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은 1895년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가 체결한 아마팔라 조약에 의해 설립된 국가이다. 아마팔라 조약은 1880년대 후반부터 추진된 중앙아메리카 연합 재건 노력의 일환으로, 1896년 공식 출범하여 아마팔라를 수도로 삼았다. 1898년 헌법을 제정하고 중앙아메리카 합중국으로 국명을 변경했으나, 엘살바도르 대통령의 전복으로 인해 같은 해 해산되었다.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은 중앙아메리카 연합을 시도한 마지막 성공 사례였으며, 이후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은 다양한 국제 기구를 통해 통합 노력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La República de América Central)
유형연합
존속 기간1896년 ~ 1898년
수도아마팔라
공용어스페인어
지도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의 영토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의 영토
역사
주요 사건아마팔라 조약(1895년 6월 20일)
성립1896년 9월 15일
헌법 제정1898년 11월 1일
붕괴1898년 11월 21일
국가
구성국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뒤를 이은 국가
국가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국기 및 국장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국기 (1898년)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국기 (1898년)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국장 (1898년)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국장 (1898년)
정치
정부 형태공화국
입법부연방 집행위원회
면적
면적 (km²)263,907
면적 (mi²)101,895

2. 역사적 배경

1880년대 후반, 과테말라 대통령 마누엘 바리야스는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해체 이후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의 재통합을 추진했다.[1] 이러한 구상은 여러 차례 시도와 좌절을 겪었다.

2. 1. 중앙아메리카 연방의 해체와 재통합 시도

1880년대 후반, 과테말라 대통령 마누엘 바리야스는 과테말라와 인접한 엘살바도르, 온두라스에서 오랫동안 해체된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과 같은 중앙 아메리카 연합을 재건하자는 아이디어를 추진했다.[1] 그 결과,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는 1889년 10월 15일 산살바도르에서 중앙 아메리카 공화국을 선포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이 공화국은 원래 연방 공화국의 독립 기념일인 1890년 9월 15일에 설립될 예정이었다.[1] 그러나 1890년 6월 22일, 엘살바도르 대통령 프란시스코 메넨데스 발디비에소가 암살당하고 그의 후임 카를로스 바실리오 에제타가 조약에서 탈퇴하면서, 연합은 형성되기도 전에 사실상 무산되었다.[1] 과테말라는 에제타의 대통령직을 인정하지 않고 1890년 6월 27일 엘살바도르에 전쟁을 선포했다. 미국은 양국에 있는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엘살바도르와 과테말라 해안으로 군함을 파견했고, 양국 정부에 전쟁을 종식하도록 압력을 가해 1890년 8월 21일에 종전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조약은 중앙 아메리카 5개국이 서명했고, 에제타 정부의 정당성을 부여했다.[1][2]

1892년 5월 23일,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는 관계를 강화하고 "형제애"를 다지며 미래의 중앙 아메리카 연합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이 조약은 관계 개선에 거의 도움이 되지 못했는데, 1893년 온두라스 대통령 도밍고 바스케스가 니카라과 대통령 호세 산토스 셀라야가 온두라스 난민의 혁명을 지원한다고 비난하면서 온두라스와 니카라과 간의 전쟁이 발발했기 때문이다. 전쟁은 1894년 2월 22일 바스케스가 축출되고 니카라과가 폴리카르포 보닐라를 대통령으로 세우면서 끝났다.[1]

한편, 이전에 연합 결성을 방해했던 엘살바도르의 카를로스 에제타는 1894년 4월 29일, 44명의 엘살바도르 반군에 의해 도전받았다. 도로테오 카바예로가 이끄는 반군은 에제타의 군대를 공격했고,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의 지원을 받아 1894년 6월 10일 에제타를 축출했다. 혁명 지도자 중 한 명인 라파엘 안토니오 구티에레스가 엘살바도르 대통령이 되었다.[3] 혁명 10일 후,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는 중앙 아메리카 공화국을 공식적으로 재건하기 위해 회동했다.

2. 2. 아마팔라 조약 체결 (1895년)

1895년 6월 20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의 중앙아메리카 국가 대표단은 아마팔라 조약을 체결하였다.[4][5] 이 조약은 폰세카 만의 타이거 섬에 있는 온두라스 도시 아마팔라에서 체결되었으며, 온두라스 대통령 폴리카르포 보니야가 주최했다.[4][5] 이 조약으로 수도를 아마팔라에 둔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이 설립되었다.[1]

이 조약은 헌법이 아니었고, 공화국의 존속은 각 구성원의 연합 유지 의지에 전적으로 의존했다.[1] 조약은 3개의 조항을 가지고 있었다.

3.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의 성립과 해체

과테말라와 코스타리카는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지만, 가입에 관심을 보였다. 대중앙아메리카 공화국은 1896년 9월 15일에 공식적으로 결성되었다.[4] 1898년 11월 13일, 라파엘 안토니오 구티에레스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토마스 레갈라도 로메로에 의해 전복되었다. 레갈라도는 엘살바도르의 이익이 손해를 볼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더 이상 연합의 구성원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7] 행정 연방 평의회는 엘살바도르에 더 큰 자율성을 제공하여 레갈라도와 타협하려 했지만, 레갈라도는 이를 거부했다. 온두라스와 니카라과의 군 지도자들이 엘살바도르에 군사적 조치를 취하지 못하자, 행정 연방 평의회는 1898년 11월 29일에 국가 해산을 선언했다.[1]

3. 1. 국가 승인과 헌법 제정

그로버 클리블랜드 미국 대통령은 1896년 12월 24일에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을 승인했다.[1] 과테말라와 코스타리카는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지만, 두 나라 모두 가입에 관심을 보였다. 대중앙아메리카 공화국은 1896년 9월 15일에 공식적으로 결성되었다.[4]

1898년 8월 27일, 대표들은 마나과에서 만나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헌법을 초안하고 서명했다. 이 헌법은 1898년 11월 1일에 비준되어 국가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중앙아메리카 합중국''으로 변경했다.[6] 헌법 비준과 함께 아마팔라에 행정 연방 평의회가 설립되었다. 평의회는 임시 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1898년 12월 중 선거를 실시하여 행정 연방 평의회 위원을 선출하고, 1899년 3월 경 취임할 초대 중앙아메리카 대통령을 선출할 예정이었다.[1]

3. 2. 엘살바도르의 정변과 연방 해체

1898년 11월 13일, 헌법 비준 불과 12일 만에 라파엘 안토니오 구티에레스 엘살바도르 대통령이 4년 전 에제타를 축출했던 혁명의 동료 토마스 레갈라도 로메로에게 전복되었다.[7] 레갈라도 대통령은 엘살바도르의 이익이 "손해를 볼 것"이라 믿었기 때문에 더 이상 연합의 구성원이 되지 않을 것이라 선언했다.[7] 행정 연방 평의회는 엘살바도르에 더 큰 자율성을 제공하여 레갈라도와 타협하려 했지만, 레갈라도는 이를 거부했다. 온두라스와 니카라과의 군 지도자들이 엘살바도르에 군사적 조치를 취하지 못하자, 행정 연방 평의회는 1898년 11월 29일에 국가 해산을 선언했다.[1]

3. 3.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역대 국가 원수

라파엘 안토니오 구티에레스
1898년 11월 13일까지

폴리카르포 보니야

호세 산토스 셀라야

공석189618971898

토마스 레갈라도
1898년 11월 13일부터


4.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의 의의와 영향

중앙아메리카 연합을 단일 정치 실체로 만들려는 마지막 성공적인 시도는 대 중앙아메리카 공화국이었다.

4. 1. 중앙아메리카 통합 노력의 지속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는 중앙아메리카 연합을 단일 정치 실체로 만들고자 마지막으로 시도했지만, 니카라과의 지원 부족으로 실패했다.[8]

그 이후,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은 다음과 같은 국제 기구를 창설했다.

기구명설립 연도비고
중앙아메리카 사법 재판소1901년현재 존속
중앙아메리카 국가기구1951년1973년 폐지
중앙아메리카 의회1991년현재 존속
도미니카 공화국-중앙아메리카 자유 무역 협정2005년현재 존속
중앙아메리카-4 국경 통제 협정 및 중앙아메리카-4 여권2006년현재 존속
메소아메리카 프로젝트2008년현재 존속


참조

[1] 논문 The Federation of Central America
[2] 서적 El libro de las efemérides: capítulos de la historia de América Central https://books.google[...] Tipografía Nacional
[3] 서적 Nociones de historia de Centro América Editorial Universitaria
[4] 서적 Bulletin https://books.google[...] 1897
[5] 웹사이트 Pacto de Amapala (1895). http://www.enciclone[...] 2020-08-07
[6] 웹사이트 Constitución Política de los Estados Unidos de Centroamérica http://www.asamblea.[...] 1898-11-01
[7] 서적 Nicaragua, the Land of Sandino Westview Press
[8] 간행물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9] 웹사이트 Central American Defense Council - Some Problems and Achievements http://www.airpower.[...] Lieutenant Colonel Laun C. Smith, JR. 2006-05-22
[10] 웹사이트 Central American Integration System https://www.sica.int[...] 2020-08-07
[11] 웹사이트 CAFTA-DR (Dominican Republic-Central America FTA) http://www.ustr.gov/[...] 2017-02-06
[12] 웹사이트 ACUERDO REGIONAL DE PROCEDIMIENTOS MIGRATORIOS CA 4 https://reddhmigrant[...] 2014
[13] 문서 Plan Puebla Panamá Exists and Mesoamerica Resists Unión de Comunidades Indígenas de la Zona Norte del Istm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