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2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2병은 일본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처음 사용된 신조어로, 사춘기 청소년들이 보이는 특유의 허세, 반항심, 과대망상 등의 심리 상태를 일컫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처음에는 프로그램 청취자들 사이에서 사용되다가 인터넷을 통해 널리 퍼지게 되었다. 중2병은 현실 도피, 우울증 등의 증상과 함께, 자신이 남들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중2병은 DQN계, 서브컬처계, 흑염룡계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청소년의 불안정한 심리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지만 조롱이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도 중2병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며, 관련 웹툰, 드라마 등이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채널의 용어 - 모조 (인터넷 용어)
    모조는 2000년대 초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한 신조어로, 처음에는 인기 없는 여성을 가리키는 은어로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조적인 의미로 변화하여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자학하는 경향을 보이며, 최근에는 연애를 포기하는 젊은 세대의 사회적 고립 현상과 연결되어 분석된다.
  • 2채널의 용어 - 2채널러
    2채널러는 익명성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일본의 인터넷 게시판 2채널의 이용자를 지칭하며, 2채널 용어와 아스키 아트를 활용하여 소통하고, 다양한 활동을 펼치기도 한다.
  • 나이에 관한 고정관념 - 쿠거 (속어)
    쿠거는 10~15세 이상 어린 남성과 관계를 맺는 중년 여성을 지칭하는 속어이며, 1999년경 데이팅 웹사이트나 술집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미디어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등을 통해 묘사된다.
  • 나이에 관한 고정관념 - 여피
    여피는 1980년대 초 미국에서 유행한 "Young Urban Professional"의 약자로, 고학력 전문직에 종사하며 고소득을 올리는 젊은 도시 거주자들을 지칭하며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성공 지향적인 특징을 보이지만, 젠트리피케이션, 물질주의, 속물근성 등 비판적 시각과 함께 사회 경제적 상황에 따라 의미와 평가가 변화해왔다.
  • 일본의 신조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 일본의 신조어 - 신어·유행어 대상
    유캔 신어·유행어 대상은 자유국민사가 주최하는 시상식으로, 매년 사회상을 반영하는 신어와 유행어를 선정하여 시상하며, 시대착오적 방식, 선정 위원의 언행 논란, 정치적 편향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중2병
개요
용어은어 (속어)
대상 연령초기 십대 (주로 중학교 2학년)
정의과대망상에 빠진 초기 십대 청소년을 지칭하는 일본어 속어
특징허세를 부림
잘난 척 함
현실을 부정하고 싶어 함
특별한 존재가 되고 싶어 함
비주류 문화를 동경함
사춘기 특유의 불안감과 반항심을 드러냄
어원
유래라디오 프로그램 이쥬인 히카루의 UP'S 심야판의 한 코너에서 유래
최초 사용1999년 이쥬인 히카루가 처음 사용
파생 용어초등학생 버전 (초1병), 고등학생 버전 (고2병), 어른 버전 (대2병, 30대병) 등
증상 유형 (주요 3가지)
DQN계반항적, 폭력적 성향을 드러내며,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유형
서브컬처계오컬트, 심령학, 음모론 등 비주류 문화에 심취하며,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여기는 유형
쿨계냉소적, 비판적 태도를 보이며, 주변 사람들과 거리를 두는 유형
영향
대중 문화애니메이션, 만화, 라이트 노벨 등 다양한 창작물에서 흔히 등장하는 소재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등 중2병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제작되기도 함
같이 보기
관련 용어사춘기
정체성 혼란
과대망상
허세

2. 어원

1999년 일본의 라디오 프로그램 《이주인 히카루의 심야의 엄청난 힘》에서 진행자 이주인 히카루가 "나는 아직 중2병에 걸려 있다"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하였다.[18] 한국 웹툰 싸우자 귀신아에서는 중2병을 "세상에서 자신이 제일 불행하고 고독하며 세상을 등진 존재라 여기는 증상을 몇 학년 더 먹은 사람들이 비꼬아 만든 신조어"라고 정의하였다.[19]

3. 특징

사춘기 특유의 감성과 상상력, 반항심과 허세가 최고조에 이르며 현실기피, 우울증, 과대망상 증상도 보인다. 또한 자신이 남들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20] 교사들은 중학교 2학년이 가장 다루기 어려운 학년이라고 토로하기도 한다.[20]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한국에서는 우스갯소리로 북한이 남침하지 못하는 이유를 '중2가 무서워서'라고 빗대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증세는 시간이 지나며 현실을 깨닫게 되면 자연스럽게 치료되거나 심각해지면 사회적 이기주의자나 착각쟁이로 발전될 위험이 있다.[18][20]

오타쿠 문화 연구회가 저술한 『오타쿠 용어의 기초 지식』에서는 전형적인 "증례"로 다음 6가지를 소개하고 있다.[14]



애니메이터고노 노리코에 따르면 "승인 욕구"와 "자기 동일성"이라는 두 가지 심리에서 비롯된다고 한다.[15]

오기우에 치키는 중2병의 "증례"의 많은 부분이 학교 공간 내에서 확인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종종 중2병으로 조롱의 대상이 되는 것은 본인이 자기 설정한 (외부에서 보면 우스운) 기이한 캐릭터를 주위에 강요하는 듯한 행동이며, 이는 학교 공간이 "캐릭터를 둘러싼 병"을 일으키기 쉬운 환경임을 시사한다고 말했다.[16]

4. 유형

라이트 노벨 작가 사에가미 효우야의 《중2병 취급 설명서》에 따르면[17], 중2병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유형이 있다고 한다.[4]

; DQN

: 반사회적인 행동이나 불량 소년을 연기하며 멋있다고 생각한다. 근본은 성실하거나 소심한 면이 있어 진짜 불량배가 되지는 못한다. 싸움이나 범죄 행위에 대한 허언이 많다. "DQN"은 "반사회적인 사람"이나 "민폐 불량배"를 나타내는 인터넷 속어이다.

; 서브컬처계

: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마이너 노선을 선호하며 타인과는 다른 특별한 존재가 되려고 한다. 딱히 서브컬처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사람과 다른 취미를 가진 자신이 멋있다고 생각하며 만족한다.

; 흑염룡(じゃきがん)계

: 불가사의하고 초자연적인 힘을 동경하며, 자신에게는 요괴에게 씌인 것으로 발현되는, 억누를 수 없는 숨겨진 힘이 있다고 믿고, 그런 "대단한 힘"이 있는 자신을 망상하며 즐거워한다. 또한, 그러한 설정을 가진 캐릭터를 만든다.

: "흑염룡"이라는 이름은 이 유형의 중2병의 유명하고 대표적인 체험담에서, 필자인 사에가미 효우야가 설정한 숨겨진 힘에서 유래한다.

5. 사회적 인식 및 논쟁

"중2병"이라는 용어는 청소년기의 불안정하고 과장된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때로는 다른 사람을 조롱하거나 비판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9] 2012년, 일본의 힙합 MC인 지브라(Zeebra)는 자신의 트위터에서 "중2병"이라는 단어가 "아무것도 진지하게 되지 못하는 '튀는 돌을 치는' 엿같은 문화를 조장"한다며 비판했다.[13]

하지만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주인 히카루는 지브라에게 직접 메시지를 보내 자신의 의도는 그런 것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그는 "저도 당신도 미디어에 나오는 사람입니다. 발언이 곡해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라며, 위키 등 다른 사람의 말을 그대로 믿는 것에 대한 위화감을 표현했다.[13] 이에 지브라는 "이주인 씨의 의도는 전달되었습니다."라고 트윗을 남겼다.[13]

이주인은 훗날 자신의 라디오 프로그램인 이주인 히카루 심야의 바보력에서 지브라와의 의견 충돌에 대해 "이 사람과는 생각이 맞지 않아", "솔직히 귀찮아!"라고 언급하기도 했다.[13]

6. 한국에서의 중2병

일본에서는 중2병을 소재로 한 라이트 노벨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가 발간되었다.[19] 2013년, 문용린 서울특별시 교육감은 중2병을 치료하겠다며 중2학년을 대상으로 가을 단축 마라톤 대회를 열겠다고 했다가 비난을 받기도 했다.[21][22]

7. 중2병을 소재로 한 작품

일본에서는 중2병을 소재로 한 라이트 노벨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가 발간되었다.[19]

참조

[1] 웹사이트 This Underrated Classic Highlights the Value of Love, Chunibyo & Other Delusions in Life https://www.cbr.com/[...] 2022-10-16
[2] 웹사이트 The Anime You Should Have Been Watching… in Fall 2012 https://www.animenew[...] 2022-11-14
[3] 웹사이트 10 "Chuunibyo" Characters With The Biggest Imaginations https://www.cbr.com/[...] 2021-11-05
[4] 웹사이트 Chuunibyou: Funny or Something Darker? https://honeysanime.[...] 2017-04-25
[5] 웹사이트 Ask John: What Makes a Character a Chuunibyou? – AnimeNation Anime News Blog https://www.animenat[...]
[6] 웹사이트 中二病も才能のうち!? 500人に訊いた! マンガ家志望の"中二あるある"ランキング - ダ・ヴィンチニュース https://ddnavi.com/n[...]
[7] 서적 読まず嫌い Kadokawa Shoten
[8] 웹사이트 「中二病」発案のタレントが単語の真意説明「元々、人を攻撃する言葉じゃなかった」 - 芸能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024-12-07
[9] 웹사이트 厨二病 http://steinsgate.jp[...] 5pb./Nitroplus/RED FLAGSHIP 2011-07-19
[10] 웹사이트 ネメシス|漆黒のノイエゼーレ|作品紹介|講談社コミックプラス http://kc.kodansha.c[...] 강담사 2011-07-25
[11] 서적 読まず嫌い。 角川書店
[12] 웹사이트 "もう僕の作った時の意味と違うから言葉自体に興味無いです。" https://twitter.com/[...] Twitter 2009-12-04
[13] 웹사이트 "正直めんどくせぇ!"伊集院光VS Zeebra『ディスり騒動』の顛末 https://npn.co.jp/ar[...] リアルライブ 2012-02-21
[14] 서적 오타쿠 용어의 기초지식 마가진・파이브 2006-03-09
[15] 웹사이트 [CEDEC 2012]「GOD EATER」のリードアニメーターが,ポージングによる“中二的”キャラクターの表現方法を紹介 https://www.4gamer.n[...] 4Gamer.net 2012-08-22
[16] 서적 ネットいじめ――ウェブ社会と終わりなき「キャラ戦争」 PHP研究所
[17] 서적 중2병 취급 설명서 코토부키야 2009-01-13
[18] 뉴스 "[한마당-이명희] 중2병"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3-03-14
[19] 뉴스 “‘중2병’은 전 세계적 현상"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3-04-06
[20] 뉴스 "[현장 속으로] 중2, 넌 도대체 누구냐"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3-04-06
[21] 뉴스 "[스토리온라인] 중2병 걸린 학생들, 무조건 뛰어라?"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3-03-15
[22] 뉴스 "[2030 콘서트]마라톤이 ‘중2병’을 막아줄까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3-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