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문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 문왕은 상나라 말기에 서백(西伯)으로 불린 인물로, 백창(伯昌)으로도 불렸다. 그는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쳐 국력을 강화했으나, 상나라 주왕의 견제로 유리에 갇히기도 했다. 석방 후 세력을 확장하여 상나라 멸망을 준비했으며, 그의 아들인 서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기여했다. 주역의 괘사를 짓고, 후천팔괘를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유교에서 숭배받았으며, 정치, 군사, 문화적으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 문왕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창 (姬昌) |
존칭 | 서백 (西伯) |
시호 | 문왕 (文王) |
묘호 | 시조 (始祖) (무측천 추존) |
출생 | 기원전 1152년 (전통적) 또는 기원전 1112년 (현대 추정) |
출생지 | 비 (岐, 주나라) |
사망 | 기원전 1050년 (62세) |
사망지 | 정 (程, 주나라) |
매장지 | 비 (岐, 주나라) |
직책 | |
작위 | 서백(西伯) |
재위기간 | 기원전 1100년기원전 1050년 (50년) |
전임자 | 계력 |
후임자 | 주 무왕 |
가계 | |
부친 | 계력 |
모친 | 태임(太任) |
배우자 | 태사 |
자녀 | 백읍고 주 무왕 선, 관후 단 도, 채후 봉, 위백 무, 성백 저, 곽군 정, 모백 재, 단군 진탁, 조후 휴, 등후 고, 필백 |
기타 정보 | |
춘추시대의 국가 | 郜(고)나라 옹나라 모숙정 등숙수 필공고 원백 풍후 순후 뇌숙영 |
2. 생애
상나라 말기 서백(西伯)이 되었고, 이 때문에 백창(伯昌)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는 유능한 인물들을 등용하고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국력을 크게 키웠다. 그러나 상나라 주왕(紂王)은 문왕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경계하여 그를 유리(현재의 허난성 탕인현)에 가두었다. 문왕은 갇혀 있는 동안 주역을 저술하였다고 전해진다. 이후 문왕은 여러 보물과 조정 신하들의 도움으로 풀려날 수 있었다.
문왕은 우(虞)와 예(芮) 두 나라의 분쟁을 해결해주었고, 견융, 밀수, 려(黎), 한(邗) 등을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또한 숭을 멸망시키고 풍읍(현재의 산시성 후이구)으로 수도를 옮겨 세력을 더욱 넓혔다. 강수, 한수, 여수 유역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당시 천하의 3분의 2를 차지할 정도였다고 한다.
문왕은 주 무왕에게 상나라를 멸망시킬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현재 전해지는 주역과 후천팔괘(後天八卦, 또는 문왕팔괘)는 모두 문왕의 저서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주역이 기원전 403년 이후에 체계가 갖추어진 것으로 보며, 문왕, 주공, 공자가 주역을 나누어 지었다는 설은 근거가 부족하다고 본다.
문왕은 본래 술을 좋아하여 술병 천 개를 마실 정도였다고 한다. 측천무후는 무주를 세웠을 때, 스스로 무씨(武氏) 가문이 문왕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문왕을 시조(始祖) 문황제(文皇帝)로 추존하였다.
중국 학자들은 치산현에서 발굴된 갑골문 비문에 언급된 주방백(周方白)을 문왕과 동일 인물로 간주하기도 한다.[2]
2. 1. 초기 생애와 통치
상나라 말기 서백(西伯)이 되었고, 이 때문에 백창(伯昌)으로 일컫기도 한다. 그는 인재를 등용하고 백성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국력을 키웠다. 아버지 계력은 기원전 12세기 말 상나라 왕 문정에게 배신당해 처형되었고, 어린 창이 주나라의 군주가 되었다.문왕은 태임과 기력의 아들이었으며, 현재의 산시성 웨이강 유역에 위치한 상 왕조의 제후국 전주의 군주였다. 그는 태사와 결혼하여 10명의 아들과 1명의 딸을 낳았고, 첩에게서도 최소 8명의 아들을 더 두었다.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
부 | 계력 |
모 | 태임 |
처 | 태사 |
장남 | 백읍고 |
차남 | 무왕 발 |
삼남 | 관숙 선 |
사남 | 주공 단 |
오남 | 채숙 탁 |
육남 | 강숙 봉 |
칠남 | 성숙 무 |
팔남 | 곽숙 처 |
구남 | 모숙 정 |
십남 | 담계 재 |
십일남 | 곡숙(郜叔) |
십이남 | 옹백(雍伯) |
십삼남 | 조숙 진탁 |
십사남 | 착숙 수(錯叔 繡) |
십오남 | 필공 고 |
십육남 | 원백 |
십칠남 | 풍후(豊侯) |
십팔남 | 순백(郇伯) |
상나라 주왕은 문왕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두려워하여 그를 유리(현재의 허난성 탕인현)에 가두었다.[3] 장남 백읍고는 주왕에게 살해되었으나, 많은 신하들의 도움으로 문왕은 풀려나고 서백(西伯)이라는 지위를 받았다.[4] 문왕은 주왕에게 화형의 형벌을 폐지해달라고 요청했고, 그 소원은 받아들여졌다.
고향으로 돌아온 문왕은 주왕을 전복할 계획을 세웠다. 서백이 된 첫 해, 유와 예 두 국가 간의 토지 분쟁을 해결하여 제후들 사이에서 인정을 받았다. 이듬해, 문왕은 강태공을 군사 고문으로 삼았다. 그는 견융을 격퇴하고 영토 일부를 점령했으며, 미수, 리, 이를 공격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숭을 공격하여 맹진으로 가는 길을 확보하고, 행정 수도를 풍으로 옮겨 상나라를 위협했다.[5]
2. 2. 유리에 갇힘과 석방
상나라 주왕(紂王)은 문왕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두려워하여 숭후의 모함을 받아들여 그를 유리(현재의 허난성 탕인현)에 가두었다.[3] 문왕은 유리에 수감된 기간 동안 주역을 연구하고 저술하였다.[3]문왕의 장남 백읍고는 아버지의 석방을 위해 주왕을 찾아갔으나, 주왕의 분노를 사 능지형을 당하고 그 살로 만든 고기는 문왕에게 먹여졌다.[4] 그러나 많은 신하들(특히 삼이생과 홍요)은 문왕의 훌륭한 통치를 존경하여 주왕에게 금, 말, 여자 등 많은 선물을 바쳤다. 이에 주왕은 문왕을 풀어주고 그의 개인 무기를 하사하며 서백(西伯, 서쪽의 제후)이라는 특별한 지위를 부여했다.[4] 문왕은 주왕에게 서락 지역의 땅을 바치고, 주왕은 문왕에게 마지막 소원을 말하라고 했다. 문왕은 화형의 형벌을 폐지해달라고 요청했고, 그 소원은 받아들여졌다.
석방된 후, 고향으로 돌아온 문왕은 비밀리에 주왕을 전복할 계획을 세웠다.
2. 3. 세력 확장과 상나라 멸망 준비
주왕의 폭정에 대한 반발로, 석방된 후 문왕은 복수를 다짐하고 은밀히 상나라를 전복할 계획을 세웠다. 서백(西伯)이 된 첫 해, 유(虞)와 예(芮) 두 나라 간의 토지 분쟁을 해결하여 제후들 사이에서 인정을 받았으며, 일부 제후들은 그를 "왕"이라 부르기 시작했다.[4] 이듬해, 문왕은 반수(磻水)에서 강태공을 만나 군사 고문으로 삼았다.[4] 그는 견융의 침략을 격퇴하고 영토 일부를 점령했으며, 이듬해 완(阮)과 공(共)의 소국을 괴롭히던 밀수(密須)의 군주를 공격하여 세 나라를 병합했다. 그 다음 해에는 상나라의 꼭두각시였던 리(黎)를 공격하고, 또 그 다음 해에는 상나라에 반기를 든 이(軧)를 정복했다. 1년 후, 숙적인 숭후(崇侯)의 영지인 숭(崇)을 공격하여 맹진(盟津)으로 가는 길을 확보, 상나라로 진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5]문왕은 직접 소유하거나 동맹을 통해 왕국의 약 3분의 2를 확보했으며, 행정 수도를 기산(岐山)에서 풍(豐)으로 동쪽으로 100km 옮겨 상나라를 압박했다.[5] 그러나 이듬해, 문왕은 상나라 정벌을 완수하지 못하고 사망했다.[6] 그의 사후 4년 뒤, 둘째 아들 주 무왕이 뒤를 이어 목야 전투에서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건국했다.[7]
2. 4. 죽음과 주나라 건국
문왕은 임종 시에 주 무왕을 불러 서둘러 상(商)나라를 멸망시킬 것을 도모하라고 당부했다.[8]주 무왕은 아버지 문왕의 뒤를 이어 4년뒤, 목야 전투에서 상나라를 무너뜨리고 주나라를 건국했다.[7] 문왕의 시호인 "문(文)"은 "교양 있는" 또는 "문명화된"을 의미하며, 무왕이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지은 공식적인 왕의 시호였다. 문왕은 주나라 초기에 거의 유일하게 "문"이라는 시호를 받은 귀족이었으며, 이는 특별한 특권이었음을 시사한다.[8]
3. 천명사상
천명은 주 왕조 시대에 널리 퍼져 이후 수천 년 동안 지지를 받았던 정치적 정당성 이론이다.[8] 이 이론에 따르면, 하늘은 군주가 봉신을 세우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군주를 세웠으며, 문왕은 상 왕들의 덕이 쇠퇴했기 때문에 하늘의 명을 받았다고 한다.[11] 이 정치 이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교해졌지만 문왕이 하늘을 읽는 것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전해지는 기록은 문왕이 천명을 받은 시점을 명시하지 않지만, 널리 퍼진 전통은 그가 경력 중 어느 시점에서 천명을 받았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의 정복, 투옥, 설립, 반란은 전통적인 상대적 연대기를 형성하지만, 주 왕조가 중국 정치 사상에 기여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불리는 것의 씨앗을 형성한 천문 현상에 대한 현대 학자들이 계산한 절대적 날짜[15]는 문왕의 연대기에 확실하게 끼워 넣을 수 없다.
3. 1. 천명사상의 내용
하늘은 군주가 봉신을 세우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군주를 세웠으며, 정당성은 하늘의 뜻으로부터 통치자의 인격을 거쳐 그의 영주들과 그의 가족에게 흘러갔다.[8][9] 군주는 전 왕조 시대 주나라의 부계 친족 사회와 유사하게 하늘의 장자로 여겨졌다. 군주가 충분히 덕이 없으면 하늘은 다양한 징조나 재앙으로 예고된 새로운 후계자를 선택할 것이다.[10] 문왕은 상 왕들의 덕이 너무 쇠퇴했기 때문에 하늘의 명을 받았다고 한다.[11]기원전 1059년, 두 가지 특이한 천문 현상이 일어났다. 5월에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다섯 행성의 500년 만에 가장 조밀한 결합이 게자리에서 보였고, 몇 계절 뒤에는 혜성 1P/핼리가 출현했다.[12] 이 중 하나 이상이[13] 문왕에 의해 그의 신성한 임명을 나타내는 가시적인 징조로 해석되었다.[14] 명문과 같은 초기 기록은 하늘의 명을 실제 천문 사건의 관점에서 "하늘의 위대한 명령"(天有大令|티엔여우따링중국어)으로 설명한다.[13]
3. 2. 천명사상의 영향
천명사상은 주 왕조 시대에 널리 퍼졌으며, 이후 수천 년 동안 지지자를 얻은 정치적 정당성 이론이다.[8] 이 이론에 따르면, 하늘은 군주가 봉신을 세우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군주를 세웠으며,[8] 정당성은 하늘의 뜻으로부터 통치자의 인격을 거쳐 그의 영주들과 그의 가족에게 흘러갔다.[9] 군주는 전 왕조 시대 주나라의 부계 친족 사회와 유사하게 하늘의 장자로 여겨졌다. 군주가 충분히 덕이 없으면 하늘은 다양한 징조나 재앙으로 예고된 새로운 후계자를 선택할 것이다.[10] 문왕은 상나라 왕들의 덕이 쇠퇴했기 때문에 하늘의 명을 받았다고 한다.[11] 이 정치 이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교해졌지만 문왕이 하늘을 읽는 것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기원전 1059년, 두 가지 특이한 천문 현상이 일어났다. 5월에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다섯 행성의 500년 만에 가장 조밀한 결합이 게자리에서 보였고, 몇 계절 뒤에는 혜성 1P/핼리가 나타났다.[12] 이 중 하나 이상이[13] 문왕에 의해 그의 신성한 임명을 나타내는 가시적인 징조로 해석되었다.[14] 명문과 같은 초기 기록은 하늘의 명을 실제 천문 사건의 관점에서 "하늘의 위대한 명령"(天有大令|천유대령중국어)으로 설명한다.[13]
전해지는 기록은 문왕이 천명을 받은 시점을 명시하지 않지만, 널리 퍼진 전통은 그가 경력 중 어느 시점에서 천명을 받았다는 것에 동의한다.
4. 유산과 평가
문왕은 상나라 말기 서백(西伯)으로 불렸으며, 백창(伯昌)이라고도 한다. 유능한 인재 등용과 백성을 위한 정치로 국력을 강화했으나, 상나라 주왕(紂王)의 의심을 사 유리(羑里)에 갇혔다. 그는 갇혀 있는 동안 주역을 저술했다고 전해진다.[16] 석방 후에는 주변 국가들과의 분쟁을 해결하고, 여러 나라를 정벌하여 강수(江水), 한수(漢水), 여수(汝水) 유역까지 세력을 넓히며 상나라 멸망의 기반을 다졌다.[16]
문왕은 임종 시 아들 서주 무왕에게 상나라 멸망을 당부했으며, 현재 통용되는 주역 및 후천팔괘(문왕팔괘)가 그의 저서라고 전해진다.[16] 그는 술을 좋아하여 술병 천 개를 마실 정도였다고 하며, 측천무후는 무주 건국 시 문왕을 시조 문황제(文皇帝)로 추존했다.[16]
유교에서는 문왕이 주역의 괘사(卦辭)를 짓고 복희 선천 팔괘를 연역(演易)하여 후천 팔괘를 지었다고 전해지나, 오늘날에는 주역이 기원전 403년 이후에 체제가 갖추어진 것으로 보아 해당 설은 근거가 부족하다고 본다.[16] 시경에는 주 문왕을 찬양하는 내용이 많이 나온다.
4. 1. 정치적 유산

시경의 오래된 송시 중 상당수는 주 문왕을 찬양하는 찬가이다. 그는 공자의 위대한 영웅이었으며, 공자의 추종자들은 중국 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2. 군사적 업적
문왕은 주변의 견융(犬戎), 밀수 등을 공격하고, 려(黎), 한(邗)을 공격했으며, 숭(崇)을 쳐서 멸망시켰다. 또한 세력을 넓혀 강수(江水), 한수(漢水), 여수(汝水) 등의 유역까지 이르렀다.[16] 이러한 군사적 확장을 통해 상나라를 멸망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고, 제후들이 문왕에게 복속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문왕 만년에 이미 천하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국면이었다고 한다.[16]4. 3. 문화적 영향
周文王|주 문왕중국어은 유교 문화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가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주역은 유교의 주요 경전 중 하나로, 후대 학자들의 연구와 저술 활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시경과 같은 문학 작품에서도 문왕을 숭배하는 내용이 나타나는데, 이는 문왕이 당대에 이미 성군으로 추앙받았음을 보여준다.[16]공자는 문왕을 위대한 영웅으로 존경했으며, 그의 추종자들은 중국 문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문왕은 팔괘를 조합하여 주역의 64괘를 만들고, 각 괘에 대한 해설인 단사(斷辭)를 썼다고 전해진다.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64괘 배열은 문왕의 업적으로 여겨진다.[17]
후대에 문왕은 더욱 숭배되어 성군으로 추앙받았다. 유교에서는 춘추전국 시대 유학자들이 서주 시대를 모범으로 삼고, 주 왕조 관련 서적을 경전으로 삼으면서 문왕, 무왕, 주공단을 함께 숭배했다. 특히 폭군 주왕(紂王)에 대항한 문왕과 무왕의 혁명은 은의 탕왕의 사적과 연결되어 자주 언급되었다. 문왕은 반역을 실행하지 않고 신하로 남았다는 점에서 대의명분론, 존왕론, 충의관의 근본을 묻는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40][41]
문왕은 민간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으며, 명대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여상(태공망) 다음가는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21세기에는 류츠신의 SF 소설 삼체에서 극중 인물 중 하나로 상징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4. 4. 한국에 미친 영향
조선 시대 유학자들은 주 문왕을 무왕, 주공단과 함께 숭배했으며, 『논어』와 『맹자』 등 유교 경전에 문왕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특히, 폭군 주왕에 맞서 혁명을 일으킨 문왕과 무왕의 이야기는, 하나라 걸왕에 맞서 혁명을 일으킨 은나라 탕왕의 이야기와 함께 자주 거론되었다. 탕왕과 무왕은 반역을 실행했지만(탕무방벌), 문왕은 끝까지 신하로 남았다는 점에서 유교의 대의명분론, 존왕론, 충의 사상의 근본을 묻는 중요한 논쟁거리였다.[40][41]사마천은 『사기』에서 무왕을 간하다 굶어 죽은 백이·숙제의 운명을 두고 "하늘의 도가 옳은가 그른가"라며 탄식했다. 이후 한유는 유폐된 문왕을 노래한 '구유조'라는 시를 지었는데, 이를 두고 에도 시대 주자학자 야마자키 안사이와 그의 제자들인 사토 나오카타, 아사미 쿄사이, 미야케 쇼사이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40][41]
5. 가계
부모 | |
---|---|
배우자 | |
아들 (출생 순) |
참조
[1]
웹사이트
Zhou Wenwang 周文王, King Wen of Zhou
http://www.chinaknow[...]
2010-12-19
[2]
학위논문
Problems in the Studies of Zhou Oracle-Bone Script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3]
문서
Cihai
[4]
학술저널
Names and Titles in Eastern Zhou Texts
Brill
[5]
학술저널
Western "Capitals" of the Western Zhou Dynasty: Historical Reality and Its Reflections Until the Time of Sima Qian
Harrassowitz Verlag
2008
[6]
서적
EL MUNDO CHINO
Editorial Planeta Colombiana
[7]
문서
Shiji
Zhonghua Publishing
10s BCE
[8]
학술저널
The Concept of Wen in the Ancient Chinese Ancestral Cult
[9]
서적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Penguin Random House UK
[10]
웹사이트
What Is the Mandate of Heaven in China?
https://www.thoughtc[...]
Dotdash Meredith
2019-08-01
[11]
학술저널
The Emergence of the Notion of Predetermined Fate in Early China
Springer
[12]
학술저널
The cosmo-political background of Heaven's Mand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학술저널
On the identity of Shang Di 上帝 and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a Celestial Mandate (Tian Ming 天命)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Bureaucracy and the State in Early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학술저널
Son of Heaven and Son of God: Interactions among Ancient Asiatic Cultures regarding Sacral Kingship and Theophoric Na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문서
The Origins of Statecraft
[18]
문서
Vol. 20 Tables of Persons - Then and Now
https://zh.m.wikisou[...]
[19]
문서
Hereditary Houses of Guan and Cai
https://ctext.org/sh[...]
[20]
문서
Protectors and Tutors (保傅)
https://ctext.org/da[...]
[21]
문서
Duke Xi -24th year - zhuan
https://zh.wikisourc[...]
[22]
웹사이트
Mao Gong 毛公, the Dukes of Mao
http://www.chinaknow[...]
2012
[23]
웹사이트
The Regional State of Teng 滕
http://www.chinaknow[...]
2018
[24]
웹사이트
The Regional State of Wei 魏
http://www.chinaknow[...]
2018
[25]
문서
Those whom kings consider not their subjects
https://ctext.org/ba[...]
[26]
문서
Pneuma & Longevity
https://ctext.org/lu[...]
[27]
문서
Records of the Generations of Emperors and Kings
https://w.zh.wikisou[...]
[28]
웹사이트
Shao Gong Shi 召公奭, the Duke of Shao
http://www.chinaknow[...]
2011
[29]
문서
Yuanhe Xingzuan
https://zh.m.wikisou[...]
[30]
문서
大誥
[31]
인용문
離婁下
[32]
학술저널
基調講演記録 華夷の変 ―華語語系研究の新しいビジョン―
https://aichiu.repo.[...]
愛知大学国際問題研究所
2020-03-16
[33]
학술저널
清朝の「非漢民族世界」における「大中華」の表現 : 『大義覚迷録』から『清帝遜位詔書』まで
https://ushimane.rep[...]
島根県立大学北東アジア地域研究センター
2018-09
[34]
리포트
第8回 「中華」の世界観と「正統」の歴史
https://ocw.u-tokyo.[...]
東京大学教養学部
2021
[35]
문서
中国の歴史人物事典
[36]
서적
史記集解
[37]
서적
史記
[38]
서적
春秋
[39]
서적
十八史略
[40]
논문
山崎闇斎編『拘幽操』における朱熹説理解について
https://ir.lib.hiros[...]
東洋古典學研究會
1999-05
[41]
논문
近世中期の日本における忠義の観念について -山崎闇斎学派を中心に-
https://waseda.repo.[...]
早稲田大学総合人文科学研究センター
201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