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양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양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진양군 전 지역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주시 선거구와 통합되어 진주시·진양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총 다섯 번의 선거가 치러졌으며, 황윤호, 하만복, 황남팔, 구태회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주시의 정치 - 진주시 갑
    진주시 갑은 2004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진주시의 문산읍, 내동면 등 15개 행정구역을 관할하며, 최구식, 박대출 등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진주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주시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주시의회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진주시의회 의원을 선출한 결과, 자유한국당이 10석, 더불어민주당이 9석, 민중당이 1석, 무소속이 1석을 차지하였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진양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진양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남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진주시·진양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양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주시 선거구와 통합되어 진주시·진양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1대 국회의원 (1948년 ~ 1950년)

1948년 선거에서 무소속 황윤호 의원이 당선되었다.

3. 2. 제2대 국회의원 (1950년 ~ 1954년)

1950년에는 무소속 하만복이 당선되었다.

3. 3. 제3대 국회의원 (1954년 ~ 1958년)

선거정당의원
1954년자유당황남팔


3. 4. 제4대 국회의원 (1958년 ~ 1960년)

1958년 총선에서 자유당 후보로 구태회가 당선되었다.

3. 5. 제5대 국회의원 (1960년 ~ 1961년)

1960년 4·19 혁명 이후 치러진 선거에서 민주당 소속 황남팔이 당선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당선인정당득표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황윤호무소속35.95%
제2대 국회의원 선거하만복무소속21.96%
제3대 국회의원 선거황남팔자유당43.00%
제4대 국회의원 선거구태회자유당57.00%
제5대 국회의원 선거황남팔민주당36.94%


4. 1. 제1대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황윤호 후보가 35.9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황윤호무소속18,02735.95%
최병석무소속16,49932.90%
정순종무소속8,52417.00%
이현우유도회4,4188.81%
류한구대동청년단2,6695.32%
합계50,137100%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하만복 후보가 21.9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하만복무소속11,16421.96
최병석무소속11,08921.81
김용진무소속7,80015.34
강대조무소속5,0129.85
허병호무소속4,6879.22
임종후무소속4,3168.49
황철중무소속2,7485.40
정시영무소속1,9283.79
박윤석무소속1,2002.36
이봉출무소속8891.74
합계50,833100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황남팔 후보가 43.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황남팔자유당19,90443.00
하만복무소속8,96219.36
김기태무소속7,91617.10
정종근무소속4,87010.52
허병호무소속4,63210.00
이영만무소속00
박명제민주국민당00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구태회 후보가 57.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구태회자유당30,03057.00
황남팔무소속22,64742.99
합계52,677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황남팔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황남팔민주당19,93436.94%
구태회무소속16,06829.77%
하만복무소속8,12515.05%
허병호무소속8,11815.04%
지명석사회대중당1,7163.18%
총 득표수53,9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