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즉응집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즉응집단은 육상자위대의 게릴라전 및 테러 등 불시 사태 대응과 국제 활동을 위해 2007년 3월 28일 창설된 부대이다. 제1공정단, 제1헬리콥터단, 특수작전군 등을 예하 부대로 두었으며, UNMIN, UNDOF, UNMIT 등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했다. 2018년 3월 26일 육상총대 창설에 따라 해체되었고, 모든 인원은 육상총대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상자위대의 부대 및 편성 - 육상총대
    육상총대는 일본 육상자위대의 부대를 통합 지휘하는 사령부로서, 신속한 부대 전개를 위해 2018년 창설되어 방위대신이 각 방면총감에게 개별적으로 명령하던 비효율적인 지휘 체계를 개선했으며, 주요 부대를 예하에 두고 재해 파견 등의 활동을 수행해 왔으나 문민통제 약화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육상자위대의 부대 및 편성 - 쓰시마 경비대
    쓰시마 경비대는 쓰시마 방위와 경비를 주 임무로 하는 일본 육상자위대의 부대로, 1962년 창설된 쓰시마 파견대를 모체로 1980년 정식 창설되었으며 유사시 증원 부대 지휘를 상정하여 대령급 지휘관이 배치되고 지역 사회와 협력한다.
  • 육상자위대의 역사 - 경찰예비대
    경찰예비대는 한국 전쟁으로 인한 주일 미군 철수 후 일본의 방위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50년 창설된 준군사 조직으로, 치안 유지를 명목으로 했으나 사실상 군대 역할을 수행하며 이후 국가안전대를 거쳐 육상자위대의 전신이 되었다.
  • 육상자위대의 역사 - 미시마 사건
    미시마 사건은 1970년 미시마 유키오가 방패회 회원들과 함께 육상자위대 동부방면총감부를 점거하여 헌법 개정과 자위대 국군화를 주장한 후 할복 자결한 사건으로, 그의 민족주의적 사상과 전후 일본 사회의 혼란을 보여주며 사회적 논쟁과 성찰을 촉구했다.
  • 2018년 폐지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는 1999년 롯데쇼핑 시네마사업본부에서 시작하여 전국적인 체인망을 구축하고 영화 투자 및 배급 사업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롯데컬처웍스 주식회사에서 대한민국 및 해외에서 영화관을 운영하고 있다.
  • 2018년 폐지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중앙즉응집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중앙즉응집단 휘장
중앙즉응집단 휘장
명칭중앙즉응집단
원어 명칭중앙즉응집단 (中央即応集団)
영어 명칭JGSDF Central Readiness Force (CRF)
종류신속 대응군
소속일본 육상자위대
규모약 4,500명
주둔지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 캠프 자마
별칭중즉단, CRF
역사
창설2007년 3월 28일
해체2018년 3월 26일
임무 및 활동
역할긴급 전개, 국제 활동
주요 활동유엔 네팔 임무단
유엔 동티모르 통합 임무단
유엔 시리아 파견군
유엔 아이티 안정화 임무단
소말리아 해적 소탕 작전
지휘관
주요 지휘관야마구치 조쇼 육장

2. 역사

육상자위대는 게릴라테러 등 불시에 일어나는 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국제 활동을 전담할 부대의 필요성을 느꼈다.[29][30] 이에 따라 2007년 3월 28일, 제1공정단, 제1헬리콥터단, 특수작전군, 제101특수무기방호대(이후 중앙특수무기방호대로 개편)를 통합하여 중앙즉응집단을 창설하였다.[5][6] 2007년 3월 31일, 도쿄도 네리마구에 있는 아사카 주둔지에서 공식 창설 기념식을 거행하여 언론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큐마 후미오와 야마구치 죠쇼와 같은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6][29][30]

2007년 4월 29일, 야마나시현의 산림에서 발생한 산불 진압에 제1헬리콥터단이 투입되어 중앙즉응집단의 첫 민간 재해 임무를 수행했다.[7]

중앙즉응집단 창설 직후, 2007년 4월 1일부터 국제평화협력법에 의거하여 국제연합 네팔 지원단(UNMIN)에 이시바시 가쓰노부2등 육좌(당시) 이하 6명을 군사 감시 요원으로 파견하였다.[8][9] 이는 방위성 발족에 따라 국제 평화 협력 활동이 본래 임무가 된 후 첫 자위대 해외 파견이었다. 이들은 네팔 정부와 마오이스트 반군 간의 휴전을 감시하는 임무를 완수하고 2008년 3월 18일에 귀국했다.[10][11]

2007년 3월 28일, 육상자위대는 게릴라테러 등 불시에 일어나는 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국제 활동을 주 임무로 수행하기 위해 중앙즉응집단을 창설했다.[29][30] 예하 부대로는 제1공정단, 제1헬리콥터단, 특수작전군, 제101특수무기방호대가 재편되었다.[5][6] 3월 31일, 도쿄도 네리마구에 있는 아사카 주둔지에서 공식 창설 기념식을 거행하고 언론에 처음 공개했다.[6][29][30]

2007년 4월, 유엔 네팔 임무(UNMIN) 지원을 위해 6명의 자위대원을 파견하여 첫 해외 파병 임무를 시작했다.[8][9] 이들은 네팔 정부와 마오이스트 반군 간의 휴전을 감시하는 임무를 완수하고 2008년 3월 18일에 귀국했다.[10][11] 7월에는 유엔 정전감시군(UNDOF)의 일원으로 이스라엘시리아의 정전 감시를 위해 24명의 자위대원을 골란고원에 파견했다.[31] 이들은 생필품 보급과 도로 보수 등의 후방 지원 업무를 수행했다.

2008년 3월에는 신속대응부대인 중앙즉응연대와 화생방 방호부대인 중앙특수무기방호대, 특수무기대응 의무대가 창설되었다.[32]

2009년, 방위계획 대강에 따라 중앙즉응집단을 해체하고 국제즉응집단을 창설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육상총대 직할 배속부대로 재편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34]

2011년 1월 15일, 유엔 네팔 임무(UNMIN) 지원이 종료되어 파견 인원 6명이 모두 복귀하였다.[29][30] 4월 27일에는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450여 명의 병력이 투입되었다.[33] 이들은 원자력 발전소 반경 20km 이내의 경계 구역을 형성하고 민간인의 방사능 피폭 및 오염 여부를 검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33]

2012년 9월, 유엔 동티모르 통합임무(UNMIT) 지원 종료에 따라 4차 파견 인원이 모두 복귀하였다.

2013년 1월 5일, 유엔 교전중지 감시군(UNDOF) 지원 임무가 종료되었고,[34] 3월 15일에는 유엔 아이티 안정화 미션(MINUSTAH)이 종료되었다.[34] 같은 해 3월 26일, 사령부와 예하 부대가 자마 주둔지로 이전하였다.[27]

2015년 4월, 네팔 지진 복구 지원을 위해 국제 긴급 원조대가 편성 및 파견되었다.

2017년 5월, 자위대 남수단 파견(UNMISS) 활동이 종료되었다.

2018년 3월 26일, 육상총대가 정식으로 창설되면서 중앙즉응집단은 해체되었고, 모든 인원은 육상총대로 통합되었다.[16][17][18] 중앙즉응집단 예하 부대들은 특수작전군을 제외하고 육상총대에 배속되었다.[16][17][18] 중앙즉응집단 사령부는 신편된 육상총대 사령부 미일 공동부를 남기고 아사카 주둔지로 다시 이동하였고, 주둔지 사령관 직무는 제4시설군으로 이관되었다.

2. 1. 창설 배경 (2007년 이전)

육상자위대는 게릴라테러 등 불시에 일어나는 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국제 활동을 전담할 부대의 필요성을 느꼈다.[29][30] 이에 따라 2007년 3월 28일, 제1공정단, 제1헬리콥터단, 특수작전군, 제101특수무기방호대(이후 중앙특수무기방호대로 개편)를 통합하여 중앙즉응집단을 창설하였다.[5][6] 2007년 3월 31일, 도쿄도 네리마구에 있는 아사카 주둔지에서 공식 창설 기념식을 거행하여 언론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큐마 후미오와 야마구치 죠쇼와 같은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6][29][30]

2007년 4월 29일, 야마나시현의 산림에서 발생한 산불 진압에 제1헬리콥터단이 투입되어 중앙즉응집단의 첫 민간 재해 임무를 수행했다.[7]

중앙즉응집단 창설 직후, 2007년 4월 1일부터 국제평화협력법에 의거하여 국제연합 네팔 지원단(UNMIN)에 이시바시 가쓰노부2등 육좌(당시) 이하 6명을 군사 감시 요원으로 파견하였다.[8][9] 이는 방위성 발족에 따라 국제 평화 협력 활동이 본래 임무가 된 후 첫 자위대 해외 파견이었다. 이들은 네팔 정부와 마오이스트 반군 간의 휴전을 감시하는 임무를 완수하고 2008년 3월 18일에 귀국했다.[10][11]

2. 2. 창설 및 초기 활동 (2007년 ~ 2010년)

2007년 3월 28일, 육상자위대는 게릴라테러 등 불시에 일어나는 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국제 활동을 주 임무로 수행하기 위해 중앙즉응집단을 창설했다.[29][30] 예하 부대로는 제1공정단, 제1헬리콥터단, 특수작전군, 제101특수무기방호대가 재편되었다.[5][6] 3월 31일, 도쿄도 네리마구에 있는 아사카 주둔지에서 공식 창설 기념식을 거행하고 언론에 처음 공개했다.[6][29][30]

2007년 4월, 유엔 네팔 임무(UNMIN) 지원을 위해 6명의 자위대원을 파견하여 첫 해외 파병 임무를 시작했다.[8][9] 이들은 네팔 정부와 마오이스트 반군 간의 휴전을 감시하는 임무를 완수하고 2008년 3월 18일에 귀국했다.[10][11] 7월에는 유엔 정전감시군(UNDOF)의 일원으로 이스라엘시리아의 정전 감시를 위해 24명의 자위대원을 골란고원에 파견했다.[31] 이들은 생필품 보급과 도로 보수 등의 후방 지원 업무를 수행했다.

2008년 3월에는 신속대응부대인 중앙즉응연대와 화생방 방호부대인 중앙특수무기방호대, 특수무기대응 의무대가 창설되었다.[32]

2009년, 방위계획 대강에 따라 중앙즉응집단을 해체하고 국제즉응집단을 창설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육상총대 직할 배속부대로 재편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34]

2. 3. 주요 활동 및 사건 (2011년 ~ 2018년)

2011년 1월 15일, 유엔 네팔 임무(UNMIN) 지원이 종료되어 파견 인원 6명이 모두 복귀하였다.[29][30] 4월 27일에는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450여 명의 병력이 투입되었다.[33] 이들은 원자력 발전소 반경 20km 이내의 경계 구역을 형성하고 민간인의 방사능 피폭 및 오염 여부를 검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33]

2012년 9월, 유엔 동티모르 통합임무(UNMIT) 지원 종료에 따라 4차 파견 인원이 모두 복귀하였다.

2013년 1월 5일, 유엔 교전중지 감시군(UNDOF) 지원 임무가 종료되었고,[34] 3월 15일에는 유엔 아이티 안정화 미션(MINUSTAH)이 종료되었다.[34] 같은 해 3월 26일, 사령부와 예하 부대가 자마 주둔지로 이전하였다.[27]

2015년 4월, 네팔 지진 복구 지원을 위해 국제 긴급 원조대가 편성 및 파견되었다.

2017년 5월, 자위대 남수단 파견(UNMISS) 활동이 종료되었다.

2. 4. 해체 및 육상총대로의 통합 (2018년)

2018년 3월 26일, 육상총대가 정식으로 창설되면서 중앙즉응집단은 해체되었고, 모든 인원은 육상총대로 통합되었다.[16][17][18] 중앙즉응집단 예하 부대들은 특수작전군을 제외하고 육상총대에 배속되었다.[16][17][18] 중앙즉응집단 사령부는 신편된 육상총대 사령부 미일 공동부를 남기고 아사카 주둔지로 다시 이동하였고, 주둔지 사령관 직무는 제4시설군으로 이관되었다.

2. 5. 한국의 관점

3. 구조

중앙즉응집단 사령부는 육장이 지휘하며, 육장보 2명(국내 작전 담당, 국외 작전 담당)과 1등 육좌(대령)인 참모장 및 부참모장 2명이 보좌한다.[28]

사령부의 부서는 인사부(G-1), 정보부(G-2), 방위부(G-3), 후방보급부(G-4)로 구성되며, 각 부는 일반적인 사단여단 사령부의 부서 번호 대신 직무 내용을 나타내는 명칭을 사용한다. 후방보급부에는 총무과, 회계과, 통신과, 민생협력과가 포함된다. 이 외에도 보도관, 의무관, 감찰관, 법무관이 사령부에 소속되어 있다.[28]

사령부는 발족 당시 도쿄도네리마구의 아사카 주둔지에 설치되었으나, 가나가와현사가미하라시의 미국 육군 제1군단 사령부와의 연계 강화를 위해 2013년 3월 26일부터 폐지될 때까지 캠프 자마(자마 주둔지)에 위치했다.

직책이름(일본어)계급임명일전임
사령관고바야시 시게루(小林茂)중장2016년 7월 1일방위대학교 부학장
부사령관(하시즈메 요시토모)소장2017년 3월 27일중앙방면대 부참모장
(노무라 사토루)2017년 3월 27일제8사단 참모장
참모장(토요타 마코토)대령2015년 12월 18일제10시설단(건설) 지휘관
부참모장(미야자키 코이치)2016년 8월 1일루모이 주둔지 사령 및 제26보병연대 지휘관
(나카가와 타케시)2017년 3월 23일제13여단 참모장



역대 중앙즉응집단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역대 중앙 즉응 집단 사령관
(육장)
성명재직 기간출신교・기수전직후직
1야마구치 키요히데2007년 3월 28일 - 2008년 8월 1일방위대학교 17기서부 방면 총감부 막료장
겸 겐군 주둔지 사령
퇴직
2시바타 미키오2008년 8월 1일 - 2009년 12월 7일방위대학교 19기북부 방면 총감부 막료장
겸 삿포로 주둔지 사령
퇴직
3미야지마 토시노부2009년 12월 7일 - 2011년 8월 5일방위대학교 20기통합막료학교장퇴직
4후지사키 마모루2011년 8월 5일 - 2012년 1월 31일방위대학교 22기제3사단퇴직
5야마모토 히로시2012년 1월 31일 - 2012년 7월 26일방위대학교 21기육상자위대 후지학교장
겸 후지 주둔지 사령
퇴직
6히다카 마사히로2012년 7월 26일 - 2014년 8월 5일방위대학교 23기제6사단퇴직
7카와마타 히로미치2014년 8월 5일 - 2016년 7월 1일방위대학교 25기제4사단퇴직
코바야시 시게루2016년 7월 1일 - 2018년 3월 26일방위대학교 27기방위대학교 간사육상총대 사령관



중앙즉응집단의 사령부는 가나가와현 자마 주둔지에 있으며 약 23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9][4]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3. 1. 사령부

중앙즉응집단 사령부는 육장이 지휘하며, 육장보 2명(국내 작전 담당, 국외 작전 담당)과 1등 육좌(대령)인 참모장 및 부참모장 2명이 보좌한다.[28]

사령부의 부서는 인사부(G-1), 정보부(G-2), 방위부(G-3), 후방보급부(G-4)로 구성되며, 각 부는 일반적인 사단여단 사령부의 부서 번호 대신 직무 내용을 나타내는 명칭을 사용한다. 후방보급부에는 총무과, 회계과, 통신과, 민생협력과가 포함된다. 이 외에도 보도관, 의무관, 감찰관, 법무관이 사령부에 소속되어 있다.[28]

사령부는 발족 당시 도쿄도네리마구의 아사카 주둔지에 설치되었으나, 가나가와현사가미하라시의 미국 육군 제1군단 사령부와의 연계 강화를 위해 2013년 3월 26일부터 폐지될 때까지 캠프 자마(자마 주둔지)에 위치했다.

직책이름(일본어)계급임명일전임
사령관고바야시 시게루(小林茂)중장2016년 7월 1일방위대학교 부학장
부사령관(하시즈메 요시토모)소장2017년 3월 27일중앙방면대 부참모장
(노무라 사토루)2017년 3월 27일제8사단 참모장
참모장(토요타 마코토)대령2015년 12월 18일제10시설단(건설) 지휘관
부참모장(미야자키 코이치)2016년 8월 1일루모이 주둔지 사령 및 제26보병연대 지휘관
(나카가와 타케시)2017년 3월 23일제13여단 참모장



역대 중앙즉응집단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역대 중앙 즉응 집단 사령관
(육장)
성명재직 기간출신교・기수전직후직
1야마구치 키요히데2007년 3월 28일 - 2008년 8월 1일방위대학교 17기서부 방면 총감부 막료장
겸 겐군 주둔지 사령
퇴직
2시바타 미키오2008년 8월 1일 - 2009년 12월 7일방위대학교 19기북부 방면 총감부 막료장
겸 삿포로 주둔지 사령
퇴직
3미야지마 토시노부2009년 12월 7일 - 2011년 8월 5일방위대학교 20기통합막료학교장퇴직
4후지사키 마모루2011년 8월 5일 - 2012년 1월 31일방위대학교 22기제3사단퇴직
5야마모토 히로시2012년 1월 31일 - 2012년 7월 26일방위대학교 21기육상자위대 후지학교장
겸 후지 주둔지 사령
퇴직
6히다카 마사히로2012년 7월 26일 - 2014년 8월 5일방위대학교 23기제6사단퇴직
7카와마타 히로미치2014년 8월 5일 - 2016년 7월 1일방위대학교 25기제4사단퇴직
코바야시 시게루2016년 7월 1일 - 2018년 3월 26일방위대학교 27기방위대학교 간사육상총대 사령관


3. 2. 예하 부대

중앙즉응집단의 사령부는 가나가와현 자마 주둔지에 있으며 약 23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9][4]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2013년 3월부터 중앙즉응집단 사령부는 자마 주둔지에 위치하고 있다.[19][4]

4. 역대 지휘관

역대 중앙즉응집단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보고 장교육군 장교
육군 군의관육군 군의관
감찰관감찰관
법무 장교법무 장교
참모 관리자참모 관리자
부관부관


참조

[1] 웹사이트 2ND LD: Japan orders MSDF dispatch for antipiracy mission off Somalia http://www.istockana[...] iStockAnalyst 2009-03-13
[2] 웹사이트 (解説)中央即応集団 http://www.clearing.[...]
[3] 웹사이트 Japan launches counter-terrorism force http://www.chinapost[...] 2007
[4] 웹사이트 The GDSF Central Readiness Force https://www.mod.go.j[...] 2007
[5] 웹사이트 http://www.boueinews[...] 2007-04-15
[6] 웹사이트 http://www.ndl.go.jp[...]
[7] 웹사이트 https://www.mod.go.j[...]
[8] 웹사이트 https://www.mod.go.j[...] 2007-03-26
[9] 웹사이트 http://www.mofa.go.j[...]
[10] 웹사이트 https://www.mod.go.j[...] 2018-01-23
[11] 웹사이트 International Peace Cooperation Activities in Nepal https://www.mod.go.j[...] 2011-08-25
[12] 웹사이트 Central Readiness Forcee https://www.mod.go.j[...]
[13] 웹사이트 GSDF special forces unite in water-spraying mission http://www.yomiuri.c[...] Daily Yomiuri 2011-03-22
[14] 웹사이트 Operation Ord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https://www.mod.go.j[...] 2011-03-12
[15] 웹사이트 Japan to reinforce SDF anti-piracy base in Djibouti for broader Middle East responses http://ajw.asahi.com[...] 2015-02-11
[16] 웹사이트 https://www.asahi.co[...] 2018-03-27
[17] 웹사이트 https://www.mod.go.j[...]
[18] 웹사이트 Japan's GSDF undergoes biggest shake-up amid N. Korea, China tensions https://english.kyod[...]
[19] 웹사이트 Japan Ground Self-Defense Force/Central Readiness Force/organization https://www.mod.go.j[...] 2013-01-24
[20] 서적 Asia-Pacific Nations in International Peace Support and Stability Opera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S
[21] 웹사이트 CRF insignia and symbol https://www.mod.go.j[...]
[22] 웹사이트 自衛隊法施行令(昭和29年政令第179号) 第6条の3: 陸上総隊司令官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12-23
[23] 웹사이트 自衛隊法(昭和二十九年法律第百六十五号)第一節: 陸上自衛隊の部隊の組織及び編成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12-26
[24] 간행물 防衛省設置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平成29年6月2日公布法律第42号) https://kanpou.npb.g[...] 官報号外第116号 平成29年年6月2日
[25] 문서 防衛省人事発令(2010年2月6日)
[26] 뉴스 【主張】福島の英雄たち 日本国民全てが受賞者だ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1-10-24
[27] 문서 防衛省人事発令(1佐職:2013/3/26付、2013/3/25閲覧。)
[28] 웹사이트 陸上総隊司令部、方面総監部、師団司令部及び旅団司令部組織規則(昭和三十四年総理府令第六十二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12-26
[29] 뉴스 일본 내주 ''신속대응軍'' 창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7-03-24
[30] 웹인용 일본 자위대 신속대응전력 대폭 증강 http://pdf.dema.mil.[...] 국방홍보원 2007-04-05
[31] 뉴스 日자위대 특수부대 첫 번째 해외파견 http://www.dcnews.in[...] 한국아이 2007-08-24
[32] 뉴스 日 자위대 편제 대개편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08-04-03
[33] 뉴스 戦車、消防車を撤収へ 福島原発事故で防衛省 http://sankei.jp.msn[...] 산케이뉴스 2011-04-27
[34] 뉴스 일본 육상자위대 50년 만에 대개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9-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