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 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 태왕은 그의 후손들이 내린 시호이며, 생전에 왕이 아니었다. 그는 융적의 침략을 피해 빈을 떠나 기산 아래 정착하여 백성들의 지지를 얻었고, 주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의 아들 계력이 왕위를 잇고, 손자 창이 주 문왕이 되면서 주나라는 번영을 누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나라의 추존왕 - 계력
    계력은 고공단보의 아들이자 서주 문왕의 아버지이며, 고공단보의 예견에 따라 왕위를 이어받아 정의로운 정치를 펼쳤으나 상나라 문정에게 억류되어 굶어 죽었다.
  • 주나라의 추존왕 - 주 문왕
    주 문왕은 상나라 말기에 세력을 확장하고 인재 등용과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쳐 백성들의 신망을 얻었으며, 유리에 유폐되었을 때 《주역》을 저술했다는 설화가 있는 주나라의 제후이자 서백 희창이다.
  • 기원전 12세기 중국의 군주 - 문정
    문정은 상나라의 왕으로, 주나라 제후 계력을 중용했으나 감금 후 죽여 상나라 국력 약화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기원전 12세기 중국의 군주 - 계력
    계력은 고공단보의 아들이자 서주 문왕의 아버지이며, 고공단보의 예견에 따라 왕위를 이어받아 정의로운 정치를 펼쳤으나 상나라 문정에게 억류되어 굶어 죽었다.
  • 기원전 12세기 중국 사람 - 문정
    문정은 상나라의 왕으로, 주나라 제후 계력을 중용했으나 감금 후 죽여 상나라 국력 약화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기원전 12세기 중국 사람 - 제신
    제신은 상나라의 마지막 왕이자 주(紂)로 불리며 폭군으로 묘사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그의 폭군적인 면모가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 태왕
개요
주나라 태왕
주나라 태왕
亶 (dǎn)
희(姬, Jī)
시호태왕(太王, Tài Wáng)
존호고공단보(古公亶父, Gǔgōng Dǎnfù)
묘호없음
생애
출생기원전 12세기
사망기원전 12세기
배우자태강(太姜, Tài Jiāng)
자녀태백(泰伯, Tàibó)
우중(虞仲, Yúzhòng)
계력(季歷, Jìlì)
가계
공숙조류(公叔祖類, Gōngshū Zǔlèi)
불명
기타
왕조주나라
봉호주(周, Zhōu)
직책부족장

2. 명칭

'태왕'은 그의 후손들이 그에게 내린 시호이다. 그는 생전에 왕이 아니었다. 그는 일찍이 예를 들어, ''시경''에서 고공단보(古公亶父)로 알려졌다.[1] 때때로, 몇몇 학자들은 그의 성씨 희(姬|기중국어) ( 왕조의 조상 성씨)를 언급하며 그를 '''기단보'''라고 부르기도 한다.

3. 생애

공숙조류가 죽은 후, 주 태왕은 후직과 공류의 업적을 계승하고 덕과 의를 쌓아 백성들의 신뢰를 얻었다.[3][5]

서융, 북적, 훈육과 같은 융적(戎狄)들이 침략하여 재물을 요구했을 때, 태왕은 백성을 위해 재물을 내주었다.[3][6] 그러나 융적들이 다시 땅과 백성을 요구하자 백성들은 분노하여 싸우려 했다. 이때 태왕은 백성들의 안전과 이익을 위해 싸움을 포기하고, 사병을 이끌고 빈을 떠나 칠수, 저수를 건너고 양산을 넘어 기산 아래로 이주했다.

태왕은 새로운 터전에서 융적의 풍속을 개량하고, 성곽과 가옥을 건설하며, 읍을 나누어 백성들이 안정적으로 살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오관유사(五官有司)라는 관직을 설치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백성들은 태왕의 덕을 칭송하며 노래했다.

태왕에게는 태백, 중옹, 계력 세 아들이 있었다. 태왕은 막내아들 계력의 아내 태임이 낳은 에게서 성스러운 기운을 느끼고, 그가 큰 사업을 이룰 것이라 예견했다. 장남 태백과 차남 중옹은 아버지의 뜻을 헤아려 형만으로 떠나 계력에게 왕위를 양보했다.

마침내 태왕이 죽자 아들인 계력이 뒤를 이었다.[1]

3. 1. 초기 통치와 이주

공숙조류가 죽고 뒤를 이은 주 태왕은 후직과 공류의 사업을 다시 익히고 덕을 쌓고 의를 행하여 온 나라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3][5]

서융, 북적, 훈육과 같은 융적(戎狄)들이 공격해와 재물을 요구하자, 태왕은 그들에게 재물을 내주었다.[3][6] 그러나 얼마 후 그들이 다시 공격하여 땅과 백성을 요구하자 백성들은 분개하여 싸우고자 했다. 태왕은 백성들이 자신을 위해 싸우는 것은 옳지 않다며, 백성을 이롭게 하기 위해 군주가 존재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그들과 싸우지 않았다.

태왕은 사병(私兵)을 거느리고 빈을 떠나 칠수(漆水)와 저수(沮水)를 건너고 양산(梁山)을 넘어 기산 아래에 정착했다. 빈에 있던 사람들은 노인과 아이들을 이끌고 기산 아래로 와 태왕에게 귀순했다. 이웃나라 사람들도 태왕의 어짊을 듣고 많이 귀순했다.[3]

태왕은 융적의 풍속을 개량하고 성곽과 가옥을 건축하고 읍을 나누어 백성들을 살게 했으며, 오관유사(五官有司)를 설치하였다. 백성들은 노래하며 그의 덕을 칭송했다.

시경의 대아(大雅) 면편에는 강족(姜族)의 아내와 함께 기산 기슭으로 온 것, 살 만한 동굴조차 없는 기산 기슭에서 고공단보가 처음부터 나라를 건국하는 모습, 그 후의 번영 등이 노래되어 있다.

태왕에게는 장남 태백과 차남 중옹(仲雍)이 있었고, 막내아들 계력이 있었다. 태왕의 아내 태강(太姜)이 낳은 계력은 태임(太任)을 아내로 맞이했는데, 태강과 태임은 모두 어진 부인이었다. 태임이 창(昌)을 낳았을 때 성스러운 길조가 있어, 태왕은 자신의 시대에 큰 사업을 일으킬 사람이 창이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태백과 중옹은 아버지가 계력을 통해 창에게 왕위를 계승시키려는 것을 알고 형만(荊蠻)으로 달아나 자리를 계력에게 양보했다.

3. 2. 기산 정착과 새로운 통치

융적(戎狄) 중 하나인 훈육(薰育)이 공격해오자 태왕은 재물을 내주었다. 얼마 후 그들이 다시 공격하여 땅과 백성을 요구하자 백성들은 모두 분개하여 싸우고자 했다. 태왕은 백성들의 안전을 위해 싸우지 않고, 사병(私兵)을 거느리고 빈을 떠나 칠수(漆水)와 저수(沮水)를 건너고 양산(梁山)을 넘어 기산 아래 정착했다.[3] 빈에 있던 사람들은 태왕을 따라 기산 아래로 왔고, 이웃나라 사람들도 태왕의 어짊을 듣고 귀순했다. 태왕은 융적의 풍속을 개량하고 성곽과 가옥을 건축하고 읍을 나누어 백성들을 살게 했으며, 오관유사(五官有司)를 설치하였다. 백성들은 노래하며 그 덕을 칭송했다.[3]

태왕에게는 장남 태백(太伯)과 차남 중옹(仲雍)이 있었고, 막내아들 계력(季歷)은 어진 아내 태임(太任)을 맞이하여 아들 (昌)을 낳았다. 태왕은 창에게서 성스러운 길조를 보고, 자신의 시대에 큰 사업을 일으킬 사람이 창이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태백(太伯)과 중옹(仲雍)은 아버지의 뜻을 알고 형만(荊蠻)으로 달아나 계력(季歷)에게 자리를 양보했다.

3. 3. 왕위 계승과 관련된 일화

공숙조류가 죽고 뒤를 이었는데, 후직과 공류의 사업을 다시 익히고 덕을 쌓고 의를 행하자,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태왕을 받들었다.[1]

융적(戎狄)들 중 하나인 훈육(薰育)이 공격해와서 재물을 요구하자 그들에게 재물을 내주었다. 얼마 안 있어 그들이 다시 공격하여 땅과 백성을 요구하자 백성들은 모두 분개하여 싸우고자 했다. 그러자 태왕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그리고는 사병(私兵)을 거느리고 빈을 떠나서 칠수(漆水), 저수(沮水)를 건너고 양산(梁山)을 넘어서 기산(岐山) 아래 정착했다. 빈에 있던 모든 사람들은 노인들을 부축하고 어린이들을 이끌며 모두 기산 아래에서 태왕에게 다시 귀순했다. 그 이웃나라의 사람들도 태왕이 인자하다는 소문을 들었고,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귀순했다. 이때 태왕은 융적의 풍속을 개량하고 성곽과 가옥을 건축하고 읍을 나누어 그들을 살게 했으며, 오관유사(五官有司)를 설치하였다. 그러자 백성들은 모두 노래하며 그 덕을 칭송했다.[1]

태왕에게는 장남인 태백(太伯)과 차남인 중옹(仲雍)이 있었다. 그의 아내 태강(太姜)이 낳은 막내아들 계력(季歷)은 태임(太任)을 아내로 맞이했는데, 태강과 태임은 모두 어진 부인이었다. 태임이 창(昌)을 낳았을 때 성스러운 길조가 있었다. 그러자 태왕은 "나의 시대에 큰 사업을 일으킬 사람이 있을 것이라고 했는데, 그 말은 창에게 해당되는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태백과 중옹은 아버지가 계력을 세워 창에게 왕위를 계승시키려는 것을 알고는 둘이서 형만(荊蠻)으로 달아나서 문신을 하고 머리털을 짧게 자르고서 자리를 계력에게 양보했다. 마침내 태왕이 죽자 아들인 계력이 자리를 이었다.[1]

4. 가계

주 태왕의 삼남은 주 문왕의 아버지인 계력이며, 장남은 태백(太伯), 차남은 우중(虞仲)이다.[1] 주 태왕의 부인은 부인이다.[2]

오나라 왕들의 조상은 차남인 중옹으로 여겨졌으며, 주나라 왕들의 조상은 계력으로 여겨졌다.[2] 이후 태백은 일본에서도 조상으로 여겨졌다.[2]

5. 평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주 태왕' 문서의 '평가' 섹션 내용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6. 역사적 기록과 해석

사기》에서는 후직을 고(高) 신(Emperor Ku)의 아들로 만들고,[3] 그의 가문을 황제와 연결시켰다.[4]

빈의 통치자들은 청절, 황포(皇仆), 차불(差弗), 훼유(毀隃), 공비(公非), 고어(高圉), 아어(亞圉), 공숙조류(公叔祖類)로 기록되었다.[3][5]

서융, 북적, 훈육의 공격에 네 번 매수 시도가 실패하자,[3][6] 족장은 백성을 이끌고 전투하는 대신 가족을 기산 기슭의 위수 계곡으로 옮겼다. 점복을 통해 확정된 후, 빈에 살던 사람들은 동굴과 오두막을 떠나 그들을 따라갔고, 정식 궁궐, 사당, 사직을 갖춘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 유(虞)와 예 부족도 주(周)에 합류하여 공격을 막았다.[3]

초기 주는 빈(Bin)의 전통적인 위치와 멀어 학자들은 산시에서 더 서쪽으로 이주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6. 1. 갑골문 기록과의 비교

시경》에 기록된 종족 찬가에서 희(姬)씨는 하(夏) 왕조 문화 영웅이자 조정 관리인 후직의 기적적인 탄생에서 유래하는데, 이는 그의 어머니가 최고 신 상제가 남긴 발자국을 밟았기 때문이다.[2]사기》는 대신 후직을 고(高) 신(Emperor Ku)의 아들로 만들었다.[3]

사마천은 후직의 아들 불주가 궁중 생활과 태의 영지를 버리고 유목 생활을 하는 서융북적 부족의 삶을 선택했다고 기록한다. 그의 아들 기거는 이러한 생활을 이어가다 공류가 그의 백성을 빈이라는 곳에 정착시켰다.

빈의 번영은 적대적인 민족인 서융, 북적, 훈육의 공격을 초래했다. 단보(Danfu)는 나중에 주(周)의 성장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여겨져, 《시경》의 대아(大雅)와 "기산가(Mount Qi Song)"에서 찬가를 받았으며, 이는 주공이 작곡한 것으로 추정되는 현악기 멜로디이다. 전통적인 중국 기록에서 그는 스스로 주(周)나라를 건국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때로는 위수를 따라 위치한 그의 새로운 정착지에 대한 토착 지명으로 여겨진다.

사실, 상(商)나라 갑골문에 대한 현대 발굴에서 무정 통치 시대에 이보다 최소 한 세기 전에 주의 정치체를 언급하는 기록이 발견되었다.[7]

참조

[1] 논문 Historical Geography and the Extent of the Earliest Chinese Kingdoms Academica Sinica
[2] 서적 Shijing 2023-01-06
[3] Shiji
[4] 논문 Conceptions of Kinship and Kingship in Classical Chou China Brill
[5] 서적 中國人史綱
[6] 서적 Mencius
[7] 서적 The Chinese Heritage Crown Publishers
[8] 문서 『十八史略』では殷を滅ぼした後とするが『史記』に従う。
[9] 문서 但し太公は祖父、あるいは父の事を指す普通名詞であるという異説もある。『史記』斉太公世家では文王は「吾先君太公」と発言しており、父の季歴(公季)の可能性も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