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승·오광의 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승·오광의 난은 진나라의 가혹한 통치와 법률에 반발하여 일어난 중국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농민 봉기이다. 징병되어 북변으로 향하던 진승과 오광은 폭우로 기일을 맞추지 못해 사형될 위기에 처하자, "왕후장상(王侯將相)에게 어찌 씨가 있겠는가"라는 구호를 내걸고 봉기를 일으켰다. 대택향에서 시작된 이 봉기는 전국으로 확산되었지만, 진승과 오광은 내부 분열과 지도력 부재로 인해 실패하고, 진나라는 이들의 봉기를 진압했다. 비록 단명으로 끝났지만, 이들의 봉기는 진나라 멸망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이후 유방과 항우의 초한 전쟁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의 민란 - 거록 대전
    기원전 207년 진나라 말기에 항우가 이끄는 초나라 군대가 조나라를 구원하는 과정에서 뛰어난 전략과 용맹함으로 진나라 군대를 대파하여 진나라 멸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전투가 거록 대전이다.
  • 기원전 3세기 중국 - 초한전쟁
    초한전쟁은 진나라 멸망 후 항우와 유방 세력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유방의 승리로 끝나 한나라가 건국되었으며, 신분 질서의 변화와 민본주의 정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기원전 3세기 중국 - 해하 전투
    해하 전투는 기원전 202년 초한전쟁의 마지막 전투로, 한신의 한나라 연합군이 항우의 초나라 군대를 포위 섬멸하여 유방이 중국을 통일하고 한나라를 건국하게 된 전투이며, 항우는 오강에서 자결했고 사면초가의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진승·오광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 말기의 반란
날짜기원전 209년 8월 또는 9월 – 기원전 208년 1월
장소허난성, 중국
결과진나라의 승리
교전 세력
반군진승
오광
진 제국장한
병력 규모
반군900명
진나라미상
사건 이름 (한자)
간체자陈胜吴广起义
번체자陳勝吳廣起義
병음Chén Shèng Wú Guǎng Qǐyì

2. 역사적 배경

진승·오광의 난은 에 대한 반항과 항거 운동의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이 난의 주역인 진승오광은 모두 허난성(河南省) 출신의 농민이었다. 진승은 가난한 집안 출신으로 남의 땅을 경작하며 고용살이를 했다. 이는 당시 농민 사회에서 토지를 잃은 사람과 대토지 소유자 간의 계층 분화가 진행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진승과 오광이 봉기한 것은 병사로 징발되어 북쪽 변방을 수비하러 가던 중이었다. 호해 원년(元年) 7월, 진승과 오광 등 900여 명의 농민은 북변의 어양(漁陽)으로 향했다. 그러나 대택향(大澤鄕)에 이르렀을 때 큰비로 도로가 끊겨 기한 내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없게 되었다. 당시 진나라 법률은 기한을 지키지 못하면 이유를 불문하고 사형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이에 진승과 오광은 "어차피 죽임을 당할 바에는 나라를 세우고 죽자"라는 결의를 하고 봉기를 일으켰다.[6]

2. 1. 진나라의 가혹한 통치

진시황제의 통일 이후 진나라는 가혹한 법치주의를 시행하고 과도한 부역과 세금을 징수하여 백성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다. 특히, 아방궁만리장성 축조 등 대규모 토목 공사는 농민들에게 큰 부담을 안겨주었다.[6]

진나라의 법률은 기한을 지키지 못하면 이유를 불문하고 사형에 처하는 등 매우 가혹했다. 이러한 가혹한 법 조항은 진승·오광의 난이 일어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6] 다만, 발굴된 자료에 따르면 징용된 인부의 처벌에는 노역 규정이 적용되어 지연에 대한 벌금이나 기간 연장이 부과되었으나, 군사 규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지연 시 사형에 처해졌다.[10]

라는 진승의 말은 당시 진나라의 가혹한 통치에 대한 반발과 신분 제약 없는 사회를 향한 열망을 보여준다.[6]

2. 2. 진 이세황제 호해의 실정

호해는 그의 형제 부소를 죽이고 왕좌를 차지했는데, 부소는 자비로운 성품으로 알려져 있었다.[6]

3. 봉기 전개 과정

진승·오광은 진나라의 가혹한 법에 맞서 봉기를 일으켰다. 진 이세 황제 원년(기원전 209년) 7월, 징병되어 어양으로 가던 중 큰 비를 만나 기한 내에 도착할 수 없게 되자, 어차피 죽을 바에는 반란을 일으키기로 결심했다. 이들은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나"라는 구호를 외치며 농민들을 선동하여 봉기했다.[12]

봉기군은 '대초'라는 국호를 정하고, 시황제의 장자인 부소와 초나라의 장군 항연을 사칭하여 민심을 얻으려 했다. 진승은 장군, 오광은 도위가 되어 대택향을 시작으로 기(蘄), 질[13], 찬[14], 고[15], 자[16], 초[17] 등을 함락하며 세력을 확장했다.[18] 진(진)에 이르렀을 때는 병거 600~700승, 기병 1천 기, 졸병 수만 명의 대군으로 성장했다.

진승은 진(陳) 지역을 점령하고 왕위에 올라 국호를 '장초(張楚)'라 칭했다.[21] 봉기군은 각지로 진격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진나라의 가혹한 통치에 불만을 품은 농민들이 합류하여 그 규모가 더욱 커졌다.[21]

진승은 왕위에 오른 후 군사를 나누어 진나라 여러 곳을 공격하게 했다. 주요 장수와 그들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

장수임무비고
오광대리왕, 형양 공격
무신, 장이, 진여옛 조나라 방면 공격
주불옛 위나라 방면 공격
등종구강 공격
송류남양 공격진승 사후 진나라에 투항, 거열형[21]
갈영(葛嬰)초나라 동쪽 지역 공략동성(東城)에서 양강(襄彊)을 초왕으로 옹립, 진승에게 주살됨
무평군(武平君) 반(畔)진가(秦嘉) 세력 편입진가에게 살해당함
주문진(秦)나라 지역 공략, 함곡관 돌파장한에게 패사
장이(張耳)·진여(陳余)조(趙)나라 지역 공략 종군
소소(召騷)무신의 전투 참모조왕 무신의 대신
주시(周市)위(魏)나라 지역 공략위구(魏咎)를 위왕으로 옹립, 재상
전장(田臧)오광(吳広)의 부장오광 살해, 장한에게 패사
이귀(李歸)전장의 부장형양에서 장한에게 패함
등설(鄧說)양성(陽城)에서 장한에게 패하고 진승에게 주살
오서(伍徐)허(許)에서 장한에게 패함
장하(張賀)진승과 함께 장한을 막다 전사
채사(蔡賜)장초의 재상방군(房君) 작위, 장한에게 패함
장오(張敖)장이의 아들성도군(成都君) 칭호
주방(朱房)·호무(胡武)주방-인사 담당, 호무-군법 담당엄벌주의로 명성 하락
공갑(孔甲)공자의 자손박사(博士)로 임명
장가(莊賈)진승의 마부진승 살해, 여신(呂臣)에게 살해
여신(呂臣)진승의 측근진승 사후 진(陳) 탈환, 영포 군에 합류



진승은 또한 진가, 동설, 주계석, 정포, 정질 등이 이끄는 농민 반란군에도 무평군 반을 보내 자신의 휘하로 거두려 했다.[21]

그러나 장한이 이끄는 진나라 군대의 반격으로 장초군은 패배하기 시작했다. 주문은 자결하고, 오광은 부하에게 살해당했다. 장한은 여러 장초군을 격파하고 진(진)까지 진격하여 진승을 압박했다. 결국 진승은 도주 중 부하에게 살해되었고, 봉기는 6개월 만에 진압되었다.[21]

3. 1. 대택향 봉기 (기원전 209년)

과 은 모두 허난성 출신으로, 진승은 가난하여 고용살이를 하며 남의 땅을 경작했다. 진 이세 황제 원년(기원전 209년) 7월, 진승과 오광 등 900여 명의 농민은 징병되어 북쪽 변방인 어양으로 향하던 중이었다. 그러나 기현 대택향에 이르렀을 때 큰 비를 만나 도로가 끊겨 기한 내에 도착할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법률은 기한을 지키지 못하면 이유를 불문하고 참수형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이에 진승과 오광은 어차피 죽을 바에는 나라를 세우고 죽자는 생각으로 봉기를 결의했다. 이들은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나"라는 구호를 내걸고, 인솔 장교를 죽인 뒤 농민들을 선동했다.[12] 농민들은 모두 진승에게 호응했고, 이들은 나라 이름을 '대초'로 정하고, 시황제의 장자인 부소와 초나라의 장군 항연을 사칭하여 민심을 얻고자 했다. 진승은 장군을 칭하고 오광은 도위가 되어 대택향을 공격한 후 기(蘄)를 함락했다.[12] 이후 봉기군은 질,[13] 찬,[14] ,[15] ,[16][17]를 함락하고, 진에 이르렀을 때는 병거 600~700승, 기병 1천 기, 졸병 수만 명의 대군으로 성장했다.[18]

3. 2. 장초 건국과 세력 확장

진승은 진(陳) 지역을 점령하고 왕위에 올라 국호를 '장초(張楚)'라 하였다.[21] 봉기군은 각지로 진격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진나라의 가혹한 통치에 불만을 품은 농민들이 합류하여 그 규모가 수만 명에 이르렀다.[21]

진승은 왕위에 오른 후 군사를 나누어 진나라 여러 곳을 공격하게 했다. 주요 장수와 그들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

장수임무출신 지역비고
오광대리왕, 형양 공격
무신, 장이, 진여3천 명의 병력으로 옛 조나라 방면 공격
주불옛 위나라 방면 공격
등종구강 공격
송류남양 공격진승 사후 진나라에 투항, 거열형[21]
갈영(葛嬰)초나라 동쪽 지역 공략부리(符離)동성(東城)에서 양강(襄彊)을 초왕으로 옹립, 진승에게 주살됨
무평군(武平君) 반(畔)진가(秦嘉) 세력 편입진가에게 살해당함
주문진(秦)나라 지역 공략, 함곡관 돌파진(陳)장한(章邯)에게 패사
장이(張耳)·진여(陳余)조(趙)나라 지역 공략 종군대량(大梁)
소소(召騷)무신의 전투 참모조왕 무신의 대신
주시(周市)위(魏)나라 지역 공략위(魏)위구(魏咎)를 위왕으로 옹립, 재상
전장(田臧)오광(吳広)의 부장오광 살해, 장한에게 패사
이귀(李歸)전장의 부장형양에서 장한에게 패함
등설(鄧說)양성(陽城)장한에게 패하고 진승에게 주살
오서(伍徐)허(許)장한에게 패함
장하(張賀)진승과 함께 장한을 막다 전사
채사(蔡賜)장초의 재상상채(上蔡)방군(房君) 작위, 장한에게 패함
장오(張敖)장이의 아들성도군(成都君) 칭호
주방(朱房)·호무(胡武)주방-인사 담당, 호무-군법 담당엄벌주의로 명성 하락
공갑(孔甲)공자의 자손박사(博士)로 임명
장가(莊賈)진승의 마부진승 살해, 여신(呂臣)에게 살해
여신(呂臣)진승의 측근진승 사후 진(陳) 탈환, 영포 군에 합류



진승은 또한 진가, 동설, 주계석, 정포, 정질 등이 이끄는 농민 반란군에도 무평군 반을 보내 자신의 휘하로 거두려 했다.[21]

3. 3. 진나라의 반격과 장초의 멸망

장한이 이끄는 진압군은 죄수와 노예들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문이 이끄는 장초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주문은 조양[23]과 민지에서 연패하고 결국 자결했으며, 장초군은 와해되었다.[21]

한편, 형양을 포위하던 장초군의 장수 전장 등은 오광이 무능하고 교만하다는 이유로 암살하고 지휘권을 빼앗았다. 이들은 오광의 머리를 장한에게 보내고, 장한은 전장을 영윤과 상장으로 삼았다. 전장은 이귀 등에게 형양 포위를 맡기고 정병을 거느리고 오창까지 나아가 장한과 맞섰으나 전사하고, 진군은 형양의 장초군마저 격파하여 이귀 등도 죽었다.에 주둔한 장초의 장수 등열을 별동대로 격파하고, 허[24]에 주둔한 오서를 격파했다. 등열과 오서는 진승에게 달아났으나, 진승은 등열을 처형했다. 장한은 장초의 서울 진까지 진격하여 장초군과 싸워 상주국 채사를 전사시켰다. 진 서쪽에서 장하와 교전한 진승은 직접 성을 나와 지원했으나 장하도 전사했다. 결국 진현을 빼앗긴 진승은 달아나던 중 어자 장가에게 살해되었고, 장가는 진나라에 투항했다.[21] 이로써 봉기는 6개월 만에 진압되었다.

4. 진승·오광의 난 이후

진승·오광의 난은 전국적인 봉기를 촉발하여 진나라 멸망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진승 사후, 진나라에 대한 저항은 초나라의 항량에게 이어졌고, 이후 유방이 무관을 함락시키고 진왕 자영이 항복하면서 진나라는 멸망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전란은 계속되어 한(漢)의 유방과 초의 항우의 싸움, 즉 초한 전쟁으로 이어졌다.

4. 1. 진나라 멸망

진승·오광의 난 소식이 함양의 진나라 조정에 전해졌을 때, 진 이세황제는 초기 보고자를 처형할 정도로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22] 이후 보고는 반란이 진압되었다는 거짓 내용이었고, 이세황제는 이에 만족했다.[22]

그러나 주문이 이끄는 반란군은 함곡관에 이르렀을 때 전차 1천 승, 병사 10만에 달하는 대군으로 성장했다.[22] 9월, 주문의 군대가 함곡관을 돌파하고 희 지역까지 진격하자, 그제서야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이세황제는 장한의 제안을 받아들여 아방궁과 여산릉 건설에 동원되었던 죄수와 노예들을 사면하여 진압군을 편성했다.[22]

장한이 이끄는 진압군은 주문의 장초군을 격파했고, 주문은 자결했다.[21] 장초군의 장수 전장은 오광을 암살하고 지휘권을 빼앗아 장한과 맞섰으나 패배하고 전사했다.[21] 장한은 계속 진격하여 진승의 군대마저 격파했고, 진승은 도주 중 부하에게 살해당했다.[21]

진승과 오광이 봉기한 지 약 반년 만에 장초 농민 정권은 무너졌지만, 이들의 봉기는 전국적인 봉기를 촉발하여 진나라 멸망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진승이 죽은 후, 진나라에 대한 저항은 초나라의 항량에게 이어졌고, 유방이 무관을 함락시키고 진왕 자영이 항복하면서 진나라는 멸망했다. 이때가 기원전 206년 10월(고조 원년)이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전란은 계속되어 한(漢)의 유방과 초의 항우의 싸움, 즉 초한 전쟁으로 이어졌다.

4. 2. 초한쟁패

진승 사후, 진나라에 대항하는 전쟁은 초나라 항량이 이어받았다. 유방이 무관을 함락시키면서 진왕 자영이 항복하여 진 제국은 기원전 206년(고조 원년) 10월에 멸망했다.[6]

그러나 이후에도 전란은 종식되지 않고, 한나라 유방과 초나라 항우 간의 초한 전쟁으로 이어졌다.[6]

5. 역사적 의의와 평가

진승·오광의 난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진승과 오광은 가혹한 진나라 법에 맞서 900명의 사람들을 모아 반란을 일으켰다.[6] 이들의 봉기는 전국적인 봉기로 이어졌고, 비록 1년도 채 되지 않아 진압되었지만, 유방항우에게 본보기가 되었다.[6]

5. 1. 후대 농민 봉기에 미친 영향

진승의 "왕후장상 영유종호(王侯將相 寧有種乎)"()라는 외침은 이후 농민 봉기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6] 이 말은 출생에 관계없이 모든 인간은 노력하면 위대해질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진승·오광의 난 과정에서 나타난 농민들의 자각과 조직력은 이후 농민 운동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비록 진승과 오광의 봉기는 실패했지만, 이들의 정신은 유방항우에게 본보기가 되었다.

5. 2. 한계

진승 등은 봉기한 지 약 반년 만에 살해당하고 장초 농민정권은 무너졌다. 진승과 오광은 군 장교였으며, 사병들을 이끌고 북쪽 어양군(漁陽|어양중국어) 방어에 참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극심한 폭우로 인한 홍수로 인해 현재의 안후이성에서 도중에 발이 묶였다. 가혹한 진나라 법은 정부 업무에 지각하는 자는 지연의 성격에 관계없이 사형에 처하도록 규정했다. 처형을 받는 것보다 싸우는 편이 낫다고 판단한 진승과 오광은 900명의 마을 사람들을 모아 정부에 반란을 일으켰다.[6]

진승의 부하들이 그를 옛 초나라의 왕으로 선포하면서, 진승과 오광은 중국 전역에서 일어난 무장 봉기의 중심이 되었다. 불과 몇 달 만에 그들의 세력은 약 1만 명으로 성장했으며, 이는 주로 불만을 품은 농민들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1년도 채 안 되어 봉기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했다. 봉기군은 숙련된 진나라 전문 군인들의 전술에 상대가 되지 않았고, 진승과 오광 모두 자신의 부하들에게 암살당했다.[6]

봉기는 궁극적으로 실패했지만, 오광과 진승은 유방항우가 따라야 할 본보기를 세웠다. 그들의 정신은 진승의 인용구 "왕후장상영유종호(王侯將相寧有種乎, 왕과 제후, 장군과 재상은 어찌 족속이 따로 있겠는가?)" 즉, 출생에 관계없이 모든 인간은 노력하면 위대해질 수 있다는 의미로 요약될 수 있다.[6]

참조

[1] 역사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209 BC-08-09 ~ 209 BC-09-07
[2] 역사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208 BC-01-04 ~ 208 BC-02-01
[3] 서적 The Chinese Strategic Mind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4] 서적 Violence, Periodization and Defini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A Case Study of Two Deaths by the Red Guards https://books.google[...] BRILL
[5] 서적 The Dynamics of China's Rejuven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6] 간행물 Anti-Qin Rebels 1983
[7] 역사서 史記
[8] 문서 実際は、事の成就すなわち秦朝滅亡の日を迎える前に、陳勝と呉広は鬼籍に入ったのだった。
[9] 문서 この時の暦は10月を年の初めにしているため、注意を要する。
[10] 서적 項羽と劉邦の時代 講談社
[11] 역사서 史記
[12] 문서 패군의 속현으로, 지금의 [[안후이성]] [[쑤저우 시 (안후이 성)|쑤저우 시]] [[융차오 구]]에 있다.
[13] 문서 패군의 속현으로, 지금의 [[안후이성]] [[쑤저우 시 (안후이 성)|쑤저우 시]] [[융차오 구]]에 있다.
[14] 문서 탕군의 속현으로, 지금의 [[허난성]] [[상추 시]] [[융청 시]]에 있다.
[15] 문서 진군의 속현으로, 지금의 [[허난성]] [[저우커우 시]] [[루이 현]]에 있다.
[16] 문서 진군의 속현으로, 지금의 [[허난성]] [[상추 시]] [[저청 현]]에 있다.
[17] 문서 탕군의 속현으로, 지금의 [[안후이성]] [[보저우 시]] [[차오청 구]]에 있다.
[18] 문서 진군의 속현으로 진군의 치소가 있으며, 지금의 [[허난성]] [[저우커우 시]] [[화이양 현]]에 있다.
[19] 문서 진의 군수.
[20] 역사서 장이진여열전
[21] 역사서 사기
[22] 역사서 진시황본기
[23] 문서 지금의 [[허난성]] [[싼먼샤 시]] [[링바오 시]]에 있는 지명이다.
[24] 문서 영천군의 속현으로, 지금의 [[허난성]] [[쉬창 시]] [[쉬창 현]]에 있다.
[25] 역사서 항우본기
[26] 역사서 진초지제월표
[27] 역사서 전담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