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원 (고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추원 (고려)은 고려 시대의 관청으로, 991년(성종 10)에 설치되어 왕명 출납, 숙위, 군기 등을 담당했다. 이후 추밀원, 밀직사, 광정원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잦은 개편을 거쳤다. 1095년 헌종 대에는 추밀원으로, 1275년에는 밀직사로 개칭되었다. 1298년에는 광정원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밀직사로 환원되었으며, 1356년에는 추밀원으로, 1362년에는 다시 밀직사로 개칭되는 등 명칭과 관직 체계에 변화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밀원 - 추밀원 (일본)
추밀원(일본)은 1888년 헌법 초안 심의를 위해 설립된 일본 제국의 최고 자문 기관으로, 천황의 자문에 응하여 중요 국사를 심의하고 헌법 개정, 조약 체결 등 광범위한 사안을 다루었으며,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과 함께 폐지되었다. - 추밀원 - 추밀원 (캐나다)
캐나다 추밀원은 캐나다 정부에 자문과 지원을 제공하는 위원회로, 내각이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군주와 총독에게 조언을 제공하고 왕실의 결혼 동의와 같은 중요한 사안을 다루기도 한다. - 고려의 행정기관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 공민왕 때 명칭이 정해져 조선 시대에 관리 감찰, 규찰, 정치 참여 등을 수행했으며, 홍문관, 사간원과 함께 대간 또는 삼사로 불리며 국가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 고려의 행정기관 - 한림원
한림원은 중국 역사 속 저명한 인사들이 모여 학문 연구, 인재 양성, 과거 시험 관리, 외국어 번역 및 외교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 황실 학술 기관이었으나, 의화단 운동으로 자료가 소실되고 신해혁명으로 폐지되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중추원 (고려) | |
---|---|
개요 | |
유형 | 관청 |
분야 | 군사, 행정 |
존속 기간 | 고려 시대 |
상세 정보 | |
역할 | 왕명 출납 군기 관리 숙위 |
구성 | 추밀 지추밀사 동지추밀사 추밀원사 승선 |
역사 | |
전신 | 태봉 내봉성 |
변화 | 993년 (성종 12년): 중추원으로 개칭 1069년 (문종 23년): 추밀원으로 개칭 |
2. 연혁
고려 중추원은 시대에 따라 명칭과 기능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991년(성종 10년) 처음 설치된 이후 밀직사, 추밀원 등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관직 구성도 다양하게 변화했다.[1] 각 시기별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기 | 명칭 | 주요 관직 변화 |
---|---|---|
991년(성종 10년) ~ 1009년(목종 12년) | 중추원 설치 (송나라 추밀원 모방) | 궁궐 숙위(宿衛) 담당[1] |
1009년(목종 12년) ~ 1011년(현종 2년) | 중대성 설치 | 왕명 출납, 숙위, 군기 등 담당, 사(使), 부사(副使), 직중대(直中臺), 겸직중대(兼直中臺) 등 관직 설치[1] |
1011년(현종 2년) ~ 1095년(헌종 1년) | 중추원으로 환원 | 판원사(종2품), 원사(종2품), 지원사(종2품), 동지원사(종2품), 부사(종3품), 첨서원사(정3품), 직학사(정3품), 지주사(종3품), 좌부승선(정3품), 우부승선(정3품), 당후관(정7품) 등 설치[1] |
1095년(헌종 1년) ~ 1275년(충렬왕 1년) | 추밀원으로 개칭[1] | |
1275년(충렬왕 1년) ~ 1308년(충렬왕 34년) | 밀직사로 개칭 (원나라 간섭) | 승선을 승지로 개칭[1], 광정원(光正院)으로 잠시 변경되었다가 환원, 사사(종2품), 지부사(종2품), 동지사(종2품), 좌승지(정3품), 우승지(정3품), 좌부승지(정3품), 우부승지(정3품), 당후관(정7품) 등 설치[1] |
1308년(충렬왕 34년) ~ 1369년(공민왕 18년) | 밀직사 폐지 및 재설치, 잦은 개편 | 판사사 추가, 승지를 대언으로 변경, 부사(副使) 품계 강등(정3품), 판사사, 지신사(知申事), 대언을 녹관(祿官)으로 지정, 추밀원으로 잠시 환원, 첨서(정3품), 제학->학사->제학, 대언->승선->대언 등 변경[1] |
2. 1. 초기 설치와 변화 (991년 ~ 1095년)
991년(성종 10년) 송나라의 추밀원을 본떠 중추원을 설치하여 궁궐의 숙위(宿衛)를 맡게 하였다.[1] 1009년(목종 12년)에는 중추원, 은대(銀臺), 남북원(南北院)을 폐지하고 중대성을 설치하여 왕명 출납, 숙위, 군기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1] 중대성에는 사(使), 부사(副使), 직중대(直中臺), 겸직중대(兼直中臺) 등의 관직을 두었다.[1]1011년(현종 2) 중대성을 폐지하고 다시 중추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
2. 2. 중추원의 기능 강화와 관직 개편 (문종 ~ 헌종)
1011년(현종 2) 중대성을 폐지하고 다시 중추원으로 개칭하였다. 문종 때에는 판원사(判院事, 종2품) 2인, 원사(종2품) 2인, 지원사(知院使, 종2품) 1인, 동(同) 지원사(종2품) 1인, 부사(副使, 종3품) 2인, 첨서원사(簽書院事, 정3품) 1인, 직학사(直學士, 정3품) 1인, 지주사(知奏事, 종3품) 1인, 좌부승선(정3품) 1인, 우부승선(정3품) 1인, 당후관(堂後官, 정7품) 2인 등 다양한 관직을 설치하였다.[1] 1095년(헌종 1)에는 중추원을 추밀원(樞密院)으로 고쳤다.[1]2. 3. 원 간섭기 밀직사로의 개칭과 변화 (1275년 ~ 1308년)
1275년(충렬왕 1) 고려가 원나라의 간섭을 받으면서 중추원이 밀직사(密直司)로 개칭되었고, 1276년에는 승선이 승지(承旨)로 개칭되었다.[1] 1298년(충렬왕 24)에는 광정원(光正院)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사(使, 종1품), 동지원사(정2품), 부사(종2품), 첨(僉)원사(정3품), 동첨원사(종3품), 도승지(都承旨, 종5품), 승지(종6품), 부승지(종6품), 계의관(計議官, 종7품), 계의참군(計議參軍, 정8품) 등의 관직을 두었으나, 곧 밀직사로 환원되었다. 밀직사로 환원되면서 사사(종2품) 1인, 지부사(知府事, 종2품) 2인, 동지사(종2품) 3인, 좌승지(정3품) 1인, 우승지(정3품) 1인, 좌부승지(정3품) 1인, 우부승지(정3품) 1인, 당후관(정7품) 등의 관직을 두었다.[1]2. 4. 밀직사의 폐지와 재설치, 그리고 잦은 개편 (1308년 ~ 1369년)
1308년(충렬왕 34)에 밀직사가 폐지되었다가 1309년(충선왕 1)에 다시 설치되면서 판사사(判司事)가 추가되었다. 1310년에는 밀직사의 관직 등급을 높여 첨의부(僉議府)와 함께 양부(兩府)라 칭하고, 승지(承旨)를 대언(代言)으로 고쳤다. 1311년(충선왕 3)에는 부사(副使)의 품계를 정3품으로 낮추었다.[1]1354년(공민왕 3) 판사사, 지신사(知申事), 대언을 녹관(祿官)으로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추밀원(樞密院)으로 개칭하여 문종 때의 제도로 복귀하였다. 1362년(공민왕 11) 다시 밀직사로 개칭하고 종2품의 판사사, 사사(司事), 지사사(知司事), 첨서사사(簽書司事), 동지사사(同知司事) 및 정3품인 좌우대언, 좌우부대언을 두었다.[1]
1369년(공민왕 18) 첨서(簽書)를 정3품으로 강등시키고, 제학(提學)을 학사(學士)로, 대언을 승선(承宣)으로 고쳤다가 다시 학사를 제학으로, 승선을 대언으로 고쳤다.[1]
3. 구성
시기 | 관직 | 품계 | 정원 |
---|---|---|---|
문종 대 | 판원사(判院事) | 종2품 | 2인 |
문종 대 | 원사(院事) | 종2품 | 2인 |
문종 대 | 지원사(知院事) | 종2품 | 1인 |
문종 대 | 동지원사(同知院事) | 종2품 | 1인 |
문종 대 | 부사(副使) | 종3품 | 2인 |
문종 대 | 첨서원사(簽書院事) | 정3품 | 1인 |
문종 대 | 직학사(直學士) | 정3품 | 1인 |
문종 대 | 지주사(知奏事) | 종3품 | 1인 |
문종 대 | 좌부승선(左部承宣) | 정3품 | 1인 |
문종 대 | 우부승선(右部承宣) | 정3품 | 1인 |
문종 대 | 당후관(堂後官) | 정7품 | 2인 |
충렬왕 대 (밀직사) | 사사(司事) | 종2품 | 1인 |
충렬왕 대 (밀직사) | 지부사(知府事) | 종2품 | 2인 |
충렬왕 대 (밀직사) | 동지사(同知事) | 종2품 | 3인 |
충렬왕 대 (밀직사) | 좌승지(左承旨) | 정3품 | 1인 |
충렬왕 대 (밀직사) | 우승지(右承旨) | 정3품 | 1인 |
충렬왕 대 (밀직사) | 좌부승지(左部承旨) | 정3품 | 1인 |
충렬왕 대 (밀직사) | 우부승지(右部承旨) | 정3품 | 1인 |
충렬왕 대 (밀직사) | 당후관(堂後官) | 정7품 | ?인 |
공민왕 대 (밀직사) | 판사사(判司事) | 종2품 | ?인 |
공민왕 대 (밀직사) | 사사(司事) | 종2품 | ?인 |
공민왕 대 (밀직사) | 지사사(知司事) | 종2품 | ?인 |
공민왕 대 (밀직사) | 첨서사사(簽書司事) | 종2품 | ?인 |
공민왕 대 (밀직사) | 동지사사(同知司事) | 종2품 | ?인 |
공민왕 대 (밀직사) | 좌우대언(左右代言) | 정3품 | ?인 |
공민왕 대 (밀직사) | 좌우부대언(左右副代言) | 정3품 | ?인 |
문종 대 이속(吏屬)으로는 별가(別駕) 10인, 주사(主事) 10인, 시(試)별가 2인, 영사(令史) 2인, 기관(記官) 8인, 통인(通引) 4인이 있었다.[1]
4. 명칭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