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주시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시 (1950년 선거구)는 1950년에서 1960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진주부 선거구가 진주시로 개칭됨에 따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주시 선거구로 개편되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진주시·진양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류덕천, 서인홍, 김용진 등이 역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무소속과 민주당 소속 후보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주시의 정치 - 진주시 갑
    진주시 갑은 2004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진주시의 문산읍, 내동면 등 15개 행정구역을 관할하며, 최구식, 박대출 등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진주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주시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주시의회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진주시의회 의원을 선출한 결과, 자유한국당이 10석, 더불어민주당이 9석, 민중당이 1석, 무소속이 1석을 차지하였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진주시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진주시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남도
연도1950
폐지1963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진주부
이후 선거구진주시·진양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9년 8월, 진주부진주시로 개칭되면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주부 선거구가 진주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양군 선거구와 통합, 진주시·진양군 선거구가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역대 국회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진주시 (1950년 선거구)에서는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각 선거 결과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3.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진주시에 출마한 후보들의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류덕천무소속8,47428.85%
김택조대한노동총연맹4,51315.36%
허명무소속2,6949.17%
이강우무소속2,3838.11%
문우상무소속2,2057.50%
조병래무소속1,7545.97%
강석찬무소속1,3094.45%
박인석무소속1,1703.98%
김현대대한농민총연맹1,0313.51%
정성오무소속9373.19%
권태용무소속7702.62%
강영손무소속6382.17%
김동천무소속6262.13%
박명래민주국민당19495331.81%
조문찬대한독립촉성국민회3311.12%
이봉호무소속00%



이 선거에서는 무소속 류덕천 후보가 28.8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다수의 무소속 후보들이 출마하여 경쟁하였는데, 이는 당시 정당 정치의 미성숙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진주시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소속 서인홍 후보가 4,802표(18.8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후보들의 강세가 여전했으며, 자유당민주국민당 후보들도 경쟁에 참여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서인홍무소속4,80218.84
장두권무소속3,90815.34
허만채민주국민당3,38813.29
조문찬무소속3,07512.07
김인중자유당2,94011.54
유덕천무소속2,55110.01
정순석무소속2,5119.85
정순종무소속1,5065.91
윤우수무소속4951.94
이기환무소속2991.17
문해술무소속00
김용진무소속00


3.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용진 후보가 55.4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김용진의 당선은 진주 지역에서 야당의 세력이 성장했음을 의미한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용진민주당15,41755.47%
김용주농민회10,02936.08%
오복근무소속2,3468.44%
서인홍자유당00%


3.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용진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4.19 혁명 이후 민주당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높았던 상황에서, 진주 지역 유권자들은 민주주의와 개혁에 대한 열망을 김용진 의원에게 투표함으로써 표출했다고 볼 수 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용진민주당17,15655.79
유덕천무소속7,22123.48
정한섭무소속3,61511.75
서인홍무소속1,3274.31
고순철무소속9433.06
이지택무소속4861.58
합계30,748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