔공산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경계에 있는 팔공산은 비로봉을 최고봉으로 8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갓바위, 사찰, 역사 유적지, 위락시설 등을 갖춘 관광지이자 후삼국 시대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현장으로 최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의 공원 - 가야산
가야산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 걸쳐 있는 1,430m 높이의 산으로,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험준한 산세, 다양한 지형, 풍부한 생태계, 그리고 해인사를 비롯한 문화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청송군의 지리 - 반변천
- 청송군의 지리 - 보현산
보현산은 중앙산맥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팔공산맥과의 분기점이고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진 산으로, 법룡사와 절터가 있으며 천연기념물 오리장림 숲길과 빙혈에 대한 기록이 있다.
주왕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산 정보 | |
이름 | 주왕산 |
한자 표기 | 周王山 |
높이 | 720.6 m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송군, 영덕군 |
산맥 | 태백산맥, 낙동정맥 |
목록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기본 정보 | |
영문명 | Juwangsan |
![]() | |
해발고도 | 721 m |
위치 | 경상북도, 대한민국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 |
한자 이름 | 靑松 周王山 周王溪谷 一圓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명승 |
지정 번호 | 11 |
지정일 | 2003년 10월 31일 |
주소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산24 등 119필지 |
소유 | 국유, 사유 |
면적 | 8,368,056m2 (지정구역) |
2. 지질
백악기가 끝날 무렵 안산암질 및 유문암질 마그마에 의해 여러 곳에서 화산 작용이 일어나 주왕산이 만들어졌다. 먼저 영덕군 입봉 안산암이 정치되었고, 지품면에서 지품 화산암층, 포항시 청하면으로부터 내연산 응회암, 달산면으로부터 주왕산 응회암과 너구동층, 청하면으로부터 무포산 응회암 순서로 형성되었다. 주왕산 응회암은 냉각에 따른 수직절리에 의해 주상절리와 절벽, 협곡, 동굴, 폭포 등의 수많은 지질 명소를 가진다.[6]
청송군 주왕산에서 포항시 북부 내연산에 이르는 화산암류는 청송도폭(1973)에서 불국사층군 각력질안산암, 도평도폭(1973)에서 경상계 안산암질암, 청하도폭(1968)에서 신라층군 보경사반암류로 명명되었으나 이후 입봉 안산암층, 지품 화산암층, 내연산 응회암, 주왕산 응회암, 너구동층, 무포산 응회암으로 세분되었다.
2. 1. 과거의 분류
과거 청송군 주왕산-포항시 북부 내연산 지역의 화산암류는 불국사층군 각력질안산암, 경상계 안산암질암, 신라층군 보경사반암류 등으로 분류되었다.[1]2. 1. 1. 각력질 안산암
주왕산국립공원의 태행산(933.1 m), 금은광이(812.4 m), 무포산(717.5 m) 일대에 북북서 방향으로 넓게 분포한다. 암석은 담회색, 담홍색 또는 암회색 등을 띠며 안산암은 관입 각력(Intrusive breccia)을 포함하고 사장석, 녹렴석, 녹니석, 견운모, 자철석 등으로 구성된다.2. 1. 2. 안산암질암
청송군 주왕산면 라리와 내룡리, 포항시 죽장면 하옥리 일대에 분포하며 각력질 안산암, 괴상 안산암, 반상 안산암을 뭉뚱그려 안산암으로 지칭했다.[1]2. 1. 3. 보경사 반암류
'''신라층군 보경사 반암류'''(Kb)는 보경사 북서부 내연산(711.3 m), 천령산(774.8 m), 동대산(792.4 m) 일대 산악 지대에 넓게 분포하는 암석이다. 고산 지대를 형성하며 계곡은 침식되어 깊은 계곡을 이루고 곳곳에 폭포도 있다. 주로 암녹색 분암으로 구성되고 각력을 함유하고 있어 화산 각력암의 양상을 지닌 것도 있다. 석기(石基)는 암녹색이며 여기에 백색 장석 반정(斑晶)이 많이 있다. 천령산 부근에서 가송동층 하부 청계리층원을 관입하고 송라면 대전리에서는 가송동층 상부 도천리층원을 관입한다. 절리가 많이 발달해 있으며 현미경 하에서 사장석, 석영, 녹렴석, 견운모로 구성된다.[1]2. 2. 오늘날의 분류
백악기가 끝날 무렵 안산암질 및 유문암질 마그마에 의해 여러 곳에서 화산 작용이 일어나 주왕산이 만들어졌다. 먼저 영덕군 입봉 안산암이 정치되었고, 지품면에서 지품 화산암층, 포항시 청하면으로부터 내연산 응회암, 달산면으로부터 주왕산 응회암과 너구동층, 청하면으로부터 무포산 응회암 순서로 형성되었다. 주왕산 응회암은 냉각에 따른 수직절리에 의해 주상절리와 절벽, 협곡, 동굴, 폭포 등의 수많은 지질 명소를 가진다.[6]청송군 주왕산에서 포항시 북부 내연산에 이르는 화산암류는 청송도폭(1973)에서 불국사층군 각력질안산암, 도평도폭(1973)에서 경상계 안산암질암, 청하도폭(1968)에서 신라층군 보경사반암류로 명명되었으나, 이후 입봉 안산암층, 지품 화산암층, 내연산 응회암, 주왕산 응회암, 너구동층, 무포산 응회암 등으로 세분되었다.
2. 2. 1. 입봉 분암층 (입봉 안산암층)
'''입봉 분암층'''(Ipbong porphyrite영어, 笠峰玢巖層|りゅほふんがんそう일본어) 또는 '''입봉 안산암층'''은 화산암류 중에서 최하부에 해당하며 신양동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지품 화산암층에 의해 덮인다. 영덕도폭(1937)에 의하면 신라통(신라층군) 최상부에 해당하며 용암과 응회암의 호층으로 구성되고 드물게 흑색 셰일과 각력암을 협재하며, 250 m 이상의 두께를 가진다.[7] 주왕산국립공원 동부에서는 전반적으로 하부에서 응회암으로 구성되고 상부에서 용암들로 구성되지만 용암이 훨씬 우세하고 두께 100 m 이하로서 얇은 편이다.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에서는 비반상(非斑狀) 안산암 용암으로만 구성된다. 응회암은 녹회색을 띠고 대체로 5~10 mm 내외의 암편과 부석을 다량 함유하며, 대부분 층리의 발달이 없이 괴상을 나타낸다.[2]2. 2. 2. 지품 화산암층
지품 화산암층은 유문암질 응회암 및 용암으로 구성되며 응회질 사암, 유리쇄설암(hyaloclastite), 응회질 역암과 안산암 용암을 협재한다. 이 암층은 전체적으로 지품면 송천리에서 최고 550m로 가장 두껍고 측방으로 얇아지는 렌즈상 분포를 보인다.[2]2. 2. 3. 내연산 응회암
내연산 응회암은 주왕산 남동부에 분포하며 포항 보경사로 이어진다. 내연산 응회암은 남동부에서 폭발성 분출에 의해 대부분 화쇄류(火碎流)로 북서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왕산 근처에도 모였다.[2]2. 2. 4. 주왕산 응회암
주왕산국립공원 내에 주로 분포하며, 능선부에서 너구동층과 무포산 응회암층에 의해 덮여 불규칙한 8자 모양으로 분포한다. 동쪽 경계부에서 서쪽으로 10.5km, 태행산에서 남쪽으로 13km에 걸쳐 나타나며 너구동층에 의해 덮이고 최대 350m 두께를 가진다. 주왕산 응회암의 공급지는 주 분포지에서 남동쪽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왕산 응회암은 대부분 매우 높은 온도의 유문암질 마그마에서 분출되어 굳어진 용결 회류응회암에 속한다.[2][8][9]2. 2. 5. 너구동층
'''너구동층'''은 주왕산 응회암 위에 놓이고 무포산 응회암에 의해 덮인다. 너구동층은 응회질의 이암, 처트, 셰일, 사암과 역암으로 구성되는 퇴적암층과 반상 안산암 용암층으로 구성되며, 북서쪽으로 가면서 퇴적층이 두꺼워지고 남동쪽으로 가면서 용암층이 두꺼워진다. 이 층은 대체로 고도 500 m 에 위치하며, 청송읍 월외리 너구동마을에서 최고 두께 200 m이고 남동쪽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며 동쪽으로 갈수록 10 m 이하로 급격히 얇아진다. 이는 동쪽에서 이전에 형성된 화산체에 의해 지형적으로 높은 지대였음을 시사한다.[2]2. 2. 6. 무포산 응회암
무포산 응회암은 너구동층과 내연산 응회암, 입봉 안산암층을 덮는다. 두께는 대둔산에서 350m이고 왕거암에서 290m이다. 유문암질 응회암에 속하며, 분출 시기는 67.08±0.96 Ma이다.[2][10]2. 2. 7. 부남암주
'''부남암주'''(府南巖柱, Bunam Stock)는 청송군 부남면 북서부 홍원리-구천리 일대에 분포하는 심성암체로 길이 9.4 km, 너비 4.8 km, 면적 100 km2 이하이다. 조립질화강암, 섬록암, 화강섬록암, 세립질화강암 등 여러 암상으로 혼합되어 있다. 이 암석은 1973년 청송 및 도평 지질도폭에서 백악기의 흑운모 화강암으로 명명되었다. 주변의 하양층군 퇴적암들은 열변성에 의한 혼펠스를 나타낸다. U-Pb 연대측정 결과 가장 젊은 연령은 백악기 후세 상파뉴절을 지시하는 75.75 ± 0.72 Ma이다.[2]3. 지질유산
청송군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왕산에는 주왕산 기암단애,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주산지, 절골, 주왕계곡 등 다양한 지질 명소가 있다.
3. 1. 주왕산 기암단애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산 24 (N 36°24'00.95", E 129°08'55.05")에 있는 주왕산 기암단애는 주방천 계곡에 있는 봉우리로, 유문암질 용결 회류응회암으로 구성된 주왕산 응회암에 속한다. 암체가 수축하면서 생긴 수직 방향의 절리를 따라 침식이 이루어져 현재의 단애가 형성되었다. 대전사 방향에서 보면 사람의 손가락을 모아 하늘로 향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크게 7개의 봉우리로 구성된다.[11]3. 2.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산 6-1 (북위 36°23'53.46", 동경 129°09'35.85")에 있는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는 주왕산 응회암의 용결 회류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방천 계곡의 산책로를 따라 대전사에서 약 3 km 지점에 있는 응회암질 단애이다. 급수대는 주왕산의 많은 응회암질 단애들 중 주상절리가 가장 뚜렷하게 발달하며 수직의 다양한 형태의 주상절리와 수직절리를 관찰할 수 있다.[2]3. 3. 주산지
주산지는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73에 있는 저수지이다. 중생대 백악기에 분출한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치밀용결응회암 위에 만들어졌으며, 이 암석은 암석 내에 광물이 치밀하게 붙어있어 물이 통과하기 어렵다.[12] 농업을 위해 만든 인공 호수로 뿌리와 줄기 밑까지 잠긴 왕버들이 여러 그루 자란다. 김기덕 감독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촬영지였다.

3. 4. 절골
이전면에 있는 주왕산의 골짜기로 초입부의 기암 모습이 장관이다. 계곡이 수려하고 물이 차다.3. 5. 주왕계곡
주왕산은 풍화와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백악기 화산암류로 구성되어 있어 뛰어난 자연경관을 갖고 있으며, 산봉우리마다 중국 진나라에서 피신한 주왕의 전설이 얽혀 있는 등 명승으로서 지정 가치가 커서 2003년 10월 31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11호로 지정되었다.[13]참조
[1]
서적
한국 300 명산 (300 Korean Mountains)
깊은솔 (Gipeunsol)
[2]
웹인용
주왕산국립공원
http://www.knps.or.k[...]
2020-11-04
[3]
웹사이트
문화재청
http://www.cha.go.kr
[4]
서적
한국100명산
[5]
웹인용
주왕산국립공원
http://www.knps.or.k[...]
2020-11-04
[6]
웹인용
국립공원 주왕산의 지질과정과 지형경관 (Geological History and Landscapes of the Juwangsan National Park, Cheongsong)
https://www.dbpia.co[...]
한국암석학회
2017-09
[7]
웹인용
朝鮮地質圖. 第18輯 : 寧海 及 盈德 圖幅
https://data.kigam.r[...]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1937
[8]
웹인용
Welding and textural evolution in the Juwangsan Tuff in Cheongsong, Korea (청송 주왕산응회암의 용결작용과 조직적 진화)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14-08
[9]
웹인용
유상구조를 통한 주왕산응회암의 공급지 추적 (Flow structures and source of Juwangsan Tuff0)
https://www.dbpia.co[...]
한국암석학회
[10]
웹인용
SHRIMP zircon U-Pb dating and stratigraphic relationship of the Bunam stock and Muposan tuff, Cheongsong (청송 부남암주와 무포산응회암의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과 층서관계)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16-08
[11]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11
[12]
웹인용
8. 주산지
https://csgeop.cs.go[...]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13]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명승) 지정
문화재청장
200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