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생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원생대는 고원생대와 신원생대 사이에 위치하는 지질 시대로, 약 16억 년 전부터 10억 년 전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기에는 컬럼비아 초대륙의 분열과 로디니아 초대륙의 형성, 유성 생식의 발달이 주요 사건으로 일어났다. 대륙판과 판 구조론의 발달로 지각 변동이 활발했으며,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번성하고 다세포 생물이 출현하는 등 생물 진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바다의 화학 조성, 지구의 퇴적물, 공기 조성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초기 1%였던 산소 농도가 증가하여 오늘날 수준에 도달했다. 중원생대는 칼림기, 엑타시아, 스테니아로 세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원생대 - 스테노스기
스테노스기는 '좁은'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변성암으로 이루어진 좁은 띠의 형성과 로디니아 초대륙의 완전한 형성이 특징이다. - 중원생대 - 칼리마기
칼리마기는 중원생대의 첫 번째 기이며, 16억 년 전부터 14억 년 전까지 퇴적암과 화산암의 퇴적물 확대가 특징적으로 나타났고, 15억 년 전에는 콜롬비아 초대륙이 분열되었다. - 대 (지질학) - 고생대
고생대는 캄브리아기 대폭발부터 페름기 말 대멸종까지, 다양한 무척추동물과 최초의 척추동물, 육상 식물 및 동물의 출현, 그리고 초대륙 판게아 형성과 멸종을 겪은 지질 시대의 중요한 시기이다. - 대 (지질학) - 신생대
신생대는 약 6,6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지질 시대로, 포유류의 번성, 대륙 이동과 기후 변화, 인류의 출현과 진화를 특징으로 한다. - 원생누대 - 로디니아
로디니아는 고지자기학 및 지질학적 연구로 확인된 약 13억 년 전부터 7억 5천만 년 전까지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분열을 거쳐 기후 변화 및 생명체 진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반도 지질학적 역사 이해에도 단서를 제공하지만, 정확한 형성 과정과 대륙 배열은 연구 중이다. - 원생누대 - 신원생대
신원생대는 원생누대의 마지막 시대로 10억 년 전부터 5억 4,200만 년 전까지이며, 극심한 빙하기와 다세포 생물 화석 발견, 그리고 에디아카라 동물군을 통해 생명 진화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중원생대 | |
---|---|
시대 정보 | |
지속 기간 | 16억 년 전 ~ 10억 년 전 |
선행 시대 | 고원생대 |
후행 시대 | 신원생대 |
개요 | |
특징 | 지구의 지질 시대 중 원생누대의 두 번째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로디니아 초대륙이 형성되었다. |
지질학적 특징 | |
지각 변동 | 로디니아 초대륙 형성 |
생물학적 특징 | |
주요 사건 | 진핵생물의 진화 및 번성 유성생식의 진화 녹조류의 진화 콜로니를 형성하는 다세포 해조류의 진화 |
기타 | |
제안된 경계 | 17억 8천만 년 전 ~ 8억 5천만 년 전 그레이드스타인 외, 2012년 |
제안된 하위 구분 | 로디니아기, 17억 8천만 년 전 ~ 8억 5천만 년 전 그레이드스타인 외, 2012년 제안 |
2. 주요 사건 및 특징
컬럼비아 초대륙이 분열되고 로디니아 초대륙이 형성되었으며,[2] 유성생식이 진화하는 등[3] 지구 역사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대륙판과 판 구조론이 발달하여 그렌빌 조산 운동을 비롯한 여러 조산 운동이 일어났다.
2. 1. 지각 변동
중원생대에는 대륙판과 판 구조론이 발달하여 초대륙의 형성과 분열이 반복되었다. 15억 년에서 13억 5천만 년 전 사이에 컬럼비아 초대륙이 분열되었고,[2] 분열된 대륙 조각들은 약 11억 년에서 9억 년 전에 다시 모여 로디니아 초대륙을 형성하였다.[4]이 과정에서 여러 조산 운동(산맥 형성)이 일어났는데,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특히, 그렌빌 조산 운동은 한반도 주변 지역을 포함한 전 세계적인 규모로 일어난 대규모 조산 운동으로, 가장 오래된 증거가 남아 있다.
2. 2. 생물 진화
유성생식의 발달은 앞으로 다가올 생명체의 복잡성을 크게 증가시켰고, 진정한 다세포 생물의 발달의 시작을 의미했다.[3][10] 이 시대의 생물군은 한때 미생물만으로 구성되었다고 생각되었지만, 최근 발견을 통해 중원생대에도 다세포 생물이 존재했다는 것이 밝혀졌다.[11][3]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이 시대에 절정을 이루었으나, 신원생대에 들어서면서 감소하기 시작했다.[12] 이는 단세포 생물 등과의 공생이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2. 3. 환경 변화
중원생대에는 바다의 화학 조성, 지구의 퇴적물, 대기 조성에 큰 변화가 있었다. 중원생대 초기에 1%에 불과했던 산소 농도는 중원생대를 거치면서 점차 상승하여 오늘날의 수준에 가까워졌다.[3]3. 세분
중원생대의 세분은 시간 척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구분되며, 지층서 또는 생물층서 단위는 아니다. 선캄브리아 시대 척도는 화석 기록이 희박하여 방사성 연대 측정에 기반한다. 지질 시대의 선캄브리아 세분은 대략적인 주요 구조 운동 주기를 반영한다. 향후 시간 척도 개정은 상호 연관된 지질 사건을 기반으로 보다 "자연스러운" 경계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13]
3. 1. 시대 구분
중원생대는 칼림기 (1600Ma ~ 1400Ma), 엑타시아 (1400Ma ~ 1200Ma), 스테니아 (1200Ma ~ 1000Ma)로 나뉜다. 칼림기와 엑타시아는 안정화와 대륙 지각의 확장이 특징이며, 스테니아는 조산대의 형성이 특징이었다.[13]1780Ma에서 850Ma까지의 기간은 층서에 기반한 비공식적인 기간으로, Gradstein 외 편집자가 2012년에 편집한 지질 시대 척도 검토에서 '''로디니아'''라고 명명되었지만,[14] 2017년 2월 현재 이 기간은 국제지질과학연합 (IUGS)에 의해 아직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3. 2. 로디니아기 (비공식)
17억 8천만 년 전부터 8억 5천만 년 전까지의 기간은 층서에 기반한 비공식적인 기간으로, '로디니아'라고 명명되기도 한다.[14] 하지만 현재 이 기간은 국제지질과학연합 (IUGS)에 의해 아직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않았다.4. 한반도의 중원생대
한반도에는 중원생대에 해당하는 지층이 거의 발견되지 않지만, 경기육괴와 영남육괴 일부 지역에서 중원생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편마암, 편암 등의 변성암이 발견된다. 이러한 암석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한반도의 지질학적 역사를 규명하고, 자원 탐사 및 국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북한 지역에 분포할 가능성이 있는 중원생대 지층에 대한 연구는 남북한 지질학 공동 연구를 통해 추진되어야 하며, 이는 한반도 전체의 지질학적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참조
[1]
논문
New Precambrian time scale
1991-06-01
[2]
논문
A Paleo-Mesoproterozoic supercontinent: assembly, growth and breakup
https://www.research[...]
2016-02-14
[3]
논문
Bangiomorpha pubescens n. gen., n. sp.: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sex, multicellularity, and the Mesoproterozoic/Neoproterozoic radiation of eukaryotes
http://mr.crossref.o[...]
2000
[4]
논문
Assembly, configuration, and break-up history of Rodinia: A synthesis
http://www.bdewaele.[...]
2016-02-06
[5]
논문
The 1375 Ma "Kibaran Event" in Central Africa: prominent emplacement of bimodal magmatism under extensional regime
http://www.gondwanar[...]
2012-06-11
[6]
뉴스
Antarctic Marine Ge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Sveriges Geologi: Från urtid till nutid
Studentlitteratur
2011
[8]
간행물
The Sveconorwegian orogen of southern Scandinavia: setting, petrology and geochronology of polymetamorphic high-grade terranes
2008
[9]
논문
Tectonic model for the Proterozoic growth of North America
2007
[10]
논문
The concept of the sexual reproduction cycle and its evolutionary significance
2015-01-23
[11]
논문
The Mesoproterozoic – no "boring billion"
https://journals.iau[...]
2022-11-25
[12]
논문
Controls on development and diversity of Early Archean stromatolites
[13]
논문
Status of Divisions of the International Geologic Time Scale
2004-06
[14]
서적
The Geologic Time Scale 2012
Elsevier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