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공비 토벌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리산 공비 토벌전은 한국 전쟁 중 북한군 낙오병과 현지 부역자들이 지리산을 중심으로 결성한 유격대인 남부군을 소탕하기 위해 국군이 전개한 토벌 작전을 의미한다. 1950년 10월부터 1953년 5월까지 31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국군은 지리산 일대에서 여러 차례 작전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민간인 희생도 컸다. 작전 결과에 대한 공식 통계는 차이가 있으며, 피란민과 민간인 피해가 작전의 한계로 지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무극리 전투
무극리 전투는 한국전쟁 초기인 1950년 7월 6일, 충청북도 음성군 무극리 일대에서 대한민국 육군 제6사단 제7연대가 북한군 제15사단을 상대로 벌여 국군이 육상에서 처음으로 승리한 전투로, 북한군의 전략 수정에 영향을 주었다. - 대한민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대한민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지리산 공비 토벌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 | 지리산 공비 토벌전 |
일부 | 6.25 전쟁 |
![]() | |
날짜 | 1950년 10월 4일 ~ 1953년 5월 1일 |
장소 | 지리산 |
결과 | 대한민국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2 | 조선인민유격대 |
지휘관 | |
지휘관 1 | 백선엽 |
지휘관 2 | 이현상 |
병력 규모 | |
사상자 규모 | |
기타 정보 |
2. 배경
1950년 9월 한국전쟁 중 인천상륙작전으로 국군과 유엔군의 총반격이 시작되자 미처 후퇴하지 못한 북한군 낙오병들이 발생했다. 이들 대부분은 국군과 유엔군의 포로가 되었으나, 일부는 남한 지역 산악지대로 잠적, 현지 부역자들과 합세해 비정규전 조직을 구성하여 후방의 국군을 교란했다.
2. 1. 한국 전쟁 발발과 인민군 유격대 형성
1950년 9월 한국전쟁 중 인천상륙작전으로 국군과 유엔군의 총반격이 시작되자 미처 후퇴하지 못한 북한군 낙오병들이 발생했다. 이들 대부분은 국군과 유엔군의 포로가 되었으나, 일부는 남한 지역 산악지대로 잠적, 현지 부역자들과 합세해 비정규전 조직을 구성하여 후방의 국군을 교란했다. 1950년 10월 경 국군을 교란한 인민군 낙오병들은 2만 5000여 명 정도였으며, 이 중 지리산을 거점으로 활동하던 부대는 남부군단이었다. 남부군단은 지리산 부근이 북한군 점령 지역이었을 당시 병력 보충부대 역할을 맡았으나, 유엔군과 국군의 반격 시점에 부대를 재편성한 후 조선인민유격대 남부군단으로 부대 명칭을 변경했다.2. 2. 남부군 결성과 활동
1950년 9월 한국 전쟁 중 인천 상륙 작전으로 국군과 유엔군이 총반격을 시작하자 미처 후퇴하지 못한 북한군 낙오병들이 발생했고, 대부분은 국군과 유엔군의 포로가 되었다. 하지만 일부 북한군은 남한 지역의 산악지대로 잠적해 현지 부역자들과 합세, 비정규전 조직을 구성하여 후방에서 국군을 교란했다. 1950년 10월 경 국군을 교란한 인민군 낙오병들은 2만 5000여 명 정도였으며, 이 중 지리산을 거점으로 활동하던 부대는 남부군이었다. 남부군은 지리산 부근이 북한군 점령 지역이었을 당시에는 병력 보충부대 역할을 맡았으나, 유엔군과 국군이 반격한 시점에는 부대를 재편성한 후 조선인민유격대 남부군으로 부대 명을 바꾸었다.3. 전개
지리산에서 빨치산이 유격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자, 국군은 토벌 작전을 구상한다. 국군은 1950년 10월 4일부터 1953년 5월 1일까지 31개월 동안 작전을 펼쳤다. 지리산 지역에서는 제11사단, 백야전사령부 산하 수도사단, 제8사단, 제1사단 등이 세 차례에 걸쳐 작전을 수행했다.[1][2] 남부군단의 저항도 거셌다. 험준한 산악 지형에 익숙한 유격대는 경찰지서와 관공서 등을 습격했고, 낮에는 산에 숨었다가 밤에는 민가로 내려와 가축을 끌고 갔다. 이 때문에 지리산 주변 민가 사람들은 낮에는 국군, 밤에는 유격대의 눈치를 보며 생명을 지켜야 했다.[1][2]
3. 1. 국군의 토벌 작전
지리산 부근에서 유격 활동이 활발해지자, 국군은 이들을 소탕하기 위한 토벌 작전을 구상한다. 국군은 1950년 10월 4일부터 1953년 5월 1일까지 31개월에 걸쳐 작전을 전개했는데, 지리산 쪽에서 제11사단, 백야전사령부 산하 수도사단, 제8사단, 제1사단 등이 세 차례에 걸쳐 작전을 수행했다.[1][2]이때 남부군단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험준한 산악 지형에 익숙한 유격대는 경찰지서와 관공서 등을 습격하기도 했고, 주로 낮에는 산에 숨어 있다가 밤에는 민가에 내려와 키우던 짐승들을 끌고 갔다. 이러한 이유로 지리산 주변 민가 사람들은 낮에는 국군의 눈치를 보아야 했고, 밤에는 자신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유격대에 협력하는 일이 많았다.[1][2]
3. 2. 빨치산의 저항과 민간인 피해
지리산 부근에서 빨치산이 유격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자, 국군은 이들을 소탕할 토벌 작전을 구상한다. 국군은 1950년 10월 4일부터 1953년 5월 1일까지 만 31개월에 걸쳐 작전을 전개했는데, 지리산 쪽에서 제11사단, 백야전사령부 산하 수도사단, 제8사단, 제1사단 등이 세 차례에 걸쳐 작전을 수행했다. 이때 남부군단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험준한 산악 지형에 익숙한 유격대는 경찰지서 등 관공서를 습격하기도 했고, 주로 낮에는 산에 숨어 있다가 밤에는 민가에 내려와 키우던 짐승들을 끌고 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지리산 주변 민가에 사는 사람들은 낮에는 국군의 눈치를 보아야 했고, 밤에는 자신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유격대에 협력하는 일이 많았다.[1][2]4. 결과
전사편찬위원회의 《대비정규전사》(1988)와 백선엽 장군의 회고에 따르면, 지리산 토벌 작전의 결과는 공식 통계상 최소치로 실제 기록과 다를 수 있다.[3]
4. 1. 막대한 인명 피해
국회전자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는 전사편찬위원회의 《대비정규전사》(1988)에 따르면, 지리산 토벌 작전 중 1, 2, 3차 작전(4차 작전 제외)에서 사살 7,737명, 생포 7,993명, 귀순 506명이 발생했다. 그러나 백선엽 장군은 이후 회고에서 사살 5,009명, 생포 3,968명, 귀순 45명으로 다르게 기록했다.[3] 이처럼 공식 통계는 최소치일 뿐 실제 기록은 다를 수 있다. 피란민들이 기총소사, 폭격 등에 노출되었고, 민간인 피해도 컸다는 점이 본 작전의 한계로 지적된다.[3]4. 2. 작전의 한계와 민간인 희생
백선엽은 회고에서 지리산 토벌 작전 결과 사살 5,009명, 생포 3,968명, 귀순 45명이라고 밝혔다. 전사편찬위원회의 《대비정규전사》(1988)는 1, 2, 3차 작전에서 사살 7,737명, 생포 7,993명, 귀순 506명을 기록했다. 이처럼 공식 통계는 최소치일 뿐 실제 기록은 다를 수 있다.[3]하지만, 피란민들이 기총소사, 폭격 등에 노출되었고, 민간인 피해도 컸다는 점이 본 작전의 한계이다.[3]
5. 역사적 평가 및 의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역사적 평가 및 의의' 섹션을 작성하겠습니다.)
참조
[1]
웹인용
지리산공비토벌작전(智異山共匪討伐作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9-11-13
[2]
웹인용
"[6.25특집]지리산 공비토벌과 빨치산"
http://whytimes.kr/n[...]
2019-11-13
[3]
웹인용
국회전자도서관
http://dlps.nanet.go[...]
2019-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