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위협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둔군 지위 협정(SOFA)은 외국 군대의 법적 지위를 규정하는 협정으로, 주둔국의 영토 내에서 군대의 작전 조건, 시설 접근, 민사 및 형사 관할권, 세금, 우편 서비스, 고용 조건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룬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일본, 스페인 등 여러 국가들이 해외 주둔 군대와 SOFA를 체결했으며, 과거 소련은 위성국과 맺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SOFA 체결의 필요성이 증가했으며, SOFA의 주요 쟁점은 형사 관할권 문제로 주둔군 범죄 발생 시 어느 국가가 재판권을 행사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한미 SOFA, 미일 SOFA 등 여러 국가 간의 SOFA가 존재하며, 방문군 지위 협정(VFA)은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외국 군대에 적용되는 협정이다.

2. 정의

주둔군 지위 협정(SOFA)은 주둔국의 영토 내에서 외국 군대의 법적 지위와 권리, 의무를 규정하는 협정이다. 주둔군의 작전 조건, 시설 접근, 민사 및 형사 관할권, 세금, 우편 서비스, 고용 조건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룬다.[5] 미국군은 해외 주둔 병력이 가장 많아 지위 협정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영국,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독일,[2] 이탈리아, 러시아, 일본, 스페인 등 여러 국가들도 해외에 군대를 주둔시키며 주재국과 지위 협정을 체결한다.[3] 과거 소련위성국과 지위 협정을 맺기도 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회원국 간의 지위 협정을 위한 자체 절차를 가지고 있다.[4]

SOFA는 일반적으로 기지 위치 및 시설 접근과 같은 군사 작전 문제는 별도의 협정으로 다루고, 군인과 재산과 관련된 법적 문제에 더 중점을 둔다.[5] 민사 문제의 경우, 군대가 야기한 피해가 어떻게 결정되고 지불될지에 대해 규정하며, 형사 문제의 경우, 미군 구성원이 다른 미군 구성원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거나 군 복무 중 범죄를 저지른 경우 미국 법원이 관할권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주재국은 기타 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유지한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일본 미군 (미국군)이 일본 국내에 주둔하는 주요 외국군이 되었고, 외국군과의 지위 협정을 맺어 왔다. 1990년대 이후, 일본은 군사적으로 해외로 나갈 기회가 늘어나면서 국외에 주둔하는 입장에서 지위 협정을 체결하는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3.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군은 전 세계 여러 국가에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SOFA 체결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3] 영국,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독일,[2] 이탈리아, 러시아, 일본, 스페인 등 많은 국가들도 해외에 군대를 주둔시키며 주재국과 지위 협정을 체결한다.[3]

냉전 시기, 미국소련은 각각 동맹국 및 위성국과 SOFA를 체결하여 군사적 영향력을 유지하였다. 과거 소련은 대부분의 위성국과 지위 협정을 맺었다.[3]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회원국 간의 지위 협정을 위해 "1951년에 처음 서명된 평화 시 협정"에서 비롯된 자체 절차를 가지고 있다.[4]

1990년대 이후, 일본이 다시 군사적으로 해외로 나갈 기회가 늘어나, 일본이 국외에 주둔하는 입장에서 지위 협정을 체결하는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미국의 지위 협정 대부분은 공개되어 있지만, 일부는 기밀로 유지된다.[3]

4. 주요 내용 및 쟁점

SOFA의 주요 내용은 주둔군의 작전 조건, 시설 접근, 민사 및 형사 관할권, 세금, 우편 서비스, 고용 조건 등이다.[5]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형사 관할권 문제로, 주둔군 범죄 발생 시 주둔국과 파견국 중 어느 국가가 재판권을 행사할 것인지가 핵심 쟁점이다.[5] 주둔국 국민들은 자국 사법 체계가 미군 범죄자에게 충분한 처벌을 내리지 못한다고 우려하는 반면, 미군은 자국 군인이 주둔국 법원에서 공정한 재판을 받지 못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많은 주둔국, 특히 대한민국일본처럼 대규모 외국 군대가 주둔하는 국가에서 지위 협정은 군인들의 범죄 혐의로 인해 주요 정치적 문제가 될 수 있다.[6] 이는 특히 강도, 살인, 과실치사 또는 성범죄와 같은 사건이 관련되어 있고, 특히 두 국가에서 혐의가 다르게 정의될 때 더욱 그렇다.[6] 예를 들어, 2002년 대한민국에서 훈련을 마치고 기지 캠프로 돌아가던 미군 AVLB 교량 전개 차량이 사고로 여중생 두 명을 사망하게 했다.[6] 지위 협정에 따라 미군 군사 법원에서 관련 군인들을 재판했다. 재판부는 해당 행위가 사고였다고 판단하고, 고의 또는 과실이 없다는 이유로 과실치사 혐의를 무죄로 판결했다.[6] 미군은 사고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민사 배상금을 지불했다.[6] 이로 인해 대한민국에서는 광범위한 분노, 군인들의 대한민국 법원 재판 요구, 다양한 음모론의 제기, 그리고 현지 외국인 커뮤니티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다.[6]

2011년 당시 미국 군 당국은 대한민국이 자국 법원에서 미군을 기소하고 재판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7] 2011년 10월, 두 명의 미군이 별개의 사건으로 강간 혐의를 받으면서 미군 전체에 한반도 전역에 걸쳐 야간 통행 금지가 시행되었다.[7][8] 2011년 11월, 한 미군이 서울의 한 술집에서 방화 혐의를 받았고,[9] 2012년 6월에는 다른 군인이 강간 혐의로 대구지방법원에서 3년형을 선고받았다.[10] 또한 2011년 11월에는 의정부지방법원에서 극도로 잔혹한 강간을 저지르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된 군인에게 징역 10년을 선고했다.[11] 같은 법원은 앞서 한 한국인 남성이 미군 여성을 강간한 혐의로 4년 미만의 징역형을 선고했지만, 이 차이는 미군 군인의 강간에서 나타난 폭력의 정도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되었다.[11] 재심 결과 3년형은 집행 유예되었고 10년형은 유지되었다.[12]

근무 외 시간에 범죄를 저지른 군인에 대한 형사 기소는 일반적으로 지위 협정의 특정 조항에 따라 현지 관할권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항의 세부 사항은 여전히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지위 협정에는 군인이 법원에서 기소될 때까지 현지 당국에 인도되지 않는다는 요건이 포함되어 있다.[13] 여러 경우에 현지 관계자들은 이것이 용의자를 심문하고 범죄를 조사하는 능력을 방해한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미국 관계자들은 일본 경찰이 강압적인 심문 전술을 사용하고 "정의"를 찾는 것보다 높은 유죄 판결률을 얻는 데 더 관심이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 당국은 또한 경찰 수사 권한과 사법부의 차이점을 지적한다. 일본에서는 통역사가 제공되지만 변호인은 수사 과정에 입회할 수 없으며, 미국의 미란다 원칙과 같은 개념에 대한 언급도 없다. 또 다른 문제는 일본에 배심원 재판이 없다는 것이다. 2009년 이전에는 모든 재판이 판사 또는 판사 패널에 의해 결정되었다. 현재 일본은 일부 형사 재판에서 재판원 제도를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당국은 군인들이 군사 재판소에서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의 제98조를 거부한다.[14]

SOFA의 정치적 문제는 많은 주둔국들이 자국 내 외국 기지에 대해 복합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과, SOFA 재협상 요구가 종종 외국 군대의 완전 철수 요구와 결합된다는 사실로 인해 복잡해진다. 다양한 국가의 관습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미국과 주둔국은 일반적으로 범죄의 정의에 대해 동의하지만, 많은 미국의 관찰자들은 주둔국의 사법 체계가 피고인에게 미국보다 훨씬 약한 보호를 제공하며, 주둔국 법원이 유죄 판결을 내리라는 여론의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해외 파견 명령을 받은 미국 군인들은 권리 장전에 따라 부여된 권리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반면, 권리 장전에 해당하는 자국 내 대응책이 없는 주둔국의 관찰자들은 이것이 특별 대우를 요구하는 무관한 핑계이며, 식민 시대에 서방 국가들이 요구했던 치외법권 협정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정서가 널리 퍼져 있는 한 주둔국인 대한민국은 자체적으로 키르기스스탄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으며, 키르기스 당국에 의한 어떠한 범죄에 대해서도 자국 군인에게 완전한 면책 특권을 부여하는 SOFA를 협상했는데, 이는 많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미국과의 SOFA에서 반대하는 특권보다 훨씬 과도한 것이다.

4. 1. 한미 SOFA

대한민국과 미국은 1966년 7월 9일 서울에서 한미 SOFA(주한 미군 지위 협정)를 체결하고 1967년 2월 9일 발효하였다.[18] 이후 1991년 2월 1일 1차 개정,[18] 2001년 2월 28일 2차 개정이 이루어졌다.[18]

한미 SOFA는 대한민국 내 미군의 법적 지위와 관련된 여러 조항을 담고 있다. 특히, 미군 군인들의 범죄 혐의는 주요 정치적 문제가 될 수 있는데,[6] 이는 강도, 살인, 과실치사, 성범죄와 같이 사건이 발생했을때, 특히 두 국가에서 혐의가 다르게 정의될때 더욱 그렇다. 일례로, 2002년 대한민국에서 훈련을 마치고 기지로 복귀하던 미군 AVLB 교량 전개 차량이 여중생 두 명을 사망하게 한 사건이 있었다.[6] 미군 군사 법원은 해당 행위가 사고였다고 판단, 고의 또는 과실이 없다는 이유로 과실치사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6] 미군은 사고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민사 배상금을 지불했지만, 이 사건은 대한민국 내에서 광범위한 분노를 일으켰고, 미군을 대한민국 법원에서 재판해야 한다는 요구와 함께 다양한 음모론이 제기되었다.[6]

2011년 당시 미국 군 당국은 대한민국이 자국 법원에서 미군을 기소하고 재판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7] 2011년 10월, 두 명의 미군이 별개의 사건으로 강간 혐의를 받으면서 미군 전체에 한반도 전역에 걸쳐 야간 통행 금지가 시행되기도 했다.[7][8]

4. 2. 미일 SOFA

일본과 미국은 1960년 미일 SOFA(일본국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 제6조에 따른 시설 및 구역 및 일본에 있어서의 미국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를 체결하였으며, 이는 주일본 미군(미국군) 기지 운영의 법적 근거가 된다.[14] 미일 SOFA는 미군 범죄 발생 시 용의자 신병 인도를 기소 이후로 제한하는 등 불평등 조항을 포함하고 있어 일본 내에서 비판 여론이 존재한다.[13] 이는 강도, 살인, 과실치사 또는 성범죄와 같은 사건이 특히 문제가 되며, 특히 두 국가에서 혐의가 다르게 정의될 때 더욱 그렇다. 일본의 경우 지위 협정에는 군인이 법원에서 기소될 때까지 현지 당국에 인도되지 않는다는 요건이 포함되어 있다.[13] 여러 경우에 현지 관계자들은 이것이 용의자를 심문하고 범죄를 조사하는 능력을 방해한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일본은 미일 SOFA와 별도로, 자위대의 해외 파병 증가에 따라 다른 국가들과 SOFA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 일호주 상호운용성 협정, 2023년 영일 상호운용성 협정을 체결하였다.

4. 3. 기타 국가의 SOFA

독일NATO 회원국으로서 나토군 지위 협정(NATO SOFA) 및 독일 주둔 NATO군 지위 보충 협정/Zusatzabkommen zum NATO-Truppenstatutde의 적용을 받는다.[21] 필리핀1998년 주 필리핀 미국 군사 원조 협정(VFA)을 미국과 체결하여 미군의 필리핀 내 군사 활동을 허용하고 있다. 이라크2008년 미국과 미국-이라크 지위 협정/الاتفاقية العراقية الأمريكية 2008ar을 체결하여 미군의 이라크 주둔 조건을 규정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1963년 5월 9일 캔버라에서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미국 군대의 지위와 관련된 협정 및 의정서를 체결하여 미군의 오스트레일리아 내 군사 활동을 허용하고 있다.[20]

5. 대한민국의 입장과 과제

대한민국은 한미 SOFA의 불평등 조항 개선과 미군 범죄에 대한 사법 주권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한미 SOFA 개정을 통해 미군 범죄에 대한 대한민국의 재판권을 확대하고, 피해자 구제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많은 미국의 관찰자들은 주둔국의 사법 체계가 피고인에게 미국보다 훨씬 약한 보호를 제공하며, 주둔국 법원이 유죄 판결을 내리라는 여론의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해외 파견 명령을 받은 미국 군인들은 권리 장전에 따라 부여된 권리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반면, 권리 장전에 해당하는 자국 내 대응책이 없는 주둔국의 관찰자들은 이것이 특별 대우를 요구하는 무관한 핑계이며, 식민 시대에 서방 국가들이 요구했던 치외법권 협정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국제 관계에서 상호 존중과 평등의 원칙에 따라 SOFA를 운영하고, 주둔군과 주둔국 국민 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6. 방문군 지위 협정 (VFA)

방문군 지위 협정(Visiting Forces Agreement, VFA)은 주둔군이 아닌 일시적으로 한 국가에 방문하는 외국 군대에 적용되는 협정이다. 주둔군 지위 협정(SOFA)과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주로 단기적인 군사 훈련, 합동 군사 작전 등에 참여하는 군대에 적용된다.

1998년 2월에 조인된 주 필리핀 미국 군사 원조 협정이 VFA에 해당한다.

참조

[1] 간행물 Status of Forces Agreement (SOFA): What Is It, and How Might One Be Utilized In Iraq?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2-03-15
[2] 문서 Status of Forces Agreement https://www.ramstein[...] FACT SHEET 2009-03-04
[3] 간행물 U.S. Security Agreements and Iraq http://www.cfr.org/p[...]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08-10-02
[4] 뉴스 NATO SOFA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TO THE NORTH ATLANTIC TREATY REGARDING THE STATUS OF THEIR FORCES https://www.jordanuc[...] jordanucmjlaw.com 2020-09-20
[5] 웹사이트 Status of Forces Agreement http://www.globalsec[...]
[6] 웹사이트 News articles on South Korean teenagers run over US military vehicle http://www.ibiblio.o[...] ibiblio.org 2008-08-22
[7] 뉴스 US soldiers accused of raping teens in South Korea https://www.nbcnews.[...] 2011-10-08
[8] 웹사이트 Curfew put in place for all US troops in South Korea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2-02-12
[9] 뉴스 US soldier's alleged arson attack done at off-limits https://koreatimes.c[...] 2011-11-17
[10] 웹사이트 Korea-based US soldier get 3 years in prison for rape conviction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2-02-12
[11] 뉴스 Korea rape sentences: Each case has 'unique set of circumstances https://www.stripes.[...] 2011-11-03
[12] 뉴스 No outcry over Korea-based soldier's suspended sentence https://www.stripes.[...] 2010-06-29
[13] 문서 U.S.-Japan Status of Forces Agreement, 19 January 1960 http://www.niraikana[...]
[14] 문서 L'impossibilità (giuridica) degli accordi bilaterali per sottrarsi alla giurisdizione Diritto e giustizia online 2002-09-12
[15] 간행물 A Call for Justice and the US-ROK Alliance http://www.csis.org/[...] Center for Strategic International Studies 2008-05-05
[16] 웹사이트 フィリピン高官、自衛隊巡る地位協定の締結に意欲 https://www.nikkei.c[...] 2023-01-08
[17] 웹사이트 アジア版NATOで核共有検討を 「在グアム自衛隊」提案―石破氏: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4-09-28
[18] 웹사이트 韓米地位協定 政府は恥ずかしくないか https://ryukyushimpo[...] 2017-10-14
[19] 웹사이트 平成22年度外務省国際問題調査研究・提言事業報告書「日米関係の今後の展開と日本の外交」 http://www2.jiia.or.[...] 日本国際問題研究所 2020-02-11
[20] 웹사이트 Agreement with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erning the Status of United States Forces in Australia, and Protocol http://www.info.dfat[...] 오스트레일리아외무무역성 2017-10-14
[21] 웹사이트 독일 주둔 NATO군 지위 보충 협정에 관한 약간의 고찰-재일 미군 지위 협정을 둘러싼 제문제를 생각하기 위한 단서로서- http://www.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7-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