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陳)나라는 전설적인 성군 순 임금의 후손이 주나라에 봉해져 건국된 나라이다. 기원전 1046/45년에 주 무왕은 순 임금의 후손인 규만을 진나라에 봉했고, 그는 진 호공으로 알려졌다. 춘추 시대에 주변국들의 압박으로 쇠퇴하여 초나라에 병합되었고, 멸망 후 많은 사람들이 진나라의 이름을 성으로 삼아 진씨의 기원이 되었다. 진나라는 여러 차례 멸망과 부흥을 겪었으며, 25명의 군주가 통치했다. 진나라에서 파생된 성씨로는 진(陳), 귀(妫), 호(胡), 전(田), 우(虞), 요(姚), 원(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 (규성) - 전손사
전손사는 공자의 제자로 예법에 능통했으나 인을 추구하는 데 부족함이 있었지만 공자의 가르침을 통해 성장하여 숭례파를 형성하고 자장학파를 통해 후대에 영향을 미쳤으며, 과유불급의 정신을 대표한다. - 안후이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안후이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 허난성의 역사 - 상나라
상나라는 기원전 1600년경부터 기원전 1046년까지 중국을 지배한 왕조로, 갑골문 발견을 통해 역사적 사실이 증명되었으며, 발달된 청동기 문화와 문자 체계를 가졌고, 주나라에 의해 멸망한 후에도 일부 잔재가 이어졌다. - 허난성의 역사 -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진 (규성) | |
---|---|
기본 정보 | |
국명 (한자) | c=陈国 |
일반명 | 진(陳) |
다른 이름 | State of Chen (영어) |
위치 | 중국 |
존속 기간 | 기원전 1045년경 – 기원전 479년 |
정치 | |
정부 형태 | 군주제 |
수도 | 완구 (宛丘) (허난성저우커우시화이양구) |
역사 | |
건국 | 기원전 1046년 |
분봉자 | 무왕 |
멸망 | 기원전 478년 |
멸망 원인 | 초에 의해 멸망 |
사건 | 초의 수도가 됨 |
언어 및 종교 | |
공용어 | (정보 없음) |
종교 | (정보 없음) |
통치자 | |
지도자 | (정보 없음) |
부지도자 | (정보 없음) |
화폐 | |
통화 | (정보 없음) |
기타 | |
국성 | 규성(嬀姓) |
작위 | 공작(公爵) |
시조 | 호공 만(胡公滿) |
역사 기록 | 사기 춘추좌씨전 |
2. 역사
진(陳)은 복희 씨(伏羲氏)의 수도였던 태호(太昊、太皞)에서 유래했으며[2], 황하 남쪽에 위치했다.[2][3] 전설에 따르면 순 임금의 후손이 진나라 왕족의 조상이라고 한다.
2. 1. 건국
무왕은 호공에게 완구 일대를 봉하고, 후작의 작위를 내렸다. 진(陳)은 본래 복희 씨(伏羲氏)의 수도인 태호(太昊、太皞) 출신으로[2] 황하 남쪽에 있었다.[2][3]
2. 2. 춘추 시대
춘추 시대에 접어들면서 주변의 제후국들이 강성해졌으나, 진(陳)나라는 그 성장세를 따라잡지 못해 약소국으로 전락했다. 특히 강국이었던 초나라와 이웃해 있었기 때문에, 진나라는 초나라에 휘둘리다 결국 멸망당했다.[2]진(陳)은 본래 복희 씨(伏羲氏)의 수도인 태호(太昊、太皞) 출신으로[2], 황하 남쪽에 있었다.[3] 전설에 따르면 순 임금의 후손이 진나라 왕족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 기원전 1046/45년, 주나라가 상나라를 정복한 후 주 무왕은 순 임금의 후손인 사위 규만을 진나라에 봉했고, 규만은 진 호공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호공의 아들 진 신공은 진나라의 두 번째 공작이 되었다.
진나라는 이후 초나라의 동맹국이 되어 성복 전투에서 초나라의 동맹으로 참전했다. 기원전 479년, 초나라에 병합되었다. 이후 많은 진나라 사람들이 옛 나라 이름을 성으로 삼았고, 오늘날 진씨 성을 가진 많은 중국인들이 이들의 후손이다. 옛 초나라 수도인 영이 파괴된 후, 진나라는 초나라의 수도가 되었다.

2. 2. 1. 잦은 내란과 멸망
춘추 시대에 접어들면서 주변의 제후국들이 강성해졌으나, 진나라는 그 성장세를 따라잡지 못해 약소국으로 전락했다. 특히 강국이었던 초나라가 이웃해 있었기 때문에, 진나라는 항상 초나라에게 휘둘리다 결국 멸망당했다.진나라는 세 번 멸국치현(滅國置縣, 나라를 없애고 현으로 만듬)을 겪었다.
순서 | 시기 | 내용 |
---|---|---|
첫 번째 | 기원전 599년 | 군주가 시해되는 내란이 발생하자, 초 장왕이 이를 틈타 일시적으로 멸국치현 하였으나, 곧 다시 복국되었다. |
두 번째 | 기원전 534년 | 군위 계승을 두고 내란이 발생하자, 초 영왕이 진나라를 일시적으로 멸국치현 하였다. 기원전 529년, 초 영왕을 몰아내고 새로 등극한 초 평왕에 의해 진나라는 다시 복국되었다. |
세 번째 | 기원전 478년 | 초 혜왕이 무성윤(武城尹) 공손 조(朝)를 시켜 멸국치현 하였다. 진나라는 여기서 끝내 다시 재건되지 못했다. |
멸망한 진나라의 공족(公族)과 백성들은 진 여공의 아들 진완의 후손이 권력을 잡은 제나라로 망명하여, 고국의 이름을 따서 진(陳)을 성으로 삼았다. 이것이 바로 현재 중국과 한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는 모든 진씨의 시초라고 전한다.[2]
진나라는 25대 679년 만에 멸망하였으며, 역사 기록은 사기(史記) 진기세가(陳杞世家)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등에 전한다.
2. 3. 멸망 이후
진나라는 세 번이나 멸망하고 현으로 복속되는 멸국치현(滅國置縣)을 겪었다.[2] 기원전 599년, 군주가 시해되는 내란이 발생하자 초 장왕(楚莊王)이 이를 틈타 일시적으로 멸국치현하였으나, 곧 다시 복국되었다. 기원전 534년에는 군위 계승을 두고 내란이 발생하자 초 영왕(楚靈王)이 진나라를 일시적으로 멸국치현하였다. 기원전 529년, 초 영왕을 몰아내고 새로 등극한 초 평왕(楚平王)에 의해 진나라는 다시 복국되었다. 기원전 478년, 초 혜왕(楚惠王)이 무성윤(武城尹) 공손 조(朝)를 시켜 멸국치현하였고, 진나라는 끝내 다시 재건되지 못했다.[2]멸망한 진나라의 공족(公族)과 백성들은 진 여공의 아들 진완의 후손이 권력을 잡은 제(齊)나라로 망명하여, 고국의 이름을 따서 진(陳)을 성으로 삼았다. 이것이 바로 현재 중국과 한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는 모든 진씨의 시초라고 전한다.[2]
진나라는 25대 679년 만에 멸망하였으며, 역사 기록은 《사기》(史記) 진기세가(陳杞世家)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등에 전한다.[2]
3. 문화
시경에는 진나라에 헌정된 최소 10개의 노래가 있다: 《완구(宛丘)》, 《동문지분(東門之枌)》, 《위문(衛門)》, 《동문지치(東門之池)》, 《동문지양(東門之楊)》, 《묘문(墓門)》, 《방유작소(防有鵲巢)》, 《월출(月出)》, 《주림(株林)》, 《택피(澤陂)》.[9]
4. 역대 군주
대수 | 시호 | 이름 | 재위 기간 |
---|---|---|---|
1 | 호공 (胡公) | 만 (滿) |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986년 |
2 | 신공 (申公) | 서후 (犀侯) | 기원전 985년 ~ 기원전 961년 |
3 | 상공 (相公) | 고양 (皐羊) | 기원전 960년 ~ 기원전 939년 |
4 | 효공 (孝公) | 돌 (突) | 기원전 938년 ~ 기원전 905년 |
5 | 신공 (愼公) | 어융 (圉戎) | 기원전 904년 ~ 기원전 855년 |
6 | 유공 (幽公) | 녕 (寧) | 기원전 854년 ~ 기원전 832년 |
7 | 희공 (僖公) | 효 (孝) | 기원전 831년 ~ 기원전 796년 |
8 | 무공 (武公) | 령 (靈) | 기원전 795년 ~ 기원전 781년 |
9 | 이공 (夷公) | 열 (說) | 기원전 780년 ~ 기원전 778년 |
10 | 평공 (平公) | 섭 (燮) | 기원전 777년 ~ 기원전 755년 |
11 | 문공 (文公) | 어 (圉) | 기원전 754년 ~ 기원전 745년 |
12 | 환공 (桓公) | 포 (鮑) | 기원전 744년 ~ 기원전 707년 |
13 | 타 (佗) | 기원전 707년 ~ 기원전 706년 | |
14 | 여공 (厲公) | 약 (躍) | 기원전 706년 ~ 기원전 700년 |
15 | 장공 (莊公) | 림 (林) | 기원전 699년 ~ 기원전 693년 |
16 | 선공 (宣公) | 저구 (杵臼) | 기원전 692년 ~ 기원전 648년 |
17 | 목공 (穆公) | 관 (款) | 기원전 647년 ~ 기원전 632년 |
18 | 공공 (共公) | 삭 (朔) | 기원전 631년 ~ 기원전 614년 |
19 | 영공 (靈公) | 평국 (平國) | 기원전 613년 ~ 기원전 599년 |
20 | 성공 (成公) | 오 (午) | 기원전 598년 ~ 기원전 569년 |
21 | 애공 (哀公) | 닉 (溺) | 기원전 568년 ~ 기원전 534년 |
22 | 류 (留) | 기원전 534년 | |
23 | 혜공 (惠公) | 오 (吳) | 기원전 529년 ~ 기원전 506년 |
24 | 회공 (懷公) | 류 (柳) | 기원전 505년 ~ 기원전 502년 |
25 | 민공 (閔公) | 월 (越) | 기원전 501년 ~ 기원전 478년 |
5. 파생된 성씨
- 초대 공작이자 정식 명칭은 진 후공으로, 호와 진의 기원이라고 알려져 있다.[8]
- 진 씨는 이후 중국의 진 왕조와 베트남의 황금기인 쩐 왕조를 세웠다(쩐 왕조의 쩐은 진의 베트남어 발음이다).
- 1400년, 호 꾸이 리는 쩐 왕조를 전복하고 호 왕조를 세웠다(호는 "후"의 베트남어 발음이다). 그는 진 후공과 순 임금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베트남의 국호를 대월에서 대우(大虞), 즉 "대우"로 변경했다(우는 순 임금의 전설적인 국가인 우(虞)의 베트남어 발음이다).
- 고대 시대에 陳은 '동쪽'을 의미하는 東과 유사하게 들렸다. 또한 田과도 유사하게 들렸다. 전국 시대 이후, 제나라의 진 씨 일족 중 일부는 성씨를 田으로 채택했는데, 이는 나중에 중국과 일본의 성씨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
진 씨에서 파생된 성씨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說文解字
[2]
서적
左傳·昭公十七年
[3]
서적
史记·货殖列传
[4]
서적
吕氏春秋·似顺论
[5]
서적
毛詩傳
[6]
서적
中國通史
[7]
서적
Collected Explanations on the Classic of Poetry
http://www.chinaknow[...]
[8]
웹사이트
陳姓源于淮陽 陳胡公是得姓始祖及舜帝的後裔
https://web.archive.[...]
2014-03-22
[9]
시
詩經·國風
[10]
문서
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