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노동당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보노동당(PLP)은 1965년 창당된 미국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이다. 미국 공산당에서 제명된 밀트 로젠을 비롯한 당원들이 1961년 진보노동운동을 결성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 초창기에는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과 시민권 운동에 참여했고, 1960년대 후반에는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을 지지하며 마오쩌둥주의 정당으로 인식되었다. 1970년대에는 중국과의 노선 차이로 결별하고, 인종차별 반대 투쟁에 집중했다. 현재는 반수정주의 노선을 유지하며, 북한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보인다. 당원은 민주집중제 원칙에 따라 조직되었으며, 격월간 잡지 '진보노동' 등을 발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공산당 - 미국 공산노동당
미국 공산노동당은 1919년 사회당에서 탈퇴한 좌익 인사들이 알프레드 바겐크네히트를 중심으로 창당한 미국의 공산주의 정당으로, 정부 탄압 속 지하 활동을 하다 미국 공산당과 통합하여 미국 통합 공산당을 거쳐 현재의 미국 공산당으로 이어졌다. - 미국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 - 미국 공산당
미국 공산당은 1919년 결성되어 노동 운동과 흑인 민권 운동에 참여하며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냉전 시대 탄압으로 위축되었고, 소련 붕괴 후 어려움을 겪었지만 최근 젊은 세대의 지지를 받으며 진보적인 의제를 지지하고 있다. - 미국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 - 사회주의해방당
사회주의해방당은 2004년 미국에서 창당된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으로, 자본주의 타도와 사회주의 건설을 목표로 하며, ANSWER 연합 등 여러 단체와 연관되어 미국 내 선거에 후보를 출마시키고, 미국 군사 예산 삭감 등을 주장하며 조선로동당과 중국 공산당을 지지한다. - 1961년 설립된 정당 - 신민당 (1960년)
신민당 (1960년)은 1960년 민주당 구파가 창당한 정당으로, 장면 내각에 불만을 품고 창당하여 제1야당이 되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해산되었다. - 1961년 설립된 정당 - 통일사회당
통일사회당은 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특징 1)과 (특징 2)를 특징으로 하며 (종류 1)과 (종류 2) 등의 종류가 있는 정당이다.
진보노동당 (미국)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약칭 | PLP |
창립일 | 1962년 1월 |
본부 | 뉴욕 (주) 뉴욕 시 브루클린 |
기관지 | 도전 |
정치적 위치 | 극좌 |
웹사이트 | 진보노동당 공식 웹사이트 |
이념 | |
이념 |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반수정주의 |
관련 단체 | |
학생 조직 | 노동자 학생 연맹 |
기타 | |
색상 | 빨강 |
2. 성립
진보노동당(Progressive Labor Party, PLP)은 1965년 미국 공산당(CPUSA)에서 분리된 반수정주의 그룹이 창당한 정당이다.[2] 창당의 중심에는 미국 공산당 뉴욕주 간부였던 밀트 로젠(Milt Rosen)과 그의 지지자들이 있었다.[19][2] 이들은 미국 공산당이 소련의 수정주의 노선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쿠바 혁명에 소극적이라고 비판하다[19][3] 1961년 당에서 제명되었다.[2]
제명 이후 로젠과 지지자들은 '진보노동운동'을 조직하여 활동을 시작했으며,[1][3] 1965년 4월 뉴욕시에서 창당대회를 열고 공식적으로 진보노동당을 창당했다.[2] 초대 의장은 밀트 로젠이 맡았으며,[5] 당은 마오쩌둥 사상과 당시 활발했던 시민권 운동 등의 영향을 받으며 활동을 전개했다.
2. 1. 창당 배경
진보노동당(PLP)의 뿌리는 미국 공산당(CPUSA) 내부에 있다. 창립자들은 본래 CPUSA 당원이었으며, 특히 CPUSA 뉴욕주 북부 지부 산업노동자 조직 총책이었던 밀트 로젠(Milt Rosen, 1926–2011)과 모티머 셰어(Mortimer Scheer)가 중심 인물이었다.[19][2] 로젠은 CPUSA의 저명한 간부였으나,[3] 당 지도부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 정책과 수정주의 노선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19] 쿠바 혁명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비판했다.[19][3]
이러한 노선 비판으로 인해 로젠과 셰어는 1961년 가을 CPUSA에서 추방되었다.[2] 로젠과 그를 지지하는 세력은 '진보노동운동'을 결성하기 시작했다. 1961년 12월, 약 50명의 CPUSA 현역 및 전직 당원 중 12명이 모여 첫 조직 회의를 열었으며,[3] 로젠은 이 자리에서 쿠바 혁명에 영감을 받아 CPUSA를 "돌이킬 수 없는 수정주의자"로 규정하고 이를 대체할 새로운 공산당 설립을 촉구했다.[3]
'진보노동운동'은 1962년 1월 공식적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1] 초기에는 월간 뉴스레터 ''진보노동''을 발행하고 소규모 토론을 진행하는 등 유동적인 상태를 유지했다.[3] 1962년 7월, 뉴욕시 호텔 디플로매트에서 11개 도시 대표 50명이 모여 공식 조직인 '진보노동운동'을 출범시켰다.[3] 로젠은 이 회의에서 새로운 혁명적 사회주의 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강령 작성과 조직 확대를 주장했다.[3] 초기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정당 대신 '운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과도기적 성격을 나타냈다.[3]
진보노동운동은 마침내 1965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뉴욕시에서 창당대회를 개최하고 진보노동당(PLP)으로 공식 출범했다.[2] 이 대회에서 20명으로 구성된 전국위원회가 선출되었고,[4] 밀트 로젠이 초대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5] 당 본부는 뉴욕시에 설립되었다.[1] 초기 PLP는 공공연하게 공산주의 혁명을 주장했으며, 신좌익의 마오쩌둥 사상과 당시 활발했던 시민권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2. 2. 초기 조직
진보노동당(PLP)의 뿌리는 미국 공산당(CPUSA) 내부의 분열에 있다.[1] 창립자들은 본래 CPUSA 당원이었으며, 특히 CPUSA 뉴욕주 북부 지구 산업 조직 총책이었던 밀트 로젠(Milt Rosen, 1926–2011) 교수의 제명 이후 형성된 '진보노동운동'의 멤버들이 중심이 되었다. 로젠은 CPUSA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 정책과 수정주의 노선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다고 비판했으며, 쿠바 혁명에 대한 CPUSA의 소극적인 태도 역시 비판의 대상이었다.[19] 이러한 비판적 입장은 1961년 가을, 로젠과 모티머 셰어(Mortimer Scheer)의 CPUSA 제명으로 이어졌다.[2] 로젠은 제명 전까지 CPUSA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간부였으며, 1957년부터 뉴욕주 북부 지역 조직자, 1959년부터는 뉴욕주 전체의 산업 조직자로 활동했다.[3] 그는 반수정주의자, 급진적 지식인, 노동운동가, 흑인해방운동가, 여성주의자 등을 규합하여 초기 조직의 기반을 다졌으며, 이는 훗날 진보노동당이 반수정주의 노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기여했다.[19]로젠과 셰어의 제명 이후, 로젠을 지지하는 CPUSA 현역 및 전직 당원들은 새로운 조직 결성을 모색했다. 1961년 12월, 약 50명의 관련자 중 12명이 모여 첫 조직 회의를 열었으며, 이들은 스스로를 "콜 그룹"이라 칭했다.[3] 이 자리에서 로젠은 쿠바 혁명에서 영감을 받아 CPUSA를 대체할 새로운 공산당 설립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CPUSA를 돌이킬 수 없는 "수정주의자" 집단으로 규정했다.[3]
이들은 1962년 1월, "진보노동운동"이라는 이름으로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했다.[1] 초기 몇 달간 조직은 유동적인 상태였으며, 월간 뉴스레터 ''진보노동''을 발행하고 소규모 토론 모임을 가지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3] 1962년 7월, ''진보노동'' 편집자들은 뉴욕시에서 조직 회의를 소집했다.[3] 호텔 디플로매트에서 열린 이 모임에는 11개 도시에서 온 50명이 참석했으며, 이를 계기로 '진보노동운동'은 공식적인 조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3] 로젠은 이 회의에서도 주요 정치 보고서를 발표하며, 새로운 혁명적 사회주의 운동을 건설하기 위해 강령을 마련하고, 클럽 네트워크와 연계된 대중 조직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3] 그러나 아직 조직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정당을 즉시 결성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고, 조직의 과도기적 성격을 나타내기 위해 "진보노동운동"이라는 명칭을 유지했다.[3]
진보노동운동은 꾸준히 세력을 확장하여 마침내 1965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뉴욕시에서 창당대회를 개최하고, '''진보노동당'''(PLP)으로 공식 출범했다.[2] 이 대회에서 20명으로 구성된 전국위원회가 선출되었으며,[4] 밀트 로젠이 초대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5] 당 중앙 본부는 뉴욕시에 마련되었다.[1] 진보노동당은 공공연하게 공산주의 혁명을 주장했으며, 당시 신좌익 내에서 영향력을 넓히던 마오쩌둥 사상의 영향도 받았다.
창당 초기, 진보노동당은 당시 활발했던 시민권 운동의 영향을 받아 당원 수를 늘려나갔다. 초기 20여 명이었던 당원은 점차 증가했다. 특히 쿠바 혁명을 지지하는 학생 당원들은 미국 정부의 여행 금지 조치를 어기고 쿠바를 방문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보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학생 당원들이 귀국하기 전에 진보노동당은 의회 조사를 받게 되었는데, 당원들은 조사 과정에서 테이블을 두드리고 야유하며 심의를 방해하기도 했다.
1964년에는 대학을 기반으로 하는 조직인 "5월 2일 운동"(M2M)을 결성하여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후 학생 운동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한 민주적 사회를 위한 학생 연합(SDS)이 성장하자, 진보노동당은 M2M을 해체하고 SDS에 합류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SDS 내에서 진보노동당파는 점차 최대 파벌로 성장했지만, 이들의 독자적인 공산주의 이론 강요에 반발한 다른 SDS 회원들이 혁명적 청년 운동을 결성하면서 내부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진보노동당파는 "노동자 학생 연맹"이라는 별도 조직을 만들어 각 대학에서 당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
3. 활동
진보노동당의 활동은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공산주의 성향의 교수들과 투쟁적인 노동운동가들이 주축이 되었기 때문이다.[20] 1960년대 중반에는 전국적인 조직과 명확한 당비 관리 체계를 갖추었다. 이 시기 당은 할렘 지역의 인종차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할렘 방어위원회'(Harlem Defense Council)를 조직하고,[20][9] '5월 2일 운동'(M2M)을 결성하여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의 선두에 서는 등[20][9]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또한 쿠바 여행 학생 위원회와 같은 대중 조직을 활용하여 이념을 전파하고 새로운 당원을 모집했다.[9]
진보노동당은 의회주의를 최종 목표로 삼지는 않았으나, 당의 주장을 알리는 선전 수단으로 선거를 활용했다. 1963년 뉴욕 시 의회 선거 후보 등록 시도나[6] 1965년 빌 엡턴의 뉴욕 주 상원 출마 등이 그 예이다.[7]
1960년대 후반에는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노선을 지지하며 마오주의자 정당으로 인식되었으나,[20][2] 1970년대 초 중소 분쟁 심화와 미중 관계 변화 속에서 중국의 노선을 비판하며 결별했다.[10] 이후 미국 내 인종차별 문제에 집중하여 '인종차별 반대 위원회'(CAR)를 조직하고,[11] 때로는 직접 행동 전술을 사용하며 사회생물학 비판 등에 앞장섰다.[11][12][13] 1976년에는 흑표당과 연대를 모색하기도 했다.[21]
현재 진보노동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원칙과 이오시프 스탈린, 마오쩌둥의 이념을 고수하는 반수정주의 노선을 견지하고 있다. 미국의 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책을 제국주의적이라 비판하며 한반도 통일 문제와 주체사상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22] 소련 해체 이후 타협주의나 의회주의 노선을 따르는 미국 공산당 등을 비판하고 있다.
3. 1. 1960년대: 반전 운동과 시민권 운동
1961년, 미국 공산당을 탈퇴한 동해안 지역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공개적으로 공산주의 혁명을 지지했으며, 당시 신좌익 내에서 영향력을 넓히던 마오쩌둥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초기 당원들은 주로 공산주의 성향의 교수들과 투쟁적인 노동운동가들로 구성되어, 당의 성장은 조직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20]1960년대에 활발했던 시민권 운동의 영향으로 초기 20여 명이었던 당원 수는 점차 증가했다. 쿠바 혁명을 지지하는 학생 당원들은 미국 정부의 여행 금지 조치를 위반하고 쿠바를 방문하기도 했는데, 이로 인해 당원들이 귀국하기 전에 미국 의회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과정에서 당원들은 테이블을 두드리고 야유하며 심의를 방해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1964년에는 할렘 지역에서 발생하는 인종차별과 폭력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할렘 방어위원회'(Harlem Defense Council)를 조직했다.[20][9] 같은 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5월 2일 운동'(M2M)을 결성하여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20][9] M2M은 반전 운동 내에서 가장 선동적인 구호를 만들고 이를 학생 사회에 널리 배포하며 투쟁의 선두에 섰다.[20]
진보노동당은 의회주의를 주요 목표로 삼지는 않았지만, 당의 이념을 선전하는 수단으로 선거를 활용했다. 1963년 11월 뉴욕 시 의회 선거에 후보를 내기 위해 5,000명의 서명을 모으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 과정에서 10만 부 이상의 당 관련 문서를 배포했다.[6] 1965년에는 빌 엡턴이 당 후보로 뉴욕 주 상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7]
1960년대 중반에는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추고 당비 관리 체계도 명확해졌다.[20] 당원 수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1967년과 1968년 연방 소득세 신고서에 따르면 각각 약 6.6만달러와 8.86만달러의 수입과 지출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당시 당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7]
학생 운동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민주적 사회를 위한 학생 연합(SDS)이 성장하자 M2M을 해체하고 SDS에 합류했다. 이후 PLP 계열은 SDS 내에서 가장 큰 세력으로 부상했지만, 그들의 독자적인 공산주의 노선 강요에 반발한 다른 그룹들이 혁명적 청년 운동(RYM)을 결성하며 대립했다.[8] 이에 PLP는 '노동자 학생 연합'이라는 조직을 만들어 각 대학에서 지지 세력을 넓히려 했다.
이 시기 진보노동당은 중국 공산당의 국제 노선을 따랐으며, 외부에서는 종종 "마오주의자"로 평가받았다.[2] 특히 1960년대 후반에는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노선을 지지하면서 이러한 인식이 더욱 강해졌다.[20]
3. 2. 1970년대: 중국과의 결별과 인종차별 반대 투쟁
1970년대에 들어 진보노동당(PLP)은 기존의 정치 노선에 큰 변화를 맞이했다. 1971년 봄, 당은 내부 토론 게시물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단절을 공식화했다.[10] 이는 중소 분쟁이 격화되고 마오쩌둥이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등 변화된 국제 정세 속에서, 중국 공산당의 노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1972년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이러한 결별을 더욱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진보노동당은 중국의 외교 정책 변화(특히 캄보디아, 북한,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미국과의 관계), 흑표당에 대한 평가, 나세르나 은크루마 같은 민족주의 지도자들과의 관계 등 8가지 주요 이견을 제기하며 중국과의 결별을 선언했다.[10] 이로써 문화 대혁명을 지지했던 이전의 입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노선을 걷게 되었다.중국과의 결별 이후, 진보노동당은 미국 내 인종차별 문제에 대한 투쟁에 더욱 집중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인종차별 반대 위원회'(eng, CAR)라는 대중 조직을 결성했다.[11] CAR는 1976년 7월 뉴욕시에서 500여 명이 참가하는 대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11] 이들은 인종차별적 견해를 보인다고 판단되는 인물이나 주장에 대해 공격적인 직접 행동 전술을 사용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1976년 봄, 인종 간 지능 차이를 주장한 심리학자 아서 젠슨과 우생학을 옹호한 물리학자 윌리엄 쇼클리의 강연을 방해한 사건이 있었다.[11]
CAR는 특히 사회생물학의 인종차별적 함의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사회생물학의 저명한 학자인 E. O. 윌슨을 주요 비판 대상으로 삼아, 그의 이론이 인종차별, 전쟁, 심지어 대량 학살을 정당화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하버드 스퀘어에서 시위를 벌이고 반대 전단지를 배포했다.[12] 1977년, CAR는 활동 범위를 넓혀 국제 인종차별 반대 위원회(eng, InCAR)로 명칭을 변경했다. InCAR는 학술 회의장에서 윌슨에게 물을 뿌리며 "윌슨, 너는 젖었어!"라고 외치는 과감한 행동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13]
같은 시기인 1976년에는 흑표당과의 연대를 모색하며 공산주의 운동과 흑인 해방 운동의 결합을 시도하기도 했다.[21] 이러한 활동들은 진보노동당이 1970년대 미국 사회 내에서 인종차별 문제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우는 주요 세력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만들었다.
3. 3. 현재
현재까지 진보노동당은 미국 내 반수정주의자들 중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당으로 평가받으며, 기존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원칙과 이오시프 스탈린, 마오쩌둥의 공산주의 이념을 엄격히 고수하고 있다.진보노동당은 미국의 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국주의 정책을 강하게 비판한다. 당원들은 과거부터 쿠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을 방문했으며,[22] 한반도 통일 문제에 관심을 갖고 주체사상을 연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소련 해체 이후 미국 공산당의 타협주의 및 의회주의 노선을 비판하며, 공산주의 국가라도 수정주의 노선을 따르는 공산당이 집권할 경우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4. 조직
(내용 없음)
4. 1. 조직 구조
현재 미국 진보노동당의 조직 규율은 1965년 발표된 당헌 강령을 따른다.[23] 이 강령에 따르면, 당의 정책을 수용하고 회비를 납부하며 당 간행물을 구독하는 만 17세 이상이면 누구나 당원이 될 수 있다.[14][23] 신규 가입자는 3개월간 혁명 이론 교육을 받아야 하며, 1960년대에는 이 교육이 개별 주택에서 소그룹으로 진행되었다.[23][6]진보노동당은 소련 공산당처럼 민주집중제를 채택하여 상급 조직의 결정이 하위 조직에 구속력을 갖는다.[23][14] 당의 최고 권한은 2년마다 열리는 전국 대회에서 행사하며, 대회는 당무를 처리할 전국위원회를 선출한다.[14] 주요 당 조직은 작업장, 지역, 기능별로 구성된 "클럽"이며, 모든 당원은 클럽 활동에 참여해야 한다.[14]
노동운동과 이론 작업에서 성과를 낸 사람만이 간부 자리에 오를 수 있다. 간부는 비간부 당원의 엄격한 감시를 받으며 철저한 생활 규율을 지켜야 한다.[23] 당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유행했던 히피 운동이나 아나키즘 운동의 경향(마약, 그룹 섹스, 동성애, 신비주의, 탈근대, 허무주의, 극단적 개인주의 등)을 강하게 비판하며, 모든 당원에게 엄격한 생활 규율을 요구한다.[23]

진보노동당은 창립 이후 당원의 상당한 경제적 부담과 시간 요구 때문에 소규모 간부 조직으로 운영되었다. 1970년에는 약 350명의 핵심 당원과 다수의 지지자로 구성되었다.[14] 1960년대 당원들은 주로 백인 중산층 출신이었고, 마약 사용을 멀리했으며, 1971년 하원 국내 안보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단정하게 옷을 입고 짧은 머리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14]
4. 2. 조직 문화
1965년에 발표된 당헌 강령에 따라 진보노동당의 조직 규율이 유지되고 있다. 이 강령에 따르면, 만 17세 이상이어야 당 가입이 가능하며, 신규 가입자는 당 간부에게 3개월간 혁명 이론 교육을 받아야 한다.[23][6] 당은 소련 공산당과 같이 민주집중제를 채택하고 있어 상급 간부의 결정이 하위 조직에 강한 구속력을 가진다.[23][14] 노동운동과 이론 작업에서 상당한 성과를 낸 사람만이 간부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은 비간부 당원의 엄격한 감시를 받고 철저한 생활 규율을 따라야 한다.[23]1965년 창당 당시 채택된 헌장에 의하면, 당의 강령과 정책을 수용하고 회비를 납부하며 당 간행물을 구독하는 17세 이상이면 누구나 당원이 될 수 있었다.[14] 조직의 최고 권한은 2년마다 열리는 전국 대회에서 행사하며, 대회 기간 동안 당무를 처리할 전국위원회를 선출한다.[14] 주요 당 조직은 작업장, 지역 또는 기능별로 구성된 "클럽"이며, 모든 당원은 클럽의 활동적인 회원이 되어야 한다.[14]
진보노동당은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 유행했던 히피 운동이나 아나키즘 운동에서 나타난 마약, 그룹 섹스, 동성애, 신비주의, 탈근대, 허무주의, 극단적 개인주의 등을 강력하게 비판했으며, 모든 당원에게 엄격한 생활 규율을 적용한다.[23]
창립 이후 당원의 상당한 경제적 부담과 광범위한 시간 요구 사항 때문에 소규모 간부 조직으로 유지되었으며, 1970년에는 약 350명의 핵심 당원과 다수의 지지자로 구성되었다.[14] 1960년대 당원들은 주로 백인 중산층 출신이었고, 마약 사용을 멀리했으며, 1971년 하원 국내 안보 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단정하게 옷을 입고 짧은 머리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14]
5. 간행물
진보노동당(PLP)은 1960년대와 1970년대 동안 잡지 Progressive Labor|프로그레시브 레이버영어를 발행했다. 처음에는 월간으로 시작하여 분기별, 이후 격월간으로 발행 주기가 변경되었다.[15] 1970년경 Progressive Labor|프로그레시브 레이버영어의 발행 부수는 약 10,000부에 달했다.[16]
당은 또한 여러 해에 걸쳐 발행 간격이 변경된 챌린지Challenge영어를 발행했다.[17] 1970년 미국 정부 조사관의 추산에 따르면 이 간행물의 발행 부수는 약 75,000부였으나, 이 중 상당수는 판매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6] Challenge|챌린지영어는 현재도 격주간으로 발행되며, 동일한 표지로 스페인어판인 Desafío|데사피오es와 함께 발행된다. PLP는 또한 이론 잡지인 The Communist|더 커뮤니스트영어를 연 2회 발행한다.
1963년과 1964년 동안 PLP는 Marxist-Leninist Quarterly|마르크시스트-레니니스트 쿼털리영어라는 이론 잡지를 발행하기도 했다.[18] 이 간행물은 1965년에 폐지되어 Progressive Labor|프로그레시브 레이버영어 잡지와 통합되었다.[18] 또한 미국 서부 해안에서는 1965년부터 1968년 초까지 Spark|스파크영어라는 간행물이 발행되었다.[18]
이 외에도 진보노동당 및 관련 조직에서 발행한 주요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저자/발행처 | 발행 연도/정보 |
---|---|---|
흑인 해방 투쟁 (현재 세계 투쟁 내에서) | 빌 엡턴 | 1976년 2월 26일 올드 웨스트버리 칼리지 연설. 할렘: 흑인 해방 출판, 1976년. |
우리는 고발한다: 빌 엡턴, 법정에서 말하다. | 빌 엡턴 (진보노동당) | 뉴욕: 진보노동당, 1966년. |
할렘의 경찰 테러 | 할렘 방어 위원회 | 뉴욕: 할렘 방어 위원회, 1964년 추정. |
조직하라! 웬디 나카시마의 (서기 69년) 의회 선거 운동을 활용하여 반격하라! | 웬디 나카시마 (진보노동당) | 뉴욕: 진보노동당, 1966년. |
혁명으로 가는 길: 진보노동운동의 전망 | 진보노동운동 | 브루클린: 진보노동운동, 1964년. |
흑인 해방에 대한 노트 | 진보노동당 (흑인 해방 위원회) | 뉴욕: 흑인 해방 위원회, 진보노동당, 1965년. |
자본가의 무장 세력을 분쇄하라. 군인을 위한 투쟁 프로그램. | 진보노동당 | 브루클린, 뉴욕: 진보노동당, 1969년 추정. |
오늘의 혁명, 미국: 진보노동운동과 진보노동당에 대한 고찰 | 진보노동당 | 뉴욕: 엑스포지션 프레스, 1970년. |
참조
[1]
간행물
Staff Study: Progressive Labor Party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2
[2]
서적
United States of America
Hoover Institution Press
1972
[3]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Progressive Labor Party – Part One
https://www.marxists[...]
1975-08
[4]
간행물
Testimony of Herbert Romerstei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2
[5]
웹사이트
Comrade Milt Rosen, 1926-2011 Founding Chairperson of PLP, Great 20th Century Revolutionary
https://www.marxists[...]
2014-09-19
[6]
간행물
Staff Report
[7]
간행물
Review of PLP Income Tax Returns
House Internal Security Committee
[8]
뉴스
The Washington Post picked its top American Communists. Wonkblog begs to differ
https://www.washingt[...]
2013-09-26
[9]
간행물
Staff Report
[10]
간행물
Progressive Labor Party Line on Communist China
House Internal Security Committee
[11]
서적
United States of America
Hoover Institution Press
1977
[12]
서적
Defenders of the Truth: The Battle for Science in the Sociology Debate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3]
서적
Naturalist
1995
[14]
간행물
Staff Report
[15]
간행물
Testimony of Alma Pfaff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2
[16]
간행물
Romerstein in Progressive Labor Party: Hearings...
[17]
간행물
Pfaff in Progressive Labor Party: Hearings...
[18]
간행물
Staff Report
[19]
간행물
Staff Report
[20]
간행물
Staff Report
[21]
서적
United States of America
Hoover Institution Press
1977
[22]
웹사이트
관련 정보 01
https://www.marxists[...]
[23]
간행물
Staff Repo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