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림온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림온천역은 전라선에 있는 역으로, 1929년 죽림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남관역을 거쳐 1999년 현재의 죽림온천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전라선 이설과 함께 역사가 이전되었으며, 과거에는 슬치고개 때문에 피난선이 설치되기도 했다. 현재는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 역 주변에 죽림온천이 있었으나 폐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주군의 건축물 - 신리역
신리역은 1931년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현 역사가 완공되었으나, 2010년 여객 취급이 중지된 전라선에 위치했던 역이다. - 완주군의 건축물 - 삼례역
삼례역은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 위치한 전라선의 철도역으로, 회안대군에게 주민들이 예를 올린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1914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11년 역사 이전 후 현재는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군산역
군산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2008년 신군산역에서 개칭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ITX-새마을, 무궁화호, 서해금빛열차가 정차하고 화물 취급도 가능하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 전라선 - 개운역
개운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철도역으로, 1936년 학구역으로 개업하여 구만역을 거쳐 2000년 개운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나, 현재는 여객 및 화물 취급이 중지된 무배치간이역이다. - 전라선 - 옹정역
옹정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과거 여객 취급을 했으나 현재는 중지되었고, 전라선 복선 전철화로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남원역과 곡성역 사이에 위치하여 노선 상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남원시 주민들의 교통 편의에 기여한다.
죽림온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색상 | '#0066B3' |
문자 색상 | '' |
역 이름 | 죽림온천역 |
![]() | |
모국어 표기 | 죽림온천 |
읽기 | 충님온천 |
로마자 표기 | Jungnim Oncheon |
부역명 | '' |
소속 노선 | 전라선 |
이전 역 | 신리 |
다음 역 | 관촌 |
역간 거리 (신리 방면) | 4.8 |
역간 거리 (관촌 방면) | 9.0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푸치길 44-7 |
위도 | 35° 44' 1.8" N |
경도 | 127° 13' 42.6" E |
역 번호 | ''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KORAIL) |
역 종류 | 무배치 간이역 (신리 관리) |
역 등급 | '' |
킬로미터 | 40.0 |
기점역 | 익산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4선 |
승차 인원 | '' |
통계 연도 | '' |
승강 인원 | '' |
개업일 | 1929년 6월 16일 |
폐지일 | '' |
환승 | '' |
비고 | '' |
한국어 정보 | |
한글 | 죽림온천역 |
한자 | 竹林溫泉驛 |
히라가나 | ちくりんおんせんえき |
가타카나 | チュンニモンチョンニョク |
로마자 | Jungnim Oncheon Station |
철도역 정보 (한국어) | |
역명 | 죽림온천 |
![]() |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전주관리역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북치길 44-7 |
개업일 | 1929년 6월 16일 |
종별 | 무배치간이역 |
승강장 | 2면 4선(쌍섬식 승강장) |
노선 1 | 전라선 |
영업 거리 1 | 익산 기점 40.0 km |
이전 역 1 | 신리 |
이전 역 거리 1 | 5.1 |
다음 역 1 | 관촌 |
다음 역 거리 1 | 9.0 |
2. 역사
1929년 6월 16일 '''죽림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31년 10월 1일 '''남관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고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77년 5월 16일 신호장으로 격하되었다가, 1986년 1월 15일 역원배치 신호장으로 승급되었다. 1997년 11월 18일 현재 역사가 준공되었고, 1999년 5월 1일 '''죽림온천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04년 12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2006년 11월 1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4]
2. 1. 죽림역 (1929년 ~ 1931년)
1929년 6월 16일 전라북도 전주군 상관면 용암리 476번지[2]에서 '''죽림역'''(竹林驛)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당시 등급은 배치간이역이었다.[2]2. 2. 남관역 (1931년 ~ 1999년)
1931년 10월 1일 역명을 '''남관역'''(南關驛)으로 변경하고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2] 1977년 5월 16일 여객 및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신호장으로 격하되었다.[3] 1986년 1월 15일 역원배치 신호장(관리역: 신리역)으로 승급되었다. 1997년 11월 18일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다.전라선 직선화 이전 남관역 시절에는 여수 방면으로 가려면 슬치고개를 넘어야 했는데, 이 고개의 경사가 심하여 증기 기관차로는 쉽게 넘기 어려웠다. 그래서 남관역에서 모든 열차가 잠시 정차하여 증기 압력을 최대로 높이고 올라갔다. 여수 방면 관촌역에서 급경사의 슬치재를 내려오던 기차에 제동이 걸리지 않는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남관역 앞에 인근 산으로 향하는 오르막 분기선(피난선)을 설치하여 안전을 확보하였다. 이는 전라선 유일의 피난선이었다.
현재 남관역은 승강장 구조물만 약간 남아 있으며, 피난선의 흔적도 찾아볼 수 있다.
2. 3. 죽림온천역 (1999년 ~ 현재)
1999년 5월 1일 : 전라선 이설과 함께 역사를 이전하고 역명을 '''죽림온천역'''으로 변경하였다.[4]2004년 12월 10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4]
2006년 11월 1일 :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4]
3. 역 구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과거 남관역 시절 승강장 구조물 흔적이 남아있다. 피난선의 흔적도 엿볼 수 있다.
4. 역 주변
역명 유래인 죽림온천이 있었으나, 현재 온천 시설은 경영난으로 모두 폐업 상태이다.[1]
5. 인접역
죽림온천역의 인접역에 대한 정보는 전라선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5. 1. 전라선
전주역 - (신리역) - '''죽림온천역''' - (관촌역) - 임실역참조
[1]
뉴스
철의 궤도: 전라선 철길 답사기 ⑦ 신리역·남관역·죽림온천역 물 흐르는 대로, 산 휘어진 대로…이제는 멈출 일도 없이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7-07-07
[2]
웹사이트
매각대상 자산현황
http://info.korail.c[...]
한국철도공사
2016-03-04
[3]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0호
대한민국관보
1977-05-07
[4]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http://gwanbo.mois.g[...]
대한민국관보
2004-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