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기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기택은 증국번의 장남으로,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다. 1870년 호부원외랑에 임명되었고, 1877년 아버지의 작위를 이어 일등의용후가 되었다. 주영국 공사 겸 프랑스 주재 공사로 임명되어 러시아와 협상하여 일리 지방의 일부를 되찾는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청불 전쟁 당시 프랑스에 강경한 입장을 취하여 해임되었다. 귀국 후에는 외교 정책 개혁과 불평등 조약 개정에 힘썼으며, 저서로 『China, the Sleep and the Awakening』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뤄디시 출신 - 허젠쿠이
중국의 생물리학자 허젠쿠이는 2018년 세계 최초 유전자 편집 아기 탄생 발표로 논란을 일으켜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석방 후에도 유전자 치료 연구 재개 시도로 윤리적 논쟁의 중심에 있다. - 뤄디시 출신 - 지아 (1989년)
지아는 중국 후난성 출신으로 미쓰에이 멤버로 한국에서 데뷔 후 중국에서 솔로 가수 및 배우, 예능인으로 활동하는 만능 엔터테이너이다. - 통킹 원정 관련자 - 쥘 페리
쥘 페리는 프랑스 제3공화국 시기에 교육 개혁과 식민지 확장을 추진했으며, 교육부 장관과 총리를 역임하고 쥘 페리 법을 통과시켰다. - 통킹 원정 관련자 - 당경숭
청나라 관료 당경숭은 진사 급제 후 청불 전쟁에 공을 세웠으나, 시모노세키 조약 이후 대만 민주국을 세우고 초대 총통이 되었지만 일본군의 공격으로 패배하여 망명하였다. - 청나라의 외교관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청나라의 외교관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증기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증기택 |
원어 이름 | 曾紀澤 |
로마자 표기 | Zeng Jize |
출생일 | 1839년 12월 7일 |
출생지 | 후난성 뤄디시 상향현 |
사망일 | 1890년 4월 12일 |
직업 | 외교관 |
아버지 | 증국번 |
주요 작품 | 《중국, 잠과 깨어남》 |
작위 | 1등 의용후 |
알려진 업적 |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 (1881년) 체결 |
관직 | |
직책 | 청나라 주재 러시아 대사 |
임기 시작 | 1880년 2월 12일 |
임기 종료 | 1886년 8월 17일 |
이전 | 소우유 |
이후 | 류루이펀 |
군주 | 광서 |
직책 | 청나라 주재 영국 대사 |
임기 시작 | 1878년 8월 25일 |
임기 종료 | 1885년 7월 27일 |
이전 | 궈쑹타오 |
이후 | 류루이펀 |
군주 | 광서 |
직책 | 청나라 주재 프랑스 대사 |
임기 시작 | 1878년 8월 25일 |
임기 종료 | 1884년 4월 28일 |
이전 | 궈쑹타오 |
이후 | 쉬징청 |
군주 | 광서 |
2. 생애
증기택은 1839년 청나라 후난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청나라 말기 개혁파 핵심 대신이었던 증국번의 장남이자 증자의 후손이었다. 증기택은 전통적인 중국식 교육을 받았지만, 영어도 배우고 유럽 문제에도 관심을 가진 몇 안 되는 중국 관리 중 한 명이었다.
2. 1. 초기 관직 생활
1870년, 아버지 증국번의 공으로 호부원외랑에 임명되었다.[1] 1877년, 아버지의 작위를 이어 일등의용후가 되었다.[1] 증국번()의 장남으로, 후난성 출신이며 증자의 후손이다.[1]증기택은 전통적인 중국식 교육을 받았지만, 영어에도 능통하여 유럽 문제에도 관심을 가진 몇 안 되는 중국 관리 중 한 명이었다.[1]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외교관으로서 중국의 이익을 해외에서 대변하도록 설득되었다.
2. 2. 외교관으로서의 활약
1878년 주영국 공사 겸 프랑스 주재 공사로 임명되어 태상사경으로 보임되었다.[2][3] 1879년부터 1885년까지 7년간 유럽에서 생활하였다. 1880년과 1881년에는 리바디아 조약(1879)을 재협상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1881)을 체결, 러시아에 빼앗길 뻔했던 일리 지방의 일부를 되찾아오는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다.[2][3]그는 영국과의 아편 무역 문제와 조선, 미얀마 등 주변국 문제에 대한 교섭을 맡았다. 1884년 청불 전쟁 당시 프랑스에 강경 대응 입장을 취하여, 평화론이 주류를 이루던 조정에서 프랑스 주재 공사직에서 해임되었다.[4][5][6][7] 1885년에는 주영국 공사직을 면직당하고 귀국했다. 귀국 전, 청나라의 내정 외교와 열강의 대청 정책을 논한 〈''China, the Sleep and the Awakening''〉(『中國先睡後醒論』)을 발표했다.
2. 3. 귀국 후 활동 및 사망
귀국 전 청나라의 내정과 외교, 열강의 대청 정책을 논한 中國先睡後醒論|중국선수후성론중국어을 발표했다.[1] 귀국 후 호부우시랑, 총리각국사무아문 대신 등을 역임하며, 외교 정책 개혁과 불평등 조약 개정에 힘썼다.[1] 1890년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혜민(恵敏)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1] 같은 해, 숙부 증국전도 사망했다.[1]3. 청불전쟁 전후의 외교 활동
파리 주재 공사로서 증기택의 임무는 청불 전쟁으로 이어진 통킹 문제를 둘러싼 프랑스와 중국의 대립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증기택은 1882년 4월 앙리 리비에르가 하노이 요새를 점령한 후 프랑스의 통킹 정책을 비난하기 시작했고, 1883년 여름 프랑스의 야망이 더욱 분명해지면서 비난의 강도는 더욱 강해졌다. 이러한 비난은 1883년 12월 선떠이 전투 직후 절정에 달했다.[4]
1883년 7월, 증기택은 프랑스 정부가 중국과의 전면전을 원치 않는다는 낙관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는 청 정부가 이홍장과 아르튀르 트리쿠 사이의 통킹의 미래에 대한 상하이 협상을 종료하기로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상하이 협상의 실패는 프랑스가 흑기군에 맞서 통킹의 보호령을 강화하려는 결의를 굳게 만들었고, 프랑스와 중국 간의 전쟁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4]
1883년 8월, 증기택은 파리에서 프랑스 외무 장관 폴 아르망 샬라멜 라쿠르와 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에서 그는 미국 임시 대리인 E. J. 브룰라투르의 도움을 받아 중국의 제안을 프랑스에 전달했다. 이를 통해 미국이 통킹에 대한 중국의 외교적 입장과 실제보다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인상을 주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이 책략은 쉽게 간파되었고 프랑스와 미국 모두를 짜증나게 했다.[5]
1884년 1월,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선떠이(1883년 12월 16일)를 점령한 후, 증기택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을 언급하며 도발적인 기사를 썼다. 그는 "프랑스 군인들의 용맹함이 너무 널리 칭찬받아 마치 그들이 선떠이가 아니라 메츠나 스트라스부르를 점령한 것처럼 보일 정도이다"라고 썼다. 설상가상으로 그는 이 기사가 독일의 ''브레슬라우 가제트''에 게재되도록 조치했다.[6]
이러한 도발들로 인해 프랑스 정부는 1884년 4월 증기택의 교체를 요구했다. 박닌 전투 (1884년 3월)에서 중국 광서군이 패배하자 청 조정은 4월 28일 이 요구에 응했고, 1884년 5월 프랑스와 중국 간의 톈진 협정 체결을 위한 길이 열렸다. 쉬징청(쉬징청)은 온화한 직업 외교관으로,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및 이탈리아 주재 중국 전권공사로 임명되었고, 증기택은 프랑스 주재 공사직에서 해임되어 영국과 러시아 주재 공사로서의 임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되었다. 쉬징청이 중국에서 유럽으로 오는 동안(그는 1884년 9월에 출항하여 1885년 초에야 유럽에 도착했다), 독일 주재 중국 공사 리펑바오(리펑바오)가 프랑스 임시 공사로 임명되었다.[7]
4. 저서
참조
[1]
서적
Qing travelers to the Far West : diplomacy and the information order in late imperial China
https://www.worldcat[...]
2018
[2]
문서
Lung Chang
[3]
간행물
Tsêng Chi-tsê
[4]
문서
Eastman
[5]
문서
Chere, Eastman, Lung Chang
[6]
문서
Lung Chang
[7]
문서
Lung Cha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