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피라미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의 피라미드는 서양에서 처음 인지된 이후,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된 고대 고분들을 지칭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목격담과 사진으로 서양에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흰색 피라미드에 대한 과장된 이야기가 퍼지기도 했다. 현재는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형태의 고분들을 포괄하며, 특히 산시성 시안 지역의 능묘들이 유명하다. 이러한 피라미드들은 홍산 문화 시기부터 고구려, 서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와 문화를 반영하며, 그 중 일부는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마우솔레움 - 마오주석 기념당
마오주석기념당은 마오쩌둥의 유해를 안치하기 위해 화궈펑의 주도로 톈안먼 광장에 건설되어 1977년 완공되었으며, 마오쩌둥을 기리는 장소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중국의 피라미드 | |
---|---|
개요 | |
위치 | 중국 시안 주변의 친링 산맥 |
용도 | 주로 고대 영묘 및 고분 |
상세 정보 | |
징디 황제의 무덤 | 한나라 징디의 무덤 |
거리 | 시안에서 약 떨어진 곳에 위치 |
면적 | 약 면적 |
설명 | 대부분 고대 영묘 및 고분으로 이루어짐 |
2. 서양에서의 인지
미국 공군의 조종사 제임스 가우스맨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국과 인도 사이를 비행하면서 꼭대기가 보석으로 장식된 흰 피라미드를 봤다고 알려졌으나, 증거는 없다. 현재는 이 이야기가 트랜스월드 항공사의 극동지역 국장이었던 모리스 셰한 대령의 증언을 토대로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셰한은 1947년 3월 28일자 뉴욕타임즈에 피라미드를 목격했음을 증언했고, 1947년 3월 30일자 뉴욕타임즈 일요신문에 사진이 실렸다. 이 사진은 후에 제임스 가우스맨이 찍었다고 알려졌지만, 크리스 마이어에 의해 한 무제의 무릉 영묘로 밝혀졌다. 비주류 작가인 하트위그 하우스도프와 필립 코펜즈가 대중의 관심을 끌어들였다.
서양 과학자들은 1947년 이전부터 피라미드 모양 고분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뉴욕타임즈 기사 직후 싸이언스 뉴스레터는 중국 피라미드가 진흙과 흙으로 지어졌으며, 고분에 가깝다고 보도했다. 이 지역을 방문했던 미국 과학자들은 높이가 약 300m라고 추정했으나,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빅터 세갈런은 1913년 중국을 방문하여 초대황제의 고분과 그 지역의 다른 고분들에 대해 기술했다.[3]
서안의 피라미드 일부는 현재 관광지가 되었고, 몇몇 피라미드에는 작은 박물관이 있다. 1667년, 예수회 신부 아타나시우스 키르허는 그의 저서 《중국, 기념물로 조명하다》(China monumentis Illustrata)에서 중국의 피라미드에 대해 언급했다. 중국의 "피라미드"는 1910년대까지 서방 세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1912년 서방 상인 프레드 메이어 슈뢰더와 오스카 마멘, 1913년 빅터 세갈렌의 탐험대에 의해 시안시 주변에서 대량으로 기록되었다.[3]
2. 1. 초기 서양의 기록
미국 공군의 조종사 제임스 가우스맨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국과 인도 사이를 비행하면서 꼭대기가 보석으로 장식된 흰 피라미드를 봤다고 알려졌으나, 증거는 없다. 현재는 이 이야기가 트랜스월드 항공사의 극동지역 국장이었던 모리스 셰한 대령의 증언을 토대로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셰한은 1947년 3월 28일자 뉴욕타임즈에 피라미드를 목격했음을 증언했고, 1947년 3월 30일자 뉴욕타임즈 일요신문에 사진이 실렸다. 이 사진은 후에 제임스 가우스맨이 찍었다고 알려졌지만, 크리스 마이어에 의해 한 무제의 무릉 영묘로 밝혀졌다. 비주류 작가인 하트위그 하우스도프와 필립 코펜즈가 대중의 관심을 끌어들였다.서양 과학자들은 1947년 이전부터 피라미드 모양 고분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뉴욕타임즈 기사 직후 싸이언스 뉴스레터는 중국 피라미드가 진흙과 흙으로 지어졌으며, 고분에 가깝다고 보도했다. 이 지역을 방문했던 미국 과학자들은 높이가 약 300m라고 추정했으나,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빅터 세갈런은 1913년 중국을 방문하여 초대황제의 고분과 그 지역의 다른 고분들에 대해 기술했다.[3]
서안의 피라미드 일부는 현재 관광지가 되었고, 몇몇 피라미드에는 작은 박물관이 있다. 1667년, 예수회 신부 아타나시우스 키르허는 그의 저서 《중국, 기념물로 조명하다》(China monumentis Illustrata)에서 중국의 피라미드에 대해 언급했다. 중국의 "피라미드"는 1910년대까지 서방 세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1912년 서방 상인 프레드 메이어 슈뢰더와 오스카 마멘, 1913년 빅토르 세갈렌의 탐험대에 의해 시안시 주변에서 대량으로 기록되었다.[3]
2. 2. 20세기 중반의 관심과 논란
미국 육군 항공대 조종사 제임스 가우스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도와 중국 사이를 비행하던 중 백색 보석을 얹은 피라미드를 보았다고 한다.[4] 트랜스 월드 항공(Trans World Airlines)의 극동 지역 이사인 모리스 시한 대령은 1947년 3월 28일자 ''뉴욕 타임스''에 피라미드를 목격한 경험을 증언했고,[4] 1947년 3월 30일 ''뉴욕 선데이 뉴스''에 시한의 피라미드 사진이 게재되었다. 이 사진은 나중에 제임스 가우스만의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 마이어는 사진 속 피라미드가 시안 외곽에 있는 한 무제의 무릉 영묘임을 밝혀냈다.[4] 유사 역사학자들은 자신들의 이론을 홍보하면서 서구에서 이러한 피라미드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하트위그 하우스도프는 외계인이 건설했다고 추측했으며, 필립 코펜스는 이 이론을 되풀이했다.[5]이러한 피라미드 형태의 고분들의 존재는 1947년에 ''뉴욕 타임스'' 기사가 나오기 전부터 서구의 과학자들에게 알려져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기사가 나온 직후, ''사이언스 뉴스 레터''(현재 ''사이언스 뉴스'')는 "그 지역의 중국 피라미드는 진흙과 흙으로 만들어졌으며 이집트의 피라미드보다 둔덕과 더 비슷하며, 그 지역은 거의 여행객이 찾지 않는다. 그 지역에 있었던 미국 과학자들은 높이가 약 300m라고 추정했는데, 이것은 이집트의 피라미드보다 두 배 이상으로 높은 것이다. 이 추정은 과장되었을 수 있는데, 이 지역의 대부분 중국 둔덕은 비교적 낮게 지어졌기 때문이다. 시안에서 약 65km 남서쪽에 위치한 이곳은 고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지만, 피라미드는 거의 탐사되지 않았다."라는 짧은 기사를 게재했다.[6]
빅터 세갈런(Victor Segalen)은 1913년에 중국을 방문했으며 1914년판 미씨옹 아케올로지크 앙 쉰지에 ‘한나라 시절의 장례 방법'이란 기사로 초대황제의 고분(과 그 지역의 다른 고분들)에 대해 기술했다. 현재 시안의 일부 피라미드는 관광 명소가 되었고, 한양릉과 같이 몇몇 피라미드에는 작은 박물관까지 붙어있다.
2. 3. 과학적 연구와 현재의 상황
중국의 피라미드가 대중에게 알려지게 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였다. 초기의 이야기들은 대부분 "거대한 백색 피라미드"(마오링)의 존재에 초점을 맞추었다.[4] 이 피라미드는 산시성 싱핑에 위치한 전한 무제(기원전 156–87년)의 무덤이다.미국 육군 항공대 조종사 제임스 가우스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도와 중국 사이를 비행하던 중 백색 보석을 얹은 피라미드를 보았다고 한다. 그러나 이 일화에는 증거가 없으며, 1945년에는 미국 공군이 존재하지 않았다. 현재는 이 가우스맨 일화가 트랜스 월드 항공의 극동지역 국장이었던 모리스 셰한 대령의 증언을 토대로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그는 1947년 3월 28일자 ''뉴욕 타임스''에 피라미드를 목격했음을 증언했고,[4] 1947년 3월 30일자 ''뉴욕 선데이 뉴스''에 셰한이 찍은 피라미드 사진이 실렸다. 이 사진은 나중에 제임스 가우스만의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 마이어는 사진 속 피라미드가 시안 외곽에 있는 한 무제의 무릉 영묘임을 밝혀냈다.
이러한 피라미드 형태의 고분들의 존재는 1947년에 이야기가 알려지기 전부터 서구의 과학자들에게 알려져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뉴욕 타임스'' 기사가 나온 직후, ''사이언스 뉴스 레터''(현재 ''사이언스 뉴스'')는 "그 지역의 중국 피라미드는 진흙과 흙으로 만들어졌으며 이집트의 피라미드보다 둔덕과 더 비슷하며, 그 지역은 거의 여행객이 찾지 않는다. 그 지역에 있었던 미국 과학자들은 높이가 약 300m라고 추정했는데, 이것은 이집트의 피라미드보다 두 배 이상으로 높은 것이다. 이 추정은 과장된 것일 수 있는데, 이 지역에 지어진 대부분의 고분이 대체적으로 낮게 지어졌기 때문이다. 서안에서 남서쪽으로 65km 떨어진 이 장소는 고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지만 실제로 탐사된 피라미드는 몇몇 없다."라는 짧은 기사를 게재했다.[6] 빅터 세갈런은 1913년에 중국을 방문했으며 1914년판 미씨옹 아케올로지크 앙 쉰지에 ‘한나라 시절의 장례 방법'이란 기사로 초대황제의 고분(과 그 지역의 다른 고분들)에 대해 기술했다.
하트위그 하우스도프와 필립 코펜즈같은 비주류 계열 작가들은 외계인이 건설했다고 추측하면서 대중의 관심을 끌어들였다.[5]
현재 시안의 일부 피라미드는 관광 명소로, 예를 들어 서한 시대의 한양릉이 있으며, 그 중 여러 곳에 박물관이 부속되어 있다.
3. 중국 고분의 발달
내몽골 자치구와 랴오닝성의 베이징 바로 북쪽에서 발견되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무덤은 신석기 시대의 홍산 문화(기원전 4700년~2900년)에 속한다.[9] 중국 고분에는 최소 상나라 주왕(紂王)까지 올라가는 긴 역사가 있다.[9]
랴오닝성의 우허량 유적에는 피라미드 구조가 있다.
3. 1. 홍산 문화의 피라미드
내몽골 자치구와 랴오닝성의 베이징 바로 북쪽에서 발견되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무덤은 신석기 시대의 홍산 문화(기원전 4700년~2900년)에 속한다.[9] 중국 고분에는 최소 상나라 주왕(紂王)까지 올라가는 긴 역사가 있다.[9]랴오닝성의 우허량 유적에는 피라미드 구조가 있다.
4. 주요 피라미드 및 고분 목록
- 소호능(少昊陵). 산둥성(山东省) 취푸시(曲阜市)에 3황5제의 한 사람인 소호의 능이라고 알려진 작은 피라미드가 있다. 중국의 사서에 소호는 동이족이라고 알려져 있다. 취푸시는 공자의 고향이며, 그의 묘인 공묘가 있다.
- 내몽골 자치구 아오한기(敖漢旗)의 스쟈지(四家子) 마을에서 북쪽으로 1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한 5000년 전의 건축물. 빗살무늬 토기를 쓰던 북방인 홍산문화의 자취로서. 우하량에 있는 유적에도 3층 규모 적층 피라미드 구조가 하나 있다.
- 중국 랴오닝성 자오양시 커러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산쥐지진의 피라미드. 5500년 전에 제작되었으며 내몽골 자치구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다.
- 무릉 영묘. 전한 무제와 가족 일원 몇과 피보호자의 무덤이다.
- 양릉 영묘. 무제의 아버지, 전한 경제의 무덤이다.
- 진시황 영묘. 중국 최대의 영묘이다.
- 당십팔릉. 진령 산맥의 북쪽, 위강유역에 위치. 이 중 일부는 중국 최대 영묘에 속한다. 그 예로는 당 고종과 무측천의 합장묘인 건릉이 있는데, 이 묘는 자연적인 언덕을 사람이 깎은 것이다.
- 지안 장군총(將軍塚). 위치는 만주지역, 지린성 지안, 고구려 환도산성(丸都山城) 아래 피라미드 군락에 있는데 일부는 “장군의 묘.” 장수왕(長壽王,413-491)의 영묘로 알려져있다.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고대 고구려의 수도와 무덤에 속한다. 근처에는 광개토대왕(廣開土太王,391-413)의 묘로 알려진 태왕릉(太王陵)이 있다. 태왕릉은 지안 장군총보다 2배는 크지만 모양이 좋지 않아, 지안 장군총이 관광명소로 관광객을 더 끌고 있다. 특히 일정한 구역의 지면에 구덩이를 파거나 구덩이 없이 시체를 놓고 그 위에 돌을 쌓아 묘역을 만든 무덤 즉, 적석총(積石塚)이라 구별되고 있다.
- 당항묘. 중국 북서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 지역의 인촨시 근처에 위치. 이 중 다수가 50 km2 내에 있어 ‘중국 피라미드’라 불린다.
4. 1. 산둥성 취푸 지역
산둥성(山东省) 취푸시(曲阜市)에는 3황5제의 한 사람인 소호의 능이라고 알려진 작은 피라미드인 소호능(少昊陵)이 있다. 중국의 사서에 소호는 동이족이라고 알려져 있다. 취푸시는 공자의 고향이며, 그의 묘인 공묘가 있다. 황제의 탄생지로 여겨지는 작고 피라미드 형태의 기념물인 수구 (Shou Qiu)는 소호릉 근처에 위치해 있다.4. 2. 내몽골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아오한기(敖漢旗)의 스쟈지(四家子) 마을 북쪽 1km 지점에는 5000년 전의 건축물이 있다. 이 건축물은 빗살무늬 토기를 쓰던 북방인 홍산문화의 자취로서, 우하량 유적에도 3층 규모 적층 피라미드 구조가 하나 있다. 랴오닝성 자오양시 커러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산쥐지진에도 5500년 전에 제작된 피라미드가 있는데, 내몽골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이다.4. 3. 랴오닝성
중국 랴오닝성 자오양시 커러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산쥐지진에 5500년 전에 제작된 피라미드가 있으며, 내몽골 자치구의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다. 우허량 유적에도 피라미드 구조가 있다.4. 4. 허베이성
허베이성에 대한 내용은 현재 제공된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허베이성에 대한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4. 5. 산시성 시안 지역
산시 성 시안 지역에는 여러 기의 피라미드 형태의 능묘들이 존재한다.[7]진시황의 능묘는 린퉁 구에 위치해 있으며 중국에서 가장 큰 무덤이다. 원래 높이는 76m였으나, 현재 높이는 47m이며, 크기는 357 x 354m이다. 이 무덤은 진나라 (기원전 221–206년) 시대에 건설되었다. 진이세의 능묘 또한 시안에 위치해 있다.
마오링 능묘군에는 한 무제의 능(크기 222m x 217m)과 이부인의 능, 양신 공주의 능이 있다. 핑링 능묘군에는 한 소제의 능과 상관황후의 능이, 옌링 능묘군에는 한 성제의 능, 서황후의 능, 반첩여의 능, 조비연 황후의 능이 있다.
캉링 능묘군에는 한 평제의 능과 왕황후의 능이, 웨이링 능묘군에는 한 원제의 능과 왕황후의 능이 있다. 두 개의 "주 왕릉" 군에는 주 무왕의 능과 주 문왕의 능이 있다.
이링 능묘군에는 한 애제의 능과 부황후의 능이, 안링 능묘군에는 한 혜제의 능, 장언 황후의 능, 장오 후작 (장언 황후의 아버지)의 능, 원 노공주의 능 (장언 황후의 어머니)이 있다.
창링 능묘군에는 한 고조의 능, 여태후의 능, 척부인의 능이 있다. 양릉 능묘군에는 한 경제의 능과 왕황후의 능이 있다.
바링 능묘군에는 한 문제의 능, 두황후의 능, 박태후의 능이 있으며, 두링 능묘군에는 한 선제의 능, 왕황후의 능, 서황후의 능이 있다.
당나라 황제들의 18개 능묘(唐十八陵)는 친링 산맥 북쪽 웨이강 계곡에 위치해 있다. 대부분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자연 언덕이며, 당 고종과 황후 측천무후의 합장묘인 건릉과 같이 중국에서 가장 큰 능묘에 속한다.
당 덕종의 숭릉, 당 헌종의 진릉, 당 태종의 청양공주 묘, 당 태종의 신성공주 묘 등이 있다.
4. 6. 지린성 지안 지역 (고구려 유적)
지린성 지안에는 고구려 시대의 피라미드 형태의 유적이 다수 존재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장군총인데, "장군의 무덤"으로 불리며 고구려 장수왕 (413–491)의 능묘로 추정된다. 이 피라미드는 고대 고구려 왕국의 수도와 고분군에 속하며,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장군총은 돌을 쌓아 만든 적석총(積石塚)으로, 구덩이를 파거나 구덩이 없이 시체를 놓고 그 위에 돌을 쌓아 묘역을 만든 무덤이다.장군총 근처에는 광개토대왕 (391–413)의 묘로 여겨지는 태왕릉(太王陵) 피라미드가 있는데, 장군총보다 두 배 크지만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장군총이 더 유명한 관광 명소이다.
4. 7. 닝샤 후이족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 근처에는 서하의 당구트 제국 무덤이 50km2에 걸쳐 분포해 있으며, '중국 피라미드'라고 불린다. 당항묘도 이 지역에 위치한다.4. 8. 기타 지역
산둥성(山东省) 취푸시(曲阜市)에는 3황5제의 한 사람인 소호의 능이라고 알려진 작은 피라미드인 소호능(少昊陵)이 있다. 취푸시는 공자의 고향이며, 그의 묘인 공묘가 있다. 황제의 탄생지로 여겨지는 작고 피라미드 형태의 기념물인 수구는 소호릉 근처에 위치해 있다.내몽골 자치구 아오한기(敖漢旗)의 스쟈지(四家子) 마을 북쪽 1km 지점에는 5000년 전 빗살무늬 토기를 쓰던 북방인 홍산 문화의 건축물인 내몽골 피라미드가 있다. 우하량 유적에도 3층 규모 적층 피라미드 구조가 하나 있다. 랴오닝성 자오양시 커러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산쥐지진의 피라미드는 5500년 전에 제작되었으며 내몽골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다.
스마오는 산시성 선무현에 위치한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 꼭대기에 궁궐이 있고 장인 또는 산업 작업에 사용된 거대한 계단식 피라미드를 갖추고 있다.
만주지역 지린성 지안, 고구려 환도산성(丸都山城) 아래 피라미드 군락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고대 고구려의 수도와 무덤군에 속하는 장군총(將軍塚)이 있는데, 장수왕(長壽王,413-491)의 영묘로 알려져있다. 근처에는 광개토대왕(廣開土太王,391-413)의 묘로 알려진 태왕릉(太王陵)이 있는데, 태왕릉은 장군총보다 2배는 크지만 모양이 좋지 않아 장군총이 관광명소로 관광객을 더 끌고 있다. 특히 일정한 구역의 지면에 구덩이를 파거나 구덩이 없이 시체를 놓고 그 위에 돌을 쌓아 묘역을 만든 무덤 즉, 돌무지 무덤으로 적석총(積石塚)이라 구별되고 있다.
서하의 당구트 제국 무덤은 중국 북서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 근처에 있으며, 약 50 km2에 걸쳐 있는 대규모 무덤들이 '중국 피라미드'로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Tomb of Emperor Jing of Han
http://www.hylae.com[...]
[2]
서적
The Terracotta Warriors: The Secret Codes of the Emperor's Army
Bear & Company
2004
[3]
논문
Review in the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1936-11
[4]
뉴스
U.S. Flier Reports Huge Chinese Pyramid In Isolated Mountains Southwest of Sian
https://www.nytimes.[...]
1947-03-28
[5]
웹사이트
China's Great Pyramids Controversy
http://www.philipcop[...]
2014-09-24
[6]
간행물
The Science News-Letter
1947-04-12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erver1.docfo[...]
2016-06-20
[8]
학술지
The Tangut Royal Tombs near Yinchuan
Brill Publishers
[9]
웹사이트
LIU Shuren YU Guopei, A Remote – Sensing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ancient. Platform – like ruins and earth-mounded graves of TH WU colture in southern Jiangsu, China and its relation. ship with palaegeographical evolution Proceedings of the Asian Conference on Remote Sensing, 1992
http://www.gisdeve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