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의 베트남 지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의 베트남 지배는 기원전 111년부터 939년 베트남이 독립을 쟁취하기까지, 그리고 1407년부터 1428년까지 명나라의 지배를 포함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한나라는 남월을 멸망시키고 교주 등을 설치하여 간접 통치를 시작했고, 이후 여러 중국 왕조가 베트남을 지배했다. 베트남은 중국으로부터 농업 기술, 불교, 도교 등 다양한 문물을 수용했으며, 언어,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중국의 지배는 베트남 민족주의 사학에서 저항과 독립을 위한 투쟁의 역사로 강조되며, 베트남의 역사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역사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중국의 베트남 지배
개요
중국의 베트남 지배 기간 동안의 베트남 영토 변화
중국의 베트남 지배
별칭박 thuộc (北屬)
기간기원전 111년 – 939년
이전아우락
이후응오 왕조
역사적 시대
발생 원인
기원전 111년남비엣 정복
938년박당강 전투
영토
위치지금의 베트남 북부와 중부
정부
수도롱비엔 (기원전 111년 – 618년), 중국 행정부 소재지
일반적인 용어자오지아오
형태식민지 정부
총독
기원전 111년 - 14년시딴
40년 - 43년수딩
43년 - 46년렌이
46년 - 49년두후이
49년 - 52년리보
52년 - 54년덩준
54년 - 56년황창
56년 - 59년루오양
59년 - 62년지충
62년 - 65년시제
65년 - 68년장옌
68년 - 71년얀칭
71년 - 74년장무
74년 - 77년간단
77년 - 80년페이주
80년 - 83년자오롱
83년 - 87년자오창
87년 - 90년투누
90년 - 93년
93년 - 97년코우단
97년 - 103년싱광
103년 - 106년시지
106년 - 109년렌샹
109년 - 111년장무
111년 - 113년리안
113년 - 116년강전
116년 - 120년리고우
120년 - 123년탕시
123년 - 126년첸푸
126년 - 129년쿠이치
129년 - 132년장링
132년 - 135년웨이랑
135년 - 138년쿤디안
138년 - 141년장 차오
141년 - 144년두샹
144년 - 147년자오원
147년 - 150년샤오웨이
150년 - 153년쿠이준
153년 - 156년딩궁
156년 - 159년지아오웨이
159년 - 162년딩진
162년 - 166년황징
166년 - 169년자이광
169년 - 172년비첸
172년 - 175년리진
175년 - 178년장진
178년 - 181년손 완
181년 - 184년양궁
184년 - 187년주준
187년 - 190년왕민
190년 - 193년라이공
193년 - 196년시에위
196년 - 199년리미
199년 - 203년조사
203년 - 208년장진
208년 - 211년류시
211년 - 217년쉬징
217년 - 220년장목
220년 - 226년천시
226년 - 230년우즈
230년 - 233년루이다이
233년 - 236년가오량
236년 - 239년류인
239년 - 242년루이즈
242년 - 245년우숴
245년 - 248년주우
248년 - 251년첸준
251년 - 254년양지
254년 - 257년몽종
257년 - 261년손준
261년 - 264년양페이
264년 - 269년타오황
269년 - 273년메이다이
273년 - 276년시자
276년 - 280년장용
280년 - 284년시주
284년 - 287년웨이춘
287년 - 290년비시우
290년 - 293년웬차이
293년 - 296년오시안
296년 - 300년쿠이주
300년 - 303년첸치
303년 - 307년첸후이
307년 - 310년종자
310년 - 314년딩이
314년 - 317년다이도
317년 - 321년웬단
321년 - 324년리후
324년 - 327년동후
327년 - 331년루오유
331년 - 334년양지
334년 - 337년닝수이
337년 - 340년루오후이
340년 - 343년량마오
343년 - 347년장무
347년 - 350년페이 이
350년 - 353년루오전
353년 - 356년리수이
356년 - 360년장웨이
360년 - 363년시 탄
363년 - 366년리 쑤
366년 - 369년가오야오
369년 - 373년루오 구앙
373년 - 376년펑쑤
376년 - 379년당탕
379년 - 382년가오 번
382년 - 385년류오
385년 - 388년쿵 모
388년 - 392년양보
392년 - 395년두 타오
395년 - 398년초 다이
398년 - 401년다오 퀸
401년 - 404년다오 즈
404년 - 407년이 후
407년 - 410년장 칸
410년 - 413년두 후이
413년 - 416년이 롱
416년 - 419년구 린
419년 - 422년타이 훙
422년 - 425년도 지
425년 - 428년리 추
428년 - 431년구 양
431년 - 434년페이 옌치
434년 - 437년주 슈안
437년 - 440년탄 허지
440년 - 443년장 징
443년 - 446년시 후이
446년 - 449년보 시
449년 - 452년구 린즈
452년 - 455년카이 싱
455년 - 458년구 솅
458년 - 461년징 시
461년 - 464년왕 후안
464년 - 467년웨 준
467년 - 470년징 웬지
470년 - 473년텐 밍
473년 - 476년웨 린
476년 - 479년웨 린즈
479년 - 482년웨 즈키안
482년 - 485년시 카이
485년 - 488년마우 지
488년 - 491년류 칭지
491년 - 494년양 시안
494년 - 497년리 핑
497년 - 500년구 후이
500년 - 503년야오 즈
503년 - 506년웨 린
506년 - 509년웨 얀
509년 - 512년카오 웬종
512년 - 515년루오 엔 얀
515년 - 518년웨 옌싱
518년 - 521년쟝 타오
521년 - 524년리 롱
524년 - 527년시 탄
527년 - 530년우싱 츠
530년 - 533년웨 즈 린
533년 - 536년종후앙 젱
536년 - 539년후 치 윈
539년 - 541년파이 니
역사
첫 번째 중국의 지배기원전 111년 - 39년
쯩 자매의 반란40년 - 43년
두 번째 중국의 지배43년 - 541년
리 남데의 반란542년 - 602년
세 번째 중국의 지배603년 - 905년
쿠크 씨의 자치905년 - 938년
박당강 전투938년
통치 왕조
서한기원전 111년 – 8년
8년 – 23년
후한25년 – 220년
동오220년 – 280년
서진280년 – 316년
동진317년 – 420년
유송420년 – 479년
남제479년 – 502년
502년 – 557년
557년 – 589년
589년 – 618년
618년 – 907년
남한907년 – 938년

2. 역사적 배경

북속기는 베트남 역사에서 중국 왕조의 지배를 받던 시기를 통칭하며, 크게 네 차례로 구분된다.

기원전 2세기경, 남월이 북베트남의 어우락을 병합했다. 기원전 111년 남월은 한나라의 공격을 받아 멸망했고, 한나라는 북베트남에 교지군, 구진군, 일남군을 설치하고 교주에 편입시켜 간접 통치했다. 그러나 베트남인들은 남월을 자국의 역사로 간주하여 북속기에서 제외하기도 한다.[11]

북속기의 구분
시기중국 왕조연도설명
제1차 북속기전한 - 신나라 - 후한기원전 111년 – 서기 40년한-남월 전쟁에서 한나라 승리 후 시작. 쯩 자매의 반란으로 종결.
제2차 북속기후한 - 동오 - 서진 - 동진 - 유송 - 남제 - 양나라43년 – 544년쯩 자매의 반란 이후 중국 지배 회복. 리 남 데의 반란과 초기 리 왕조 건국으로 종결.
제3차 북속기수나라 - 당나라 - 무주 - 남한602년 – 905년/939년수-전기 리 전쟁 이후 베트남 재통합. 응오 꾸옌이 백당 전투에서 승리하고 응오 왕조를 선포하며 종결.
제4차 북속기명나라1407년 – 1428년명나라의 호 왕조 정복 이후 지배. 레 로이의 람 선의 봉기 성공과 후 레 왕조 건국으로 종결.


2. 1. 제1차 북속기 (기원전 111년 – 서기 40년)

기원전 111년, 한나라(고조 유방이 세운)는 남월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한나라는 베트남 북부에 교지군(交趾郡), 구진군(九真郡), 일남군(日南郡)을 설치하고, 이 지역들과 현재 중국에 속하는 6개의 군을 합쳐 교주를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통치했다.[11]

초기에 한나라는 교주에 있던 락후(貉侯)와 락장(貉將)이라는 조직을 통해 통치했지만, 점차 한나라의 행정 제도를 도입했다. 중앙에서 자사를 임명하고, 자사 아래의 태수가 통치를 맡았다.[12][13][14] 그러나 한나라는 여전히 현지인에게 봉토를 주고 통치를 위임한 지역도 있었다.[12][13]

전한의 통치 아래, 한나라의 관리와 상인들이 남해의 부를 찾아 북베트남으로 이주해 왔다.[18] 이들은 점차 토착화되어 현지 봉건 세력과 함께 지배 계급을 이루었다.[15] 한나라에서 파견된 통치자 중에는 백성에게 칭송받는 이도 있었지만, 가혹한 수탈을 하는 관료가 많아 한나라 지배에 대한 반감이 커졌다.[16]

왕망전한을 찬탈하고 세운 신나라 시기, 교지 태수 Tích Quang|석광vi은 중국 문화 보급을 추진하여 유교를 베트남에 도입했다고 전해진다.[17] 그는 중앙의 혼란을 피해 교주로 온 관리와 학자들을 받아들여 학교를 짓고 한나라와 비슷한 행정 제도를 도입했다.[17]

40년, 쯩 자매(하이 바 쯩)가 후한의 통치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는 한나라의 강압적인 통치에 대한 홍 강 삼각주 토착 농경민의 반발이었으며, 한나라 통치 이전부터 베트남에 있던 동선 문화가 한(漢) 문화에 저항한 것이 배경이었다.[18] 이 반란은 더불어민주당에서 외세에 저항한 민족 운동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42년에 후한의 장군 마원이 반란을 진압하면서, 홍 강 삼각주와 광시 성을 잇는 육로, 홍 강과 윈난 성을 잇는 수로가 건설되었다.[18] 마원은 토착 락장의 토지를 재편하고 저항하는 락장들을 진압했으며, 쯩 자매의 반란 이후 락장 제도는 폐지되고 현(縣) 제도가 도입되었다.[19][20] 락장 대신 한인(漢人)이나 한인을 조상으로 둔 인물이 행정에 참여하면서 한나라의 직접 지배가 확립되었다.[21] 44년 마원은 한나라로 귀환했다.

베트남 백성은 한나라의 무거운 세금, 노동, 동화 정책에 시달렸지만, 한편으로는 한나라에서 도입된 농공업 기술로 산업이 발전하기도 했다.[22][23]

2. 2. 제2차 북속기 (43년 – 544년)

후한, 동오, 서진, 동진, 유송, 남제, 양나라가 베트남을 지배한 시기이다. 쯩 자매의 반란이 진압된 후 중국의 지배가 다시 시작되었으며, 리 본의 반란과 전 리 왕조(前李朝) 건국으로 끝났다.[24] 이 시기에 베트남 중부에서는 참파 왕국이 독립하여 중국 왕조와 대립했다.[25][26]

한(漢)나라의 지배하에서 중앙에서 교주로 파견된 자사(刺史), 태수(太守)의 가혹한 수탈에 대해 베트남인들은 반란을 일으켜 군사 거점과 황제의 사유지를 공격했다.

159년161년에 천축국의 사자가 일남군을 방문했고, 166년에는 대진 국왕 안돈(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을 자칭하는 인물이 남해의 특산물을 가지고 일남에 내항했다.[25] 한나라 정치 세력의 확대, 남해의 특산물 수요 증가에 따라, 베트남 중부의 재지 세력의 독립 의식도 강해졌다.[25] 192년경, 일남에서 구련이 왕을 칭하며 자립하고, 림읍 (후의 참파 왕국)이 건국된다.[26] 한나라 시대에는 최대 다낭까지 지배가 확대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림읍 건국 후, 중국의 지배 영역은 북쪽으로 후퇴했다.[6]

184년에 베트남 민중이 자사 주창을 살해하고, 조정에 주창의 폭정을 호소하는 사건이 일어났다.[27][28] 중앙에서 새로운 자사로 파견된 가종은 감세를 실시했고, 가종 다음 자사에는 교주 출신인 이진이 임명된다.[27]

홍강 삼각주, 광둥에서 재지 중국인의 독립된 정권을 요구하는 기운이 높아지는 가운데, 184년경에 가종의 추천으로 교지태수에 임명된 사섭은 북베트남에 사실상 독립한 정권을 수립한다.[25][29] 사섭은 남해의 특산물을 독점하여 진주, , 유리 구슬, 대모 등을 에 헌상했다.[30] 226년에 사섭이 죽은 후, 오는 교지를 지배하에 둔다. 오는 사섭의 지배지를 광주와 교주로 이분하여, 중국과 베트남,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행정적인 경계가 확립되었다.[31] 사섭 사후에 교주는 쇠퇴하여 호수가 감소했고,[32] 교주의 중심지는 𨏩𨻻(루이라우)에서 롱비엔으로 옮겨졌다.[33]

248년, 구진에서 조씨정 (째우 티 찐, 쩌우 응우)이 오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고, 반란에는 베트남인과 한인이 모두 참여했지만, 수개월 만에 진압된다.[34] 조씨정의 반란은 락장(貉將)에 의한 베트남 토착의 봉건 지배자층에 의한 마지막 반란이 되었다.[24]

541년, 남조 이 임명한 자사 소자(蕭諮)의 압정에 대해 이본 (리 본)이 반란을 일으켜, 소자를 광주로 추방한다. 이본은 북베트남의 혼란을 틈탄 림읍의 침공을 격퇴하고, 544년에 롱비엔을 도읍으로 정하고 황제를 칭했다.[27] 전리조(한자 : 萬春, 만춘). 당시 국명은 만춘(萬春), 후에는 야능(野能)이라고 칭했다. 양에서 양표, 진패선 등이 토벌군으로 파견되었고,[35] 이본은 게릴라 전술로 저항했지만,[36] 548년에 이본이 죽고, 그 휘하의 장군들이 후계자 지위를 놓고 서로 다투었다.[36] 조광복(째우 꽝 푹), 이불자(리 팟 투) 등이 왕을 칭하며 남조 , 수나라에 저항했지만, 603년에 수나라에 의해 반란은 진압된다.

2. 3. 제3차 북속기 (602년 – 905년/939년)

수나라는 수-초기 리 전쟁 이후 베트남을 다시 중국에 통합시켰다. 이 시기에는 베트남에 관리 행정이 정착되었다. 604년 교주총관부가 설치되었고, 679년 당나라에 의해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어 해상 무역의 거점 역할을 하였다.[38][37]

687년 도호부의 세금 증액에 대해 이사선(리 투 티엔)과 정건(딘 키엔) 등이 반란을 일으켜 도호 유연우를 살해했다.[39] 722년 매숙란(마이 툭 로안)이 환주(현재의 응에안 성)에서 반란을 일으켜 매흑제를 자칭했다. 참파, 크메르의 지원을 받은 매숙란의 반란은 대규모였지만,[39] 같은 해에 진압된다.[40] 8세기 중반부터 도호부는 샤일렌드라, 참파의 습격을 받아 군비가 증강되었고,[41] 이에 따른 부담은 현지 사람들에게 무겁게 작용했다.[42]

766년 풍흥(푼 훙)과 풍해(푼 하이) 형제가 반란을 일으켜 나성에 입성한 풍흥은 도군(도관)을 자칭했다. 790년 풍흥 사후, 그의 장자 풍안(푼 안)이 뒤를 이었지만, 당나라의 설득으로 나성을 넘겨주었다.[43]

846년 운남의 남조가 안남으로 진출하여, 862년 도호부는 남조에 점령당했다. 865년 안남도호계략사 고변(까오 비엔)이 안남 탈환을 시작, 이듬해 866년 교지의 대라성이 당나라 지배하에 돌아왔다. 고변은 대라 재건 시 성벽을 강화했고, 그 범위는 후대 하노이 중심 지역과 거의 일치한다.[44] 고변의 통치 아래 안남 백성은 당나라에 순응했고, 고변은 9년 임기를 마치고 귀국했다.[45]

880년, 절도사 증곤이 성부에서 추방되었다.

당나라의 몰락은 중국 지배 종결의 계기가 되었다.[46]

906년 안남에 파견된 중국인 대신, 토호 곡승유(쿡 투아 즈)가 처음으로 절도사가 되었다.[47] 당나라는 곡씨를 제어할 힘이 없었고, 곡씨 정권은 베트남에 독자적인 행정 구역을 제정하고 호적을 작성했다.[48] 곡씨는 정권 안정을 위해 당나라 제도를 따르고자 했고, 907년 당나라 멸망 후 성립한 후량에 사신을 보내 절도사 칭호를 허가받았다.[49] 곡씨 통치 아래 안남은 일시적 평온을 되찾았고, 당나라 문물이 유입되어 불교와 도교가 널리 퍼졌다.[49] 923년 곡씨 정권은 광주에 성립한 남한의 공격을 받아 궤멸되었지만, 931년 곡씨를 섬기던 양정예(즈엉 디엔 게)가 남한군을 격파하고 절도사를 자칭했다. 양정예는 부하 교공선에게 암살되었지만, 938년 양정예의 부하 오권이 백등강 전투에서 남한군을 격파하고, 이듬해 939년 왕위에 올랐다.

2. 4. 제4차 북속기 (1407년 – 1428년)

Bắc thuộc lần thứ tưvi라고 불리는 제4차 북속기는 명나라의 지배 시기였다. 1407년 명나라는 호 왕조(胡朝)를 멸망시키고 베트남을 일시적으로 지배했다. 1428년 레 로이(Lê Lợi)가 이끈 람선 봉기(Lam Sơn uprising)가 성공하면서 명나라의 지배는 종결되었고, 레 로이는 이후 새로운 레 왕조(黎朝)를 건국하여 다이 비엣(大越) 왕국을 재건했다.

중국 지배 시기중국 왕조연도설명
제4차 북속기
Bắc thuộc lần thứ tưvi
명나라1407년1428년베트남은 명나라의 호 왕조 정복 이후 중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레 로이가 이끈 람 선의 봉기가 성공하면서 명나라의 지배는 끝났다. 레 로이는 이후 레 왕조를 건국하고 다이 비엣(大越) 왕국을 재건했다.


3. 지리적 범위와 영향

중국의 베트남 지배는 주로 홍 강 삼각주와 그 인접 지역에 국한되었다. 10세기 동안의 중국 지배는 베트남의 유전적 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많은 수의 한족 정착이 이루어졌다. 또한 베트남의 무역과 문화 교류를 활성화시켰다.

중국 문화(언어, 종교, 예술, 생활 방식 등)는 근대 이전까지 베트남 전통 문화의 중요한 구성 요소였다. 원나라와 같이 침략 시도에 대해 베트남이 군사적으로 방어할 때조차 중국과의 문화적 연관성은 유지되었다. 한자는 명나라 축출 이후 쯔놈의 구어 문학이 부상했음에도 불구하고, 20세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지화까지 베트남의 공식 문자였다.

4. 인구

(남부를 평정하는 보호령 장군)38,626148,431740당나라제3차 북속기
(남부를 평정하는 보호령 장군)75,839299,377807당나라제3차 북속기
(남부를 평정하는 보호령 장군)40,486-1408명나라제4차 북속기-5,200,0001417명나라제4차 북속기450,2881,900,000



각 시기별 중국 왕조의 인구 조사 기록이 남아있다. 명나라 시기의 인구 조사 기록은 큰 차이를 보여 논란이 있다.

5. 언어적 영향

북속기 동안 베트남 북부의 타이어, 베트남어, 라오어, 므엉어 등은 동남아시아 언어 연합에 속하며 언어적 변화를 겪었다. 베트남어와 므엉어는 중국어와 타이-카다이 어족의 영향을 받아 성조 형성, 단음절화를 거쳤고, 중국어 차용어는 문법화되어 분류사 및 양상 마커가 되었다. 반면 남부 비에트어군 언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마찬가지로 다음절 형태소와 파생 또는 굴절 형태론을 유지했다.[5]

한(漢) 지배하에 한인의 이주와 더불어 한어와 한자가 베트남에 보급되었다.[53] 중세 베트남의 한 사가는 사섭이 베트남에 한자를 도입했다고 언급했지만,[54] 실제로는 사섭이 교주(交州)를 통치하기 전부터 한자가 북베트남에 전해졌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17]

6. 역사 서술

북속기에 대한 역사 서술은 크게 프랑스 식민주의 사학과 베트남 민족주의 사학의 두 가지 관점으로 나뉜다.

프랑스 식민주의 사학은 19세기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 지배하면서 베트남 문화를 중국에서 빌려온 것으로 폄하하고, 유럽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프랑스 학자들은 베트남인들이 문화, 정치뿐만 아니라 인구까지도 중국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베트남 민족주의 사학은 북속기를 중국에 맞서 싸워 민족 정체성을 지켜낸 시기로 묘사한다.[3] 중국을 부패하고 이익만 추구하는 침략자로 묘사하며, 베트남이 물리친 최초의 외세 식민 제국으로 평가한다.[3] 이 관점은 대월 시기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쩐 왕조레 왕조의 문인들은 중국 지배 이전부터 베트남의 독자성을 찾으려 노력했다.

그러나 베트남 민족주의 사학은 통일된 민족 의식을 강조하기 위해 시대착오적인 해석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도 있다.[3] 예를 들어 '비엣/위에(Viet/Yue)'라는 용어를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것은 역사적 맥락에 맞지 않을 수 있다.

6. 1. 프랑스 식민주의 사학

19세기 프랑스는 베트남이 자체 문화가 거의 없으며 대부분 중국에서 빌려왔다는 견해를 조장했다. 이는 베트남에 대한 유럽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프랑스는 베트남인을 단순한 문명의 차용자로 묘사함으로써, 스스로를 후진 지역에 문명을 전파하는 역사적 패러다임 속에 위치시켰다. 프랑스 학자 레오나르 아로소(Léonard Aurousseau)는 베트남이 문화적, 정치적으로 중국에서 차용했을 뿐만 아니라, 베트남 인구 또한 중국 월나라로부터 이주해온 직접적인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베트남 역사에 관한 최초의 영어 서적을 저술한 조셉 부팅거(Joseph Buttinger)에 의해 이어졌다. 그는 베트남이 중국에 맞서 싸우기 위해서는 중국과 같아져야 한다고 믿었다.

6. 2. 베트남 민족주의 사학

베트남 민족주의 사학은 북속기를 "중국의 지배 1천 년 동안 기적적으로 보존된 독창적인 베트남의 가설적 하부 구조가 출현하는, 호전적이고 민족주의적이며 매우 현대적인 비전을 통해" 묘사한다.[3] 베트남 민족 서술은 중국인을 부패하고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들로 묘사하며, 결국 베트남에서 몰아낸 최초의 외세 식민 제국일 뿐이라고 평가한다. 캐서린 처치먼에 따르면, 이는 완전히 새로운 역사적 전통이 아니라 대월의 역사 서술을 재작성하거나 업데이트한 것이다. 대월은 북방 제국(중국)과 동등한 남방 제국으로 묘사되었다. 쩐 왕조레 왕조의 대월 문인들은 중국 지배 이전부터 자율성의 기원을 찾으려 했고, 조타 또는 반전설적인 홍방 왕조로 계보를 소급했다. 그들은 북방 제국이 이러한 견해를 존중하지 않아 패배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응우옌 니 호앙 툭과 같은 학자들은 "소국이 일관되게 중국의 문화적 힘을 물리치는 비유는 최근의 탈식민주의적 20세기 중반의 구성"이라고 주장한다.[3]

1970년대 일본 학자들과 1980년대 영어권 학자들의 연구는 베트남 민족주의 사학의 요소를 취했다. 카타쿠라 미노루의 저서 《중국 지배하의 베트남》은 베트남 민족의 본질적인 특성을 강조한다. 키스 테일러의 《베트남의 탄생》(1983)은 홍강 평원의 반전설적인 왕국에서 대월의 건국까지 강력한 연속성이 존재하며, 이는 베트남 주권 회복으로 귀결된 중국과의 1천 년 간의 투쟁의 결과였다고 주장한다. 제니퍼 홀름그렌의 《북부 베트남의 중국 식민화》는 정치적, 문화적 변화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한화'와 '베트남화'를 사용한다. 베트남 민족 역사학파를 따르는 연구들은 후대 시대(한나라-당나라)의 증거를 바탕으로 과거 시대에 베트남 집단 의식을 소급하여 부여한다. 베트남 민족 역사학파는 1980년대 이후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았으며 국가적 정통성이 되었다.

6. 3. 시대착오적 오류

베트남 민족주의 역사학은 통일된 베트남 민족 의식을 강조하기 위해 시대착오적인 해석을 도입하는 경향을 보인다.[3] '비엣/위에(Viet/Yue)'라는 용어를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인데, 이는 역사적 맥락과 맞지 않을 수 있다.

주강과 홍강 사이 지역에 거주하는 응집력 있는 집단을 설명하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한나라당나라 시대에 중국-베트남의 이분법을 설명하는 용어도 없었다. 당나라 시대에 안남 또는 정해군의 원주민들은 '야인'(야만인), '리'(Li), 또는 안남인(Annamese, 안남 사람들) 등으로 불렸다.

또한, 베트남 국가 역사 서술은 현대의 국경에 국한된 좁은 시각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예외주의적인 결론으로 이어진다.

7. 문화적 영향

북속기는 베트남에게 굴욕적인 시대였지만, 문명화가 진행된 시대이기도 하다.[8]

중국 왕조의 제도와 문물이 베트남에 유입되어 현지인의 한화(漢化)와 북베트남으로 이주한 한인의 토착화가 동시에 진행되었다.[6] 이 시기 베트남은 일시적으로 남해 무역의 거점으로 번영했고, 2~3세기경에는 불교가 전래되었다.[6] 도교는 베트남의 토착 신앙에 융합되었으며, 당나라는 베트남 지배에 도교를 이용했다.[50] 유교왕망의 찬탈 시기에 교지 태수를 역임한 Tích Quang|석광vi에 의해 베트남에 도입되었다고 전해진다.[17] 그러나 중국 왕조의 동화 정책은 마을 단위까지는 침투하지 못했다.[46][51]

중국의 통치자 중, 석광(錫光), 任延|임연중국어, 사섭, 두혜도 등은 베트남 사회와 문화에 변혁을 가져온 인물로 거론된다.[52] 한(漢)나라 지배하에서는 한인의 이주와 더불어 한어와 한자의 보급이 진행되었고[53], 중세 베트남의 사가는 사섭에 의해 베트남에 한자가 도입되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54] 그러나 실제로는 사섭이 교주(交州)를 통치하기 전부터 한자가 북베트남에 전해졌다는 의견이 우세하다.[17]

중국의 통치하에서도 베트남 토착 문화는 유지되었다. 제2차 북속기(北屬期)의 𨏩𨻻|label=루이라우한국어성에서는 베트남 고유의 동선(Đông Sơn)형 동고를 만드는 집단과 중국계 청동기를 만드는 집단이 공존하거나, 혹은 같은 집단이 두 종류의 기물을 제조하고 있었다고 여겨진다.[33]

참조

[1] 서적 The People Between the Rivers: The Rise and Fall of a Bronze Drum Culture, 200–750 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 간행물 The People Between the Rivers: The Rise and Fall of a Bronze Drum Culture, 200–750 CE by Catherine Churchman
[3] 웹사이트 Anti-Chinese Sentiment in Contemporary Vietnam: Constructing Nationalism, New Democracy, and the Use of "the Other" https://digitalcommo[...] Trinity University 2023-12-26
[4] 서적 Ancient Nam Viet in historical descript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5]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A Comprehensive Guide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21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Wikisource 大越史記全書/外紀卷之三
[29] Harvnb
[30] Harvnb
[31] Harvnb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2] Harvnb
[43] Harvnb
[44] Harvnb
[45] Harvnb
[46] Harvnb
[47] Harvnb
[48] Harvnb
[49] Harvnb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3] Harvnb
[54]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