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구 타원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구 타원체는 지구의 형상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회전 타원체로, 적도 반지름이 극반경보다 긴 타원체를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만든 3차원 도형이다. 평균 지구 타원체와 기준 타원체로 나뉘며, 측지학에서 위도, 경도, 고도와 같은 점 좌표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회전 타원체는 장반경, 단반경, 편평률, 이심률 등의 매개변수로 표현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타원체 모델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대한민국은 2002년부터 GRS80 지구 타원체를 준거 타원체로 채택했으며, 해상에서는 WGS-84 타원체를 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측지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측지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지구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지구과학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지구 타원체
개요
지구 타원체를 묘사한 그림
지구 타원체는 지구의 모양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모형이다.
정의지구의 모양을 근사하는 기하학적 모형
설명지구 타원체는 지구의 실제 모양인 지오이드와 달리 수학적으로 정의된 표면으로, 측지학 및 지도 제작에 사용된다.
특징
모양회전 타원체 (지구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얻어지는 타원체)
매개변수장반축 (a), 단반축 (b), 편평률 (f)
활용측지학, 지도 제작, 위치 정보 시스템 등
관련 개념
지오이드지구의 실제 중력 퍼텐셜이 일정한 면
측지 기준계지구 타원체, 지오이드, 좌표계 등을 포함하는 기준 시스템
GPS지구 타원체를 기준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역사
초기 모델구형 모델 (고대 그리스 시대)
타원체 모델아이작 뉴턴 (지구 자전에 의한 적도 팽창 제시)
현대 모델GRS80, WGS84 등 (인공위성 관측 데이터 활용)
종류
GRS80Geodetic Reference System 1980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기타 정보
관련 용어장반축, 단반축, 편평률, 이심률

2. 회전 타원체의 정의 및 유형

회전 타원체는 지구의 형상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도 반지름이 극반경보다 더 긴 타원체를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만든 3차원 도형이다.[11] 회전 타원체는 평균 지구 타원체와 기준 타원체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1]

평균 지구 타원체는 지구 표면 곡률의 세계적 평균을 설명하는 데이터 집합을 의미한다.[1] 이는 지리적 위도와 지오이드의 자오선 곡률 사이의 이론적 일관성을 나타내며, 평균 해수면에 가까운 지오이드와 동일한 부피를 갖는 것이 이상적이다.

기준 타원체는 지역 네트워크에 적합한 타원체로, 지역 지오이드와 유사한 곡률을 가져야 측정값의 환산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1] 이러한 이유로 헤이포드 타원체나 베셀 타원체와 같이 주축이 현대 값과 수백 미터 차이가 나는 타원체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는 수백만 개의 경계석에 대한 좌표가 오랫동안 고정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제 네트워크, GPS 위치 측정, 우주 항공과 같은 경우에는 지구 형상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므로, 국제 지구과학 연맹(IUGG)은 일반적으로 지구 타원체의 축을 최상의 사용 가능한 데이터에 맞게 조정한다.

측지학에서 기준 타원체는 측지 네트워크 계산이 수행되고 위도, 경도, 고도와 같은 점 좌표가 정의되는 선호되는 표면으로 사용된다. 이는 행성체의 내부 구성과 밀도의 변화로 인한 중력의 요동과, 거대한 물체의 자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한 납작해짐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납작한 구체


표준화 및 지리적 응용 분야의 맥락에서 "측지 기준 타원체"는 공간 참조 시스템 또는 측지 기준 정의의 기초로 사용되는 수학적 모델이다.

명칭적도 반지름
a; 미터
편평률의 역수
1/f\,\!
사용하고 있는 주요 국가
베셀, 18416 377 397.155299.152 813(2002년 3월까지의 일본)
수정 클라크(Alexander Ross Clarke), 18806 378 249.145293.4663아프리카 각국
크라소프스키 (SK-42), 19406 378 245298.3러시아
에베레스트, 19566 377 301.243300.8017인도
오스트레일리아 국가, 19656 378 160298.25
사우스 아메리카 1969, 1969남미 각국
IAG67, 1967298.247 167
WGS72, 19726 378 135298.26
IAU76, 19766 378 140298.257
GRS80, 19796 378 137298.257 222 101미국, 유럽, 일본
WGS84, 1986298.257 223 563GPS、「해상에서의 측량」에 사용
IERS, 1989[16]6 378 136298.257
PZ-90, 1990298.257 839 303GLONASS에 사용
IERS, 2003[17]6 378 136.6298.256 42
GSK2011, 2011[18]298.256 415 1


3. 회전 타원체의 주요 매개변수

회전타원체는 장반경(a, 적도 반지름), 단반경(b, 극 반지름), 편평률(f), 이심률(e) 등의 매개변수로 표현된다. 편평률은 (a-b)/a로 정의되며, 지구가 얼마나 납작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심률은 √(a²-b²)/a로 정의되며, 타원체가 원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frac{x^{2}}{a^{2}} + \frac{y^{2}}{b^{2}} = 1 , \quad P = \frac{a-b}{a}= 1 - \sqrt{1-e^2}, \quad e = \sqrt{\frac{a^2 - b^2}{a^2}}

1687년 아이작 뉴턴은 프린키피아에서 자체 중력과 회전하는 유체 평형 상태의 물체가 단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타원의 형태, 즉 납작한(타원체) 회전타원체를 이룬다는 증명을 발표하고, 이를 타원체(oblate spheroid)라고 명명했다.[2][3] 지구 타원체는 3축 타원체가 아닌 회전 타원체로 정의된다.[4][5]

측지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장반경(적도 반지름) a와 편평률 f를 사용하여 타원체를 정의한다. 편평률 f는 (a-b)/a로 계산되며, 각 극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편평해지는 정도를 나타낸다. 대한민국 측량법 시행령은 GRS80 타원체의 장반경과 편평률 값을 명시하고 있다. GRS80 타원체의 장반경(a)은 6,378,137m, 편평률(f)은 1/298.257222101이다. 육안으로는 편평률 약 1/300의 회전 타원체와 구를 구별하기 어렵지만, 실제 지구에서 적도 반지름과 극반경의 차이는 약 21km에 달한다.[11]

해역의 측지계는 WGS-84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WGS84 타원체의 편평률은 1/298.257223563으로, GRS80 타원체와 극반경에서 약 0.105mm의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실용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4. 회전 타원체의 결정

호 측정은 타원체를 결정하는 역사적인 방법이다. 두 개의 자오선 호 측정을 통해 기준 타원체를 지정하는 데 필요한 두 개의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측정이 적도 평면과 지리적 극점에서 정확하게 수행되었다면, 얻어진 곡률 반경은 각각 지구 극 및 적도 곡률 반경인 ''a''와 ''b''와 관련이 있을 것이며, 편평도는 정의에 따라 쉽게 계산될 수 있다. 임의의 평균 위도에서 각각 두 개의 호 측정의 경우, 적도 반경과 편평도에 대한 초기 근사값부터 해를 구한다. 이론적인 지구 자오선 곡률 반경은 각 호 측정의 위도에서 계산할 수 있다.[7] 그런 다음 곡률 반경의 경험적 값과 이론적 값 사이의 불일치를 계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기 적도 반경 및 편평도에 대한 보정은 선형화를 통해 공식화된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7]

여러 중간 위도 결정을 가진 더 긴 호는 측량된 영역에 가장 잘 맞는 타원체를 완전히 결정할 수 있다. 실제로, 여러 호 측정을 사용하여 최소 제곱 조정 방법을 통해 타원체 매개변수를 결정한다. 결정된 매개변수는 일반적으로 장반경, 단반경, 편평도, 또는 이심률 중 하나이다.

곡률 반경 측정에서 관찰된 지역적 규모의 계통 오차는 지오이드 기복과 수직선 편차를 반영하며, 이는 천문지구측량 레벨링에서 탐구된다.

중력 측정은 클레로 정리에 따라 지구 편평도를 결정하는 또 다른 기술이다. 현대 측지학은 더 이상 간단한 자오선 호 또는 지상 삼각 측량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지만, 특히 위성 중력 측정과 같은 위성 측지학 방법을 사용한다.

5. 한국의 준거 타원체

대한민국은 2002년 이전에는 베셀이 계산한 값(베셀 타원체)을 기반으로 한 일본 측지계를 사용했다.[12] 그러나 해도(海圖)의 국제 이용과 정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한 GIS 데이터 정비에 장애가 발생하여, 2002년 4월 1일부터 세계 측지계로서 GRS80 지구 타원체가 준거 타원체로 채택되었다.[12] 이 새로운 준거 타원체의 장반경(적도 반지름) ''a'' 및 편평률 ''f''의 값은 측량법 시행령 제3조[13]에 의해 정의되며, GRS80 타원체의 값이다.[14]

해상에서는 WGS84 타원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1] WGS84 타원체의 편평률 *f*는 GRS80 타원체와 아주 약간 다르다. 이 차이는 지구의 극반경(단반경)으로 환산하면 약 0.105mm의 차이로, 실용상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이다. 일본의 수로업무법 시행령 제2조[15]에서 정해진 편평률 값은 WGS84 타원체의 값이다.

6. 역사적 타원체

지구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역사적으로 다양한 타원체 모델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8] 이러한 타원체 모델은 측지 작업에 유용하며, 많은 모델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오래된 타원체는 이를 개발한 개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개발 연도가 함께 제공된다.[8] 1887년, 영국의 측량 기사 알렉산더 로스 클라크는 지구 형상 결정에 기여한 공로로 왕립 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8] 존 필모어 헤이포드가 1910년에 개발한 국제 타원체는 1924년 국제 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합(IUGG)에서 채택되어 국제적인 사용이 권장되었다.[8]

1967년 스위스 루체른에서 열린 IUGG 회의에서 GRS-67(측지 기준 시스템 1967) 타원체가 채택을 권장받았고, 1971년 모스크바 회의에서 승인되었다.[8] 이 타원체는 호주 측지 기준점과 남아메리카 기준점 1969에 사용된다.[8] 1979년 캔버라 회의에서 승인된 GRS-80(측지 기준 시스템 1980)은 적도 반경, 총 질량, 동적 형태 계수 및 회전 각속도를 기반으로 하며, 역편평도는 파생된 값이다.[8] WGS-84는 GRS-80에 가깝게 일치하도록 설계되었지만, WGS-84에서 파생된 편평도는 GRS-80 편평도와 약간 달랐다.[8]

타원체 모델은 타원체의 기하학적 형태와 함께 사용할 정규 중력장 공식을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보다 포괄적인 측지 기준점의 일부이다.[8] 예를 들어, 오래된 ED-50 (유럽 기준점 1950)은 헤이포드 또는 국제 타원체를 기반으로 한다.[8] WGS-84는 완전한 측지 기준 시스템과 구성 요소 타원체 모델에 동일한 이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특이하지만, 두 개념은 여전히 별개로 존재한다.[8]

1984년 세계 측지계 개정판에서 정의된 적도 반경, 극 반경, 평균 지구 반경 (축척 없음)


다음은 역사적으로 사용된 주요 타원체 모델이다.

기준 타원체 이름적도 반경 (m)역편평도사용처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 (1738)6,397,300191프랑스
플레시 (1817)6,376,523.0308.64프랑스
에베레스트 (1830)6,377,299.365300.80172554인도
에베레스트 1830 수정 (1967)6,377,304.063300.8017서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에베레스트 1830 (1967 정의)6,377,298.556300.8017브루나이 & 동 말레이시아
에어리 (1830)6,377,563.396299.3249646영국
베셀 (1841)6,377,397.155299.1528128유럽, 일본
클라크 (1866)6,378,206.4294.9786982북아메리카
클라크 (1880)6,378,249.145293.465프랑스, 아프리카
헬메르트 (1906)6,378,200298.3이집트
헤이포드 (1910)6,378,388297미국
국제 (1924)6,378,388297유럽
크라소프스키 (1940)6,378,245298.3소련, 러시아, 루마니아
WGS66 (1966)6,378,145298.25미국/국방부
호주 국가 (1966)6,378,160298.25호주
GRS-67 (1967)6,378,160298.247167427
남아메리카 (1969)6,378,160298.25남아메리카
WGS-72 (1972)6,378,135298.26미국/국방부
GRS-80 (1979)6,378,137298.257222101전 세계 ITRS[10]
WGS-84 (1984)6,378,137298.257223563전 세계 GPS
IERS (2003)[9]6,378,136.6298.25642[10]



명칭적도 반지름
a; 미터
편평률의 역수
1/f\,\!
사용하고 있는 주요 국가
베셀, 18416 377 397.155299.152 813(2002년 3월까지의 일본)
수정 클라크, 18806 378 249.145293.4663아프리카 각국
크라소프스키 (SK-42), 19406 378 245298.3러시아
에베레스트, 19566 377 301.243300.8017인도
IAG67, 19676 378 160298.247 167
WGS72, 19726 378 135298.26
IAU76, 19766 378 140298.257
GRS80, 19796 378 137298.257 222 101미국, 유럽, 일본
WGS84, 1986298.257 223 563GPS、「해상에서의 측량」에 사용
PZ-90, 19906 378 136298.257 839 303GLONASS에 사용
GSK2011, 2011[18]6 378 136.6298.256 415 1


7. 참고: 타원체와 관련된 용어

참조

[1] 논문 The Numerics of Computing Geodetic Ellipsoids
[2] 논문 Euler and the Flattening of the Earth 2013-09
[3] 뉴스 Strange but True: Earth Is Not Round https://www.scientif[...] 2021-05-04
[4] 서적 Geodesy de Gruyter
[5] 서적 Flattening the Earth: Two Thousand Years of Map Projec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서적 Map Projections — A Working Manual Government Printing Office
[7] 서적 Geodesy
[8] 간행물 Department of Defense World Geodetic System 1984, Its Definition and Relationships With Local Geodetic Systems http://earth-info.ng[...] NIMA 1997-07-04
[9] 웹사이트 IERS Conventions (2003) http://www.iers.org/[...] 2014-04-19
[10] 문서
[11] 웹사이트 2-1.地球の形をどのように記載するか http://www.geod.jpn.[...] 日本測地学会 2018-07-15
[12] 법률
[13] 법률 測量法施行令第3条
[14] 웹사이트 日本の測地系 測地系と準拠楕円体 https://www.gsi.go.j[...] 国土交通省 国土地理院 2019-03-09
[15] 법률 水路業務法施行令第2条
[16] 웹사이트 IERS Standards (1989) https://www.iers.org[...] 2017-07-09
[17] 웹사이트 IERS Standards (2003) https://www.iers.org[...] 2017-07-09
[18] 웹사이트 «ПАРАМЕТРЫ ЗЕМЛИ 1990 ГОДА»(ПЗ-90.11) http://structure.mil[...] 2017-07-10
[19] 서적 알기쉬운 GPS 측량 구미서관
[20] 법률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부칙 5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